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733A - 빗물 차단 방충망 - Google Patents
빗물 차단 방충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1733A KR20190121733A KR1020190129812A KR20190129812A KR20190121733A KR 20190121733 A KR20190121733 A KR 20190121733A KR 1020190129812 A KR1020190129812 A KR 1020190129812A KR 20190129812 A KR20190129812 A KR 20190129812A KR 20190121733 A KR20190121733 A KR 201901217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screen
- frame
- base portion
- por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방충망 프레임에 설치되어 빗물 유입 방지 및 햇빛 차단이 가능한 패널이 구비된 방충망은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망에 있어서, 창틀(10)에 설치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주름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빗물 차단 패널(30)과 상기 빗물 차단 패널(30)은 상기 프레임(20)의 가로축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일면에 다공(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베이스부(32)와 상기 제1베이스부(32)의 상, 하단 사이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베이스부(32)의 서로 다른 모서리를 각각 연결하는 제2베이스부(3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방충망 프레임에 설치되어 빗물 유입 방지 및 햇빛 차단이 가능한 패널이 구비된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기온이 높은 여름철이나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었을 때 주로 창문을 열어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창문을 열어두면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부터 작은 크기의 벌레가 실내로 들어와 쾌적한 실내 생활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창문에는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어, 벌레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실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충망은 비가 내릴 때 창문을 열어 놓으면 빗물이 들어와 실내 온도가 높아 덥거나 환기를 하고 싶어도 창문을 열어 놓을 수 없으며, 외부의 충격에 방충망이 쉽게 찢어지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방충망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방충망이나 빗물 유입 방지 장치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694호(등록일자:2012.09.18)은 빗물 유입 방지 장치에 대한 것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창문틀 또는 방충망의 테두리에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되도록 테두리의 면적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되 일측은 개방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부착 테두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본 제안 발명이 방충망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방충망에 추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시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추가 설치해야 하는 등 사용하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빗물 유입을 차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실내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햇빛을 차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범이 가능하며, 외부 충격에도 튼튼한 방충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창틀에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주름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빗물 차단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빗물 차단 패널은, 상기 프레임의 가로축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일면에 다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 하단 사이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베이스부의 서로 다른 모서리를 각각 사면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면을 가려주어 비가 상기 다공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며, 외부 공기 및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다공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제1베이스부의 다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세기를 줄이면서 경사지게 안내하는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프레임의 세로축을 따라 사면으로 설치되는 상기 제2베이스부를 따라 경사지게 상승하여 상기 제1베이스부의 다공을 통해 밑에서 위로 S라인 형상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빗물 차단 패널에 형성된 다공은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미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차단 패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괴되지 않도록 고분자 중합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차단 패널은 빛의 전체 또는 일부를 반사시키는 햇빛 차단 필름으로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 차단 패널이 상기 프레임에 삽입 고정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함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의한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망은, 일면에 다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베이스부,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 하단 사이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베이스부의 서로 다른 모서리를 각각 연결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면을 가려주어 비가 상기 다공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며, 외부 공기 및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다공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제1베이스부의 다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세기를 줄이면서 경사지게 안내하는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제2베이스부를 따라 경사지게 상승하여 상기 제1베이스부의 다공을 통해 밑에서 위로 S라인 형상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는 빛의 전체 또는 일부를 반사시키는 햇빛 차단 필름으로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괴되지 않도록 고분자 중합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은 비오는 날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 놓더라도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은 햇빛 차단 필름이 구비되어 있어, 건물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은 바람이 아래에서 위로 들어와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의 패널은 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 충격에 파괴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이 창틀에 설치된 모습,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이 공기 유입 및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이 공기 유입 및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개략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이 건물의 창틀에 설치된 모습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는 날 창문을 열어 놓아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빗물 차단 방충망은 창문에 설치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설치되며, 통풍이 가능하고,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는 다공(30)이 형성된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창틀(10)에 고정 또는 창틀(10)을 따라 좌, 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기존의 방충망 제작에 사용되는 프레임(20)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빗물 차단 패널(30)은 지그재그 형상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름의 일부분에 형성된 다공(30)이 실내로 통풍은 가능하게 하지만, 빗물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빗물 차단 패널(30)은 프레임(2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제1베이스부(32)가 프레임(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베치되어 있으며, 제1베이스부(32)와 제1베이스부(32) 사이를 제2베이스부(34)가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2베이스부(34)는 상단에 위치하는 제1베이스부(32)와 하단에 위치하는 제1베이스부(32)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일면과 연결된다.
즉, 제2베이스부(34)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베이스부(32)의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기를 형성하여 사선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빗물 차단 패널(30)은 전제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베이스부(32)에는 공기의 유, 출입은 가능하지만, 모기나 파리와 같은 작은 크기의 벌레는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미세한 크기의 다공(3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베이스부(32)에 형성된 다공(3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실내를 환기시켜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베이스부(32)는 빗물을 다공(3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데, 이는 환기할 때 외부 공기가 제1베이스부(32)의 하면으로부터 다공(30)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지만, 비의 경우, 아무리 비가 내려도 빗물은 제2베이스부(34)를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되어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며 위치하는 제2베이스부(34)가 제1베이스부(32)의 상면을 가려주기 때문에 비가 다공(3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비가 내리는 날에도 얼마든지 창문을 열어놓아도 실내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환기를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빗물 차단 패널(30)은 다공(30)이 형성된 제1베이스부(32)를 통해 실내로 바람이 간접적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쾌적한 분위기에서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갑자기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빗물 차단 패널(30)이 일차적으로 바람의 세기가 많이 줄여주게 되며, 세기가 약해진 바람이 제2베이스부(34)의 경사면을 따라 다공(30)을 지나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갑자기 부는 강한 바람으로 인해 놀라거나 실내가 어지럽히지 않게 될 수 있다. 즉, 바람이 기존의 방충망처럼 직접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을 맞더라도 불쾌함이 상대적으로 덜하게 될 수 있다.
빗물 차단 패널(30)에 형성된 다공(30)은 본 도면과 같이 복수개의 배열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실내 공기의 배출과 실외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며, 각종 벌레와 해충의 침입을 막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라면 다공(30)은 어느 형태와 배열로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다. 다공(30)은 펀치와 같이 홀을 형성할 수 있는 관통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빗물 차단 패널(30)의 재질에 따라 열을 가해 다공(30)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가장 효율적으로 다공(30)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라도 족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모기와 같은 작은 크기의 벌레들은 좁은 틈새를 쉽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빗물 차단 패널(30)과 프레임(20)의 연결 부분에는 작은 크기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빗물 차단 패널(30)과 프레임(20)에는 돌출 성형된 돌출부(36)와 함몰 형성된 고정홈(22)의 결합으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빗물 차단 패널(30)에 형성된 돌출부(36)와 프레임(20)에 형성된 고정홈(22)이 서로 치결합이 이루어져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각종 벌레들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빗물 차단 방충망의 빗물 차단 패널(30)은 프레임(2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만약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 빗물 차단 패널(30)이 깨지거나 손상을 입었을 경우, 교체 가능한 여분의 빗물 차단 패널(30)만 구비되어 있다면 프레임(20)으로부터 손상된 빗물 차단 패널(30)을 분리하여 새 빗물 차단 패널(30)을 교체하여 설치하면 될 것이다. 빗물 차단 패널(30)과 프레임(20)은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문가를 통한 교체 작업 없이 사용자가 직접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빗물 차단 패널(30)과 프레임(20)의 연결 부분에는 돌출부(36)와 고정홈(22)에 의한 결합 이외에도 실리콘과 같은 접착물질을 이용한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접착물질을 이용할 경우, 빗물 차단 패널(30)과 프레임(20)의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상세도에 관한 것이다.
지그재그 형태의 주름이 형성된 빗물 차단 패널은 빗물과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 이외에도 햇빛과 방범을 차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빗물 차단 패널(30)의 일면에 햇빛을 반사 또는 차단하는 햇빛 차단 필름을 부착하여 햇빛의 복사열에 의해 건물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사량이 강한 여름철에는 창문에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이용하여 창문을 가리게 되어, 아무리 창문을 활짝 열어 놓아도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하지만 빗물 차단 패널(30)에 햇빛 차단 필름을 부착하여 창문을 활짝 열어 놓아도, 햇빛 차단 필름이 햇빛을 반사 또는 차단하여 실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게 되며, 원활하게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창문을 가리기 위해 별도의 커튼을 설치하지 않아도 괜찮을 것이다.
햇빛 차단 필름은 햇빛 차단 기능 이외에도 사생활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서 실내가 보이지 않도록 시선을 차단하는 사생활 보호 기능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밖에도 단열 기능, 결로 방지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필름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여름철 창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유아나 어린이가 창문 근처에서 놀다가 방충망을 뚫고 추락하는 추락 사고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따라서 유아가 빗물 차단 패널(30)에 매달리거나 장난감을 던져도 쉽게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튼튼한 재질인 고분자 중합체로 제작한다면 창가에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빗물 차단 패널(30)에 사용되는 고분자 중합체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인의 무단 출입을 방지하는 방법용 창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분자 중합체의 종류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밖에도 가공이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튼튼하며, 불연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족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차단 방충망이 공기 유입 및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모습에 대한 개략도에 관한 것이다.
(a)와 각각 빗물 차단 방충망이 창문에 설치되어 창문을 개방했을 때,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모습으로 다공(30)이 형성된 제1베이스부(3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프레임(20)의 세로축을 따라 사면으로 설치된 제2베이스부(34)를 따라 외부 공기가 상승하여 제2프레임(20)의 다공(3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공(30)을 통해 밑에서 위로 S라인 형상으로 유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람이 직접 들어오는 기존의 방충망보다 바람의 세기가 크지 않고,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덜 유입된다.
한편, 빗물 차단 패널(30)은 햇빛을 반사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빗물 차단 패널(30)의 일면에 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빗물 차단 패널(30)이 햇빛을 차단시키기 때문에 더운 여름철에도 햇빛을 가리기 위한 블라인드나 커튼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환기 또는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b)는 비가 내릴 때 창문을 열어 놓아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 모습으로, 다공(30)이 제1베이스부(32)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리 많은 양이 비가 내리더라도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빗물은 경사지게 설치된 제2베이스부(34)를 따라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비가 내리더라도 창문을 열어 놓을 수 있으며, 언제든지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창틀
20 : 프레임
22 : 고정홈 30 : 빗물 차단 패널
31 : 다공 32 : 제1베이스부
34 : 제2베이스부 36 : 돌출부
22 : 고정홈 30 : 빗물 차단 패널
31 : 다공 32 : 제1베이스부
34 : 제2베이스부 36 : 돌출부
Claims (8)
-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망에 있어서,
창틀에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주름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빗물 차단 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빗물 차단 패널은,
상기 프레임의 가로축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일면에 다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 하단 사이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베이스부의 서로 다른 모서리를 각각 사면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면을 가려주어 비가 상기 다공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며, 외부 공기 및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다공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제1베이스부의 다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세기를 줄이면서 경사지게 안내하는 제2베이스부;
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프레임의 세로축을 따라 사면으로 설치되는 상기 제2베이스부를 따라 경사지게 상승하여 상기 제1베이스부의 다공을 통해 밑에서 위로 S라인 형상으로 유입되는 빗물 차단 방충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차단 패널에 형성된 다공은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미세한 크기로 형성된 빗물 차단 방충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차단 패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괴되지 않도록 고분자 중합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빗물 차단 방충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차단 패널은 빛의 전체 또는 일부를 반사시키는 햇빛 차단 필름으로 코팅되어 있는 빗물 차단 방충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차단 패널이 상기 프레임에 삽입 고정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함홈이 형성되어 있는 빗물 차단 방충망. - 일면에 다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 하단 사이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베이스부의 서로 다른 모서리를 각각 연결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면을 가려주어 비가 상기 다공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며, 외부 공기 및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다공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제1베이스부의 다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세기를 줄이면서 경사지게 안내하는 제2베이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제2베이스부를 따라 경사지게 상승하여 상기 제1베이스부의 다공을 통해 밑에서 위로 S라인 형상으로 유입되는 빗물 차단 방충망.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는 빛의 전체 또는 일부를 반사시키는 햇빛 차단 필름으로 코팅되어 있는 빗물 차단 방충망.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괴되지 않도록 고분자 중합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빗물 차단 방충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9812A KR20190121733A (ko) | 2019-10-18 | 2019-10-18 | 빗물 차단 방충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9812A KR20190121733A (ko) | 2019-10-18 | 2019-10-18 | 빗물 차단 방충망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2436A Division KR20190026117A (ko) | 2017-09-04 | 2017-09-04 | 빗물 차단 방충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1733A true KR20190121733A (ko) | 2019-10-28 |
Family
ID=6842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9812A KR20190121733A (ko) | 2019-10-18 | 2019-10-18 | 빗물 차단 방충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2173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5493B1 (ko) | 2021-03-26 | 2021-06-16 | 손영원 | 통기 성능과 빗물유입방지 기능이 우수한 차수 방충망 |
KR102391884B1 (ko) | 2021-03-12 | 2022-04-28 | 손영원 | 빗물유입방지 기능과 우수한 통기 성능을 갖는 스마트 방충망 |
KR102455089B1 (ko) | 2021-08-13 | 2022-10-17 |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 빗물 차단 방충망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5694B1 (ko) | 2012-07-25 | 2012-09-24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빗물 유입 방지 장치 |
-
2019
- 2019-10-18 KR KR1020190129812A patent/KR2019012173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5694B1 (ko) | 2012-07-25 | 2012-09-24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빗물 유입 방지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1884B1 (ko) | 2021-03-12 | 2022-04-28 | 손영원 | 빗물유입방지 기능과 우수한 통기 성능을 갖는 스마트 방충망 |
KR102265493B1 (ko) | 2021-03-26 | 2021-06-16 | 손영원 | 통기 성능과 빗물유입방지 기능이 우수한 차수 방충망 |
KR102455089B1 (ko) | 2021-08-13 | 2022-10-17 |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 빗물 차단 방충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121733A (ko) | 빗물 차단 방충망 | |
KR101207102B1 (ko) | 블라인드가 결합된 방충망 창 | |
US5701939A (en) | Sun blocking shade device | |
US9334685B1 (en) | Environmental barrier | |
KR102265493B1 (ko) | 통기 성능과 빗물유입방지 기능이 우수한 차수 방충망 | |
US7788864B2 (en) | Window with screening arrangement | |
KR20200129542A (ko) | 다기능 블라인드 장치 | |
KR101185694B1 (ko) | 빗물 유입 방지 장치 | |
JP2005264450A (ja) | 防花粉兼用網戸 | |
KR102089623B1 (ko) |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 |
JP2010236823A (ja) | 換気フード | |
KR20190026117A (ko) | 빗물 차단 방충망 | |
JP4411592B2 (ja) | 雨の降り込まない網戸用通風雨具 | |
KR102391884B1 (ko) | 빗물유입방지 기능과 우수한 통기 성능을 갖는 스마트 방충망 | |
KR101558513B1 (ko) | 2중 망사구조를 갖는 그물형 방범창 구조체 | |
KR20200117145A (ko) | 방진창이 결합된 방충망 창 | |
KR200417841Y1 (ko) |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 |
KR102551945B1 (ko) | 환기 및 미세먼지 차단 선택형 방진방충망 | |
WO2011049320A2 (ko) | 블라인드가 결합된 방충망 창 | |
KR200470411Y1 (ko) | 방충창용 가림막설치프레임 | |
KR20100041319A (ko) | 건물용 방충창 | |
GB2123069A (en) | Window screen | |
KR200262096Y1 (ko) | 천막포의 통풍구조 | |
JP3238639U (ja) | 窓 | |
JP2010174612A (ja) | 換気機能を備えた窓用雨除け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