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203A - 지그비 기반 설비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그비 기반 설비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4203A KR20120044203A KR1020100105639A KR20100105639A KR20120044203A KR 20120044203 A KR20120044203 A KR 20120044203A KR 1020100105639 A KR1020100105639 A KR 1020100105639A KR 20100105639 A KR20100105639 A KR 20100105639A KR 20120044203 A KR20120044203 A KR 201200442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terminal
- location
- signal
- equipment
- management ser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비(ZigBee)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기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그비 통신 기술과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공장 내에서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을 통해 위치한 곳의 점검 설비 위치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설비관리의 조회 및 점검 결과 처리 등을 하나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처리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설비 기기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그비(ZigBee)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기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인 지그비 통신 네트워크와 휴대용 단말의 위치 인식과 방위각 정보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술을 결합하여 공장 등의 대단위의 설비 기기 관리가 필요한 산업 분야에서 설비 기기를 관리하는 방법,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설비 기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단위 설비를 가진 공장에서 설비관리 점검 및 조사를 위해서는 인쇄된 점검양식을 가지고 설비관리를 진행하였다. 이때, 설비관리 점검 및 조사를 위해서는 인쇄된 점검 양식이나 점검 리스트를 가지고 설비관리를 진행하였으며, 설비관리의 위치 파악, 점검 사항 등을 파악한 후에, 점검 결과를 관리 장부에 수기로 기록하여 보관하거나 전산상으로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많은 인력과 많은 시간을 소모하였다. 이 과정에서 비 숙련자의 경우, 설비관리 위치 파악에 어려움이 많아 해당 설비가 아닌 불필요한 다른 설비의 관리를 수행하거나 해당 설비 파악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였으며, 또한 위험 설비의 접근 시에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산업 재해 등을 초래하였다.
근래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전자 태그를 설비관리 기기에 부착하고 RFID 리더가 결합된 특수용 PDA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작업을 위해서는 설비 점검 항목을 사무실에서 미리 다운로드받은 후에 현장으로 이동하여 설비관리 작업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다시 사무실로 돌아와 관리 서버로 전송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은 특수 휴대용기기 사용 등의 제한성과 특수 기기의 크기와 무게로 인한 불편함을 야기하며, 업무수행 시에 준비 작업과 결과 보고 작업이 모두 현장이 아닌 사무실에서 처리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 수행 시에 RFID 인식을 위해 설비 기기에 근거리(약, 90cm 이하)로 접근해야 하는 위험요소가 발생한다. 또한, RFID 태그 부착 위치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RFID 기기 사용 방법 및 지침을 정확히 숙지하지 않을 경우 설비관리를 진행할 수 없다. 따라서, 설비관리 수행 시에 별도의 설비관리 가이드북이나 문서 등을 지참하고 설비관리 지침내용을 파악하고 시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숙련자만이 설비관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휴대용 단말기(예컨대, 휴대 전화기)와 RFID 리더의 2대의 기기를 가지고 설비관리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설비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설비관리 현장에서 설비관리 작업 항목을 다운로드받아 작업을 수행하며, 별도의 RFID 리더로 설비관리 기기를 인식하여 인식된 설비관리 식별 값을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여 설비관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2대의 기기를 동시에 구비하고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한 작업 시간 증가 및 RFID 태그 인식을 위해 설비 기기에 근거리(약, 90cm 이하)로 접근해야 하는 불편함과 위험이 발생한다.
이상에서 기술한 종래의 설비관리 방식은 설비 기기의 위치 파악의 어려움, 특수한 휴대용 기기 사용의 제한성과 휴대용 기기의 크기 및 무게로 인한 불편함, 작업수행의 실시간 원 스톱(one stop) 처리의 불가능과 다수의 기기를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들 문제점은 작업수행의 효율성 저하,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 증가를 초래하여 설비관리가 필요한 사업장의 비용 상승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그비 통신 기술과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증강 현실 기술을 결합하여 공장 등의 대단위의 설비 기기 관리가 필요한 산업 분야에 적용 및 응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로서, 설비관리 항목이 기재된 설비관리양식과 기재판을 이용하여 설비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이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아날로그 정보 체계를 디지털 정보 체계로 전환한다.
또한, 종래의 RFID 전용 리더가 장착된 특수형 PDA를 이용하거나, RFID 리더와 휴대용 전화 기기를 동시에 사용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하나의 장치로 설비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종래 기술 중 수기 기록방식은 설비 양식을 출력 또는 복사하여 설비관리를 진행하고 설비관리 결과를 해당 장부로 보관하거나 관리 서버에 직접 입력을 해야 했으며, RFID 전용 리더가 장착된 특수형 PDA를 사용하는 방식은 해당 설비관리 항목을 사무실의 컴퓨터에서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고, 현장으로 이동하여 RFID 태그 인식을 통해 설비 항목 점검 결과를 특수형 PDA에 저장한 후에, 사무실로 다시 돌아와 점점 결과를 관리서버에 업로드 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설비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다운로드/업로드 함으로써 실시간 처리를 수행한다.
RFID 리더와 휴대용 전화 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은 RFID 리더로 설비 기기를 인식한 후 인식 정보를 휴대용 전화 기기에 전달하고 휴대용 전화기기에서 점검 항목을 확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원화된 관리 기기를 일원화하며 RFID 태그를 판독하는 사전 과정 없이 하나의 단계로 간편하게 설비관리 기기를 인식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설비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은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와; 복수의 AP로부터 각각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수신하고,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설비 기기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이 사용자 단말은,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AP로부터 각각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수신하고,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표시 정보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이 표시 정보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신호 수신부와; 위치 신호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생성부와; 사용자 단말에게 표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표시 정보 송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는, 복수의 AP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설비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은,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가 각자의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이 AP로부터 수신한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설비 기기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AP로부터 각각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비 기기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따르면, 설비 기기 관리를 위해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표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는, 복수의 AP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비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대단위 설비 관리 영역 내에서 저전력, 저비용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위치한 곳에 기초하여 점검 설비 위치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설비관리의 조회 및 점검 결과 처리 등을 하나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원 스톱(One Stop)으로 실시간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정보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정보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이하에서 언급될 때, 용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각종 휴대폰,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 이동국,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 페이저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 가능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100), AP(100)와 통신 가능하게 해주는 근거리 통신 모듈(201)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200),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 및 설비 관리 서버(503)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AP(100)는 게이트웨이(300) 및 유무선 통신 서비스 네트워크(400)를 통해 관리 서버(500)와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임의의 모바일 무선 통신, 예컨대 GSM, GPRS, EDGE, CDMA, WCDMA, LTE, WiMAX, WiBro 등의 통신 방식,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WiFi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관리 서버(500)와 통신 가능하다. 또한, AP(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P(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지그비(ZigBee) 무선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AP(100)는 지그비 AP이고, 사용자 단말(200)은 지그비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 모듈(201)은 지그비 통신 모듈 칩이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에 내장되어 있는 지그비 USIM 카드일 수 있다. 현재 널리 이용되는 WCDMA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경우 지그비 USIM 카드를 탑재하여 지그비 AP와 통신 가능하다.
설비 기기 관리를 위해 설비 관리 구역에 복수의 AP(100a, 100b, 100c)가 각각의 구역(zone)에 설치될 수 있다. AP(100)의 개수는 설비 관리 구역의 면적과 AP(100)의 지원 성능, 설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AP(100a, 100b, 100c)와 지그비 무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지그비 AP의 경우, 하나의 AP(100)당 약 50개에 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을 수용 가능하고, 통신 거리는 약 10-100m에 달한다. AP(100)와 지그비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 모듈(201)로서 지그비 USIM 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지그비 USIM 카드는 지그비와 USIM이 상호 연동하며 지그비의 정보처리 결과를 USIM의 ISO7816 인터페이스 및 OS(operating system)의 USIM 드라이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OS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AP(100a, 100b, 100c)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판별을 위해, AP 각각의 위치 신호 및 장비의 고유 식별자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AP(100a, 100b, 100c)로부터 각각 AP의 위치 신호 및 장비의 고유 식별자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들을 수집하여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신호들을 RSSI의 크기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적정 수준 이상 크기의 신호들만을 필터링하여 평균값 산정 및 신호 강도의 추이 분석을 통해 확률이 높은 위치 신호 및 장비의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AP(100a, 100b, 100c)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RSSI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로 결정된 위치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USIM의 ISO7816 인터페이스와 OS의 USIM 드라이버를 통해 OS 및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200)는 주기적으로 AP(100)으로부터 필요한 위치 판별 정보를 수집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의 저장 장치에 독립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예컨대, 3G나 WiFi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에 주기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를 구비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각 데이터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정교한 위치 파악 서비스를 위해 이용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지자기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놓여진 방향에 기초하여 방위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위치 정보와 함께 방위각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에 주기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200)의 방위각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는 수신한 사용자 단말 정보, 즉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방위각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DB)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는 AP(100)의 설치 위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DB)하여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는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될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로 사용자 단말 정보를 송신한다.
설비 관리 서버(503)는 설비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설비 관리 정보는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정보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설비 관리 정보는 설비 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고유 식별자(ID), 위치 정보, 제작 관련 정보, 설비 기기 관리 지침 정보, 에러 발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설비 관리 서버(503)는 설비 관리 구역에 설치된 AP(100) 각각의 통신 범위에 따라 정해지는 각 구역(zone)에 따라, 또한 각 방위각 방향에 따라 위치된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설비 관리 서버(503)는 기존의 설비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설비 관리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되어 기존의 저장 자료 및 데이터 베이스(DB)를 이용할 수 있다. 설비 관리 서버(503)는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될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로 설비 관리 정보를 전송한다.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로부터 사용자 단말 정보(즉, 사용자 위치 정보와 방위각 정보)를 수신하고, 설비 관리 서버(503)로부터 설비 관리 정보, 예컨대 설비 기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이들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될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위치 정보와 설비 관리 서버(503)로부터 수신한 설비 기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즉, 설비 관리자)과 일정 근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의 목록을 검색 및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방위각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에 있는 설비 기기 목록 중 사용자 단말(200)이 향하는 방향, 즉 사용자의 카메라에 나타나는 화면이 표시하는 방향에 위치한 설비 기기만을 필터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는 사용자의 위치와 방위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카메라에 나타나는 화면에 나타나는 방향에 위치하는, 근거리 설비 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에 비춰진 현재의 화면 위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증강 현실 표시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할 근거리 설비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그 근거리 설비 기기와 관련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는 증강 현실 표시 정보를 3G나 WiFi 네트워크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로부터 증강 현실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에 비춰진 현재 화면에 증강 현실 표시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관리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증강 현실 표시 정보와 이와 연관된 각종 메뉴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설비 기기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아이콘의 메뉴 기능을 이용하여, 선택한 설비 기기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예컨대 설비의 명칭, 고유 식별자(ID), 제작 관련 정보, 설비 기기 관리 지침 정보, 에러 발생 정보 등을 설비 관리 서버(503)로부터 3G나 WiFi 네트워크 등을 통해 실시간 다운로드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관리 작업을 수행하면서 설비 기기의 에러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작업자가 특정 설비 기기의 에러 상태를 발견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에러 상태의 설비 기기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에러 발생 정보를 설비 관리 서버(503)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비 관리 서버(503)는 해당 설비 기기의 상태를 정상 상태에서 에러 발생 상태로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러 발생 정보의 송신과 같은 사용자 단말(200)의 정보 수정 요청에 응답하여, 설비 관리 서버(503)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각 설비 기기의 상태를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마이크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음성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중앙 관리 서버(도시 생략됨)로 전송하여, 중앙 관리자가 설비 기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AP(100) 및 관리 서버(500)와의 상호 동작을 처리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프로그램, 예컨대 설비관리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설비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다운로드받아 저장하고, 설비 관리 작업 수행시에 이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200) 상에서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의 각 단계 및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AP(100), 사용자 단말(200),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 표지 정보 관리 서버(502) 및 설비 관리 서버(503) 간에서 이루어지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의 일련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먼저, 근거리 통신 모듈(201)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200)은 AP(100)에 접속을 시도한다(S201). AP(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인증 과정을 통해 접속 요청한 사용자가 현재 설비 관리 구역 내에서 설비 관리 권한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2). 예컨대, AP는 지그비 AP이고, 사용자 단말(200)의 근거리 통신 모듈(201)은 지그비 통신을 지원하는 지그비 USIM 카드일 수 있다.
사용자 확인이 이루어지면 AP(100)는 자기의 위치 신호 및 장비 고유 식별자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주기적으로 송신한다(S203).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AP(100)의 위치 신호 및 장비 고유 식별자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들을 수집하여 발생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한다(S204).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지자기 센서를 이용해 측정된 방위각 정보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에 송신한다(S205).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 방위각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S206).
다음으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 방위각 정보를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에 송신한다(S207). 또한, 설비 관리 서버(503)는 설비 관리 정보, 예컨대 설비 기기의 위치 정보를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에 송신한다(S208).
다음으로,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 방위각 정보와, 설비 기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S209). 여기서, 사용자 단말 표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방위각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증강 현실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는 사용자 단말(200)에 사용자 단말 표시 정보를 송신한다(S210).
사용자 단말(200)은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증강 현실 화면을 표시한다(S211).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증강 현실 화면에 기초하여 설비관리 작업을 개시한다(S212).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에 비춰진 현재 화면에 증강 현실 표시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방위각에 기초하여 자신의 진행 방향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설비 기기들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 화면에 나타난 설비 기기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설비 관리 서버(503)로부터 실시간으로 다운받아 확인할 수 있다.
설비관리 작업 수행 시, 설비 관리 정보에 대하여 수정 사항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설비 관리 서버(503)에 설비 관리 정보 수정을 요청한다(S213). 설비 관리 서버(503)는 사용자 단말(200)의 수정 요청에 응답하여 설비 관리 정보를 수정하여 저장한다(S214).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310), 제어부(320), 메모리부(330), 표시부(340), 센서부(350) 및 A/V 입력부(360)를 포함한다.
도 3에서 통신부(31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311)와 액세스 포인트(AP)(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312)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송수신부(311)를 통해 관리 서버(500)와 무선 통신하며, 관리 서버(5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 모듈(312)을 통해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AP(100)와 통신하며, 각각의 AP(100)로부터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지자기 센서(351)를 포함하는 센서부(3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지자기 센서(351)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방위각을 송수신부(311)를 통해 관리 서버(5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어부(320)는 근거리 통신 모듈(312)을 통해 AP(100)로부터 수신한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321)를 포함한다. 위치 결정부(321)는 복수의 AP(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321)에서 결정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는 메모리부(300)에 저장된다.
도 3에서 제어부(320)는 또한 증강 현실 표시 정보를 처리하여 표시부(340)에 디스플레이될 화면을 제어하는 증강 현실 표시 제어부(3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증강 현실 표시 정보는 관리 서버(500)로부터 송수신부(311)를 통해 수신되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방위각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에 있는 설비 기기를 사용자 단말(200) 상에서 증강 현실로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도 3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음성 및 영상을 입력받는 A/V 입력부(360)를 포함한다. A/V 입력부(360)는 영상을 촬영 및 녹화하는 카메라(361)와 음성을 녹음하는 마이크(362)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각 설비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음성 데이터를 카메라(361)나 마이크(362)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이를 관리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서 표시부(340)에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로 촬영되는 현재 화면과 화면에 나타나는 근거리 설비 기기에 대한 아이콘 및 정보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설비관리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표시부(340)에 디스플레이된 증강 현실 표시 정보와 이와 연관된 각종 메뉴 기능을 이용하여 설비 기기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정보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표시 정보 관리 서버(502)는 위치 신호 수신부(410), 방위각 신호 수신부(420), 표시 정보 생성부(430), 표시 정보 송신부(440) 및 설비 관리 정보 수신부(450)을 포함한다.
위치 신호 수신부(410)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방위각 신호 수신부(420)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방위각을 나타내는 방위각 신호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0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방위각 신호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는, 복수의 AP(100)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설비 관리 정보 수신부(450)는 설비 관리 서버(503)로부터 설비 기기의 명칭 및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설비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 정보 생성부(430)에 전달한다.
표시 정보 생성부(430)는 위치 신호 수신부(410) 및 방위각 신호 수신부(420)로부터 각각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방위각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증강 현실 표시를 위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표시 정보 생성부(430)는 설비 관리 정보 수신부(450)로부터 설비 관리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 후, 표시 정보 생성부(430)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방위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내에 있고,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나타나는 방향에 위치한 설비 기기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 정보 송신부(440)는 이와 같이 생성된 표시 정보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AP(100)에 접속 요청을 수행한다(S510). 사용자 단말(200)은 AP(100)에 접속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 권한이 인증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AP(100)로부터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수신한다(S52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한다(S530). 예컨대, 복수의 AP로부터 수신한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의 크기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결정된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지자기 센서를 통해 획득한 방위각 신호를 관리 서버(500)에게 송신한다(S54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관리 서버(5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방위각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단말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S550). 여기서, 사용자 단말 표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할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사용자 단말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화면을 스크린에 표시한다(S560). 작업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나타난 화면을 통해 설비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설비관리 작업 수행 시,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가 잘못 나타나거나, 설비 기기에 대한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요청을 관리 서버(200)에게 전달할 수 있다(S57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신호 및 방위각 신호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한다(S610).
다음으로, 관리 서버(500)는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한다(S620).
다음으로,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방위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할 설비 기기 리스트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S630). 이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 단말 표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화면에 오버레이되어 증강 현실로 표시되는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생성된 사용자 단말 표시 정보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게 송신한다(S640).
설비관리 작업 수행 후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설비관리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650). 관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수정 요청에 응답하여,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정한다(S660).
한편, 전술한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그비 통신 네트워크와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공장 내에서 작업자가 위치한 곳의 점검 설비위치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설비관리의 조회 및 점검 결과 처리 등을 하나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처리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장, 대규모 사무실 등의 대단위 기기 관리가 필요한 산업 분야에 적용 및 응용될 수 있다.
100(100a, 100b, 100c): 액세스 포인트(AP)
200: 사용자 단말
201: 근거리 통신 모듈
300: 게이트웨이
400: 유무선 통신 서비스 네트워크
500: 관리 서버
501: 위치 정보 관리 서버
502: 표시 정보 관리 서버
503: 설비 관리 서버
310: 통신부 311: 송수신부 312: 근거리 통신 모듈
320: 제어부 321: 위치 결정부 322: 증강 현실 표시 제어부
330: 메모리부
340: 표시부
350: 센서부 351: 지자기 센서
360: A/V 입력부 361: 카메라 362: 마이크
410: 위치 신호 수신부
420: 방위각 신호 수신부
430: 표시 정보 생성부
440: 표시 정보 송신부
450: 설비 관리 정보 수신부
200: 사용자 단말
201: 근거리 통신 모듈
300: 게이트웨이
400: 유무선 통신 서비스 네트워크
500: 관리 서버
501: 위치 정보 관리 서버
502: 표시 정보 관리 서버
503: 설비 관리 서버
310: 통신부 311: 송수신부 312: 근거리 통신 모듈
320: 제어부 321: 위치 결정부 322: 증강 현실 표시 제어부
330: 메모리부
340: 표시부
350: 센서부 351: 지자기 센서
360: A/V 입력부 361: 카메라 362: 마이크
410: 위치 신호 수신부
420: 방위각 신호 수신부
430: 표시 정보 생성부
440: 표시 정보 송신부
450: 설비 관리 정보 수신부
Claims (23)
- 설비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
상기 복수의 AP로부터 각각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 및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표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표시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 - 설비 기기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AP로부터 각각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지그비(ZigBee) AP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지그비 통신 모듈 칩이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에 내장되어 있는 지그비 USIM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AP로부터 수신한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지자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방위각을 나타내는 방위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방위각 신호를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신호 수신부;
상기 위치 신호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표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표시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는, 복수의 AP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정보 관리 서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방위각 신호를 수신하는 방위각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정보 생성부는 상기 방위각 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방위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상기 방위각 신호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표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정보 관리 서버. - 제10항에 있어서,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설비 관리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상기 방위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설비 기기 리스트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정보 관리 서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기기 리스트에 대한 표시 정보는 각각의 설비 기기에 대한 명칭, 고유 식별자(ID), 제작 관련 정보, 설비 기기 관리 지침 정보, 에러 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정보 관리 서버.
- 설비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가 각자의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AP로부터 수신한 상기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방위각을 나타내는 방위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방위각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상기 방위각 신호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단말 위치 신호 및 상기 방위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설비 기기 리스트에 대한 표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설비 기기 리스트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기기 관리 방법. - 설비 기기 관리를 위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각각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AP로부터 수신한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방위각을 나타내는 방위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위각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되는 방법. - 설비 기기 관리를 위해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는, 설비 관리 구역에 위치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AP의 위치 신호 및 고유 식별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위각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상기 방위각 신호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 현실 표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표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위치 신호 및 상기 방위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설비 기기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설비 기기 리스트에 대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한 상기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설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에서 사용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639A KR20120044203A (ko) | 2010-10-27 | 2010-10-27 | 지그비 기반 설비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639A KR20120044203A (ko) | 2010-10-27 | 2010-10-27 | 지그비 기반 설비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203A true KR20120044203A (ko) | 2012-05-07 |
Family
ID=4626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5639A KR20120044203A (ko) | 2010-10-27 | 2010-10-27 | 지그비 기반 설비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44203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4830B1 (ko) * | 2012-09-28 | 2014-09-02 | 한빛 세마텍(주) |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
WO2017100654A1 (en) * | 2015-12-11 | 2017-06-15 | Daqri, Llc |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
KR20200078597A (ko) * | 2017-11-28 | 2020-07-01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설비 관리 시스템 |
KR102160029B1 (ko) * | 2020-02-28 | 2020-09-25 | (주)한국융합아이티 | 지하 시설물 계측을 위한 스마트 현장 제어반 |
KR102404098B1 (ko) * | 2022-01-03 | 2022-06-02 | 기가찬 주식회사 | 빌딩 내 층별 기계 설비 관리를 위한 인도어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2010
- 2010-10-27 KR KR1020100105639A patent/KR201200442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4830B1 (ko) * | 2012-09-28 | 2014-09-02 | 한빛 세마텍(주) |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
WO2017100654A1 (en) * | 2015-12-11 | 2017-06-15 | Daqri, Llc |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
US9824437B2 (en) | 2015-12-11 | 2017-11-21 | Daqri, Llc |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
US10217209B2 (en) | 2015-12-11 | 2019-02-26 | Daqri, Llc |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
US10679337B2 (en) | 2015-12-11 | 2020-06-09 | Daqri, Llc |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
KR20200078597A (ko) * | 2017-11-28 | 2020-07-01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설비 관리 시스템 |
KR102160029B1 (ko) * | 2020-02-28 | 2020-09-25 | (주)한국융합아이티 | 지하 시설물 계측을 위한 스마트 현장 제어반 |
WO2021172892A1 (ko) * | 2020-02-28 | 2021-09-02 | (주)한국융합아이티 | 지하 시설물 계측을 위한 스마트 현장 제어반 |
KR102404098B1 (ko) * | 2022-01-03 | 2022-06-02 | 기가찬 주식회사 | 빌딩 내 층별 기계 설비 관리를 위한 인도어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85264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nction limitation control | |
JP4620054B2 (ja) | 携帯端末とこれを用いた無線品質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 |
EP262957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loca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 |
CN105228106B (zh) | 一种基于室内的医护人员查找方法、定位服务器和系统 | |
CN103064980A (zh) | 基于移动终端及gps查询景点信息的方法和系统 | |
US20160105807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signal strength in indoor environments | |
JP2004357216A (ja) | 位置探索システム及び位置探索方法 | |
CN103839441A (zh) | 移动终端基于文字识别技术的停车场车位定位方法 | |
KR20120091898A (ko) | 모바일카드 결제 시스템과 연동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이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 | |
KR20120044203A (ko) | 지그비 기반 설비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 |
WO2010093348A1 (en) | Wireless device for receiving calls to automatically transmit messages of current device location | |
KR20150098702A (ko) |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순찰 관리 시스템 | |
KR101219758B1 (ko) | 위치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위치 관리 서비스 방법 | |
JP4437399B2 (ja) | 案内システム及び案内機能を備えた携帯端末 | |
KR101183681B1 (ko) |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 |
US20200029173A1 (en) | Method for recording attendance using bluetooth enabled mobile devices | |
CN108199886B (zh) | 网络故障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101136145B1 (ko) |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크인 방법 | |
KR20010037055A (ko) | 위치정보와 지리정보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 |
KR20150006289A (ko) | 휴대형 단말기 | |
KR102046366B1 (ko) | 위치 등록 및 위치 확인 시스템 | |
CN102752449A (zh) | 移动通信中指示联系人对象方位的方法及终端 | |
CN104703131A (zh) | 信息传递方法 | |
KR101754817B1 (ko) | Cpns 환경에서 단말 인식 및 접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JP2006023129A (ja) | 位置情報検出システム、位置情報検出方法、及びサー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