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838A -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838A
KR20110057838A KR1020090114409A KR20090114409A KR20110057838A KR 20110057838 A KR20110057838 A KR 20110057838A KR 1020090114409 A KR1020090114409 A KR 1020090114409A KR 20090114409 A KR20090114409 A KR 20090114409A KR 20110057838 A KR20110057838 A KR 2011005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service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905B1 (ko
Inventor
서인아
Original Assignee
서인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아 filed Critical 서인아
Priority to KR102009011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9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이동 통신 단말기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 진입했음을 감지하는 단계; (b)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해 사용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건물 내에서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 단말기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GPS를 이용하지 않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공간을 초월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무선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개인의 단말기 사용에 따른 진일보된 개인화 서비스이며 사용자의 이동성에 기반하여 고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특징이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금융, 환율, 교통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문자, 음성,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 중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휴대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인접 지역 정보 제공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교통 정보, 차량 항법 및 물류 관제, 위치 기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GPS 측정값인 항법 데이터(Navigation Data)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거나, 기지국 기반 혹은 네트워크 기반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왔다.
도 1은 GPS 위성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GPS 위성(110), 이동 통신 단말기(120)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40)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20)에는 GPS 수신기가 장착되어 다수의 GPS 위성(1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20)는 무선 통신망(130)을 통해서 자신의 현재 위치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40)에 제공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140)로부터 이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한 위치 측정은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없어 오차 범위가 크게 발생하며, 위성의 수신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건물 내에서는 이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대규모 복합 건물은 내부에 다양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복잡한 구도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면, 사용자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상상황에서 위기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GPS를 이용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GPS 수신기가 장착되어 있어야 하고, GPS 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 외장형 GPS 수신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용 및 휴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에서 GPS 이용하지 않고, 정확하고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해 사용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d)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맵을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갱신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재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재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재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의 진입 게이트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는, 무선 AP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진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진입 신호는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에서만 수신이 가능한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동의 여부를 묻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b2)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동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에 동의하는 것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 다음에, (f)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 앞서, (h)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는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비상 출구 정보, 건물 내 시설물의 컨텐츠 정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구역 관리부;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해 사용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독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맵을 제공하고, 상기 이동 통신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갱신된 경우,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재수신하고, 상기 재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재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역 관리부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의 진입 게이트로 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역 관리부는, 무선 AP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진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역 관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했음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역 관리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탈을 감지하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하는 위치 추적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사용자 동의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정보 송수신부;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공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에 진입한 이동 통신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적하고, 상기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추적한 현재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전송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하는지 감지하고, 상기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수신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GPS 위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건물 내에서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상상황에서의 대피로 등을 신속하게 제공하여 위기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상호간의 위치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어서, 놀이 공원, 백화점 등과 같은 복잡한 대규모 구조물에서 미아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대규모 박물관, 전시시설물 등의 관람시설에서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GPS를 이용하지 않고도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GPS 수신기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용어의 정리
위치 기반 서비스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비상 출구 정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의 지도, 층별 안내도, 건물 내 입점된 매장 정보, 건물 내 시설물의 컨텐츠 정보, 사업자 컨텐츠 정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이다.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 건물 내부 등 일정한 구역 내에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진입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복합 건축물 내에 이동 통신 단말기가 진입하면 사용자는 복합 건축물 내의 길안내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이때에는 복합 건축물이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해당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맵 :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에 앞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는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진입한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종류로 구성되는 화면이다. 사용자는 위치 기반 서비스 맵에 기초하여 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 맵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며, 팝업창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 정보의 송/수신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갖춘 물리적 통신 연결에 필요한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 동성을 가진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휴대폰, 개인용휴대정보단말기(PDA), 스마트폰, MP3, 스마트북,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진입 게이트 :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의 출입구에 설치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인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이 감지되었다는 액세스 신호를 생성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진입 게이트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인식하는 방법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cable 등을 이용하여 직접 접촉하는 방법과, 일정한 거리 내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방법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한 블럭 다이어 그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230)는 구역 관리부(232), 메모리부(234),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 및 제어부(238)를 포함한다.
구역 관리부(232)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 진입했음을 감지한다.
구역 관리부(232)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일 실시예는, 진입 게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의 출입구마다 진입 게이트를 설치하여 진입 게이트가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액세스 신호를 구역 관리 부(232)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입 게이트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인식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출입구 진입이 감지되었다는 액세스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구역 관리부(232)로 전송한다. 진입 게이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구역 관리부(232)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다른 실시예는, 무선 AP(Access Point) 신호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진입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구역 관리부(232)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의 진입뿐 아니라,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부터의 이탈도 감지할 수 있다. 구역 관리부(232)가 이탈을 감지한 경우에는 제공되고 있던 서비스가 자동 종료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메모리부(234)는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정보를 저장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비상 출구 정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의 지도, 층별 안내도, 건물 내 입점된 매장 정보, 건물 내 시설물의 컨텐츠 정보, 사업자 컨텐츠 정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정보 및 서비스를 송수신한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맵을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Wi-fi, Wibro,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RFID, DMB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정보 및 서비스를 송수신할 수 있다. Wi-fi(사설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차세대 무선랜 방식, RFID를 통한 정보 송수신 방식, DMB 방식을 이용하면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RTLS를 이용하면 신호 세기 측정에 의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제어부(238)는 구역 관리부(232), 메모리부(234) 및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 등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38)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해 사용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메모리부(234)에서 독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메모리부(234) 및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동의 절차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한 사용자 중 서비스를 제공받고자하는 사용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이다. 또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에 대해서 사용자의 동의를 묻기 위한 절차이다. 사용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동의 여부를 묻는 화면을 제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38)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갱신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재수신하고, 재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재공하도록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위치 제공 서비스 맵 상에서 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선택하고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에 옥내 위치 기반 제공 서비스 제공 구역 내에서 이동한 경우, 사용자는 이동한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상에서 동의 여부를 묻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기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로 동의 절차를 거칠 필요없이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하기만 하면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230)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제어부(238)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하기 전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을 설치하거나, 진입과 동시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을 설치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10)는 위치 추적부(212), 정보 송수신부(214), 입력부(216) 및 디스플레이부(218)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210)는 무선 통신망(220)을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230)와 정보 등을 교환할 수 있다.
위치 추적부(212)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에 진입한 이동 통신 단말기(210)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적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적하는 방법의 예로서,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많은 수의 서브구역으로 분할하여 각 서브 구역마다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뎀 장치를 구비하고 식별 번호를 부여한 다음에,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서브 구역의 모뎀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각 서브 구역의 모뎀 장치의 식별 번호를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 추적부(212)는 이동 통신 단말기(210)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에 진입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위치 추적부(212)가 진입을 감지한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21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230)에 진입을 공지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위치 추적부(212)가 이동 통신 단말기(210)의 진입을 감지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230)의 구역 관리부(232)가 이동 통신 단말기(210)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정보 송수신부(214)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230)의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에 사용자 동의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맵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송수신부(214)와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데, 무선 통신망은 Wi-fi, Wibro, RFID, DMB,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또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정보 송수신부(214)는 위치 추적부(212)에서 추적한 이동 통신 단말기(2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에 전송하고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의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정보 송수신부(214)는 이동 통신 단말기(210)의 현재 위치 정보가 갱신된 경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에 갱신된 현재 위치 정보를 재전송하고, 재전송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재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210)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한 경우에 정보 송수신부(214)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로부터 서비스 제공 동의 여부를 묻는 화면을 제공받고, 이에 응답하여 동의 신호를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에 전송할 수 있다. 동의 신호는 입력부(216)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전송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 여부와 관계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210)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하기만 하면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위치 추적부(212)는 이동 통신 단말기(210)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서 이탈했음을 감지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정보 송수신부(214)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36)로부터 서비스의 수신을 중지한다.
입력부(216)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동의 여부를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받는다. 디스플레이부(218)를 통해 서비스 제공 동의 여부를 묻는 창이 뜬 경우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 맵이 사용자에게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216)를 통해 동의 여부 또는 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8)는 사용자 동의 여부를 묻는 화면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 맵 또는 제공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18)를 통해 표시된 동의 여부를 묻는 화면에 기초하여 입력부(216)에 동의를 입력할 수 있고, 표시된 위치 기반 서비스 맵에 기초하여 입력부(216)에 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옥외에서는 GPS 위성(110)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종래와 같이 GPS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210)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23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230)는 출입구마다 설치된 진입 게이트(240)로 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210)와의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여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설명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51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일 실시예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의 출입구마다 진입 게이트를 설치하여 진입 게이트가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액세스 신호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다. 진입 게이트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인식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출입구 진입이 감지되었다는 액세스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
진입 게이트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인식하는 방법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cable 등을 이용하여 직접 접촉하는 방법과, 일정한 거리 내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Wi-fi, RFID 태그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진입 게이트의 일정 위치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접촉시키거나 진입 게이트가 설치된 출입구를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과하면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인식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다른 실시예는, 무선 AP(Access Point) 신호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진입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 AP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자신의 무선 통신 반경으로 형성하여 이 구역 내에서만 수신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의 경계에 전파 차폐막을 설치하여 구역 내에서만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역 내에 들어온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보내면 이러한 응답 신호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진입 신호가 되는 것이다.
단계 52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 기반 서비스 수신에 동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수신에 동의한다는 것은 이동 통신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사용자 동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실시예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동의 여부를 묻는 화면을 제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 동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2 실시예는, 이동 통신 단말기 상에서 동의 여부를 묻는 절차를 거치기 않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기설정된 경우로서, 별도로 동의 절차를 거칠 필요없이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하기만 하면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서비스의 제공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 기반 서비스 수신에 동의한 경우에는 단계 530을 진행한다. 단계 53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 중에 이동 통신 단말기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비상 출구 정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의 지도, 층별 안내도, 건물 내 입점된 매장 정보, 건물 내 시설물의 컨텐츠 정보, 사업자 컨텐츠 정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6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610에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측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운로드 요청에 의해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이 사용자 측의 요청과 관계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기설치되어 있다.
단계 62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 진입했음을 감지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전술한 바 와 같다.
단계 63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 기반 서비스의 수신에 동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630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수신에 동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단계 640을 진행한다.
단계 64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맵을 제공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 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진입한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종류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사용자는 위치 기반 서비스 맵에 기초하여 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65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63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 기반 서비스 수신에 동의했으므로, 현재 위치 정보의 송신에도 동의한 것으로 보아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66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이다.
단계 67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의 위치에 변동이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갱신된 경우에는 단계 680을 진행한다.
단계 68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갱신이 있으나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인 경우에는 단계 660을 진행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한 경우에는 단계 690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치 제공 서비스 맵 상에서 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선택하고 현재 위치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에 옥내 위치 기반 제공 서비스 제공 구역 내에서 이동한 경우, 사용자는 단계 660으로 가서 갱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690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한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을 종료하여 서비스 제공을 중지한다.
도 7은 사용자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절차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크게 준비 단계와 서비스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준비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의 설치를 요청한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을 다운로드 받는다.
서비스 단계에서 사용자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도착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이 실행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팝업 창 등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하고, 이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대하여 사용자가 동의하는 절차를 거친다. 사용자의 동의가 있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는 요청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공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서비스 제공 중에 사용자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하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이 자동 종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GPS 위성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한 블럭 다이어 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절차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Claims (19)

  1.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해 사용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d)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맵을 제공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갱신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재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재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재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의 진입 게이트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무선 AP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진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진입 신호는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에서만 수신이 가능한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응답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동의 여부를 묻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b2)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동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에 동의하는 것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다음에,
    (f)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앞서,
    (h)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툴 설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는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비상 출구 정보, 건물 내 시설물의 컨텐츠 정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내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구역 관리부;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해 사용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독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 맵을 제공하고, 상기 이동 통신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 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관리부는,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으로의 진입 게이트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관리부는,
    무선 AP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진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입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관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했음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역 관리부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탈을 감지하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제공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
  17.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에 진입했음을 감지하는 위치 추적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사용자 동의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정보 송수신부;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공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에 진입한 이동 통신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적하고,
    상기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추적한 현재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전송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하는지 감지하고,
    상기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옥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구역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의 수신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90114409A 2009-11-25 2009-11-25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7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409A KR101079905B1 (ko) 2009-11-25 2009-11-25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409A KR101079905B1 (ko) 2009-11-25 2009-11-25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838A true KR20110057838A (ko) 2011-06-01
KR101079905B1 KR101079905B1 (ko) 2011-11-04

Family

ID=4439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409A KR101079905B1 (ko) 2009-11-25 2009-11-25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9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820A2 (en) * 2011-08-05 2013-02-14 American Well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s to interface to a brokerage system
KR101490991B1 (ko) * 2012-06-15 2015-02-10 정기운 마권업무 처리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지역 제한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22443A (ko) * 2014-04-23 2015-11-02 유비링크(주)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JP2020021204A (ja) * 2018-07-31 2020-02-06 ニッタン株式会社 位置情報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260B1 (ko) 2017-03-24 202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결정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820A2 (en) * 2011-08-05 2013-02-14 American Well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s to interface to a brokerage system
WO2013022820A3 (en) * 2011-08-05 2013-04-18 American Well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s to interface to a brokerage system
KR101490991B1 (ko) * 2012-06-15 2015-02-10 정기운 마권업무 처리를 위한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지역 제한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22443A (ko) * 2014-04-23 2015-11-02 유비링크(주)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JP2020021204A (ja) * 2018-07-31 2020-02-06 ニッタン株式会社 位置情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905B1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47628A1 (fr) Dispositif de stockage de position, terminal radio, système de stockage de position, procédé d'enregistrement de position, procédé de mise à jour de position et programme
KR100380906B1 (ko) 주차차량 위치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8946A (ko)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CN103975609A (zh) 移动设备外围设备定位和连接
US6714865B2 (en)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to a device
KR10107990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26567B1 (ko) 위치정보와 지리정보에 기반한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7249918A (ja) 携帯型端末を用いた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
US20160029157A1 (en) Assistance techniques
CN102355624A (zh) 一种基于位置的资讯显示方法、导航方法及位置服务装置
US9400184B2 (en) Method for preparing and displaying timetable information
KR20120058281A (ko)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및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주차 정보 확인 방법
KR100647941B1 (ko) 이동통신망과 차량 네비게이션을 연동한 주차장안내서비스 방법
US20040252050A1 (en) Vehicle fleet navigation system
KR10113614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WO2020226103A1 (ja) 位置情報提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13658B1 (ko)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스캐닝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위치결정 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4152799B2 (ja) 無線基地局及びモバイル機器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20090448A (ko) 지하철 승객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지하철 정보제공 및 승객분산 시스템
US2004014724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to show heading in a cellular network
KR101820313B1 (ko) 지오펜싱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66229A (ko) 위치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141384B2 (ja) 圏外エリア検出システム、携帯端末、圏外情報管理サーバ及び圏外エリア検出方法。
WO2023054328A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10484816B2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