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247A -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 Google Patents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247A
KR20120009247A KR1020100071296A KR20100071296A KR20120009247A KR 20120009247 A KR20120009247 A KR 20120009247A KR 1020100071296 A KR1020100071296 A KR 1020100071296A KR 20100071296 A KR20100071296 A KR 20100071296A KR 20120009247 A KR20120009247 A KR 20120009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haped
screen
shaped vertica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원용
Original Assignee
배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원용 filed Critical 배원용
Priority to KR102010007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247A/ko
Publication of KR2012000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 등에 설치하는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얇은 두께 및 상기 두께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 길쭉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스트립형 가로 부재 및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스트립형 가로 부재 및 상기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종횡으로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가로세로 모두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 범위 이내의 크기를 갖는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을 제공함으로써, 실내외로의 원활한 공기출입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으면서도, 우천시 창문을 열어두더라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여름과 같이 날씨가 더운 계절에 비가 오는 경우에도 원활한 외기 유입을 통해 실내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공기가 음식냄새나 담배연기 등으로 인해 오염되어 쾌적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가 오는 경우에도 환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INSECT-PROOF MESH FOR PREVENTING RAINWATER INCOMING}
본 발명은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 등에 설치하는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에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들이 실내로 침입하거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이나 출입문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금속 와이어나 합성섬유 와이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많은 수의 선재를 좁은 간격의 격자 형태로 직교하도록 배열하여 일체화시킨 형태로 이루어져 창문이나 출입문 등에 설치함으로써, 실내외로의 공기출입은 가능하도록 하는 가운데 해충 특히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도시와 교외를 불문하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해충들이 실내로 침입하여 사람의 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충망의 일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방충망(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경 0.1mm 내지 0.5mm 정도의 가는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의 금속 와이어 또는 합성섬유 와이어로 이루어진 가로 부재(5)와 세로 부재(15)로 구성되며, 모기나 파리가 통과할 수 없는 가로세로 모두 대략 1mm 내지 2mm 범위 이내의 크기를 갖는 통공(10)이 형성되도록 가로 부재(5)와 세로 부재(15)를 종횡으로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방충망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충망(1)은 비가 내리는 경우에 빗물의 실내 유입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비가 오더라도 바람이 없으며 가옥구조상 처마가 있어 빗물의 실내 유입이 방지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아파트의 발코니 창문과 같이 처마가 없는 경우 또는 처마가 있더라도 바람이 심한 경우, 비가 오게 되면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어 창문 안쪽의 실내공간 바닥을 흥건하게 젓게 만들기 쉽다할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방충망을 통한 빗물의 실내 유입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부재(5)와 세로 부재(15)가 대략 직경 0.1mm 내지 0.5mm 정도의 가는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빗방울은 수 mm 정도까지의 큰 크기를 가질 수 있음에 따라, 방충망을 향해 비스듬히 입사하는 빗방울(20)은 충돌 후 실외 측으로 쉽게 반사되지 못하고, 가로 부재(5)나 세로 부재(15)가 와이어 커터(wire cutter) 등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빗방울이 잘게 분할되거나 부서지기 쉽게 되고, 이와 같이 가로 부재(5)나 세로 부재(15)에 의해 잘게 분할되거나 부서진 빗방울(23)(27) 중 실외 측으로 편향되는 부분(27)은 실내로 유입되지 않지만 실내 측으로 편향되는 부분(23)은 실외로 배출되지 못하고 통공(1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충망(1)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빗물 유입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해, 비가 오는 경우 빗물 유입을 막고자 창문을 닫을 수밖에 없도록 함에 따라, 여름과 같이 날씨가 더운 경우 외기 유입을 통해 실내온도를 조절하기 어려워지고, 실내공기가 쾌적하지 못한 경우에도 환기를 어렵게 하는 등 우천시 실내공간의 쾌적성 유지에 바람직하지 못한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실내외로의 원활한 공기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가운데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으면서도, 우천시 빗물의 실내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우천시에도 실내 공기를 쾌적성 유지를 위해 창문을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얇은 두께 및 상기 두께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 길쭉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스트립형 가로 부재 및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스트립형 가로 부재 및 상기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종횡으로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가로세로 모두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 범위 이내의 크기를 갖는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형 가로 부재 및 상기 스트립형 세로 부재는 각각, 폭 방향 일측에서 폭 방향 타측을 향해 소정 깊이만큼 절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조립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형 세로 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조립홈은 직립상태에서 실외 측을 향한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조립홈의 상기 경사는 10° 내지 30°의 각도범위 이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실내외로의 원활한 공기출입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으면서도, 우천시 창문을 열어두더라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여름과 같이 날씨가 더운 계절에 비가 오는 경우에도 원활한 외기 유입을 통해 실내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공기가 음식냄새나 담배연기 등으로 인해 오염되어 쾌적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가 오는 경우에도 환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충망의 일 예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방충망을 통한 빗물의 실내 유입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빗물 유입 방지 방충망을 구성하는 스트립형 세로 부재를 도시한 부분 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빗물 유입 방지 방충망을 구성하는 스트립형 가로 부재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 방충망을 통한 빗물의 실내 유입 방지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두께(t) 및 이 두께에 비해 넓은 폭(Z)을 갖는 길쭉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 및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 및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는 대략 0.1mm 내지 0.5mm 범위 이내의 두께(t) 및 대략 1mm 내지 3mm 범위 이내의 폭(Z)을 갖도록 형성되며, 경량금속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수의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 및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는 소정의 간격으로 종횡으로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격자형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일체화됨으로써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100)으로 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 및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는 각각, 1mm 내지 2mm 범위 이내에서 선택되는 간격[Y(스트립형 가로 부재의 상하 간격), X(스트립형 세로 부재의 좌우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며, 따라서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와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의 두께(t)를 감안하면 가로세로 모두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데 적절한 0.9mm 내지 1.9mm 범위 이내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통공(1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 및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의 배열 간격(Y, X)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한 범위 이외의 간격으로 선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 및 상기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는 각각, 폭(Z) 방향 일측에서 폭(Z) 방향 타측을 향해 소정 깊이만큼 절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조립홈(107)(117)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조립홈(107)(117)은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와 스트립형 세로 부재(117)의 조립시 전체적인 두께 증가를 동반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조립상태에서의 구조적 건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의 조립홈(117)은 도면을 기준으로 폭(Z) 방향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즉 실외 측에서 실내 측을 향해 절개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의 조립홈(117)과 반대로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의 조립홈(107)은 도면을 기준으로 폭 방향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즉 실내 측에서 실외 측을 향해 절개된다. 물론, 이와 같은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의 조립홈(117)과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의 조립홈(107)의 절개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상과 같은 조립홈(107)(117)은 공통적으로, 조립될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와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의 두께(t)를 감안하여 대략 0.1mm 내지 0.3mm 범위 이내에서 선택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와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의 폭(Z)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에 구비되는 조립홈(117)은,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에 구비되는 조립홈(107)과는 달리, 직립상태에서 실외 측을 향한 하향의 경사(α)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립홈(117)의 경사(α)는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가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와 조립되었을 때,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가 실외 측을 향한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경사(α)는 10° 내지 30°의 각도범위 이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을 통한 빗물의 유입 방지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천시 방충망을 향해 비스듬히 입사하는 빗방울(120)은,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와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에 충돌했을 때, 실내 측으로 편향되는 부분(127)과 실외 측으로 편향되는 부분(123)으로 분할되더라도,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가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Z)을 갖게 됨에 따라, 실내 측으로 편향되는 부분(127)이 통공(110)을 통해 곧바로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한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 상에서 정체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립형 세로 부재(115)의 조립홈(117)이 경사(α)를 갖도록 형성됨으로 인해,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가 실외 측을 향한 하향의 경사(α)를 갖는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스트립형 가로 부재(105) 상에서 정체하던 빗방울(120)의 실내 측으로 편향되는 부분(127) 역시 경사(α)에 의해 실내 측이 아닌 실외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따라서 빗물의 실내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빗물 유입 방지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실내외로의 원활한 공기출입과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의 실내 침입을 방지라는 본래의 기능을 희생하지 않고도, 우천시 창문을 열어두더라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우천시에도 자유로운 창문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100: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105: 스트립형 가로 부재
107, 117: 조립홈 115: 스트립형 세로 부재
110: 통공 120: 빗방울
123: 빗방울 중 실외 측으로 편향되는 부분
127: 빗방울 중 실내 측으로 편향되는 부분
t: 두께 X: 좌우 간격
Y: 상하 간격 Z: 폭
α: 경사

Claims (4)

  1. 소정의 얇은 두께 및 상기 두께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 길쭉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스트립형 가로 부재 및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스트립형 가로 부재 및 상기 다수의 스트립형 세로 부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종횡으로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가로세로 모두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 범위 이내의 크기를 갖는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가로 부재 및 상기 스트립형 세로 부재는 각각, 폭 방향 일측에서 폭 방향 타측을 향해 소정 깊이만큼 절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조립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세로 부재에 구비되는 상기 조립홈은 직립상태에서 실외 측을 향한 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의 상기 경사는 10° 내지 30°의 각도범위 이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KR1020100071296A 2010-07-23 2010-07-23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KR20120009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96A KR20120009247A (ko) 2010-07-23 2010-07-23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296A KR20120009247A (ko) 2010-07-23 2010-07-23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247A true KR20120009247A (ko) 2012-02-01

Family

ID=4583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296A KR20120009247A (ko) 2010-07-23 2010-07-23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2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3406B2 (en) 2015-10-29 2020-04-07 Swis Co., Ltd. Electronic venetian blind
KR102455089B1 (ko) 2021-08-13 2022-10-17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빗물 차단 방충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3406B2 (en) 2015-10-29 2020-04-07 Swis Co., Ltd. Electronic venetian blind
KR102455089B1 (ko) 2021-08-13 2022-10-17 주식회사 아트인가구 빗물 차단 방충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102B1 (ko) 블라인드가 결합된 방충망 창
CA2435725C (en) Ventilation system
US20120304567A1 (en) Roof vent
JP2006090116A (ja) 目隠しパネル及び防風パネル
KR101615721B1 (ko) 이중 방충망 창호
KR20200059969A (ko) 롤타입의 방충방진망
KR20120009247A (ko)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JP3198014U (ja) 通気性戸部材
KR100933382B1 (ko) 복합기능 방충망
KR20110006802A (ko) 방수성을 구비한 방충망
JP4691172B2 (ja) 換気フード
KR101233680B1 (ko) 고효율 공조 친환경 현관문
KR101981600B1 (ko) 빗물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창구조
KR200419514Y1 (ko) 이중 창호
KR200261909Y1 (ko) 빗물막이 방충망
KR20150004303U (ko) 이중 방충망 프레임
KR20100041319A (ko) 건물용 방충창
KR100820941B1 (ko) 방충망
KR102391884B1 (ko) 빗물유입방지 기능과 우수한 통기 성능을 갖는 스마트 방충망
KR20030030489A (ko) 빗물막이 방충망
KR101658104B1 (ko) 온실 지붕 방충 및 차광 스크린 구조
KR200470411Y1 (ko) 방충창용 가림막설치프레임
KR102152128B1 (ko) 환기용 이중 커버가 적용된 비닐하우스
JP2008005823A (ja) 植物栽培用害虫侵入防止ハウス
KR200470547Y1 (ko) 블라인드 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