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804A - 필터 부착 흡연 물품 - Google Patents

필터 부착 흡연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804A
KR20190120804A KR1020197028649A KR20197028649A KR20190120804A KR 20190120804 A KR20190120804 A KR 20190120804A KR 1020197028649 A KR1020197028649 A KR 1020197028649A KR 20197028649 A KR20197028649 A KR 20197028649A KR 20190120804 A KR20190120804 A KR 2019012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rapper
smoking article
outer wrapper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7811B1 (ko
Inventor
타쿠 히데시마
히로후미 후지쿠라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4485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12080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6Cigars; Cigarettes with reinforced extremit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47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e.g. inserting filters into cigarettes or their mouthpieces
    • A24C5/475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e.g. inserting filters into cigarettes or their mouthpieces adapted for composit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47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e.g. inserting filters into cigarettes or their mouth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부재; 필터재와, 상기 필터재의 외주면을 권장하는 1매 또는 복수매의 필터 래퍼를 구비하는 필터;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부재의 단부 및 상기 필터의 외주면을 권장하는 외측 래퍼; 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래퍼의 외주면은,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며, 상기 외측 래퍼로 권장된 상기 필터는, 길이 10mm의 범위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압축하중 2.5N을 가한 후의 압축회복성이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Description

필터 부착 흡연 물품
본 발명은, 필터 부착 흡연 물품에 관한 것이다.
필터 부착 흡연 물품, 예를 들면, 필터 부착 시가렛은, 시가렛 로드와 필터를 맞대고, 필터의 외주면 및 맞댐부 근방의 시가렛 로드의 외주면을 외측 래퍼로 권장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필터 부착 흡연 물품에서, 외측 래퍼로 권장(卷裝)된 필터는, 흡연시에 사용자가 입에 무는 흡구부(吸口部)로 기능한다. 흡구부의 물리 특성은, 흡연시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감각을 주기 때문에, 해당 필터 부착 흡연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인상을 좌우한다.
특허문헌 1에는, 흡연 경험 동안에 사용자가 흡연 물품 필터의 입측(口側)의 끝을 물고 즐길 수 있도록, 입측의 끝이 일정 이상의 경도를 가지는 흡연 물품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표2016-52356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사용자가 필터를 물고 즐긴다고 하는 행동에 주목한 것이며,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保持)할 때의 감각(무는 느낌)을 평가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할 때의 감각(무는 느낌)이 좋은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로졸 발생 부재; 필터재와, 필터재의 외주면을 권장하는 1매 또는 복수매의 필터 래퍼를 구비하는 필터; 및 에어로졸 발생 부재의 단부(端部) 및 상기 필터의 외주면을 권장하는 외측 래퍼; 를 구비하고, 외측 래퍼의 외주면은,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고,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는, 길이 10mm의 범위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압축하중 2.5N을 가한 후의 압축회복성이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흡구부(吸口部)를 입술로 보지(保持)할 때의 감각(무는 느낌)이 좋은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압축회복성을 산출하기 위한 압축변형량-압축복원력 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도 2는, 경도의 정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압축회복성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부재와, 필터재 및 필터재의 외주면(外周面)을 권장하는 1매 또는 복수매의 필터 래퍼(wrapper)를 구비하는 필터와, 에어로졸 발생 부재의 단부 및 필터의 외주면을 권장하는 외측 래퍼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래퍼의 외주면은,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고,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는, 길이 10mm의 범위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압축하중 2.5N을 가한 후의 압축회복성이 60% 이상이다.
필터 부착 흡연 물품에서,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는, 흡연시에 사용자가 입에 무는 흡구부(吸口部)이다. 또한, 외측 래퍼의 외주면은, 흡연시에 사용자의 입술이 닿는 흡구부의 외주면이다.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필터 부착 흡연 물품에 의하면,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할 때의 감각(무는 느낌)이 특별히 우수한 것을 발견했다.
또한, 발명자들은,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의 무는 느낌을 더 향상하는 데에는, 외측 래퍼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을 발견했다.
또한, 발명자들은,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의 무는 느낌을 더 향상하는 데에는,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의 길이 10mm의 범위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압축하중 2.5N을 가한 후의 압축회복성이, 60% 이상 8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70% 미만인 것을 발견했다.
외측 래퍼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낮을수록,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입술에 매끄러운 감촉을 준다.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이 적절하면,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입술에 바람직한 압력을 준다. 압축회복성이 높으면,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하여 압축한 후, 흡구부의 형상이 압축 전의 상태로 회복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이 적절해도 외측 래퍼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높으면, 사용자의 입술에 거친 감촉을 주기 때문에, 무는 느낌이 바람직해지지 않는다.
또한, 발명자들은,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의 무는 느낌을 더 향상하는 데에는, 외측 래퍼 또는, 1매 혹은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접힘 회복 각도가, 6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도 이상 120도 이하인 것을 발견했다. 외측 래퍼 또는, 1매 혹은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접힘 회복 각도가 크면,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입술이 그 경도를 느끼고, 무는 느낌이 좋다고 느끼게 한다. 일반적으로, 외측 래퍼 또는, 1매 혹은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접힘 회복 각도가 크면,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의 압축회복성이 향상한다.
또한, 발명자들은,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의 무는 느낌을 더욱 향상하는 데에는,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의 경도가 9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9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90 미만인 것을 발견했다.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의 무는 느낌은, 흡구부의 경도가 너무 단단하지 않은 편이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이하에, 상술한 용어 「산술 평균 거칠기」, 「압축회복성」, 「접힘 회복 각도」 및 「경도」의 정의를 설명한다.
<산술 평균 거칠기>
본 명세서의 용어 「산술 평균 거칠기」는, ISO1997에 준거한 측정 조건에 의해 표면 조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나타낸다.
<압축회복성>
본 명세서의 용어 「압축회복성」은, 압축에 대한 회복성을 나타낸다. 압축회복성은, 직경 10mm의 원주(圓柱) 형상 플런저를 이용하여,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인 시험 샘플을 길이 10mm의 범위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압축하중 2.5N까지 압축한 후, 압축 조작을 정지해서, 시험 샘플의 형상이 복원할 때에 얻어지는, 압축변형량-압축복원력 곡선으로부터 산출된다. 압축변형량은, 압축하중에 의해 압축된 시험 샘플의 직경의 변형량[mm]이다. 압축변형량-압축복원력 곡선은, 예를 들면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도 1은, 설정 속도로 압축하중 2.5N까지 시험 샘플을 직경방향으로 압축(곡선 A-B)한 후, 압축 조작을 정지해서, 시험 샘플로부터의 복원력이 0N가 될 때까지 형상이 복원할 때의 압축변형량[mm]에 대한 압축복원력[N](곡선 B-C)을 플롯하여 얻어지는 압축변형량-압축복원력 곡선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압축변형량-압축복원력 곡선에서, 압축시(곡선 A-B)의 일량(영역 ABD의 면적), 복원시(곡선 B-C)의 일량(영역 CBD의 면적)을 각각 산출한다. 압축회복성[%]은, 다음 식으로 산출된다.
압축회복성[%]=(영역 CBD의 면적)/(영역 ABD의 면적)×100[%]
압축하중을 2.5N으로 하는 이유는,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할 때의 힘의 평균값이 길이 10mm의 범위에 대해서 압축하중 2.5N이기 때문이다. 압축회복성은, 압축 조작을 정지한 후의 시험 샘플의 압축변형량(TCmm)이, 압축 전의 압축변형량(0mm)에 가까워질수록 높은 값이 된다. 또한, 압축회복성은, 가압시(곡선 A-B) 및 압축 조작 정지 후의 복원시(곡선 B-C)의 압축변형량[mm]에 대한 압축복원력[N]이 가까울수록 높은 값이 된다.
<접힘 회복 각도>
본 명세서의 용어 「접힘 회복 각도」는, 시트가 원래의 평면 형상으로 돌아가는 복원력을 나타낸다. 접힘 회복 각도는, 어느 시트를 일정한 압력으로 180도까지 구부려, 30초간 정치(靜置)한 후의 시트의 굽힘 각도를 나타낸다.
<경도>
본 명세서의 용어 「경도」란, 압축에 대한 저항을 나타낸다. 경도는, 10개의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에 2kg의 부하를 20초간 가하고,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의 오목한 평균 직경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측정된다. 도 2는, 부하를 가하기 전의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101), 및 부하가 가해지고 있는 동안의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102)를 나타낸다. 경도는, 부하(F)가 가해지기 전의 직경(Ds), 및 부하(F)가 가해지고 있을 때의 오목한 직경(Dd)으로부터, 다음 식으로 산출된다.
경도(%)=Dd/Ds×100(%)
이 시험은, 보그바르트사제 DD60A형 Densmeter라고 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 시험은, DD60A 테스트라고 불리며, 이 기기를 위한 표준 시험법에 따라 행해진다. 이 시험은, 섭씨 22±2도의 주위 온도에서 행해진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몇몇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를 통하여 공통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은 실시형태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그 형상이나 치수, 비 등은 실제와 다른 개소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류」 및 「하류」의 용어를 적절히 사용하는데, 이들은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을 흡연했을 때의 에어로졸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1)의 일례로서, 필터 부착 시가렛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 부착 흡연 물품(1)은, 필터가 접속된 다른 흡연 물품인, 예를 들면, 시가, 시가릴로, 전기 가열/화학 반응열을 이용한 비연소형 흡연 도구, 비가열형 흡연 도구 등이어도 된다.
필터 부착 흡연 물품(1)은, 에어로졸 발생 부재(11)와, 필터(12)와, 외측 래퍼(13)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부재(11)는, 예를 들면, 시가렛 로드(11)이다. 시가렛 로드(11)는, 통상의 시가렛과 마찬가지로, 담배살(111)과, 담배살(111)의 주위를 권장하는 시가렛 페이퍼(112)를 구비한다. 시가렛 페이퍼(112)는, 예를 들면 통기성을 가지는 종이이다.
필터(12)는, 시가렛 로드(11)의 하류단(下流端)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12)는, 시가렛 로드(11)와,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다. 필터(12)는, 필터재(121)와, 필터재(121)의 주위를 권장하는 필터 래퍼(122)로 이루어진다. 필터(12)는, 단일 필터재로 이루어지는, 플레인 필터 구조를 가진다.
외측 래퍼(13)는, 시가렛 로드(11)의 하류 단부 및 필터(12)의 외주면에 감기고, 시가렛 로드(11)와 필터(12)를 접속하고 있다. 외측 래퍼(13)는, 일반적인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접착제에 의해, 시가렛 로드(11) 및 필터(12)와 접착되어 있다.
외측 래퍼(13)로 권장된 필터(12)는, 압축하중 2.5N을 가한 후의 압축회복성이 6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8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70% 미만이다. 외측 래퍼(13)로 권장된 필터(12)의 압축회복성은, 외측 래퍼(13) 및 필터 래퍼(122)의 재료, 두께 및 평량(坪量), 및 필터재(121)의 재료 등에 의해 종합적으로 결정된다. 외측 래퍼(13)로 권장된 필터(12)로 이루어지는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은, 외측 래퍼(13)의 물리 특성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외측 래퍼(13)
외측 래퍼(13)는, 필터에 권장되었을 때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외측 래퍼(13)의 접힘 회복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60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0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도 이상 120도 이하이다.
외측 래퍼(13)는, 상술한 산술 평균 거칠기, 압축회복성, 바람직하게는 접힘 회복 각도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외측 래퍼(13)는, 예를 들면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시트로 구성된다.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시트는, 예를 들면 기재층(基材層)과, 기재층의 편면(片面) 또는 양면(兩面)에 설치된 표면층을 구비하고 있다.
기재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힘 회복 각도가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수지 필름이다. 수지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나일론-6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페닐술피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필름을 들 수 있다. 기재층은, 특히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필름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이다. 기재층은, 강성(剛性) 및 강도를 높이고, 또 접힘 회복 각도를 높이기 위해, 2축 연신(延伸)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은, 탄산칼슘, 소성(燒成) 클레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등의 무기(無機) 충전제 또는 유기(有機) 충전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기재층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표면층은, 외측 래퍼(13)의 외주면을 산술 평균 거칠기 2.0㎛ 이하로 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는 도공층(塗工層),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상층(紙狀層) 또는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를 함유하는 도공층을 들 수 있다.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는 도공층은, 예를 들면, 통상의 코트지(紙)의 표면층과 동일한 백색 안료 도공층이다.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는 도공층은, 예를 들면, 수성(水性) 수지 바인더, 무기 충전제, 수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또한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무기 충전제로서는, 탄산칼슘, 새틴화이트, 실리카, 산화티탄, 알루미나, 아연화(亞鉛華), 산화철, 클레이 및 황산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탄산칼슘 등의 충전재류(類) 및 산화티탄, 아연화, 산화철 등의 안료류(類)가 바람직하다. 표면층의 산술 평균 거칠기를 낮게 하기 위해, 무기 충전제의 입경(粒徑)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는 표면층을 가짐으로써, 인쇄성의 향상, 연필 필기성의 향상, 백도(白度)의 향상, 착색, 불투명감 부여, 표면의 평활성(平滑性) 향상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상층(紙狀層)이란, 예를 들면, 1축 방향으로만 연신 배향(配向)된 것에 의해 다수의 미크로보이드를 가지고 있는 수지 필름이다.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상층은, 상술한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상층은, 이 다수의 미크로보이드에 의해, 인쇄성의 향상, 연필 필기성의 향상, 백도의 향상, 착색, 불투명감 부여, 표면의 평활성 향상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를 함유하는 도공층이란, 예를 들면, 평균 50nm 이하, 또 평균 섬유 길이가 10㎛ 이상인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를 함유하는 도공층이다. 이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를 함유하는 도공층은,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를 적당한 용매(예를 들면 물 또는 알코올)에 분산하여 슬러리를 조정(調整)하고, 그 슬러리를 기재층에 도공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외측 래퍼(13)가 표면층을 가지면,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했을 때, 기재층이 수지 필름이어도, 플라스틱과 같은 감촉이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래퍼(13)는, 일반적으로 의장성(意匠性)을 높이기 위해, 로고 마크나 모양 등의 인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쇄성을 가지는 표면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래퍼(13)는, 수지 필름인 기재층,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는 도공층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상층의 표면층을 가지는, 합성지(合成紙)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는 도공층을 가지는 합성지를 표면 도공 방식의 합성지라고 부르며, 예를 들면 피치 코트(등록상표)(WER-135DS, WEFY-120, 또는 SEY-130FPP)(닛신보 페이퍼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상층을 가지는 합성지를, 내부지화(內部紙化) 방식의 합성지라고 하며, 예를 들면 유포트레이스(등록상표), 뉴유포(상품명), 울트라유포(등록상표)(가부시키가이샤 유포·코퍼레이션) 등을 들 수 있다.
외측 래퍼(13)의 평량은, 흡구부에 적절한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50g/m2 이상 200g/m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g/m2 이상 200g/m2 미만이다. 외측 래퍼(13)의 평량이 크면, 일반적으로 외측 래퍼(13)의 접힘 회복 각도도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외측 래퍼(13)의 두께는, 흡구부에 적절한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50㎛ 이상 1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50㎛ 미만이다. 외측 래퍼(13)가 두꺼우면, 일반적으로 접힘 회복 각도도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b) 필터재(121)
필터재(121)는, 통상의 필터재(121)로 구성되면 되고, 예를 들면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재(121)의 물리 특성은,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에 영향을 준다.
필터재(121)는, 또한 가소제(可塑劑)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가소제로서는,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를 가소화하는 가소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트리아세틴을 들 수 있다.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하여 가소제를 첨가하면,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가 부분적으로 용융하고, 섬유끼리가 접합된다. 그 결과,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하여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필터재(121)의 압축회복성이 증가한다. 가소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필터재(121)의 압축회복성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가소제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필터재(121)의 압축회복성을 조절할 수 있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흡구부에 필요하게 되는 압축회복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도 된다. 필터재(121)에서,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에 배합되는 가소제의 양은, 예를 들면,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하여 0중량%∼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재(121)에는, 접착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제를 첨가하면, 가소제를 첨가했을 때와 유사한 효과가 얻어져, 필터재(121)의 압축회복성이 상승한다. 그 때문에, 접착제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필터재(121)의 압축회복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필터재(121)는, 활성탄 등의 흡착재나 향료 캡슐 등의 향미 방출재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c) 필터 래퍼(122)
필터 래퍼(122)는, 예를 들면, 통상의 필터 부착 흡연 물품(1)에 사용되는 필터 래퍼(122)로 구성되면 되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베이스의 재료, 종이, 판지, 레콘, 셀룰로오스 베이스의 필름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필터 래퍼(122)는, 단층이어도 되고, 복수매가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 것이어도 된다. 필터 래퍼(122)의 물리 특성은,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에 영향을 준다. 필터 래퍼(122)의 평량 및 두께가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흡구부의 압축회복성 및 경도가 증가한다. 그러나 필터 래퍼(122)가 범용(汎用)적인 필터 래퍼인 두께 50㎛, 평량 27g/m2의 종이로 구성될 경우, 압축회복성에의 영향은 적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1)에 의하면, 외측 래퍼(13)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및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기 때문에,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할 때의 감각(무는 느낌)이 좋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래퍼로 권장되는 필터인 흡구부 전체가 산술 평균 거칠기 및 압축회복성을 만족시키고 있는 예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들 물리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은, 흡구부 중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할 때에 접하는 하류측의 단부뿐이어도 된다. 이 하류측의 단부란, 예를 들면 하류단(下流端)측으로부터 15mm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하류단으로부터 10mm의 범위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하는 부분에서는, 상술한 물리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기 때문에, 무는 느낌이 좋은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에서는,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의 경도는, 9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9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90 미만이다.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의 무는 느낌은, 흡구부의 경도가 극단적으로 높지 않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래퍼가 1매로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필터 래퍼는 복수매가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 구성이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1)은,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외측 래퍼(13) 및 필터 래퍼(122)를 구성하는 재료만 다르다.
(a) 외측 래퍼(13)
외측 래퍼(13)는, 필터에 권장되었을 때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인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외측 래퍼(13)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외측 래퍼(13)와 동일한 재료로서, 두께 및 평량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보다 적은 것으로 구성된다. 외측 래퍼(13)는, 예를 들면, 통상의 코트지여도 된다.
(b) 필터 래퍼(122)
필터 래퍼(122)는, 접힘 회복 각도가 6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도 이상 120도 이하이다. 필터 래퍼(122)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재층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필터 래퍼(122)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필름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필터 래퍼(122)는, 강성 및 강도를 높이고, 또 접힘 회복 각도를 높이기 위해, 2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래퍼(122)의 평량은, 흡구부에 적절한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50g/m2 이상 200g/m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g/m2 이상 200g/m2 미만이다. 필터 래퍼(122)는, 흡구부에 적절한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50㎛ 이상 1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50㎛ 미만이다. 외측 래퍼(13)의 평량 및 두께가 크면, 일반적으로 접힘 회복 각도가 향상하고,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이 향상한다.
또한, 외측 래퍼(13) 및 필터 래퍼(122)의 합계의 평량은, 흡구부에 적절한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50g/m2 이상 200g/m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g/m2 이상 200g/m2 미만이다. 또한, 외측 래퍼(13) 및 필터 래퍼(122)의 합계의 평량은,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50㎛ 이상 1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50㎛ 미만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1)과 동일하게,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할 때의 감각(무는 느낌)이 좋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래퍼가 1매로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필터 래퍼는 복수매가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복수매의 필터 래퍼가 접착된 것이, 상술한 접힘 회복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합계의 평량 및 두께가, 상술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형태)
도 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시가렛(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시가렛(2)은, 필터의 구성이 다른 것 이외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시가렛(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필터(22)는, 2개의 필터 세그먼트(22a, 22b)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22)는, 상류측에 배치된 제1 필터 세그먼트(22a)와, 하류측에 배치된 제2 필터 세그먼트(22b)로 구성되는, 이른바 듀얼 필터이다.
제1 필터 세그먼트(22a)는, 제1 필터재(221a)와, 제1 필터재(221a)를 권장하는 제1 내측 필터 래퍼(222a)로 이루어진다. 제2 필터 세그먼트(22b)는, 제2 필터재(221b)와, 제2 필터재(221b)를 권장하는 제2 내측 필터 래퍼(222b)로 이루어진다. 제1 필터 세그먼트(22a)와 제2 필터 세그먼트(22b)는, 그들의 외주면을 덮는 외측 필터 래퍼(22c)에 의해 감겨, 접속되어 있다. 외측 래퍼(23)는, 시가렛 로드(11)의 하류 단부 및 필터(22)의 외주면에 감겨, 시가렛 로드(11)와 필터(22)를 접속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필터 세그먼트(22a 및 22b) 중, 적어도 하류단측에 위치하는 제2 필터 세그먼트(22b)에 대응하는 개소에서는, 압축하중 2.5N을 가한 후의 압축회복성이 6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8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70% 미만이다. 외측 래퍼는, 적어도 제2 필터 세그먼트(22b)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a) 외측 래퍼(23)
외측 래퍼(23)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외측 래퍼(13)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b) 필터재(221a, 221b)
제1 필터재(221a) 및 제2 필터재(221b)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필터재(12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c) 필터 래퍼(222a, 222b, 22c)
제1 및 제2 내측 필터 래퍼(222a, 222b)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필터 래퍼(122)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외측 필터 래퍼(22c)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래퍼(122)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과 마찬가지로,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保持, 유지)할 때에 입술에 접촉하는 하류측의 단부가 외측 래퍼의 산술 평균 거칠기 및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을 만족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할 때의 감각(입에 무는 느낌)이 좋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필터 세그먼트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필터 세그먼트는 흡착제, 예를 들면 활성탄 등을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의 섬유 사이의 간극에 분산 첨가한 차콜 필터이며, 제2 필터 세그먼트는 통상의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터재인 등, 다른 기능을 가지는 듀얼 필터이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은, 듀얼 필터로 한정되지 않으며, 3 이상의 필터 세그먼트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은, 2개의 필터 세그먼트 사이에 하나의 중공부(中空部)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되고, 그 중공부에 파괴성 향료 캡슐이나 향미 입자를 구비하게 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들 구성에서도, 적어도 필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필터 세그먼트 중 하류단측에 위치하는 것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압축회복성 및 산술 평균 거칠기의 물리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은, 도 4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2)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외측 래퍼(23), 외측 필터 래퍼(22c) 및 제2 내측 필터 래퍼(222b)를 구성하는 재료만이 다르다.
(a) 외측 래퍼(23)
외측 래퍼는, 필터에 권장되었을 때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인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외측 래퍼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외측 래퍼(13)와 동일한 재료로서, 두께 및 평량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보다 적은 것으로 구성된다. 외측 래퍼(23)는, 예를 들면, 통상의 코트지여도 된다.
(b) 필터 래퍼(222a, 222b, 22c)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필터재(221a 및 221b)는, 각각 제1 및 제2 내측 필터 래퍼(222a 및 222b) 및 외측 필터 래퍼(22c)인 2매의 필터 래퍼로 권장되어 있다.
제1 내측 필터 래퍼(222a)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필터 래퍼(122)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제2 내측 필터 래퍼(222b)의 재료 및 외측 필터 래퍼(22c)의 재료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재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제2 내측 필터 래퍼(222b)의 재료 및 외측 필터 래퍼(22c)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필름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2축 연신 필름이다.
제2 내측 필터 래퍼(222b) 및 외측 필터 래퍼(22c)는, 서로 접착한 상태의 접힘 회복 각도가 바람직하게는 60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0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도 이상 12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내측 필터 래퍼(222b) 및 외측 필터 래퍼(22c)의 합계의 평량은,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50g/m2 이상 200g/m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g/m2 이상 200g/m2 미만이다. 제2 내측 필터 래퍼(222b) 및 외측 필터 래퍼(22c)의 합계의 두께는,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50㎛ 미만이다. 외측 래퍼의 평량 및 두께가 크면, 일반적으로 접힘 회복 각도가 향상하고, 또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이 향상한다.
또한, 외측 래퍼(23), 제2 내측 필터 래퍼(222b) 및 외측 필터 래퍼(22c)의 합계의 평량이,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50g/m2 이상 200g/m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g/m2 이상 200g/m2 미만이다. 외측 래퍼(23), 제2 내측 필터 래퍼(222b) 및 외측 필터 래퍼(22c)의 합계의 두께는,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을 얻기 위해, 50㎛ 이상 1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50㎛ 미만이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도,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할 때에 접하는 하류측의 단부가 외측 래퍼의 산술 평균 거칠기 및 흡구부의 압축회복성을 만족시키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도,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과 마찬가지로, 흡연시에 사용자가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할 때의 감각(무는 느낌)이 좋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서는, 하류단에 배치되는 필터재가 2매의 필터 래퍼로 권장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어 설명했지만, 3매 이상으로 권장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 경우, 접착된 복수매의 필터 래퍼가, 상술한 접힘 회복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합계의 평량 및 두께가, 상술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실시형태를 더 설명한다.
표 1에 나타내는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외측 래퍼, 필터 및 시험 샘플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시험 (1)∼(5)를 행했다. 시험 샘플이란,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제작한 외측 래퍼로 권장한 필터이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외측 래퍼에서는, (1) 산술 평균 거칠기, (2) 접힘 회복 각도의 측정을 행했다. 이어서, 시험 샘플을 이용하여, (3) 압축회복성, (4) 경도, 및 (5) 무는 느낌의 관능평가를 행했다.
표 1에는,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서 사용한 외측 래퍼의 제품명, 평량, 두께, 산술 평균 거칠기 및 접힘 회복 각도, 필터의 가소제량, 및 시험 샘플의 압축회복성, 경도 및 무는 느낌의 관능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우선,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외측 래퍼를 설명한다. 실시예 1∼3에서는, 합성지인 피치 코트(등록상표)(WER-135DS, 닛신보 페이퍼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를 사용했다. 피치 코트(등록상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기재층, 및 백색 안료 도공층인 표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4 및 5에서는, 합성지인 유포트레이스(등록상표)(TPRA#60, 가부시키가이샤 유포·코퍼레이션)를 사용했다. 실시예 6 및 7에서는, 유포트레이스(등록상표)(TPRA#90, 가부시키가이샤 유포·코퍼레이션)를 사용했다. 유포트레이스(등록상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2축 연신 필름인 기재층, 및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상층인 표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니뽄 다바코 가부시키가이샤의 메비우스라이트(등록상표) 등의 필터 부착 시가렛에 사용되고 있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범용 팁 페이퍼를 사용했다. 비교예 2∼4에서는, 셀로판(평량 33g/m2, 두께 30㎛)을 사용했다.
다음으로,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필터를 설명한다. 필터재는, 필라멘트 디닐 1.9g/9000m의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가부시키가이샤 다이셀)를 사용했다. 필터 래퍼는, 범용 필터 래퍼인 두께 50㎛, 평량 27g/m2의 종이(니혼세이시 파피리아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 따른 필터에서는,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만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재를 사용했다. 실시예 2, 4, 6, 및 비교예 3에 따른 필터에서는,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하여 트리아세틴인 가소제를 9.0중량% 첨가한 필터재를 사용했다. 또한, 실시예 3, 5, 7 및 비교예 4에 따른 필터에서는, 아세틸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하여 트리아세틴인 가소제를 17.0중량% 첨가한 필터재를 사용했다.
또한, 시험 샘플은, 이하의 방법으로 제작했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필터재를, 필터 래퍼로 상법(常法)에 의해 권장하여 절단하고, 각각 길이 27mm, 직경 24.2mm의 필터를 제작했다. 이어서,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외측 래퍼를, 각각의 필터에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권장했다. 또한, 이 시험 샘플에서는, 양면테이프는 외측 래퍼의 접합부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무는 느낌의 관능시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하에, 시험 (1)∼(5)의 내용을 설명한다.
(1) 산술 평균 거칠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외측 래퍼에 대해서, 산술 평균 거칠기의 측정을 행했다. 산술 평균 거칠기는, 외측 래퍼가 가지는 면 중 필터에 권장했을 때에 외주면으로 하는 면에서 측정을 행했다. 산술 평균 거칠기의 측정은, 가부시키가이샤 미츠토요제의 서프테스트 SJ-210(상품명)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산술 평균 거칠기의 측정에서의, 필터 처리에는, 가우시안 필터를 사용했다. 또한, 검출기에는, 스타일러스 선단(先端) R=2㎛ 및 선단 각도 60° 형상의 것을 사용했다. 측정 조건은, 규격 조건을 ISO1997에 준거하도록 설정하고, 거칠기 곡선 R을, 컷오프 값 λc=2.5mm, λs=8㎛, 구간 수(N) 4로 설정하여 구했다.
(2) 접힘 회복 각도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외측 래퍼에 대해서, 접힘 회복 각도의 측정을 행했다. 평가기(評價機)로서, 0.1MPa의 니프압(壓)이 되도록 서로 접촉되는 고무 롤러 및 메탈 롤러를 사용했다. 우선,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외측 래퍼를, 5.5cm×5.5cm의 치수로 절단한 후, 접힘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굽히면서, 한 변과 그 대향하는 한 변을 맞추어 루프 형상으로 했다. 이어서, 상술한 평가기의 고무 롤러 및 메탈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180도로 접어 겹쳐진 외측 래퍼를 실험대 상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30초 후의 접힘 회복 각도(°)를 측정했다.
(3) 압축회복성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시험 샘플에 관해서, 압축회복성의 시험을 행했다. 압축회복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압축변형량[mm]에 대응하는 압축복원력[N]을 플롯하여 얻어지는 압축변형량-압축복원력 곡선으로부터 산출된다. 압축변형량[mm]은, 압축하중에 의해 압축된 시험 샘플의 직경의 변형량이다. 압축복원력[N]은, 압축된 시험 샘플로부터의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힘이다.
압축변형량-압축복원력 곡선의 측정에는, 평가기로서, 레오미터(산카가쿠제 CR-3000EX-S)를 사용했다. 도 5는, 압축회복성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레오미터는, 시험 샘플을 재치(載置)하는 측정대(103)와, 직경 10mm의 원주형(圓柱形)의 플런저(104)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레오미터의 측정대(103)의 상면에 시험 샘플(105)을, 그 측면이 접촉하도록 재치했다. 시험 샘플(105)에 플런저(104)가 압축하중을 가하고 있지 않을 때(도 5의(a)), 시험 샘플(105)로부터의 압축복원력은 0N이며, 압축변형량은 0mm이다(점 A). 이어서, 시험 샘플(105)에 가해지는 압축하중이 2.5N이 될 때까지, 13mm/분의 속도로 원주 형상 플런저(104)를 수직방향으로 진행시켜, 시험 샘플(105)을 수직방향으로 압축한다(도 5의(b)). 이때의 압축변형량[mm]에 대응하는 압축복원력[N]을 기록한다(곡선 A-B). 이어서, 압축하중이 2.5N(압축복원력이 2.5N)에 도달했을 때, 플런저(104)에 의한 압축 조작을 정지하고 그때의 압축변형량 TBmm를 기록한다(점 B). 그 후, 압축 조작을 정지하고, 플런저(104)가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가동(可動)하는 상태로 하여, 시험 샘플(105)로부터의 복원력이 0N이 될 때까지 형상이 복원할 때의 압축변형량 mm에 대응하는 압축복원력[N]을 기록한다(곡선 B-C). 이어서, 압축복원력이 0N에 도달했을 때, 그때의 압축변형량 TCmm를 기록한다(점 C). 그 결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압축변형량-압축복원력 곡선에서, 압축시(곡선 A-B) 및 복원시(곡선 B-C)에서는 다른 곡선을 나타냈다. 도 1에서, 압축변형량 TBmm 및 압축복원력 0N인 점을 점 D로 한다.
압축변형량-압축복원력 곡선에서, 압축시(곡선 A-B)의 일량(영역 ABD의 면적), 복원시(곡선 B-C)의 일량(영역 CBD)을 각각 산출한다. 압축회복성[%]은, 다음 식으로 산출된다.
압축회복성[%]=(영역 CBD의 면적)/(영역 ABD의 면적)×100[%]
(4) 경도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시험 샘플에 관해서, 경도 시험을 행했다. 평가기로서, 보그바르트사제의 DD60A형 Densmeter를 사용했다. 경도는, 10개의 시험 샘플에 2kg의 부하를 20초간 가하고, 외측 래퍼로 권장된 필터의 오목한 평균 직경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구해진다. 이 시험은, 이 기기를 위한 표준 시험법에 따라, 섭씨 22±2도의 주위 온도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장치는, 각 실린더의 길이가 16cm, 직경이 10mm인 2개의 평행 금속 실린더 쌍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실린더 쌍을 10개의 하방(下方)에 16mm 떨어져서 평행하게 배치하여 시험 샘플의 지지체로서 작용시키고, 이들 제1 실린더 쌍을 시험 샘플이 건너도록 10개의 시험 샘플을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배치한다. 시험 중, 제1 실린더 쌍은 정지한 채이다. 제2 실린더 쌍을 제1 실린더 쌍과 위치 맞춤하고, 시험 중에 제1 실린더 쌍과 제2 실린더 쌍이 시험 샘플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가까워지도록 한다. 제2 실린더 쌍을, 10개의 시험 샘플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배치하고, 10개의 시험 샘플에 걸쳐 2kg의 부하를 부여한다. 이때, 제1 및 제2 실린더 쌍은, 각각 20점에서 시험 샘플에 접촉한다. 20초간에 걸쳐 시험 샘플 상에 부하를 보지하고, 압축된 시험 샘플의 직경을 측정한 후에 시험을 종료한다. 시험 중에는, 각 시험 샘플을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떨어뜨려서 배치한다. 10개의 시험 샘플의 선단을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을 사용하여, 시험 중에 10개의 시험 샘플이 서로 평행하게 등간격을 둔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는 지원(支援)으로 할 수 있다. 이 시험 방법은, 일본 특표2016-523565호 공보에 기재된 경도의 측정 방법과 동일한 것이다.
(5) 무는 느낌의 관능평가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 따른 시험 샘플을, 23명의 패널에게 실제로 물게 하여, 흡구부를 입술로 보지한 감각(무는 느낌)에 관하여 관능평가를 행했다. 또한, 무는 느낌은, 23명의 패널이, 무는 느낌이 매우 좋다고 느꼈을 경우는 「7」, 좋다고 느꼈을 경우는 「6」, 약간 좋다고 느꼈을 경우는 「5」,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고 느꼈을 경우에는 「4」, 약간 싫다고 느꼈을 경우에는 「3」, 싫다고 느꼈을 경우에는 「2」, 매우 싫다고 느꼈을 경우에는 「1」이라고 하는 7단계의 수치로 평가하게 하여, 평균한 값이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외측 래퍼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고, 압축회복성이 60% 이상인 실시예 1∼7에 따른 시험 샘플에서는, 관능평가가 4.0∼5.1의 높은 수치가 되었다. 실시예 1∼7에 따른 시험 샘플은, 모두 100도 이상의 외측 래퍼의 접힘 회복 각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실시예 1∼7 중에서도, 시험 샘플의 경도가 90% 미만인 실시예 1, 4 및 6에서는, 관능평가가 4.6∼5.1로 특히 높은 수치가 되었다. 특히, 산술 평균 거칠기가 0.7㎛ 이하이며, 압축회복성이 61%, 경도가 89%, 접힘 회복 각도가 100도인 실시예 1에서, 무는 느낌이 5.1의 수치이며 가장 높았다.
이에 대하여,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이상인 비교예 1∼4에서는, 관능평가가 4.0 미만의 낮은 수치가 되었다. 비교예 1∼4에서는, 외측 래퍼의 접힘 회복 각도가 모두 60도 미만이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7에 따른 외측 래퍼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며, 압축회복성이 60% 이상인 시험 샘플에서는 관능평가에서 높은 평가이며, 매력이 향상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몇몇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아울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
11…에어로졸 발생 부재(시가렛 로드)
111…담배살 112…시가렛 페이퍼
12, 22…필터 121…필터재
13, 23…외측 래퍼
2…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부착 흡연 물품
22a…제1 필터 세그먼트 22b…제2 필터 세그먼트
221a…제1 필터재 221b…제2 필터재
222a…제1 내측 필터 래퍼 222b…제2 내측 필터 래퍼
22c…외측 필터 래퍼

Claims (17)

  1. 에어로졸 발생 부재;
    필터재와, 상기 필터재의 외주면을 권장(卷裝)하는 1매 또는 복수매의 필터 래퍼를 구비하는 필터;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부재의 단부(端部) 및 상기 필터의 외주면을 권장하는 외측 래퍼;
    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래퍼의 외주면은, 산술 평균 거칠기가 2.0㎛ 미만이고,
    상기 외측 래퍼로 권장된 상기 필터는, 길이 10mm의 범위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압축하중 2.5N을 가한 후의 압축회복성이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래퍼의 외주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는,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래퍼 또는, 상기 1매 혹은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접힘 회복 각도가 6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래퍼 또는, 상기 1매 혹은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상기 접힘 회복 각도는, 10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래퍼 또는, 상기 1매 혹은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상기 접힘 회복 각도는, 100도 이상 12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래퍼는, 복수층(複數層)을 포함하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층을 포함하는 시트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基材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2축 연신(延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층을 포함하는 시트는, 상기 기재층의 편면(片面) 또는 양면(兩面)에 설치된 표면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무기(無機)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래퍼로 권장된 상기 필터는, 경도가 9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래퍼의 평량(坪量)은, 100g/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래퍼의 두께는,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14.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매 또는 복수매의 필터 래퍼는,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1매 또는 복수매의 필터 래퍼는, 2축 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16.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
    상기 1매 또는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합계의 평량은, 100g/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17. 청구항 1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매 또는 복수매의 필터 래퍼의 합계의 두께는,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부착 흡연 물품.
KR1020197028649A 2017-03-06 2017-03-06 필터 부착 흡연 물품 KR102297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8832 WO2018163253A1 (ja) 2017-03-06 2017-03-06 フィルタ付き喫煙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804A true KR20190120804A (ko) 2019-10-24
KR102297811B1 KR102297811B1 (ko) 2021-09-02

Family

ID=6344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649A KR102297811B1 (ko) 2017-03-06 2017-03-06 필터 부착 흡연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387788A1 (ko)
EP (1) EP3586652B9 (ko)
JP (1) JP6790228B2 (ko)
KR (1) KR102297811B1 (ko)
CN (1) CN110381756B (ko)
RU (1) RU2720966C1 (ko)
WO (1) WO20181632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299A1 (ko) 2019-09-30 2021-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소화 반응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037284A (zh) * 2018-11-14 2020-10-16 日商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非燃燒加熱吸煙物品及非燃燒加熱吸煙系統
JP7178481B2 (ja) * 2019-03-22 2022-11-2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
EP3895564A4 (en) * 2019-03-22 2022-09-07 Japan Tobacco Inc. PROCESS FOR MANUFACTURE OF SMOKING ARTICLES
WO2021199908A1 (ja) * 2020-04-01 2021-10-07 株式会社東亜産業 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
EP4225859B1 (en) * 2020-11-12 2024-01-31 Sun Chemical Corporation Titanium dioxide-free cigarette tipping inks
WO2022210881A1 (ja) * 2021-03-31 2022-10-0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加熱式香味吸引物品及び非燃焼加熱式香味吸引製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078A1 (ja) * 2014-01-20 2015-07-2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用のチップペーパー及びそれを用いた喫煙物品
JP2015536154A (ja) * 2012-12-04 2015-12-2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透明なラッパーを備えた喫煙物品
JP2016523565A (ja) 2013-07-16 2016-08-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放射状に堅い喫煙物品フィルター
US20170042219A1 (en) * 2014-05-30 2017-02-16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ventilated mouth end cavity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G10567A (en) 1970-05-13 1976-01-31 Celanese Corp Tobacco smoke filter
DE2327822A1 (de) 1973-06-01 1974-12-19 Roth & Co Pty Ltd H Zigarettenmundstueck
JPS55135581A (en) * 1979-04-12 1980-10-22 Mitsubishi Rayon Co Plug for tobacco filter
CN1044674A (zh) * 1989-01-31 1990-08-15 大连轻工业学院 用于香烟过滤嘴的粘接剂
JPH0657527A (ja) * 1992-08-11 1994-03-01 Chisso Corp ポリオレフィントウ
GB9303583D0 (en) 1993-02-23 1993-04-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Improvements relating to smoking articles
JP3677310B2 (ja) * 1994-10-31 2005-07-27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たばこフィルター素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たばこフィルター
JP3606950B2 (ja) * 1995-05-31 2005-01-05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たばこ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138974C1 (ru) * 1999-03-12 1999-10-10 Погосян Сейран Амаякович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CN2523716Y (zh) * 2001-11-05 2002-12-04 杨士圣 软硬塑料一体成型的吸嘴
MY150067A (en) * 2007-12-14 2013-11-29 Japan Tobacco Inc Cigarette filter and filter-tipped cigarette
GB0818810D0 (en) * 2008-10-14 2008-11-19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US20100108084A1 (en) 2008-10-31 2010-05-06 Norman Alan B Filtered cigarette with diffuse tipping material
CN201528655U (zh) * 2009-09-23 2010-07-21 大亚科技股份有限公司 卷烟滤棒
EP2740370B1 (en) 2011-08-05 2016-04-20 Japan Tobacco Inc. Cigarette
EP2625974A1 (en) * 2012-02-13 2013-08-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 flavour-generating component
GB2503644A (en) * 2012-05-03 2014-01-08 British American Tobacco Co Filter
GB201219540D0 (en) * 2012-10-31 2012-12-12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JP5877570B2 (ja) 2012-11-26 2016-03-0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フィルタシガレット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シガレット
WO2014190485A1 (zh) * 2013-05-28 2014-12-04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热塑性弹性体复合材料、电子烟部件及其制备电子烟部件的方法
GB201315492D0 (en) * 2013-08-30 2013-10-1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CN203709252U (zh) * 2013-12-04 2014-07-16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卷烟软烟嘴
EP2910134A1 (en) * 2014-02-24 2015-08-26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having concentric filter segment
US11219239B2 (en) 2014-10-20 2022-01-11 Philip Morris Products S.A. Hydrophobic tipping paper
US9950858B2 (en) * 2015-01-16 2018-04-2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derived cellulose material and products formed thereof
WO2016151681A1 (ja) * 2015-03-20 2016-09-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用フィルターおよびシガレット
CN106036999A (zh) * 2016-08-08 2016-10-26 普瑞特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香烟复合滤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6154A (ja) * 2012-12-04 2015-12-2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透明なラッパーを備えた喫煙物品
JP2016523565A (ja) 2013-07-16 2016-08-1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放射状に堅い喫煙物品フィルター
WO2015108078A1 (ja) * 2014-01-20 2015-07-2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用のチップペーパー及びそれを用いた喫煙物品
US20170042219A1 (en) * 2014-05-30 2017-02-16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ventilated mouth end ca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299A1 (ko) 2019-09-30 2021-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소화 반응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6652A9 (en) 2023-02-22
EP3586652B9 (en) 2023-03-01
EP3586652A4 (en) 2020-12-16
EP3586652A1 (en) 2020-01-01
CN110381756B (zh) 2022-02-08
WO2018163253A1 (ja) 2018-09-13
JP6790228B2 (ja) 2020-11-25
KR102297811B1 (ko) 2021-09-02
US20190387788A1 (en) 2019-12-26
JPWO2018163253A1 (ja) 2019-11-07
CN110381756A (zh) 2019-10-25
EP3586652B1 (en) 2021-12-29
RU2720966C1 (ru)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0804A (ko) 필터 부착 흡연 물품
JP6672424B2 (ja) 透明なラッパーを備えた喫煙物品
WO2017187628A1 (ja) フィルター付きシガレット
JP2022058733A (ja) 喫煙物品
TW201334711A (zh) 紙管及使用該紙管之香味吸嚐具
FR2541935A1 (fr) Tissu ouate doux et resistant a l'humidite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JP2004518039A (ja) 多目的吸収性及び寸断耐性シート材
JP2021101717A (ja) 喫煙物品
JP6633565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FR2918924A1 (fr) Feuille composite, rouleau d'une telle feuille, paquet de feuil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JP6592532B2 (ja) チップペーパーおよびフィルター付き喫煙物品
JP2013188291A (ja) ティシュペーパー
TWI710324B (zh) 附濾嘴之吸煙物品
JP7337263B2 (ja) 非燃焼加熱式たばこ及び加熱式たばこ製品
WO2022230408A1 (ja) 香味吸引物品用ペーパーフィルター
US701142A (en) Garment-stretcher.
TWI599322B (zh) 外層紙及附濾嘴之吸煙物品
TW202021514A (zh) 方筒吸管的製造方法及方筒吸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