KR20190122773A -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773A
KR20190122773A KR1020197028524A KR20197028524A KR20190122773A KR 20190122773 A KR20190122773 A KR 20190122773A KR 1020197028524 A KR1020197028524 A KR 1020197028524A KR 20197028524 A KR20197028524 A KR 20197028524A KR 20190122773 A KR20190122773 A KR 20190122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heat
inle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829B1 (ko
Inventor
타카노부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코 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코 팩토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코 팩토리
Publication of KR20190122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8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24F1/62Wall-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신축 또는 기존의 어떤 공동 주택 등에도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 등의 작업성이 좋고, 룸에어컨의 운전 부하를 저감 할 수 있는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외기 조화기(1)는 핀 튜브식 열교환기(2)를 포함하는 본체(3)를 구비한다. 본체(3)는 기체의 배면측이 되는 기체(30)와 기체의 전면측이 되는 커버체(35)로 되어, 기체(30)와 커버체(35)는 분할 가능하고 탈착 가능한 구조이다. 기체(30)는, 베이스부(31), 구획부(25), 접속 관부(314), 열교환기 유지 구조체(32), 물 받침부(33)를 갖고 있다. 커버체(35)는, 정면 벽부(36)와 삼면의 주벽(37)이 일체로 된 구조이고, 주벽 (37)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외기(A1)의 도입구(38)를 구성하고, 각 벽부가 외면판(351), 내면판(352), 내면판과 외면판 사이에 설치한 단열재(353)가 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
본 발명은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집합 주택과 일반 주택(이하 통칭하여 "공동 주택 등"이라 한다)에 설치할 수 있는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이며, 신축 또는 기존 하나의 집합 주택 등에 대해서도 설치가 쉬움과 함께 청소 및 유지 보수(이하 "메인테이너스 등"이라 한다)의 작업성이 좋고, 실내 측에 실내기가 설치된 공기 조화기(이하 "에어컨"이라 한다)의 운전 부하를 저감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기존 실내에 외기를 도입함에 있어 도입 경로의 중간에 도입된 외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해 외기 조화기를 설치한 설비가 있다. 이러한 시설로는 예를 들어, 아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에어컨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 시설은 도 15에 개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에어컨(9)은 실외에 설치되어 외기 OA를 처리하는 외기 조화기(91)와 상기 외기 조화기(91)를 통해 실내 R에 공급 된 공기 RA를 회수하는 환기 흡입구(92)의 근방에 설치 된 현열교환기(93)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현열교환기(93)는 회수한 공기 RA와 열교환하여 열교환 후 공기 SA를 급기하여 실내 R에 급기하는 것이며, 그리고 외기 조화기(91)은 냉각 코일(911), 가열 코일(912), 가습기(913) 및 송풍기(914)를 포함하며, 도입한 외기 OA를 온도 조절 및 가습시켜 실내 R 측에 이송한다.
특허 문헌 1 : 특허 제4294784호 공보
그런데 위의 에어컨(9)의 외기 조화기(91)는 기체가 방해받지 않도록 일반적으로 천장(천장 쪽 실외)에 설치되어 있는(특허문헌 1 단락〔0019〕, 도 2 참조) 것이 많으며, 이런 경우 유지보수 등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최근 일반 주택에도 24 시간 환기 시스템의 설치가 의무화되었지만, 특히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은 바닥 또는 천장의 공간문제로 공조 설비(9)와 같은 대규모 장치의 호별 설치가 어렵다. 또한 기설주택에 나중에 에어컨(9)과 같은 대규모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어려움이 있다.
그런데, 공동 주택 등의 환기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베란다 등 외부 벽에 환기 구멍을 마련하고, 환기 구멍을 벌레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으로 막은 간이적인 환기 유닛 등이 많이 보인다. 그러나 이 같은 환기 수단은 외기가 그대로의 온도로 실내에 도입되므로 실내의 공조를 할 수 있도록 룸에어컨을 운전하면 상승 시 룸에어컨의 운전 부하가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신축 또는 기존 하나의 공동 주택 등에 대해서도 설치가 쉽고 유지 보수 등의 작업성이 좋고, 룸에어컨의 운전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는 기외에 있는 공기 조화기의 열매체 회로에 내장 가능한 핀 튜브식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를 저장하고 소정의 위치에 도출구가 형성된 베이스부, 베이스부와 대향 배치되고, 제1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정면 벽부, 정면 벽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도출구에서 원위치 되는 위치에 외기를 도입 가능한 도입구가 형성되어 제 2의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주벽부, 열교환기의 핀의 길이 방향과 도입구로부터 도출구로 향하는 방향이 대략 일치하는 방식으로 열교환기가 설치된 정면 벽부, 베이스부 및 주벽부의 각 내부와 열교환기 사이에 소정 간격이 채워지도록 유지하는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및 열교환기 및 도입구 사이에 배치된 물 받이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의 열 매체(예를 들어, 프레온 가스 및 대체 가스 등의 냉매, 온수 또는 냉수, 가열 또는 냉각용 가스 등이 포함된다. 이하 같다) 회로에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룸에어컨 열매체 회로에 내장 된 열교환기는, 룸에어컨의 운회전과 연동하여 공급되는 열매체에 의해 도입 된 외기 사이에서 열교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 시, 열교환 후의 공기를 에어컨의 운전 목적 (난방 또는 냉각)에 따라 온도에 조화(이하 "온조"라 한다) 할 수 있다(온도 조절 된 공기를 이하 "조화 공기"라 한다).
이 열교환기에 의한 열교환은 에어컨에서 공급되는 열매체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룸에어컨의 운전과 연동하기 때문에 룸에어컨의 실내기가 설치된 영역(실내)은 공급되는 조화 공기에 의해 룸에어컨의 목표 온도와의 온도차가 작아진다. 이 결과 설정 한 목표 온도에 도달까지의 룸에어컨의 가동 시간(이하 "룸에어컨의 시작 상승 시간 "이라 한다)이 짧게 끝나므로, 룸에어컨의 운전 부하를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는 에어컨의 운전과 연동되기 때문에 그 자체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 및 전술한 룸에어컨의 상승 시간을 단축하여 에너지 절약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는 열교환기가 소형 경량으로 열교환 효율의 장점이 있는 핀 튜브식이기 때문에 외기 조화기의 기체 전체를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건물의 벽면에 설치했을 때 벽면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는 본체가 베이스부를 가짐으로써 설치 대상 (예를 들어, 건물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가 도출구를 가짐으로써 조화 공기를 외부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도출구는 설치 대상에 설치된 환기구로 정렬하여 연속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도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소정 위치"는 예를 들어, 설치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상측이 되는 위치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는 본체가 정면 벽부와 주벽부를 갖는 것을 요하거나 이들 중에는 열교환기 등이 포위되기(포함되기) 때문에, 열교환기 등을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후성이 향상되고 제품 수명의 연장 화를 도모 할 수 있다. 그리고 정면 벽부와 주벽부에 기체의 안팎이 구분되므로 조화 공기가 열교환 전의 외기와 섞이거나 조화 공기가 기외에 확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또한 주벽부에 도입구를 가짐으로써 도입구에서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도입구가 도출구에서 원위치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도입구에서 들어온 외부 공기가 대부분 열교환 되지 않고 도출구에서 직접 나오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는 본체에 제1 단열 구조부 및 제2 단열 구조부를 가짐으로써, 외기의 열교환 시 기외에서 열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기 조화기를 옥외에 설치했을 때 여름철에 해당 직사광선에 정면 벽부 등의 외부 표면이 고온이 되거나, 혹은 겨울철에 해당 풍설 등으로 정면 벽부 등의 외부 표면이 저온이 된다 하여도, 이러한 열이 기내(예를 들면, 정면 벽부 등의 내 표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거나 또는 전해지기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조화 공기가 기외 환경으로 인한 열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는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를 가짐으로써 열교환기가 정면 벽부, 베이스부 및 주벽부의 각 내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하여 정면 벽부 등으로부터의 열 이동이 열교환기에 직접 미치지 않거나 및 단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지된 열교환기의 핀의 길이 방향과 도입구에서 도출구로 향하는 방향이 대략 일치하기 때문에, 도입구에 들어간 외기가 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흘러 도출구에서 나오게 된다. 따라서 외기와 핀이 접촉 시간이 길어져,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는 물 받침부를 가짐으로써 냉방운전 시에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입구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외기 조화기를 설치하여 열교환기 위치는 도입구보다 위쪽이 되어 열교환기에서 발생되어 떨어지는 결로수는 도입구 사이에 있는 물 받침부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결로수가 도입구의 아래쪽으로 직접 적하하지 않고 결로수에 의해 외기 조화기의 아래쪽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입구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외기 조화기를 설치한 경우, 열교환기의 핀의 길이 방향의 연장 선상에 물 받침부가 있기 때문에 핀의 표면에 생긴 결로는 핀을 따라 적하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결로수를 모을 수 있다.
또한, 물 받침부가 열교환기와 도입구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강풍을 동반 우천시 도입구로부터 외기와 함께 휘말린 빗물이 물 받침부에 맞고 튕겨 열교환기에 직접 부착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및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어 내외를 구획하는 틀 모양의 구획부가 있고 구획부 틀 안의 영역에 도출구가 위치 함과 아울러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구획부에 의해 기내에 들어온 외부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하지 않고 그대로 배기구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 즉, 기내에 들어간 외기의 거의 전량을 열교환기에 통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는 본체 내부를 더욱 내외로 구획하기 때문에 조화 공기(열교환 후의 공기)가 본체 내에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화 공기의 거의 전량이 도출구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조화 공기는 도출구와 연통된 환기구를 통해 실내에 공급되고, 그 결과 본체 내부의 열 손실량이 감소함과 동시에 실내에 공급되는 조화 공기의 양이 늘어난다. 따라서 실내 온도와 에어컨의 설정 온도의 차이가 작아 시간을 절감하고 에어컨의 상승 시간도 단축 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의 운전 부하 경감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체가 베이스부,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및 물 받침부가 배치된 기체과 정면 벽부, 주벽부 및 단열 구조부가 배치된 커버체와 분할 가능한 구조로, 기체와 커버체 등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 기체와 커버체가 분할되어 먼저 기체를 벽면에 설치하고 다음 커버체를 장착만 하면 되므로 설치시의 작업성이 좋다.
그리고 설치 후에는 기체와 커버체와 탈착이 가능하여 커버체를 분리(기체는 벽면에 설치 한 상태)하여 열교환기 및 물 받침부의 청소 등의 분해 점검을 실시하기 쉽다. 즉, 기존의 외기 조화기와 비교하여 유지 보수 등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커버체는 정면 벽부, 주벽부 및 단열 구조부 밖에 배치되지 않는 구조로 비교적 경량으로 할 수 있어 분리할 때의 육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기체는 베이스부 등이 배치되어 더욱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에 열교환기가 장착 된 구성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유지 보수시에 제거가 불필요하고, 커버체를 그냥 작업을 시작함과 아울러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부분이 집중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 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정면 벽부 및 제2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주벽부가 외면판, 외면판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열 반사 가능한 내면판 및 공극 내에서 외면판 사이에 소정 사이 간격의 틈새인 단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 된 단열재를 갖는 구조인 경우는 본체의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사광선이 접하는 외면판(특히 금속)은 고온에 의해 단열재를 직접 설치하면 열에 의한 열화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외면판과 단열재 사이의 공기층이 단열 공간이 되고 단열 효과를 발휘하며, 외면판에 단열재를 직접 붙여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외면판에서 직접 전열에 의한 열화가 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내면판이 열 반사하기 때문에 열교환기에서 방출 된 열이 정면 벽부 및 주벽부에 전열하지 않고 반사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기 전에 본체 내의 공기로 열이 이동하기 때문에, 열교환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열재는 외면판과 내면판으로 덮여 햇빛과 바람, 비에 직접 노출되는 것에 의한 열화 및 기내에 생기는 결로의 부착 등에 의한 열화를 억제 함과 동시에, 표면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그러면 실내에 도입되는 조화 공기가 단열재에 묻은 곰팡이나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부의 외면에 도출구의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연결 관부를 갖는 경우는 설치 대상(예를 들어, 환기구가 설치된 건물의 벽면)에 설치 시 연결 관부를 환기구 등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위치 결정되므로 시공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 관부는 환기구 등에 부착시킴으로써 설치 후 벽면에 가해지는 중력 방향으로 하중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된 벽면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환기구의 크기는 규격에 정해져 있기 때문에, 연결 관부도 규격에 따라 몇 종류를 준비하면 된다.
또한 물 받침부가 베이스부에 설치된 물받이 지지부, 물받이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열교환기 쪽으로 개방 됨과 아울러, 개구 영역이 대향하는 열교환기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인지, 또는 상기 단면보다 넓게 설치된 바닥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드레인 팬, 드레인 팬 내에 모아진 물을 기외에 배수 할 수 있는 배수 경로, 및 드레인 팬 외면에 배치된 드레인 팬용 단열재를 갖는 구조 인 경우에는 물 받침부에 고인 결로수가 배수 경로를 통해 기외에 자연 배출되므로 기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배수만을 목적으로 한 단기간의 유지 보수가 불필요 하다.
전술한 물받이 지지부를 가짐으로써 드레인 팬을 지지하여 물 받침부를 구성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체와 커버체와 분할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경우 물받이 지지부가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커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설치 시 및 유지 보수시에 커버체를 분리 할 때 작업 부담을 경감 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사각형 상자 모양으로 넓게 평평한 바닥을 가진 드레인 팬을 본원 명세서에 적용하면 이 바닥에 도입구에서 들어온 외부 공기가 접하여 난류가 나타나는 등 외기의 원활한 흐름이 저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드레인 팬은 바닥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바닥에 닿는 외기를 분류시 도입구에서 열교환기에 도달하는 외기가 드레인 팬의 외표면을 원활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팬은 그 외면에 드레인 팬용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어 드레인 팬의 외부 표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기내 및 기외를 결로수에 의해 오염되거나 늘어난 결로수에 의해 기체 하부의 주변을 더럽혀지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적어도 도입구를 덮도록 필터 부재가 설치되는 경우는 필터 부재에 의해, 작은 새와 벌레의 침입, 쓰레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에 HEPA 필터 같은 고성능 필터를 사용하여 화분이나 PM2.5와 같은 분진 등의 실내 진입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전면벽부가 베이스부와 반대 방향으로 불룩한 형상으로 설치된 경우 해당 형상을 채용하여, 정면 벽부가 평탄면 만으로 구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응력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비바람을 돌리고 정면 벽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 할 수 있다.
또한, 정면 벽부가 평탄면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열교환기와 정면 벽부의 내면 측 사이의 간격을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만일 외부에 설치 한 경우, 직사 광선 등에 의해 정면 벽부 등이 열이 발생해도, 열의 영향이 열교환기에 미치지 않거나 그리고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은, 환기구가 형성된, 환기구와 실내 공간을 연결하는 도입 경로를 갖는 건물의 외벽과, 기외에 있는 공기 조화기의 열매체 회로에 내장 된 핀 튜브식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를 격납 시, 환기구와 연통하는 도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외벽의 실외 측에 장착 된 베이스부, 베이스부와 대향 배치 된 제1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정면 벽부, 정면 벽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는 동시에 도출구에서 원 위치되는 위치에 외기를 도입 가능한 도입구가 형성되고, 제2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주벽부, 열교환기의 핀의 길이 방향과 도입구에서 도출구에 향하는 방향이 대략 일치하는 방식으로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동시에, 정면 벽부, 베이스부 및 주벽부의 각 내부와 열교환기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넓어 질 수 있도록 유지 준비하는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및 열교환기 및 도입구 사이에 배치 된 물 받침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가진 외기 조화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이 환기구 및 도입 경로를 가짐으로써, 외기를 도입하여 실내의 환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외벽에 외기 조화기를 장착 할 수 있어서, 환기구 및 도입 경로를 통해 처리되지 않은 외부 공기 자체가 아니라 외기 조화기에 의해 온도 조절된 조화 공기로 도입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은 외기 조화기의 열교환기가 공기 조화기(이하 "에어컨")의 열매체 회로에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열교환기가 룸에어컨의 운전과 연동하여 공급되는 열매체을 이용하여 도입된 외기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가열 또는 냉각하여, 열교환 후의 공기를 에어컨의 운전 목적(난방 또는 냉방)에 따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룸에어컨과 열교환기의 연동을 통해 건물의 실내(예를 들어 에어컨의 실내기가 설치된 실내는 공급되는 조화 공기에 따라서 에어컨의 목표 온도와의 온도차가 작아진다. 따라서 룸에어컨의 상승 시간이 짧게 끝나므로, 룸에어컨의 운전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는 에어컨의 운전과 연동되기 때문에 그 자체가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 및 전술한 룸에어컨의 상승 시간을 단축하여 에너지 절약에 기여할 수 있다.
더욱 또한, 열교환기가 소형 경량으로 열교환 효율이 우수한 핀 튜브식이기 때문에 외기 조화기의 기체 전체를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이 결과 설치 상태에서 벽에 가해지는 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은 외기 조화기의 본체가 베이스부를 갖는 것에 의해 건물의 벽면 환기구와 베이스부의 도출구가 연통된 상태에서 건물의 벽면을 따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출구를 있게 하여 조화 공기를 외부로 도출 할 수 있다.
또한, 본체가 정면 벽부와 주벽부를 가짐으로써 이들 중에 열교환기 등이 포위되기(포함되기) 때문에, 열교환기 등을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오염을 방지 할 수 있으며, 또한, 내후성이 향상되고 제품 수명의 연장화를 도모 할 수 있다. 그리고 정면 벽부와 주벽부에서 기체의 내외가 구분되고, 조화 공기가 열교환 전의 외기의 공기와 섞이거나 조화 공기가 기외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또한 본체는 주벽부에 도입구를 가짐으로써 도입구로부터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도입구가 도출구에서 원 위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입구에서 들어온 외부 공기가 대부분 열교환 되지 않고 도출구에서 직접 나오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또한 외기 조화기는, 제1 단열 구조부 및 제2 단열 구조부를 가져 외기의 열교환시 기외에서 열에 의한 영향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 조화기가 여름에 해당 직사광선에 정면 벽부 등의 외표면이 고온이 되거나, 혹은 겨울철에 해당 풍설 등으로 정면 벽부 등의 외표면이 저온이 되어도 이러한 열이 기내(예:정면 벽부 등의 내표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거나, 전해지기 어려운 것 같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조화 공기가 기외 환경에 기인하는 열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그리고 외기 조화기는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를 가짐으로써, 열교환기가 정면 벽부, 베이스부 및 주벽부의 각 내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시켜, 정면 벽부 등으로부터의 열 이동이 열교환기에 직접 미치지 않거나 그리고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지된 열교환기의 핀의 길이 방향과 도입구에서 도출구로 향하는 방향이 대략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입구에서 들어간 외기가 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흘러 도출구에서 나오게 된다. 이 결과 외기와 핀의 접촉 시간이 길어지고,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기 조화기는 물 받침부를 가짐으로써 냉방 운전시 열교환기에서 생기는 결로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입구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외기 조화기를 설치하여 열교환기의 위치는 도입구보다 위쪽이 되어 열교환기에서 발생되어 적하되는 결로수는 도입구 사이 에있는 물 받침부로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결로수가 도입구의 하방으로 직접 적하하지 않고 결로로 외기 조화기의 아래쪽이 더러워지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또한 도입구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외기 조화기를 설치 한 경우, 열교환기 핀의 길이 방향의 연장 선상에 물 받침부가 있기 때문에 핀의 표면에 발생한 결로는 핀을 따라 적하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결로수를 모을 수 있다.
또한, 물 받침부가 열교환기와 도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강풍을 동반 우천시 도입구로부터 외기 함께 휘말린 빗물이 물 받침부에 맞고 튕겨 열교환기에 직접 부착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실내를 공조하는 실내기,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 및 미세 실외기와 실내기의 연결 배관이 있는 열매체 회로를 가지고, 외기 조화기와 연동하는 룸에어컨을 갖춘 경우 외기 조화기가 가동하고 있는 룸에어컨과 연동하기 때문에 환기를 위해 도입되는 조화 공기가 가열 또는 냉각되어, 실내 공기의 온도 상승(난방시), 또는 온도의 하강(냉방시)을 도울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짧은 시간에 실내의 공기의 조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룸에어컨의 상승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 조화를 수행 에어컨의 운전 부하 경감 효과가 더욱 높아지고, 나아가서는 에너지 절약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에 따르면 기존의 외기 조화기와 비교하여 신축 또는 기존의 어느 공동 주택 등에 대해서도 설치가 쉽고, 유지 보수 등의 작업성이 좋고,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의 운전 부하를 감소시켜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에 의해 기존 환기 시스템과 비교하여 신축 또는 기설의 일반 주택이나 집합 주거주택의 환기 시스템으로 설치가 쉽고, 유지 보수 등의 작업성이 좋고,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의 운전 부하를 저감하고 에너지 절감복구를 수행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기 조화기를 앞쪽 대각선 위쪽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외기 조화기를 전면의 경사 하방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외기 조화기의 뒤쪽 대각선 위쪽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기 조화기의 커버체를 분리한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외기 조화기의 부분 단면도이고, (a)는 기체 측의 A-A 단면도이고, (b)는 커버체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외기 조화기의 기체 부품을 분해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외기 조화기의 열교환기 및 구획부를 분리 한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외기 조화기의 설치 예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을 설치 한 주택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커버체의 변형 예로, 변형 예 1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12는 드레인 팬의 변형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변형 예 2의 단면도이고, (b)는 변형 예 3의 단면도이고, (c)는 변형 예 4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커버체의 변형 예로, 변형 예 5를 보여 일부 확대한 단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기질의 변형 예로, 변형 예 6을 뒤쪽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조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의 부호는 복잡성을 줄이고 이해를 촉진하는 범위 내에서 기재하고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외기 조화기(1)와, 이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V)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도 11 내지도 14을 참조하여 외기 조화기(1)의 각부의 변형 예 (변형 예 1-6)에 대해 설명한다.
[외기 조화기(1)]
외기 조화기(1)은 핀 튜브식 열교환기(2)와, 열교환기(2)를 내부에 격납하고 건물의 벽면(W)에 따라 장착되는 본체(3)를 구비한다. 외기 조화기(1)은 도 8-10과 같이 건물의 벽면(W)에 형성된 환기구(W1)에 후술하는 도출구(314)을 맞추도록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외기 조화기(1)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열교환기(2)>
열교환기(2)는 본체(3) 내에 도입된 외기(A1)와의 사이에서 열교환 가능한 것이며, 직선 부분과 접힌 부분이 교대로 연속된 뱀 모양인 전열관(21), 전열관(21)의 반경 방향에 교차하는 복수의 핀(22)로 이루어진 소위 핀 튜브 식이다. 또한, 열교환기(2)는 전열관(21)의 직선 부분 각 단의 축 방향과 설치 후 외기 조화기(1)의 연직 방향이 직교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냉매에 포함 된 윤활유 성분이 뚜껑 부분으로 모이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열교환기(2)는 전열관(21)과 연결 한 제1 출입관(23)과 제2 출입관(24)를 가지고 있으며, 제1 출입관(23)의 선단에는 조인트부(231)가 제2 출입관(24)의 선단에는 조인트부(24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조인트부(234,241)는 룸에어컨(8)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83)과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제1 출입관(23)과 그 조인트부(231), 제2 출입관(24)과 그 조인트부(241)은 본체(3)의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연결되는 냉매 배관(83)의 처리가 쉽도록 되어 있다.
열교환기(2)는 냉매 배관(83)을 통해 후술하는 실외에 설치된 룸에어컨(8)의 실외기(81)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유통시켜 외기(A1)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구조이다. 이 냉매의 공급은 룸에어컨(8)의 운전 개시에 따라 시작되고 룸에어컨(8)의 운전 정지에 의해 정지한다. 즉, 열교환기(2)는 그 가동이 룸에어컨(8)의 운전에 따라 (이용)하고 룸에어컨(8) 용과는 다른 전력과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이다.
또한 외기 조화기(1) 및 실외기(81)는 함께 야외에 설치되는 것이며, 도 9와 같이 일반적인 공동 주택에는 환기구와 실외기(81)는 근처에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외기 조화기(1)는 환기구(W1)와 도출구(314)를 맞춰 있도록 하고 벽면(W)에 설치하는 것으로, 즉 야외에서 실외기(81)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냉매 배관(83)의 길이가 짧지 않아도 함께 처리 경로를 고려한 배관 공사가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시의 수고도 적다. 또한, 열교환기(2)는 도출구(314)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설치 되어 있고, 후술하는 열교환기 지지 구조부(32) 및 구획부(25)에 의해 도출구(31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한, 기체의 전면을 향한 도출구(314)를 덮는 형태로 유지되고 있다.
열교환기(2)와 후술하는 베이스부(31)사이에는 구획부(25)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부(25)는 사각형의 사방 프레임이며, 단면시 C 형 채널 재료의 개구부분을 틀 안 방향을 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부(25)는 프레임 내부 개구부의 내부 형태 (입구 부분)가 열교환기(2)의 외형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를 막도록 하고 열교환기(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획부(25)는 프레임 내의 영역에 후술하는 도출구(314)가 위치하도록 설치된 테두리 안팎을 구획하고, 베이스부(31)와 설치된 열교환기(2)사이에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구획부(25)는 설치 시에 후술하는 물 받이부(33)의 방향 부분에 배수 구멍(252)가 형성되고, 열교환기(2)에서 구획부(25) 내부로 적하한 결로수를 물 받침부(33)에 배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획부(25)는 설치 시에 좌우되는 면의 측면에 나사 구멍 (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이 나사 구멍에 걸림 나사(251) 가 나사 결합 되어있다.
이 나사 구멍 및 걸림 나사(251)는 후술하는 열교환기 지지 구조부(32)의 걸림용 절개(321)에 해당하는 위치 및 개수가 설치되어 있고, 걸림 나사(251)를 걸림용 절개(321) 에 협지하여 열교환기 지지 구조부(32)에 구획부(25) (및 설치된 열교환기(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할 수 있다.
<본체(3)>
본체(3)는 주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건물의 벽면(W)에 따라 설치한 때 기체 뒤쪽이 되는 기체(30)와, 기체의 전면측이 되는 커버체(35)로 이루어지고, 기체(30)와 커버체(35)는 분할 가능한 구조로 기체(30)에 대응한 커버체(35)를 착탈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체(30)와 커버체(35)의 착탈 구조는 기체(30)와 커버체(35)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그림표시 생략)을 설치하고, 대응하는 위치의 나사 구멍을 각각 연통시켜 나사(부호 생략)를 삽착시켜 행해진다. 이하, 본체(3)의 각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기체(30)>
기체(30)는, 베이스부(31), 접속 관부(314), 열교환기 지지 구조부(32), 및 물 받이부(33)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31)는 건물의 벽면(W)에 따른 형상 인 직사각형 판형의 기판부(311), 기판부(311)의 바깥 쪽 가장자리에서 정면 방향(환언하면 장착되는 커버체(35)의 방향)에 입상된 주벽부(3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31)는, 이 주벽부(312)의 내부에 후술하는 커버체(35)의 주벽(37)이 다소 감소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1)는 그의 위쪽 가장자리 근처에 조화 공기(A2)를 도출하는 도출구(313)가 형성되어 있다. 도출구(313)은 건물의 벽면(W)에 설치된 환기구(W1)에 해당하는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기판부(311)는 건물의 벽면(W)에 설치에 사용하는 볼트, 나사, 못, 핀 또는 앵커 볼트 등의 장착 부재(이하 "나사 등"이라 한다)를 삽통 가능한 삽통공(315)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출구(313)의 주위와 베이스부(31)에 열교환기(2)를 설치했을 때, 열교환기(2)로 숨겨지지 않는 부분에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결 관부(314)는 베이스부(31)의 배면측(기체의 외부)에 도출구(313)의 입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이다. 연결 관부(314)는 부착 대상 환기구(W1)에 관입할 수 있는 크기이며, 그 외경과 환기구(W1)의 내경이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기 지지 구조부(32)는 열교환기(2)의 핀의 길이 방향과 도입구(38)에서 도출구(313)로 향하는 방향이 대략 일치하는 방식으로 열교환기(2)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전술 한 바와 같이 외기 조화기(1)는 도입구(38)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므로, 열교환기 지지 구조부(32)는 기체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 열교환기(2)의 핀의 길이 방향이 기체의 수직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형태에서 열교환기(2)를 유지하게 된다.
열교환기 지지 구조부(32)는 베이스부(31)로부터 커버체(35)의 방향으로 입상된 한 쌍의 판체이며, 각 베이스부(31)의 좌우 양측들의 외연에 따라서 함께 각 외연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판체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걸림용 절개(321)가 설치되어 있고, 각 걸림용 절개(321)는 판체의 선단(환언하면 기체의 정면측)에서 기체의 하방으로 되는 측에 향하도록 내려 바늘 모양의 형상이다.
열교환기 지지 구조부(32)는 전술 한 구성으로 전술한 구획부(25)의 걸림 나사 (251)의 목 부분을 구부리도록 하여 구획부(25)와 그에 설치된 열교환기(2)를 걸림 지지할 수 있다. 이 걸림 상태에서는 열교환기(2)를 포함하는 구획부(25)를 기체의 폭 방향에서 유지하는 동시에, 정면 벽부(36), 베이스부(31)와 주벽(37)의 각 내면과 열교환기(2)의 사이에 소정 간격이 넓어 질 수 있도록 유지 할 수 있다.
물 받침부(33)는 열교환기(2)와 도입구(3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물받이 지지부(331), 드레인 팬(336), 배수 경로(34), 및 드레인 팬용 단열재(342)를 갖는 구조이다.
물받이 지지부(331)는 베이스부(31)로부터 기체 정면측에 입상되어 있어, 드레인 팬(336)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긴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기체 좌우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물받이 지지부(331)는 베이스부(31)의 좌우 가장자리를 따른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리되어 형성된 측부(332)와, 측부(332)에 연결된 저부(333)와 상단(334)이 있다. 또한, 하단(333)은 기체 앞쪽 및 기체 후방으로 입상 부분(335)이 형성되어 있다. 물받이 지지부(331)는 전술 한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드레인 팬(336)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여 설치 시에 드레인 팬(336)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 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드레인 팬(336)은 바닥(337)과 바닥(337)에서 입상된 사방의 측면(338)이 있고 위쪽(환언하면, 열교환기(2)에 향하는 측)이 개구 된 개구부(339)를 갖는 형상이다. 또한, 드레인 팬(336)은 개구부(339)가 대향하는 열교환기(2)의 단면(밑면)(260)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드레인 팬(336)은 측면(338)이 바닥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배수 경로(34)는 일단 측이 드레인 팬(336)의 내 저면에 형성된 배수 구멍(341)과 연통되어 타단 측이 기외에 도출 된 관체이며, 드레인 팬(336) 내로 적하된 결로수 등의 내부의 모인 물을 기외에 배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 경로(34)는 그 앞 부분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에어컨의 응축수 배관과 연결하여도 좋고, 빗물 및 폐수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외기 조화기(1)의 아래쪽이 바닥이면 단순히 야외에 개방하는 형태 이어도 좋다.
드레인 팬용 단열재(342)는 시트 모양의 단열재이며, 드레인 팬(336)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체(35)>
커버체(35)는 기체(30)와 부착 상태에서 베이스부(31)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정면 벽부(36)과 정면 벽부(36)의 바깥 부분에서 베이스부(31)의 방향을 향해 연장 된 방향의 주벽(37)이 있고, 주벽(37)이 형성되지 않은 한쪽 부분이 외기(A1)의 도입구(38)를 구성하고 이 도입구(38)를 덮도록 필터 부재(381)가 설치되어 있다.
주벽부(37)는 벽면(W)에 설치 상태에서 윗면이 되는 주벽 상면부(371), 우측면이 되는 주벽 우측 면부(372), 좌측이 되는 주벽 좌측 면부(373)가 포함 된(즉, 개구 된 하면부가 도입구(38)가 되는) 형태이다. 또한 벽면(W)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술한 도출구(313)는 주벽 상면부(371) 측에 위치하고, 도입구(38)은 커버체(35)의 하방이 된다. 즉, 도입구(38)는 "도출구 (313)에서 원 위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35)는 정면 벽부(36)와 삼방의 주벽부(37)가 일체로 한 구조이다. 그리고 커버체(35)는 기체의 외면이 되는 외면판(351), 기체의 내면이 되는 내면판(352) 및 내면판(352)과 외면판(351) 사이에 배치 설치된 단열재(353) (전술한 제1 단열 구조부 및 제2 단열 구조부에 해당)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내면판(352)과 외면판(351)은 그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시트 형태의 단열재(353)는 내면판(352)에 접착제로 붙여 있다. 이 공극 내에서 단열재(353)의 접착제로 반대측(설명의 편의상 "표면"이라 한다)과, 외면판(351) 사이에는 소정 간격 틈새인 절연 영역(35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35)는 정면 벽부(36)가 베이스부(31)와 반대 방향(환언하면, "기체의 정면 방향")에 불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면 벽(36)은 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소의 굽힘 부분을 가지며, 베이스부(31)와 대략 평행한 정면 부분과, 정면 부분의 긴 가장자리 부분을 구성하는 전술한 굽힘 부분의 각 좌우 양측의 주벽부(37) 사이의 부분이 베이스부(31) 방향으로 내려 경사진 경사 부분과, 삼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면판(351)의 적어도 계기 바깥면에는 발수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발수 코팅으로 코팅 된 가공이 되어 있다. 그리고 내면판(352)은 적어도 기내 측을 향한 면이 열 반사 가능한 가공이 되어 있다.
[환기 시스템(V)]
환기 시스템(V)는 건물의 실내 환기 시스템이며, 건물의 벽면(W) 및 전술한 외기 조화기(1)와, 룸에어컨(8)을 구비한다. 이하 도 9-11을 주로 참조하여 환기 시스템(V)에 대해 설명하지만, 외기 조화기(1)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기 때문에 생략한다.
<건물 외벽>
건물의 벽면(W)는 실외기(81)가 배치된 부분에 접한 외벽이며, 벽면(W)의 위쪽에 환기구(W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기구(W1)와 연통시켜, 야외에서 실내로 관통한 도입 경로(W2)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구(W1)에는 외기 조화기(1)의 연결 관부(314)가 연결되어 외기 조화기(1)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조화 공기(A2)는 환기구(W1)와 도입 경로(W2)를 통해 실내에 도입 된다.
<룸에어컨(8)>
룸에어컨(8)은 건물 실내의 위쪽에 설치된 실내기(82)와, 야외에 설치된 실외기(81)를 가지며, 실내기(82)와 실외기(81)는 냉매 배관(83)에 더 연결되어 있다. 실내기(82) 및 실외기(81)는 그 내부에서 냉매 배관(83)이 분기되고, 분기된 냉매 배관(83)을 통해 외기 조화기(1)의 열교환기(2)에서 유통되는 냉매를 공급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냉매의 공급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82), 실외기(81) 및 외기 조화기(1)을 직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직렬로 연결한 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체와 커버체의 착탈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31)와 커버체(35)에 마련한 나사 구멍에 나사를 삽착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나사 대신 고정핀을 사용하여도 좋고, 바늘상 부분과 절개 부분을 마련하여 계지하는 계지 구조 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본체(3)는 정면 벽부가 베이스부와 반대 방향으로 불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평판상의 정면 벽부 이어도 좋고, 이 경우, 정면 벽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 할 수 있는 구조(보강 리브 등)로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본체는 주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내열성, 내수성 및 내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등을 구성재의 일부 또는 전부로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본체(3)의 도입구에는 필터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출구 또는 환기구의 실내 측면 부분에 필터 부재를 장착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환기구 객실 안쪽 부분에, 꽃가루, PM2.5 등을 포집 가능한 필터 부재를 배치하면 실내 측에서 부지런히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획부(25)는 열교환기 및 베이스부 중 모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열교환기 및 베이스부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획부(25)의 내부는 공동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 없이 예를 들어, 축열 부재를 내장하고 있다. 룸에어컨(8)은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냉동 사이클을 정지하고 외기 조화기(1)에도 냉매가 공급되지 않아(순환하지 않음) 축열 부재를 내장해두면 여열로 계속 삽입되는 외부 공기를 온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의 본체(3)은 기체에 베이스부,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및 물 받침부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커버체에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또는 물 받침부 중 하나가 배치 된 방식으로 있어도 좋고, 커버체에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및 물 받침부가 배치된 예를 제외하는 것도 아니다.
본 실시 예에서 "건물 외벽"의 단어는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벽의 외, 건물 내부 (실내)에도 실외기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객실내 장치가 설치된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벽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버체(35)는 전술한 구조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단열 공간이 없는 측면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기체의 외면 및 내면에 요구되는 성능(내후성, 곰팡이 성 등)이 있고, 단열성을 갖춘 소재이면 단일 재료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즉, 커버체(35)는 외면판, 내면판 및 단열재로 이루어진 구조지만, 예를 들어, 열반사성 및 단열성을 갖는 한 장의 시트로 이루어진 형태 등도 포함된다. 또한 커버체에 배치된 단열재는 그 종류와 소재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열성뿐만 아니라, 적어도 방진성, 곰팡이성, 항균성, 내수성, 또는 대 약품성 중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체(30)와 커버체(35)의 장착 부분은 베이스부(31)의 주벽부(312)의 안쪽에 커버체(35)의 주벽부(37)을 주입(환언하면 베이스부(31)의 주벽부(312)의 안쪽에 커버체(35)의 주벽부(37)가 내부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어, 커버체의 주벽부의 내측에 베이스부의 주벽부가 삽입(환언하면 베이스부의 주벽부에 커버체가 외부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열교환기(2)는 전열관(21)이 동관으로, 각 핀(22)은 알루미늄 합금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티타늄 등의 금속, 수지, FRP 플라스틱 등의 공지 소재 또는 이러한 조합 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물 받침부(33)는 드레인 팬용 단열재가 드레인 팬 외측면에 배치 된 구조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드레인 팬 자체가 단열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작용)
도 1-11을 참조하여 외기 조화기(1)와 환기 시스템(V)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운전시 및 유지 보수시를 나누어 설명한다.
<운전시>
도 10-11과 같이 건물의 실내는 배기구에 설치된 배기팬(W3) 의해 실내가 부압이 되어 외기(A1)은 도입구(38)를 통해 외기 조화기(1) 내에 도입된다.
도 11과 같이 외기 조화기(1) 내에 도입 된 외기(A1)는, 드레인 팬(336)의 저부에 있어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열교환기(2)가 있는 방향으로 향한다. 이때, 열교환기(2), 구획부(25) 및 베이스부(31)가 전술한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입된 외기(A1)가 열교환기(2)를 통하지 않고 그대로 도출구(313)에 이르는 것은 아니라 즉, 도입 된 외기(A2)는 거의 전량이 열교환기(2)를 통과하여 열교환 된다.
그리고 도입된 외기(A1)는 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외기(A2)와 핀(22)이 닿는 시간이 길어지고,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열교환기(2)를 통과하여 조화된 조화 공기(A2)는 열교환기(2) 폭의 범위에 도출구(313)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화 공기(A2)가 도출구(313)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른다. 또한, 열교환기(2)를 통과하여 조화된 조화 공기(A2)는 구획부(25)에 의해 본체(3) 내에 확산시켜 전량이 도출구(313)을 통과하여 환기구(W1)에서 도입 경로(W2)를 거쳐 실내에 공급된다.
이 결과, 본체(3) 내에서의 열 손실량이 감소하여 실내에 공급되는 조화 공기(A2)의 양이 증가하므로 실내 온도와 룸에어컨의 설정 온도의 차이를 작게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결국은 실내가 설정 온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룸에어컨(8)의 가동 시간)을 단축 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 조화를 행하는 룸에어컨(8)의 운전 부하 경감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2)는 열교환기(2)에 의한 열교환기 외에 설치된 룸에어컨(8)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열교환기(2)에 의한 열교환은 룸에어컨(8)의 운전과 연동한다. 즉, 열교환기(2)는 룸에어컨(8)의 운전에 의존(이용)하고 있으며, 룸에어컨 용과는 다른 전력과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런데, 외기 조화기(1)는 옥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악천후 시에는 강풍에 말려 들게되고 도입구(38)로부터 비와 눈이 진입 할 수 있다. 또한 도입구(38)로부터 무언가 반사된 태양 복사광(자외선)이 입사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외기 조화기(1)는 열교환기(2)와 도입구(38)의 사이에 물 받침부(33)(드레인 팬(336))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열교환기(2)에 자외선이나 눈설이 닿지 않도록 차단, 즉 방풍 및 차광 기능을 발휘하여 열교환기의 열화를 방지 할 수 있다. 추가로, 도입구(38)로부터는 바람 소리나 소음 등 외부의 소리가 나오지만 위의 경우뿐만 아니라 물 받침부(33)(드레인 팬(336))가 소리를 반사하거나, 드레인 팬(336) 외면에 설치된 드레인 팬용 단열재(342)가 소리를 흡수하여 실내에 외부의 소리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유지 보수시>
외기 조화기(1)는 건물의 벽면(W)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체(35)를 제거하거나 벗으면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이 시작될 수 있으며, 주요 부품이 베이스부(31)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청소 정도라면, 건물의 벽면(W)에서 베이스부(31)를 제거없이 끝난다. 즉, 전술 한 종래의 외기 조화기(91)와 비교하여 유지 보수 등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외기 조화기(1) 및 환기 시스템(V)에 따르면 기존 환기 시스템과 비교하여 신축 또는 기설의 일반 주택 및 공동 주택의 환기 시스템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유지 보수 등의 작업성이 좋고, 실내에 설치된 룸에어컨의 운전 부하를 저감하고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변형 예 1]
도 12에 도시된 외기 조화기(1a)는, 외기 조화기(1)의 변형 예이다. 외기 조화기(1a)는 후술하는 정면 벽부(36a) 이외는 외기 조화기(1)과 동일하므로, 공통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조의 설명을 생략하고, 공통되는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외기 조화기(1a)는 정면 벽부(36a)가 베이스부(31)와 반대 방향(환언하면 "기체의 정면방향")을 향해 불룩 함과 동시에, 기체의 폭 방향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기 조화기(1a)에 의하면, 외기 조화기(1)보다 더 비바람 등을 돌리기 쉬운 형태로 되어 있어 정면 벽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변형 예 2]
도 13 (a)에 도시된 드레인 팬(336a)은 드레인 팬(336)의 변형 예이다. 드레인 팬(336a)는 후술하는 부분 이외는 드레인 팬(336)과 동일하기 때문에 공통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조의 설명을 생략하고 공통적인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드레인 팬(336a)은 바닥과 길이 방향(도 13 (a)에서 좌우측)측면이 일체화 된 단면시 반원형(환언하면 긴 한척의 분할 원형관)인 동시에 내부 바닥에 해당하는 가장 낮은 부분에 배수 경로(34)와 연통하는 배수구멍(341)이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팬(336a)에 따르면 평평한 모양의 바닥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기의 분류시 원활한 기류의 방해(난류의 발생)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외기의 효율적인 분류와 도입구에서 열교환기에 이르는 외기의 원활한 흐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 팬(336a)은 내부 바닥이 평평한 모양대신 가장 낮은 부분에 배수 구멍(34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레인 팬(336a) 내부에 모여진 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배출한다.
[변형 예 3]
도 13 (b)에 도시된 드레인 팬(336b)는 드레인 팬(336)의 변형 예이다. 드레인 팬(336b)은 후술하는 부분 이외는 드레인 팬(336)과 동일하기 때문에 공통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조의 설명을 생략하고 공통하는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드레인 팬(336b)은 바닥과 길이 방향(도 13 (b)에서 좌우측) 측면이 일체화 된 단면시 V 자 모양 임과 동시에 내부 바닥에 해당하는 최저부분에 배수 경로(34)와 연통하는 배수 구멍(341)이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팬(336b)에 따르면 위의 드레인 팬(336a)뿐만 아니라 평평한 모양의 바닥면부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외기의 효율적인 분류와 도입구에서 열교환기에 이르는 외기의 원활한 흐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드레인 팬(336b) 내의 모인 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배출한다.
[변형 예 4]
도 13 (c)에 도시된 드레인 팬(336c)은 드레인 팬(336)의 변형 예이다. 드레인 팬(336c)은 후술하는 부분 이외는 드레인 팬(336)과 동일하기 때문에 공통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조의 설명을 생략하고 공통적인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드레인 팬(336c)은 드레인 팬(336)과 거의 동일한 모양이지만, 기체 전면측에 배치되는 방향(도 13 (c)에서 왼쪽) 측면이 기체 정면측과 경사져 있는 점에서 다르다. 외기 조화기(1)의 구성에 의하면, 구획부(25)를 갖기 때문에 드레인 팬의 바닥에 닿아 분류되어, 드레인 팬의 기체 배향 방향(도 13 (c)에서 오른쪽)에 흐른다. 한편, 드레인 팬(336c)에 의하면, 기체 정면 측의 측면의 경사시, 기체 배면 측의 측면은 기판부와 틈새를 비우지 않고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레인 팬(336c)의 바닥(337)에 해당하는 외기는 기체 정면측에 흐르고 도입구에서 열교환기에 이르는 외기의 원활한 흐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 예 5]
도 14에 도시된 커버체(35b)는 커버체(35)의 변형 예이다. 본 변형 예의 설명은 커버체(35b)와 커버체(35)의 공통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구조의 설명을 생략하고, 공통되는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커버체(35b)는 기체의 외면이 되는 외면판(351), 기체의 내면이 되는 단열재(353b)로 구성된 (즉, 상기 커버체(35)의 내면판, 단열 영역을 가지지 않은) 구조이다. 단열재(353b)는 단면 측에 방청성을 요하는 알루미늄 호일에 의한 열 반사면 (355)을 갖는 시트 형상이며, 열 반사면(355)이 기체 안쪽을 향하도록, 외면판(351)의 기내 측에 접착제로 붙어 있다.
커버체(35)b에 따르면 단열재(353b)는 위의 열 반사면(355)을 있게 하여 본체에 단열 성능을 유지 시킴과 함께 기내에 생기는 결로의 부착 등에 의한 열화 및 표면에 곰팡이 발생을 억제 할 수 있다. 추가로 커버체(35b)는 외면판(351)에 단열재(353b)를 붙인 단순하고 가벼운 구조이기 때문에 외기 조화기(1)의 더 나은 소형 경량화 및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 할 수 있다.
[변형 예 6]
도 12에 도시된 기체(30a)는 기체(30)의 변형 예이다. 기체 (30a)는, 후술하는 도출구(313a) 이외는 외기 조화기(1)과 동일하므로, 공통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구조의 설명을 생략하고, 공통되는 작용 효과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기체(30a)는 기체의 뒤쪽에서 도출구(313a)와 연통하는 연결 관부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점에서 기체(30)와 다르다. 기체(30a)에 따르면 연결 관부를 환기구에 끼움 결합에 의한 시공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 부착된 벽면에 가해지는 부하의 경감 등의 작용 효과는 연주하지 않지만, 연결 관부의 외부 지름이 환기구의 내경보다 큰 경우에도 벽면에 가공 또는 외기 조화기의 교체를 하지 않고 그대로 설치 작업을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좋다.
본 명세서 및 본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표현은 어디 까지나 설명의 것으로서 아무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 및 본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술된 특징 및 그 일부와 등가의 용어나 표현을 제외할 의도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가 가능한 기능이라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더욱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등급과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에서 구별하는 데 사용한 것이다.
1,1a 외기 조화기 2 열교환기
21 전열관 22 핀
23 제1 출입관 231 조인트부
24 제2 출입관 241 조인트부
25 구획부 251 원 고정 나사
252 배수 구멍
260 교환기의 단면 (밑면)
3,3a 본체 30,30a 기체
31 베이스부 311 기판부
312 주벽부 313,313a 도전 출구
314 연결 관부 315 삽통공
32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321 걸림용 절개
33 물 받이부 331 물받이 지지부
332 측부 333 바닥
334 위 335 상승 부분
336,336a, 336b, 336c 드레인 팬
337 바닥 338,338c 측면
339 개구부 34 배수 경로
341 배수 구멍
342 드레인 팬용 단열재
35,35a, 35b 커버체 351 외면판
352 내면판 353,353b 단열재
354 절연 영역 355 열 반사 표면
36,36a 정면 벽부 37 주벽부
371 주벽 상면부
372 주벽 오른쪽 전면부
373 주벽 왼쪽 전면부
38 도입구 381 필터 부재
W 건물의 벽면 W1 환기구
W2 도입 경로 W3 배기 팬
8 룸에어컨 81 실외기
82 실내기 83 냉매 배관
A1 외기 A2 조화 공기
V 환기 시스템 9 에어컨
91 외기 조화기 911 냉각 코일
912 가열 코일 913 가습기
914 송풍기 92 환기 흡입구
93 현열 교환기 OA 외기
RA 실내에 공급된 공기 SA 열교환 후의 공기
R 실내

Claims (10)

  1. 기외에 있는 공기 조화기의 열매체 회로에 내장 가능한 핀 튜브식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저장하고, 일정 위치에 도출구가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대향 배치된 제1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정면 벽부, 상기 정면 벽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도출구에서 원 위치되는 위치에 외기를 도입 가능한 도입구가 형성되고 제 2의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주벽부, 상기 열교환기의 핀의 길이 방향과 상기 도입구에서 상기 도출구로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열교환기가 함께 설치 정면 벽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주벽부의 각 내면과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일정 간격이 채워지도록 유지하는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도입구 사이에 설치된 물 받이부를 갖는 본체를 구비하는
    외기 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되어 내외를 구획하는 틀 모양의 구획부를 가지며, 상기 구획부의 틀 안의 영역에 상기 도출구가 위치 함과 아울러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외기 조화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부, 상기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및 상기 물 받침부가 배치 된 기체와, 상기 정면 벽부, 상기 주벽부 및 상기 각 단열 구조부가 배치 된 커버체와 분할 가능한 구조로 상기 기체와 상기 커버체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외기 조화기.
  4.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상기 정면 벽부 및 상기 제 2 절연 구조부를 포함하는 상기 주벽부가 외면판, 상기 전면판의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열 반사 가능한 내면판 및 상기 공극 내에서 상기 외면판 사이에 일정 간격의 틈새 인 단열 영역이 형성되도록 배치 된 단열재를 갖는 구조인
    외기 조화기.
  5.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외면에 상기 도출구의 입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연결 관부를 갖는
    외기 조화기.
  6.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물 받침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된 물받이 지지부, 상기 물받이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열교환 기쪽으로 개방 함과 아울러, 상기 개구 영역이 대향하는 동 열교환기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고, 또는 상기 단면보다 넓게 설치되고, 바닥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의 드레인 팬, 상기 드레인 팬 내부에 모인 물을 기외에 배수 할 수 있는 배수 경로 및 상기 드레인 팬 외면에 배치 된 드레인 팬용 단열재을 갖는 구조인
    외기 조화기.
  7. 청구항 1, 2, 3, 4,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상기 도입구를 덮도록 필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외기 조화기.
  8. 청구항 1, 2, 3, 4, 5,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정면 벽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반대 방향으로 불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기 조화기
  9. 환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환기구와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도입 경로를 갖는 건물의 외벽과,
    기외에 있는 공기 조화기의 열매체 회로에 내장 된 핀 튜브식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격납하고, 상기 환기구와 연통하는 도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외벽의 실외 측에 장착 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대향 배치 된 제1 절연 구조부를 포함하는 정면 벽부, 상기 정면 벽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도출구에서 원 위치되는 위치에 외기를 도입 가능한 도입구가 형성되고 제 2의 단열 구조부를 포함하는 주벽부, 상기 열교환기의 핀의 길이 방향과 상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도출구로 향하는 방향이 일치 하는 방식으로 상기 열교환기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정면 벽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주벽부의 각 내부와 같은 열교환기 사이에 일정 간격이 넓어지도록 유지하는 열교환기 유지 구조부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도입구 사이에 설치된 물 받침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가진 외기 조화기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실내를 공조하는 실내기, 상기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의 접선 배관으로 있는 열매체 회로를 갖고,
    상기 외기 조화기와 연동하는 룸에어컨을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KR1020197028524A 2018-04-19 2018-10-16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 KR102322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80699A JP6407466B1 (ja) 2018-04-19 2018-04-19 外気調和機および換気システム
JPJP-P-2018-080699 2018-04-19
PCT/JP2018/038424 WO2019202757A1 (ja) 2018-04-19 2018-10-16 外気調和機および換気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773A true KR20190122773A (ko) 2019-10-30
KR102322829B1 KR102322829B1 (ko) 2021-11-05

Family

ID=6385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524A KR102322829B1 (ko) 2018-04-19 2018-10-16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03235B2 (ko)
EP (1) EP3584505A4 (ko)
JP (1) JP6407466B1 (ko)
KR (1) KR102322829B1 (ko)
CN (1) CN110691945A (ko)
MY (1) MY175267A (ko)
TW (1) TWI681153B (ko)
WO (1) WO2019202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5144B1 (ja) * 2019-07-18 2020-10-07 株式会社 エコファクトリー 換気空調構造
JP7442033B2 (ja) * 2019-10-15 2024-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111076299B (zh) * 2019-12-03 2021-0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新风系统、新风空调以及新风控制方法
WO2022038732A1 (ja) * 2020-08-20 2022-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のシート部材、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WO2023017581A1 (ja) * 2021-08-11 2023-02-16 株式会社エコファクトリー 外気調和機、外気調和システム、及び外気調和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7351496B2 (ja) 2021-09-07 2023-09-27 株式会社 エコファクトリー 換気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784A (en) 1978-05-03 1981-10-13 Mailund Steinar J Method of hauling granulates and similar material
JPH0533979A (ja) * 1991-07-30 1993-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扇
KR20140074705A (ko) * 2012-12-10 2014-06-18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JP6284134B1 (ja) * 2016-11-29 2018-02-28 株式会社 エコファクトリー 外気調和機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20180030139A (ko) * 2015-07-14 2018-03-21 가부시키가이샤 에코 팩토리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3720Y2 (ko) * 1973-09-20 1978-10-20
JPS6252338A (ja) * 1985-08-30 1987-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H0345837A (ja) * 1989-07-10 1991-02-27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H04174227A (ja) * 1990-11-02 1992-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570932B2 (ja) * 1991-11-05 1997-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ユニット
JP4294784B2 (ja) 1999-04-07 2009-07-15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空調設備および空調方法
JP4174227B2 (ja) 2002-03-26 2008-10-29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3329267A (ja) * 2002-05-10 2003-11-19 Yasuo Fujiki 給気冷却機能付き冷却クーラー
CN100547309C (zh) * 2005-01-05 2009-10-07 海尔集团公司 室内空气换气装置及换气方法
CN2781246Y (zh) * 2005-04-05 2006-05-17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节能换新风空调器
JP2005300153A (ja) * 2005-06-01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及び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
KR20080042608A (ko) * 2006-11-10 200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시스템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JP5285179B1 (ja) * 2012-11-07 2013-09-11 株式会社 エコファクトリー 空気調和機
JP5544580B1 (ja) * 2013-07-26 2014-07-09 株式会社 エコファクトリー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運転方法
CN103438553A (zh) * 2013-09-13 2013-12-11 山东科技大学 一种室内新风与温度调节系统
JP6358534B2 (ja) * 2014-04-11 2018-07-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一体型空気調和機
JP6252338B2 (ja) 2014-04-24 2017-12-27 アイコム株式会社 収納箱の仕切り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収納箱
JP6394521B2 (ja) * 2014-08-21 2018-09-26 株式会社デンソー 加湿装置
CN204084804U (zh) * 2014-08-28 2015-01-07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换热器装配组件及空调器
CN105570995B (zh) * 2016-01-26 2019-01-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换气空调器
WO2018037501A1 (ja) * 2016-08-24 2018-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CN106403041A (zh) * 2016-10-27 2017-02-1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207094818U (zh) * 2017-08-18 2018-03-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784A (en) 1978-05-03 1981-10-13 Mailund Steinar J Method of hauling granulates and similar material
JPH0533979A (ja) * 1991-07-30 1993-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扇
KR20140074705A (ko) * 2012-12-10 2014-06-18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180030139A (ko) * 2015-07-14 2018-03-21 가부시키가이샤 에코 팩토리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시스템
JP6284134B1 (ja) * 2016-11-29 2018-02-28 株式会社 エコファクトリー 外気調和機および換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1153B (zh) 2020-01-01
JP6407466B1 (ja) 2018-10-17
EP3584505A4 (en) 2021-02-17
CN110691945A (zh) 2020-01-14
US11703235B2 (en) 2023-07-18
KR102322829B1 (ko) 2021-11-05
JP2019190676A (ja) 2019-10-31
TW201944009A (zh) 2019-11-16
MY175267A (en) 2020-06-17
EP3584505A1 (en) 2019-12-25
US20210404673A1 (en) 2021-12-30
WO2019202757A1 (ja)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2773A (ko) 외기 조화기 및 환기 시스템
US20100242516A1 (en) Modular cooling tower
CN106196332B (zh) 空调机的室外机
CN100594343C (zh) 用于蒸发器单元的凝结水排水配置
JPWO2008152786A1 (ja) 住宅用給湯装置
CN106016474A (zh) 一种挂壁式空调室内机
US7269965B2 (en) Built-in type compressor/condense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249969B1 (ko) 에어컨 실외기용 커버
EP3354993A1 (en) Cabinet for housing part of a heat pump
US20230213214A1 (en) Hybrid window air conditioning unit
CN101283228B (zh) 用于蒸发器单元的凝结水排水盘
KR10131968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1021333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8304167A (ja) 集合住宅用給湯設備
CN2669059Y (zh) 嵌入式空调器室外机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CN219177946U (zh) 柜式无风空调末端
CN201024648Y (zh) 室内空调安装、散热专用通道
CN214657676U (zh) 安全型空调机位结构
CN112539548A (zh) 空气换热装置及空调机组
KR100480109B1 (ko) 욕실형 에어컨 및 그 설치방법
JPH0861711A (ja) 分離型空気調和機及びその設置方法
CN108758819A (zh) 装配式风机盘管墙体
KR2009003113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1880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열교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