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089B1 - 빗물 차단 방충망 - Google Patents

빗물 차단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089B1
KR102455089B1 KR1020210107160A KR20210107160A KR102455089B1 KR 102455089 B1 KR102455089 B1 KR 102455089B1 KR 1020210107160 A KR1020210107160 A KR 1020210107160A KR 20210107160 A KR20210107160 A KR 20210107160A KR 102455089 B1 KR102455089 B1 KR 10245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bevel
insect screen
rainwat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Priority to KR102021010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로운 벌레들이 날아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과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겸하는 빗물 차단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빗물 차단 방충망에 있어서, 내부상부빗면 및 내부하부빗면을 갖는 내부횡사와, 내부좌측빗면 및 내부우측빗면을 갖는 내부경사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내부방충망; 외부상부빗면 및 외부하부빗면을 갖는 외부횡사와, 외부좌측빗면 및 외부우측빗면을 갖는 외부경사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외부방충망; 상기 내부방충망 및 상기 외부방충망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방충망과 내부방충망에 의해 해로운 벌레들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과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겸하므로 우수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빗물 차단 방충망{SCREEN}
본 발명은 빗물 차단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로운 벌레들이 날아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과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겸하는 빗물 차단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방충망은 해로운 벌레들이 날아들지 못하게 창문 같은 곳에 치는 망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철·황동·구리·스테인리스 따위를 포함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wire)를 바둑판처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짠 구조를 이룬다.
도 6은 종래의 방충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충망(1)은 직경 1㎜ 내외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횡사(5)와 경사(15)를 가로세로 방향으로 짜서 이루어진다.
이때, 횡사(5)와 경사(15) 사이에 형성된 통공(10)은 가로세로 1~2㎜ 크기로 이루어져 바람은 통하지만 모기나 파리 따위의 해로운 벌레들이 날아들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방충망(1)은 빗물을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가 수직으로 내리는 경우 방충망(1)을 통해 실내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겠으나, 바람 등의 작용에 의해 비가 비스듬히 내리면 방충망(1) 사이에 형성된 통공(10)을 통해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충망을 통해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의 위쪽에 차양막을 설치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차양막의 바로 아래쪽 방충망으로는 어느 정도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겠으나, 차양막으로 가려지지 않는 방충망의 중간부터 아랫부분까지의 통공을 통해 실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5493호(등록일자 2021년06월10일)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21733호(공개일자 2019년10월28일)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41045호(공개일자 2017년12월22일) (000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9247호(공개일자 2012년02월0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로운 벌레들이 날아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과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겸하는 빗물 차단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빗물 차단 방충망에 있어서, 내부상부빗면 및 내부하부빗면을 갖는 내부횡사와, 내부좌측빗면 및 내부우측빗면을 갖는 내부경사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내부방충망; 외부상부빗면 및 외부하부빗면을 갖는 외부횡사와, 외부좌측빗면 및 외부우측빗면을 갖는 외부경사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외부방충망; 상기 내부방충망 및 상기 외부방충망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내부횡사의 단면은 상기 내부상부빗면과 상기 내부하부빗면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경사의 단면은 상기 내부좌측빗면과 상기 내부우측빗면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상부빗면과 상기 내부하부빗면 사이의 각도는 120~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좌측빗면과 상기 내부우측빗면 사이의 각도는 120~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횡사의 단면은 상기 외부상부빗면과 상기 외부하부빗면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경사의 단면은 상기 외부좌측빗면과 상기 외부우측빗면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상부빗면과 상기 외부하부빗면 사이의 각도는 120~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좌측빗면과 상기 외부우측빗면 사이의 각도는 120~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횡사는 상기 내부횡사 사이에 어긋나도록 교호로 배치되고, 상기 외부경사는 상기 내부경사 사이에 어긋나도록 교호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방충망과 내부방충망에 의해 해로운 벌레들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과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겸하므로 우수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방충망과 외부방충망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방충망과 외부방충망이 결합된 종 방향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부방충망과 외부방충망이 결합된 횡 방향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빗물의 차단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3에서 빗물의 차단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종래의 방충망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빗물 차단 방충망은,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내부상부빗면(111) 및 내부하부빗면(112)을 갖는 내부횡사(110)와 내부좌측빗면(131) 및 내부우측빗면(132)을 갖는 내부경사(130)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내부방충망(100), 외부상부빗면(211) 및 외부하부빗면(212)을 갖는 외부횡사(210)와 외부좌측빗면(231) 및 외부우측빗면(232)을 갖는 외부경사(230)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외부방충망(200), 내부방충망(100) 및 외부방충망(200)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먼저, 내부방충망(100)과 외부방충망(200) 및 프레임(300)은 철·황동·구리·스테인리스 따위를 포함하는 1㎜ 이하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방충망(100)은 가로 방향으로 놓인 복수의 내부횡사(110)와 세로 방향으로 놓인 복수의 외부경사(230)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부횡사(110)의 단면은 내부상부빗면(111)과 내부하부빗면(112)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상부빗면(111)과 내부하부빗면(112) 사이의 각도(θ1)는 120~1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이 부딪혀 실외(OS) 방향으로 튀어나가도록 유도하고, 실외(OS)에서 부는 바람이 내부통공(150)을 통해 실내(IS)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내부상부빗면(111)과 내부하부빗면(112) 사이의 각도(θ1)가 130°를 초과하면 실외(OS)에서 부는 바람이 내부상부빗면(111)과 내부하부빗면(112)에 부딪혀 실내(IS)로 유입되지 않고 실외(OS)로 튕겨 나갈 수 있고, 내부상부빗면(111)과 내부하부빗면(112) 사이의 각도(θ1)가 120° 미만이면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이 부딪혀 실외(OS) 방향으로 튀어나가지 않고 실내(IS)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내부횡사(110)는 세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된다.
이때, 복수의 내부횡사(110) 사이에 형성된 내부통공(150)의 수직 길이(L1)는 내부횡사(110)의 수직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내부횡사(110) 사이에 형성된 내부통공(150)의 수직 길이(L1)는 내부횡사(110)의 수직 길이보다 1.5배 이내에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경사(130)의 단면은 내부좌측빗면(131)과 내부우측빗면(132)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좌측빗면(131)과 내부우측빗면(132) 사이의 각도(θ2)는 120~1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좌우에서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이 부딪혀 실외(OS) 방향으로 튀어나가도록 유도하고, 실외(OS)에서 부는 바람이 내부통공(150)을 통해 실내(IS)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내부좌측빗면(131)과 내부우측빗면(132) 사이의 각도(θ2)가 130°를 초과하면 실외(OS)에서 부는 바람이 내부좌측빗면(131)과 내부우측빗면(132)에 부딪혀 실내(IS)로 유입되지 않고 실외(OS)로 튕겨 나갈 수 있고, 내부좌측빗면(131)과 내부우측빗면(132) 사이의 각도(θ2)가 120° 미만이면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이 부딪혀 실외(OS) 방향으로 튀어나가지 않고 실내(IS)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내부경사(130)는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된다.
이때, 복수의 내부경사(130) 사이에 형성된 내부통공(150)의 수평 너비(W1)는 내부경사(130)의 수평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내부경사(130) 사이에 형성된 내부통공(150)의 수평 너비(W1)는 내부경사(130)의 수평 너비보다 1.5배 이내에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방충망(200)은 가로 방향으로 놓인 복수의 외부횡사(210)와 세로 방향으로 놓인 복수의 외부경사(230)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횡사(210)의 단면은 외부상부빗면(211)과 외부하부빗면(212)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상부빗면(211)과 외부하부빗면(212) 사이의 각도(θ3)는 120~1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이 부딪혀 실외(OS) 방향으로 튀어나가도록 유도하고, 실외(OS)에서 부는 바람이 외부통공(250)을 통해 실내(IS)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외부상부빗면(211)과 외부하부빗면(212) 사이의 각도(θ3)가 130°를 초과하면 실외(OS)에서 부는 바람이 외부상부빗면(211)과 외부하부빗면(212)에 부딪혀 실내(IS)로 유입되지 않고 실외(OS)로 튕겨 나갈 수 있고, 외부상부빗면(211)과 외부하부빗면(212) 사이의 각도(θ3)가 120° 미만이면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이 부딪혀 실외(OS) 방향으로 튀어나가지 않고 실내(IS)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외부횡사(210)는 세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된다.
이때, 복수의 외부횡사(210) 사이에 형성된 외부통공(250)의 수직 길이(L2)는 외부횡사(210)의 수직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외부횡사(210) 사이에 형성된 외부통공(250)의 수직 길이(L)는 외부횡사(210)의 수직 길이보다 1.5배 이내에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횡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횡사(110) 사이에 어긋나도록 교호로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외부횡사(210) 사이의 외부통공(250)으로 유입된 빗물은 내부횡사(110)에 부딪혀 실외(OS)로 튕겨 나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경사(230)의 단면은 외부좌측빗면(231)과 외부우측빗면(232)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좌측빗면(231)과 외부우측빗면(232) 사이의 각도(θ4)는 120~1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좌우에서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이 부딪혀 실외(OS) 방향으로 튀어나가도록 유도하고, 실외(OS)에서 부는 바람이 외부통공(250)을 통해 실내(IS)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외부좌측빗면(231)과 외부우측빗면(232) 사이의 각도(θ4)가 130°를 초과하면 실외(OS)에서 부는 바람이 외부좌측빗면(231)과 외부우측빗면(232)에 부딪혀 실내(IS)로 유입되지 않고 실외(OS)로 튕겨 나갈 수 있고, 외부좌측빗면(231)과 외부우측빗면(232) 사이의 각도(θ4)가 120° 미만이면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이 부딪혀 실외(OS) 방향으로 튀어나가지 않고 실내(IS)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외부경사(230)는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정렬된다.
이때, 복수의 외부경사(230) 사이에 형성된 외부통공(250)의 수평 너비(W2)는 외부경사(230)의 수평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외부경사(230) 사이에 형성된 외부통공(250)의 수평 너비(W2)는 외부경사(230)의 수평 너비보다 1.5배 이내에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경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경사(130) 사이에 어긋나도록 교호로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외부경사(230) 사이의 외부통공(250)으로 유입된 빗물은 내부경사(130)에 부딪혀 실외(OS)로 튕겨 나가게 된다.
프레임(300)은 내부방충망(100) 및 외부방충망(200)의 가장자리를 마감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300)은 사각 틀 모양으로 형성되고 단면은 ‘┗┛’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은 외부횡사(210)의 외부상부빗면(211)에 부딪혀 실내(IS)로 유입되지 않고 점선 화살표와 같이 실외(OS)로 튕겨 나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와 같이 좌우에서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은 외부경사(230)의 외부좌측빗면(231)과 외부우측빗면(232)에 부딪혀 실내(IS)로 유입되지 않고 점선 화살표와 같이 실외(OS)로 튕겨 나간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일점쇄선 화살표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히 내려서 외부방충망(200)의 외부통공(250)으로 유입된 빗물은 내부횡사(110)의 내부상부빗면(111)에 부딪혀 실내(IS)로 유입되지 않고 이점쇄선 화살표와 같이 실외(OS)로 튕겨 나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일점쇄선 화살표와 같이 좌우에서 비스듬히 내려서 외부방충망(200)의 외부통공(250)으로 유입된 빗물은 내부경사(130)의 내부좌측빗면(131)과 내부우측빗면(132)에 부딪혀 실내(IS)로 유입되지 않고 이점쇄선 화살표와 같이 실외(OS)로 튕겨 나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방충망(200)과 내부방충망(100)에 의해 해로운 벌레들이 실내(IS)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기능과,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겸하므로 기능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방충망(200)의 외부통공(250)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더라고 내부방충망(100)의 내부횡사(110)와 내부경사(130)에 부딪혀 실외(OS)로 튕겨 나가므로 빗물의 실내(IS) 유입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내부방충망 110 : 내부횡사
130 : 내부경사 150 : 내부통공
200 : 외부방충망 210 : 외부횡상
230 : 외부경사 250 : 외부통공
300 : 프레임 IS : 실내
OS : 실외

Claims (6)

  1. 비스듬히 내리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빗물 차단 방충망에 있어서,
    내부상부빗면 및 내부하부빗면을 갖는 내부횡사와, 내부좌측빗면 및 내부우측빗면을 갖는 내부경사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내부방충망;
    외부상부빗면 및 외부하부빗면을 갖는 외부횡사와, 외부좌측빗면 및 외부우측빗면을 갖는 외부경사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짜여진 외부방충망;
    상기 내부방충망 및 상기 외부방충망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횡사의 단면은 상기 내부상부빗면과 상기 내부하부빗면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경사의 단면은 상기 내부좌측빗면과 상기 내부우측빗면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단 방충망.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상부빗면과 상기 내부하부빗면 사이의 각도는 120~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좌측빗면과 상기 내부우측빗면 사이의 각도는 120~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단 방충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횡사의 단면은 상기 외부상부빗면과 상기 외부하부빗면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경사의 단면은 상기 외부좌측빗면과 상기 외부우측빗면이 좌우로 대칭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단 방충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상부빗면과 상기 외부하부빗면 사이의 각도는 120~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좌측빗면과 상기 외부우측빗면 사이의 각도는 120~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단 방충망.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횡사는 상기 내부횡사 사이에 어긋나도록 교호로 배치되고, 상기 외부경사는 상기 내부경사 사이에 어긋나도록 교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단 방충망.
KR1020210107160A 2021-08-13 2021-08-13 빗물 차단 방충망 KR10245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60A KR102455089B1 (ko) 2021-08-13 2021-08-13 빗물 차단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60A KR102455089B1 (ko) 2021-08-13 2021-08-13 빗물 차단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089B1 true KR102455089B1 (ko) 2022-10-17

Family

ID=8381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60A KR102455089B1 (ko) 2021-08-13 2021-08-13 빗물 차단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0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76U (ko) * 2009-12-14 2011-06-22 (주)맥스 다중 방충망
KR20120009247A (ko) 2010-07-23 2012-02-01 배원용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KR20170141045A (ko) 2016-06-14 2017-12-22 조영래 차양 및 빗물 유입방지 기타 사생활보호 및 방범을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된 방충망
KR20190121733A (ko) 2019-10-18 2019-10-28 김종일 빗물 차단 방충망
KR102265493B1 (ko) 2021-03-26 2021-06-16 손영원 통기 성능과 빗물유입방지 기능이 우수한 차수 방충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76U (ko) * 2009-12-14 2011-06-22 (주)맥스 다중 방충망
KR20120009247A (ko) 2010-07-23 2012-02-01 배원용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KR20170141045A (ko) 2016-06-14 2017-12-22 조영래 차양 및 빗물 유입방지 기타 사생활보호 및 방범을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된 방충망
KR20190121733A (ko) 2019-10-18 2019-10-28 김종일 빗물 차단 방충망
KR102265493B1 (ko) 2021-03-26 2021-06-16 손영원 통기 성능과 빗물유입방지 기능이 우수한 차수 방충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102B1 (ko) 블라인드가 결합된 방충망 창
KR20200059969A (ko) 롤타입의 방충방진망
KR102455089B1 (ko) 빗물 차단 방충망
US6138424A (en) Vent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building structure
KR100778140B1 (ko) 고기밀성 단열창호
US9045936B2 (en) Safety window for hurricane pro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1398019B1 (ko) 빗물유입 방지패널
KR102169716B1 (ko) 방충 및 방진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0933382B1 (ko) 복합기능 방충망
KR200439059Y1 (ko) 갤러리 창호
KR100820941B1 (ko) 방충망
JP2000193300A (ja) 建物用換気口枠体
KR200479530Y1 (ko) 해충 먼지 차단 장치
KR200456203Y1 (ko) 다중 방충망
JP2695545B2 (ja) ブラインド
KR20100041319A (ko) 건물용 방충창
KR20100076765A (ko) 차광방충망 및 이를 이용한 방충창
KR200220457Y1 (ko) 방충망
KR20120009247A (ko)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KR101641125B1 (ko)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KR20200117145A (ko) 방진창이 결합된 방충망 창
KR102532070B1 (ko) 타공된 시트지를 이용한 방충망
KR102532075B1 (ko) 날개 구조가 형성된 방충망 망지
KR102153306B1 (ko) 방충망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차단방충망
JP4094628B2 (ja) 大型バルコニ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