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668A -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668A
KR20190120668A KR1020180044123A KR20180044123A KR20190120668A KR 20190120668 A KR20190120668 A KR 20190120668A KR 1020180044123 A KR1020180044123 A KR 1020180044123A KR 20180044123 A KR20180044123 A KR 20180044123A KR 20190120668 A KR20190120668 A KR 20190120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mobile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radio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영
Original Assignee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668A/ko
Publication of KR2019012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근접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경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또한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송출한다. 그러면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한 제2 모바일 단말로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동일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수집하여 근접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제1 단말이 위치정보 신호를 주변 영역으로 송신하고,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하여 근접 위치 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제2 단말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러한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2 단말 사용자도 특히 건물 실내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LOCATION SHARING METHOD FOR LOCATION-BASED SERVICES AND THE SYSTEM}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정보 수집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제1 단말이 근접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제2 단말로 위치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근접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제2 단말 사용자도 특히 건물 실내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 등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장비를 활용한 위치기반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으나, 비콘 등 장비의 구매, 설치, 배터리 교체 등 유지보수가 발생하여 구축 기간이 길고 고비용인 단점이 있어 근접 위치기반 서비스가 크게 확장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제 비콘 장비의 설치가 필요없는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측정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가상 비콘을 이용하여 기 등록 서비스 위치에 근접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BLE 비콘과 같은 장비를 활용하지 않고도 위치정보를 단말에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Wi-Fi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수집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인데, 일부 단말(iOS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기기)에서는 위치를 판단하는 중요 무선신호를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즉, iOS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기기는 정책적으로 Wi-Fi 스캔정보를 제조사인 애플(Apple) 이외의 타사가 제작한 앱(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지 않아, 외부 서비스 앱(어플리케이션)은 Wi-Fi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수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iOS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폰에서는 가상 비콘 기술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없으며, 가상 비콘 기술을 활용한 위치기반 서비스가 불가능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4184호(2016.11.0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0603호(2015.01.0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2881호(2006.01.0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정 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이 위치 정보를 주변 영역으로 송출하고,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한 제2 모바일 단말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이러한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근접 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제2 모바일 단말 사용자도 건물 실내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한 제2 모바일 단말로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경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또한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위치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동일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 가능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한 제2 모바일 단말로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수집하고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해당위치 ID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1 해당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고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 후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위치정보 신호에 대응하는 제2 해당위치 ID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2 해당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고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 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iOS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 단계에서 제1 모바일 단말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하는 것은 서비스 등록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상기 서비스 등록위치 간의 사이 거리에 따라 위치정보 신호 송출 거리를 조정하여, 제2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는 서비스 등록위치에 대응하는 등록 데이터값이 기저장되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현재 위치에 대한 측정 데이터값과 등록 데이터값의 각 전파의 신호세기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유사도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서비스 등록위치 간의 사이 거리를 추정 가능하며,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서비스 등록위치 간의 사이 거리의 증감에 따라 위치정보 신호 송출 거리를 조절하여 송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한 제2 모바일 단말로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위치 측위를 할 수 있는 기준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 베이스와, 특정 서비스 등록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전파정보가 미리 측정된 기준 데이터값이 저장되는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와,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위치 ID별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모바일 단말들과 통신 가능한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가 상기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경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단말 화면 상에 표시하며, 또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 모바일 단말; 및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동일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2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근접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경우 위치 정보를 주변 영역으로 송출하고,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한 제2 모바일 단말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이러한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근접 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제2 모바일 단말 사용자도 건물 실내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모바일 단말은 서비스 등록위치 와의 거리 정도(유사도)에 따라 무선신호 송출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제2 모바일 단말이 이러한 무선 신호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신하여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을 일정 이상 벗어난 영역으로까지 무선 신호가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 두 개의 단말간 위치공유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벤트 존 중심과 제1 모바일 단말간 사이 거리에 따른 무선신호 송출 거리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무선 정보 수집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단말(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이 근접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단말로 위치정보를 전달하여 근접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단말 사용자도 특히 건물 실내에서 위치기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74184호(2016년 11월 2일 등록, 명칭: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즉, 별도의 비콘 장치 없이 가상 비콘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 측위를 가능하게 하고,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는 무선측위 기준이 되는 기준 데이터, 관리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등록한 특정 서비스 제공위치의 서비스 등록 위치에 관한 데이터,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 등이 기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제1 모바일 단말이 이러한 가상 비콘을 이용하여 서비스 등록위치로 이동 완료하면,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게 된다. 한편, 제1 모바일 단말은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수집이 불가능하여 특정 서비스 제공위치에 근접하였음을 판단하지 못하는 제2 모바일 단말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전달해준다. 이러한 위치정보를 수신한 제2 모바일 단말은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함으로써, 제2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도 특히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컨텐츠 정보(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실내 공간에서 가상 비콘을 통해 위치 측위가 불가하여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힘든 단말의 사용자에게도 위치기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4차 산업 혁명이 이루어지는 요즘 위치기반 서비스가 더욱 사회 곳곳에 확대되도록 하여 이용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지도 서비스, 쿠폰 제공 서비스, 각종 컨텐츠 제공 서비스, 증강현실을 적용한 건물, 상점, 제품 구매/확인,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 상의 이벤트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시스템(이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 제1 모바일 단말(200) 및 제2 모바일 단말(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제1 모바일 단말(200)에 비해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타사의 서비스 앱(어플리케이션)은 Wi-Fi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수집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제2 모바일 단말(300)은 iOS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바일 단말의 일 예인 iOS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기기는 정책적으로 Wi-Fi 스캔정보를 제조사인 애플(Apple) 이외의 타사가 제작한 앱(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지 않아, 타사 서비스 앱(어플리케이션)은 Wi-Fi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수집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실내 공간에서 제대로 된 위치측정이 불가하거나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져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많은 iOS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기기(예를 들어 애플사의 아이폰 등)의 사용자도 한층 편하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먼저,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는 제1 모바일 단말(200), 제2 모바일 단말(300)과 상호 통신 가능하며 제1 모바일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설정된 서비스 등록위치(이벤트 존 영역, 위치기반 컨텐츠를 받을수 있도록 설정한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1 모바일 단말(200)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제1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모바일 단말(300)로도 동일한 위치기반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는,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 베이스(110),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120) 및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30)를 포함한다.
먼저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 베이스(110)는 위치 측위를 할 수 있는 기준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백화점이나 쇼핑센터와 같은 건물 내 실내 공간에서 위치 측위작업시 기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매장, 화장실, 엘리베이터, 비상구 등 다양한 기준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다.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 베이스(110)로의 위치 데이터(층(floor), 위도, 경도 등) 저장 작업은, 상기 등록특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장 관리인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기준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직접 이동하여 측위하고 측위된 결과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120)는 특정 서비스 등록위치(이벤트 존 중심)에서의 와이파이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전파정보가 미리 측정된 기준 데이터값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매장 관리인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영역(지점, 포인트)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위치로 직접 이동하여 등록위치에 대한 기준 데이터값을 수집하고 이 기준 데이터값을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데이터값'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서비스 등록위치의 위치 ID, 위도, 경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30)에는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된 복수의 위치 ID별 컨텐츠 정보가 기저장되며 제1 모바일 단말(200), 제2 모바일 단말(300)이 특정 조건(위치기반 서비스 영역(이벤트 존 영역) 내에 있음)을 만족할 경우 광고, 쿠폰 발행, 할인 정보, 길 안내 등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모바일 단말(200)은 Wi-Fi,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무선신호 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하고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 내에 있을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바일 단말(200)은, 현재 위치에서 와이파이,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전파를 측정하는 전파 측정부(미도시), 후술하는 제1 위치측정 제어부(210) 또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명령에 의해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 위치 ID 생성부(211)와 위치기반 컨텐츠 수신/알림부(212)와 위치정보 송신부(213)를 포함하는 제1 위치측정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위치 ID 생성부(211)는 전파 측정부(미도시)를 통해 수집된 무선 신호를 전달받아 무선 측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1 모바일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확인 결과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120)에 기저장된 기준 데이터값과 허용 오차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해당 위치에 대한 해당위치 ID를 생성한다. 여기서, 해당위치 ID는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120)에 기저장되어 있는 위치 ID와 동일하도록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기반 컨텐츠 수신/알림부(212)는 위치 ID 생성부(211)에서 생성된 해당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하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앱 푸시 알림 등의 방식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위치정보 송신부(213)는 블루투스,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정보 신호, 즉 위치 ID 생성부(211)에서 생성된 해당위치 ID 등을 발생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다음,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제1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블루투스,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하여 제1 모바일 단말(200)과 동일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바일 단말(300)은, 현재 위치에서 와이파이,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전파를 측정하는 전파 측정부(미도시), 후술하는 제2 위치측정 제어부(310) 또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명령에 의해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 위치정보 수신부(311)와 위치 ID 생성부(312)와 위치기반 컨텐츠 수신/알림부(313)를 포함하는 제2 위치측정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위치정보 수신부(311)는 블루투스,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정보 송신부(213)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위치 ID 생성부(312)는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 신호를 토대로 위치 ID를 생성하게 되는데 실질적으로는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 ID 생성부(211)에서 생성한 위치 ID와 동일한 위치 I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국 제1 모바일 단말(200) 사용자가 설정된 특정 등록위치나 서비스 영역 내에 있을 경우 생성되는 제1 모바일 단말(200), 제2 모바일 단말(300) 각각의 위치 ID는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120)에 기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등록 위치 ID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값을 갖게 된다.
위치기반 컨텐츠 수신/알림부(313)는 위치 ID 생성부(312)에서 생성된 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하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2 모바일 단말(300) 사용자에게 앱 푸시 알림 등의 방식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이하, '위치공유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공유 방법은, 무선신호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200,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단말기)로부터 제2 모바일 단말(300, 예를 들어 iOS 운영체제 기반의 단말기)로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제2 모바일 단말(300)은 수신한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와 통신하여 제1 모바일 단말(200)과 동일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공유 방법은, 제1 모바일 단말 위치 확인단계(S100), 등록위치 근접여부 판단단계(S200), 제1 해당위치 ID 생성단계(S300), 제1 해당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 수신/알림 단계(S400), 제1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송신단계(S500), 제2 모바일 단말의 제1 모바일 단말 위치정보 수신단계(S600), 제2 해당위치 ID 생성단계(S700), 제2 해당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 수신/알림 단계(S800)를 포함한다.
먼저, 위치기반 서비스의 시작을 위해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사용자는 위치기반 서비스 앱을 구동하고, 앱의 전파 측정부(미도시)는 와이파이,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무선 위치 신호를 수집하고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에 기저장되어 있는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S100).
다음, 제1 위치측정 제어부(210)의 위치 ID 생성부(211)는 확인된 현재 위치와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에 기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S200단계에서 제1 모바일 단말(200)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ID 생성부(211)는 제1 모바일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제1 해당위치 ID를 생성한다(S300). S200단계에서 제1 모바일 단말(200)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 즉 서비스 영역(이벤트 존)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00단계를 반복하여 실시하게 된다.
다음, 위치기반 컨텐츠 수신/알림부(212)는 제1 해당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에 요청하고 해당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400). 예를 들면, 광고, 쿠폰 발행, 할인 정보, 길 안내 등 다양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푸시 알림 등의 방식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다음, 제1 위치측정 제어부(210)의 위치정보 송신부(213)는 제1 모바일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신호를 생성하고 주변 영역으로 무선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S500). 이상이 제1 모바일 단말(200)에서 실시되는 과정이다. 여기서, 제1 위치측정 제어부(210)는 무선 신호 송출 거리, 즉 신호 송출 반경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제2 모바일 단말(300)이 이러한 무선 신호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신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을 일정 이상 벗어난 영역으로까지 무선 신호가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모바일 단말(200)의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이하부터는 제2 모바일 단말(300)에서 실시되는 과정으로서, 제2 모바일 단말 사용자는 제1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은 후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와 상호 통신함으로써 제1 모바일 단말 사용자와 동일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2 위치측정 제어부(310)의 위치정보 수신부(311)는 블루투스,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한다(S600). 제2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S500단계에서의 제1 모바일 단말(200) 무선 위치 신호 송출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 S600단계에서의 위치정보 수신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적절한 위치에 도달할 경우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제2 위치측정 제어부(310)의 위치 ID 생성부(312)는 S600단계에서 수신한 위치정보 신호에 대응하는 제2 해당위치 ID를 생성한다(S700). 구체적으로, 위치 ID 생성부(312)는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 신호를 토대로 위치 ID를 생성하게 되는데 실질적으로는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 ID 생성부(211)에서 생성한 위치 ID와 동일한 위치 ID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국 제1 모바일 단말(200) 사용자가 설정된 특정 등록위치나 서비스 영역 내에 있을 경우 생성되는 제1 모바일 단말(200), 제2 모바일 단말(300) 각각의 위치 ID는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120)에 기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등록 위치 ID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값을 갖게 된다.
이어서, 위치기반 컨텐츠 수신/알림부(313)는 제2 해당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에 요청하고 해당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800).
이하, S500단계에서 제1 모바일 단말(200)의 무선 위치정보 신호 송출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 모바일 단말(200)은 근접 무선신호 세기를 조정하여 제2 모바일 단말(300)이 위치정보를 수신하도록 무선신호 송출 거리를 조절 가능하다.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의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120)에는 서비스 등록위치에 대응하는 등록 데이터값이 기저장되고, S200단계에서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 ID 생성부(211)는 현재 위치에 대한 측정 데이터값과 상기 등록 데이터값의 각 전파의 신호세기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유사도를 통해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서비스 등록위치(도면상 이벤트 존 중심) 간의 사이 거리를 추정하게 된다. 유사도와 사이 거리는 반비례 관계이다. 즉, 신호세기의 유사도가 크면 제1 모바일 단말과 서비스 등록위치(이벤트 존 중심)간의 거리가 가까운 것을 의미하고, 신호세기의 유사도가 작으면 제1 모바일 단말과 서비스 등록위치(이벤트 존 중심)간의 거리가 먼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유사도를 계산한 후,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정보 송신부(213)는 사이 거리의 증감 정도(유사도)에 따라 무선신호 송출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제2 모바일 단말(300)이 이러한 무선 신호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신하여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기반 서비스 영역을 일정 이상 벗어난 영역으로까지 무선 신호가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모바일 단말(200)의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제1 모바일 단말(200)은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의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120)로부터 등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으며 또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호간의 유사도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따라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의 신호 거리를 조정하여 송출하게 된다.
도 4(a)를 보면, 제1 모바일 단말(200, A)이 이벤트 존 중심과 상당히 근접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위치정보 송신부(213)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에 기등록되어 있는 서비스 영역(이벤트 존 영역) 반경까지 무선 위치정보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제2 모바일 단말(300,B) 사용자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모바일 단말 사용자와 동일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b)를 보면, 제1 모바일 단말(300, A)이 이벤트 존 중심과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위치정보 송신부(213)는 마찬가지로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100)에 기등록되어 있는 서비스 영역을 일정 이상 벗어나지 않는 영역까지 무선 위치정보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도 4(a)의 경우에 비해 무선신호 송출 거리는 작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이벤트 영역을 벗어나는 곳까지 무선 신호를 송출함에 따른 배터리 소모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110: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 베이스
120: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 130: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
200: 제1 모바일 단말 211: 위치 ID 생성부
212: 위치기반 컨텐츠 수신/알림부 213: 위치정보 송신부
300: 제2 모바일 단말 311: 위치정보 수신부
312: 위치 ID 생성부 313: 위치기반 컨텐프 수신/알림부

Claims (7)

  1. 특정 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한 제2 모바일 단말로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경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고 또한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위치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동일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 가능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2. 특정 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한 제2 모바일 단말로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수집하고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기저장되어 있는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해당위치 ID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1 해당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고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 후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위치정보 신호에 대응하는 제2 해당위치 ID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이 상기 제2 해당위치 ID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고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 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은 iOS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제1 모바일 단말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하는 것은 서비스 등록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상기 서비스 등록위치 간의 사이 거리에 따라 위치정보 신호 송출 거리를 조정하여, 제2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는 서비스 등록위치에 대응하는 등록 데이터값이 기저장되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현재 위치에 대한 측정 데이터값과 등록 데이터값의 각 전파의 신호세기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유사도를 통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서비스 등록위치 간의 사이 거리를 추정 가능하며,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서비스 등록위치 간의 사이 거리의 증감에 따라 위치정보 신호 송출 거리를 조절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6. 특정 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 가능한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에서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 이용이 불가능한 제2 모바일 단말로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위치 측위를 할 수 있는 기준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는 무선측위 기준 데이터 베이스와, 특정 서비스 등록위치에서의 Wi-Fi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전파정보가 미리 측정된 기준 데이터값이 저장되는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와, 서비스 등록위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위치 ID별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모바일 단말들과 통신 가능한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Wi-Fi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위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가 상기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한 경우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단말 화면 상에 표시하며, 또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 모바일 단말; 및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동일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2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이 서비스 등록위치에 근접하는 것은 서비스 등록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상기 서비스 등록위치 간의 사이 거리에 따라 위치정보 신호 송출 거리를 조정하여, 제2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위치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시스템.








KR1020180044123A 2018-04-16 2018-04-16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120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23A KR20190120668A (ko) 2018-04-16 2018-04-16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23A KR20190120668A (ko) 2018-04-16 2018-04-16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68A true KR20190120668A (ko) 2019-10-24

Family

ID=6842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123A KR20190120668A (ko) 2018-04-16 2018-04-16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6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626A (ko) * 2020-12-29 2022-07-06 (주)피플앤드테크놀러지 접촉자 추적을 위한 사용자 단말 기반의 측위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881B1 (ko) 2003-02-11 2006-01-20 이예분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80603B1 (ko) 2013-04-19 2015-01-08 주식회사 에스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수집과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4184B1 (ko) 2015-03-19 2016-11-09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881B1 (ko) 2003-02-11 2006-01-20 이예분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80603B1 (ko) 2013-04-19 2015-01-08 주식회사 에스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수집과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4184B1 (ko) 2015-03-19 2016-11-09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가상 비콘을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626A (ko) * 2020-12-29 2022-07-06 (주)피플앤드테크놀러지 접촉자 추적을 위한 사용자 단말 기반의 측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3528A1 (en) Wireless beacon and sensor node network application for the optimization and automation of on-site hoist operation and vertical transportation
CA2913708C (en) Method for indicating proximity, corresponding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4365123A (zh) 用于移动装置的网络中心无线局域网定位的系统及方法
CN104871576A (zh) 包含近场通信的移动设备情境
US10433101B2 (en) Location services in an obfuscated wireless network
KR101628265B1 (ko)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JP2004357216A (ja) 位置探索システム及び位置探索方法
JPWO2006001140A1 (ja) 携帯端末とこれを用いた無線品質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20160029157A1 (en) Assistance techniques
US115528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oor tracking via Wi-Fi fingerprinting and electromagnetic fingerprinting
US20210204088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location coordinates obtained from mobile devices
KR20140113764A (ko) 랜드마크 센서를 통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120668A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단말 간 위치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55910B1 (ko) 실시간 그룹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44203A (ko) 지그비 기반 설비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US20210090067A1 (en) Offline proximity rideshare booking system
KR20110057838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1802663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300878B1 (ja) 管理対象端末、サーバ、携帯電話装置、携帯情報端末プログラム、携帯電話装置プログラム及び位置管理システム
JP2008306676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近距離内通信相手探索方法
KR102250572B1 (ko)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97436B1 (ko) 비컨을 이용한 위치 검출 서버 및 방법
JP6964842B2 (ja) 位置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位置情報サービス方法及び端末プログラム
KR20160073622A (ko) 분실물 위치 제공 방법,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2755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용 시청범위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