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830B1 -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830B1
KR101434830B1 KR1020120109063A KR20120109063A KR101434830B1 KR 101434830 B1 KR101434830 B1 KR 101434830B1 KR 1020120109063 A KR1020120109063 A KR 1020120109063A KR 20120109063 A KR20120109063 A KR 20120109063A KR 101434830 B1 KR101434830 B1 KR 10143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external monitor
terminal
usb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366A (ko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빛 세마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 세마텍(주) filed Critical 한빛 세마텍(주)
Priority to KR102012010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8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에 직접 전송하며, 아울러 외부 모니터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입력받아 실행하도록 함과 아울러,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다시 외부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유선 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외부 모니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는 직비(Zigbee) 모듈이 탑재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장착되어 외부 모니터와 근거리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Multi display device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과 외부 모니터에 각각 독립적인 다중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스마트폰에서 외부 모니터로부터의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2-0082223호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디지털 TV 양방향 컨텐츠 리모트 컨트롤 방법과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즉, 스마트폰과 디지털 TV의 셋탑박스간의 일대일 맵핑에 의해 스마트폰을 디지털 TV의 양방향 컨텐츠 리모콘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디지털 TV에 다양한 원격 제어신호의 입력을 할 수 있지만, 디지털 TV망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셋탑박스를 맵핑시켜야 하므로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며, 디지털 TV로부터의 입력(예를들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디지털 TV의 터치 데이터 등)을 스마트폰에서 입력받을 수 없다.
또한, 스마트폰이 디지털 TV를 원격제어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망의 트래픽을 증가시키는 문제점도 갖는다.
아울러 한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스마트폰의 영상을 대형 화면인 디지털 TV에 디스플레이할 수 없어 별도의 도킹스테이션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에 직접 전송하며, 아울러 외부 모니터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입력받아 실행하도록 함과 아울러,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다시 외부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는,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유선 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외부 모니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방식 이외에 직비(Zigbee) 모듈이 탑재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장착되어 외부 모니터와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외부 모니터에서 입력되는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함으로써 한정된 터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스마트폰보다 입력이 수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으로부터 복수의 프레임 버퍼 드라이버에 의해 다중의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므로 다수의 외부 모니터에 각각 독립적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에는 구현되지 않은 저전력의 직비 모듈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구현 상태를 보인 도.
도2는 일반적인 UICC의 단자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UICC와 직비 모듈간의 결선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UICC와 직비 모듈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보인 도.
도5는 UICC와 직비 모듈간의 소프트웨어에 의한 송수신 구조를 보인 도.
도6은 UICC와 직비 USB 모듈간의 결선 구조를 보인 도.
도7은 직비 모듈을 탑재한 젠더의 구조를 보인 도.
도8은 일반적인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소프트웨어의 구성도.
도9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조를 보인 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중 디스플레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 상태를 보인 도로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유선에 의한 신호 전송상태를 보인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근거리 통신에 의한 무선 전송상태를 나타낸다.
도1(a)는 스마트폰(100)과 외부 모니터(200)를 USB에 연결하여 스마트폰(100)의 USB 영상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200)에 디스플레이하고, 아울러 외부 모니터(2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별도의 USB 포트 또는 근거리 통신 수단인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또는 직비(Zigbee)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외부 모니터(200)는 터치 입력 즉 터치 스크린이 구현된 양방향 USB 모니터로서, 입력된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블루투스나 직비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400)이 그 입력신호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USB 영상 데이터를 다시 USB를 통해 외부 모니터(200)로 출력하는 것이다.
외부 모니터(200)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USB-블루투스/와이파이 젠더(800)를 통하여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로 변환한 다음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하게 된다.
현재의 스마트폰(100)은 현재 블루투스 기능만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러한 블루투스를 통해서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그 특성상 많은 소비전력이 소모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외부 모니터(200)와 스마트폰(100) 사이에 저전력 근거리 통신수단인 직비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100)과 외부 모니터(200) 사이에 직비 통신이 가능하도록 스마트폰(100)에 삽입되어 있는 USIM 카드에 직비 모듈을 탑재시킨다.
USIM 카드는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로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데, UICC 라는 스마트 카드 표준 회로가 구현되어 있으며, 이러한 UICC는 CPU, ROM, RAM, EEPROM, 그리고 I/O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의 용량이 허용하는 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또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USIM 카드에 UICC와 함께 직비 모듈을 탑재하여 직비 모듈의 무선입출력단자(SWIO)와 UICC의 SWP(Single Wire Protocol) 단자를 연결함으로써 외부 모니터(200)로부터 수신된 터치 위치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데이터를 직비 모듈에서 수신받아 UICC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또한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UICC와 직비 모듈을 통해 외부 모니터(2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물론, 스마트폰(100)에서는 USB를 통해 외부 모니터(200)로 USB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외부 모니터(20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위치 데이터를 직비 모듈과 UICC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직비 통신 관련 소프트웨어는 직비 모듈의 마이콤 또는 UICC의 CPU 또는 스마트폰(100)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저장되어 직비 통신 프로토콜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2는 일반적인 USIM 카드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 회로인 UICC의 표준 단자를 보인 도로서, UICC는 GSM 및 UMTS(CDMA) 양 진영에서 모두 채택하고 있는 방식으로 모든 중류의 개인 데이터 및 보안과 보전을 책임지며, 일반적으로 수백 kbyte의 저장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UICC는 전원단자(C1), 리셋단자(C2), 클럭단자(C3), 그라운드단자(C5), SWP(Single Wire Protocol) 단자(C6), 입출력단자(C7), 그리고 여분의 옵션단자들(C4)(C8)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옵션단자들(C4)(C8)을 USB 단자로 할당하여 12Mbps속도의 USB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확장이 되어 있다.
여기서 SWP 단자(C6)는 Half-duplex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정의된 것으로, CFL(Contactless Front-end) 장치의 인터페이스 용으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SWP 단자(C6)와 직비 모듈을 연결하여 USIM 카드를 통해 외부 모니터(200)와의 직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3은 이러한 USIM 카드에 함께 탑재된 UICC(310)와 직비 모듈(320) 간의 결선관계를 보인 도로서, UICC(310)의 전원단자(C1)은 직비 모듈(320)의 전원단자(Vcc)와 결선되고, 그라운드 단자(C5)도 직비 모듈(320)의 그라운드 단자(Gnd)와 결성된다.
또한, SWP 단자(C6)는 직비 모듈(320)의 무선송수신단자(SWIO)와 연결된다.
UICC는 이미 표준화된 사양이고,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개인정보인증, 전화번호 기록 등의 용도로서 자체 소프트웨어에 의해 동작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직비 모듈(2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별도의 통신 소프트웨어가 구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4에서와 같이 UICC(310)를 슬레이브로 설정하고, 직비 모듈(320)의 마스터로 설정하며, 직비 모듈(320)에서 UICC(31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무선송수신단자(SWIO)의 출력전압 형태로 전송하고, UICC(310)에서 직비 모듈(32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류펄스 형태로 전송한다.
아울러 도5에서와 같이 UICC(310)에 통신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여 직비 모듈(320)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데, 가장 아래 있는 물리계층(Physical Layer)은 SWP 단자와 SWIO단자 간의 시리얼 통신방식이고, 그 상위층인 전송계층(Transport Layer)에서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의 교환이 UICC(310)의 APDU 처리부(311)와 직비 모듈(320)의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결국, 직비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즉, 소프트웨어는 UICC(310)의 CPU에서 수행될 수 있고, 또다른 방안으로는 직비 모듈(320)의 마이콤 또는 스마트폰(100)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다른 형태로서, USB 단자로 할당된 옵션단자들(C4)(C8)을 이용하는 것으로, USB 2.0을 변형한 IC-USB 데이터 신호로서 직비 USB 모듈(330)의 USB 단자들(IC_DM)(IC_DP)과 결선되어 통신하는 것이다.
물론, UICC(310)의 전원단자(C1)와 그라운드 단자(C5)도 각각 직비 USB 모듈(330)의 전원단자(IC_VDD)와 그라운드 단자(GND)와 결선된다.
이때, 물리계층의 신호만 IC-USB 신호에 맞추면 된다.
직비 통신을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직비 젠더(400)를 이용할 수 있는데, 도7에서와 같이 직비 회로(410)를 통해 수신된 터치 위치 데이터를 마이컴(420)을 통해 별도의 USB 포트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에 제공하게 되며, 반대로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출력되는 USB 영상 데이터는 직비 젠더(400)를 통해 외부 모니터(200)로 전송이 가능하다.
즉, 스마트폰(100)에는 USB 단자가 보통 1개만 구현되어 있으므로, 외부 모니터(200)와 스마트폰(100) 사이에는 USB 단자가 MHL 모드로 사용되고 있을 경우에는 직비젠더를 통한 통신은 불가능하며, 만일 스마트폰(100)에 별개의 USB 포트가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외부모니터(200)에서 터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USB 포트가 별도로 있을 경우에는 스마트폰(100)에도 별도의 USB 포트가 있을 경우에만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모니터(200)가 터치 데이터를 USB 신호로만 보내고, 스마트폰(100)도 USB/MHL포트만 있어서, 별도의 USB 데이터를 동시에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USB-블루투스/와이파이 젠더(800)를 외부모니터(200)에 부착하여 근거리 무선 신호로 변환해서 스마트폰에 연결할 수 있다.
도1(b)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출력되는 MHL(Mobile High Definition Link) 영상 데이터를 터치 입력이 가능한 일반 모니터로 구성된 외부 모니터(200)로 출력하고, 외부 모니터(20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위치 데이터를 블루투스나 직비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에서 수신받는 경우로서, 스마트폰(100)과 외부 모니터(200) 사이에 MHL/VGA 젠더(500)가 구비되어 그 MHL/VGA 젠더(500)가 MHL 영상 데이터를 VGA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모니터(200)로 출력하게 된다.
물론, 도1(a)에서와 마찬가지로, 외부 모니터(200)의 터치 위치 데이터는 USB를 통한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직비 모듈이 탑재된 USIM 카드(300) 또는 직비 젠더(400)를 통해 입력받아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모니터(200)가 터치 데이터를 USB 신호로만 보내고, 스마트폰(100)도 USB/MHL포트만 있어서, 별도의 USB 데이터를 동시에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USB-블루투스/와이파이 젠더(800)를 외부모니터(200)에 부착하여 근거리 무선 신호로 변환해서 스마트폰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100)은 입력신호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MHL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1(c)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출력되는 MHL 영상 데이터를 터치 입력이 가능한 양방향 터치 스마트 모니터로 구성된 외부 모니터(200)로 출력하고, 외부 모니터(200)의 터치 위치 데이터는 USB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나 직비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에서 수신받는 경우이다.
USB로 터치 데이터를 스마트폰(100)에 입력받기 위해서는 스마트폰(100)에 USB/MHL 단자 이외에 별도의 USB 포트가 있어야 된다.
물론 외부모니터(200)가 터치 데이터를 USB 신호로만 보내고, 스마트폰(100)도 USB/MHL포트만 있어서, 별도의 USB 데이터를 동시에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USB-블루투스/와이파이 젠더(800)를 외부모니터(200)에 부착하여 근거리 무선 신호로 변환해서 스마트폰에 연결할 수 있다.
스마트 모니터는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출력되는 MHL 영상 데이터를 곧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외부모니터(200)로 MHL 영상 데이터가 전송중일 때 USB 단자가 MHL 단자로 사용중이므로 외부 모니터(20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위치 데이터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에서 입력받게 된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출력되는 MHL 신호는 USB 단자와 신호를 공유하게 되므로,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USB 단자를 통해 MHL 영상 데이터가 외부 모니터(200)로 출력된다.
여기서도, 도1(a)에서와 마찬가지로, 외부 모니터(2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터치 위치 데이터는 직비 모듈이 탑재된 USIM 카드(300) 또는 직비 젠더(400)를 통해 입력받아 스마트폰(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0)에 USB 단자가 추가로 설치되어 MHL 영상데이터와 USB 데이터가 동시에 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외부 모니터(200)의 터치 위치 데이터는 곧바로 추가로 구비된 USB 단자를 통하여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100)은 입력신호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MHL 영상데이터를 외부 모니터(200)로 출력하는 것이다.
도1(d)는 외부 모니터 대신에 프로젝터(600)가 연결된 것으로서,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출력되는 MHL 영상 데이터는 프로젝터(900)에 제공되어 대형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대형 스크린에는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없으므로, 직비 통신이 가능한 리모콘(700)을 통해 커서의 위치 데이터나 실행 명령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러한 리모콘(700)의 출력신호는 직비 모듈이 구비된 USIM 카드(300) 또는 직비 젠더(400)로 입력되어 스마트폰(100)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스마트폰(100)은 입력신호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MHL 영상데이터를 프로젝터(600)로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스마트폰(100)에서 다중 디스플레이를 지원하여 다수의 외부 모니터에 각각 독립적인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100)은 복수의 프레임 버퍼 드라이버가 구비되어 있다.
도8은 일반적인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보인 도로서, 디스플레이를 위해서는 Application Framework의 'Window Manager'가 관여하고, Libraries에서는 'Surface Manager'가 관여하며, Linux Kernel의 'Display Driver'가 관여하게 된다.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여러개의 'Surface' 즉, 그림을 가질 수 있고, 동시에 여러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한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가정하므로, 도9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Surface'가 있더라도 'Surface Flinger'는 이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프레임 버퍼로 출력한 다음 'Linux Kernel'의 프레임 버퍼 드라이버를 콜함으로써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다중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지 못한 구조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10과 같이 다중 디스플레이를 위해 Libraries와 Linux Kernel을 수정한다.
다중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Linux Kernel에 복수의 프레임 버퍼 드라이버가 구비되며, Libraries 레벨에서 'Sugface Flinger'가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따라 복수개의 프레임 버퍼 드라이버에 디스플레이할 영상 데이터를 써주게 된다.
이때 스마트폰(100)에서 환경 설정 프로그램을 기동시켜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하게 되는데, 스마트폰 자신의 화면을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다중 디스플레이를 할 것인지에 대한 모드를 설정하고, 다중 디스플레인 경우 해상도를 어떻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100 : 스마트폰 200 : 외부 모니터
300 : USIM 카드 310 : UICC
320 : 직비 모듈 400 : 직비 젠더
500 : MHL/VGA 젠더 600 : 프로젝터
700 : 리모콘

Claims (12)

  1. 근거리 통신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유선 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외부 모니터;
    상기 스마트폰과 외부 모니터 사이에는 MHL 영상 데이터를 VGA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MHL/VGA 젠더;
    상기 외부 모니터와 스마트폰 사이에는 외부 모니터로부터 출력되는 USB 신호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USB-블루투스/와이파이 젠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직비(Zigbee) 모듈이 탑재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장착되어 외부 모니터와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직비 모듈이 탑재된 젠더가 장착되어 외부 모니터와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별도의 USB 포트가 추가로 구비되어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USIM 카드는 직비(Zigbee) 모듈을 탑재하여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슬레이브로 설정하고, 상기 직비 모듈을 마스터로 설정하며, 상기 UICC의 SWP(Single Wire Protocol) 단자와 전원 단자, 그리고 그라운드 단자를 각각 직비모듈의 무선입출력단자(SWIO), 전원단자, 그라운드 단자와 결선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USIM 카드는 직비(Zigbee) 모듈을 탑재하여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슬레이브로 설정하고, 상기 직비 모듈을 마스터로 설정하며, 상기 UICC의 USB 단자와 전원 단자, 그리고 그라운드 단자를 각각 직비모듈의 USB 단자, 전원단자, 그라운드 단자와 결선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폰은 복수의 프레임 버퍼 드라이버가 구비되어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09063A 2012-09-28 2012-09-28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3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63A KR101434830B1 (ko) 2012-09-28 2012-09-28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63A KR101434830B1 (ko) 2012-09-28 2012-09-28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66A KR20140042366A (ko) 2014-04-07
KR101434830B1 true KR101434830B1 (ko) 2014-09-02

Family

ID=5065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063A KR101434830B1 (ko) 2012-09-28 2012-09-28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49B1 (ko) * 2014-06-27 2016-01-08 김종길 와이파이 통신의 멀티 터치를 적용한 다중 접속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0984B1 (ko) * 2015-09-24 2016-10-31 (주)헤리트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US10433140B2 (en) * 2017-12-12 2019-10-01 Best Network Systems Inc. IOT devices based messaging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2783A (ja) * 2008-05-01 2009-11-19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ョン放送表示装置
KR20110132324A (ko) * 2008-12-31 2011-12-07 엠브이3 파트너스 엘엘씨 모바일 셋톱 박스
KR20120044203A (ko) * 2010-10-27 2012-05-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지그비 기반 설비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179912B1 (ko) * 2011-12-06 2012-09-06 이순창 복수의 휴대 단말을 연동시키는 더미 터치 스크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2783A (ja) * 2008-05-01 2009-11-19 Victor Co Of Japan Ltd テレビジョン放送表示装置
KR20110132324A (ko) * 2008-12-31 2011-12-07 엠브이3 파트너스 엘엘씨 모바일 셋톱 박스
KR20120044203A (ko) * 2010-10-27 2012-05-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지그비 기반 설비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179912B1 (ko) * 2011-12-06 2012-09-06 이순창 복수의 휴대 단말을 연동시키는 더미 터치 스크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66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123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동작방법
CN104040478B (zh) 用于电子设备通信的方法和装置
US9026603B2 (en) Device configuration including a master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slave device extension
CN102105845A (zh) 补充有无线通信模块的存储卡、使用该存储卡的终端、包括wpan通信模块的存储卡以及使用该存储卡的wpan通信方法
EP389199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high dynamic range video and method thereof
KR101434830B1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US10365875B2 (en) Electronic device for changing clock
US20230281403A1 (en) Shared controller for system with multiple nfc readers
KR20170033335A (ko)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603005B2 (en) Method of SIM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698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484045B1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US9842078B2 (en) Data transmission architecture
CN203118412U (zh) 基于移动终端的led图文显示无线控制系统
CN201252610Y (zh) 一种多功能电视机
KR102575044B1 (ko)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CN113467729B (zh) 电子装置与多屏幕显示方法
KR20130064294A (ko) 무선단말장치를 이용한 재구성 가능한 표시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063716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AU2015101007A4 (en) Remote controlled electrical outlet
CN115509475A (zh) 屏幕区域控制方法、装置、发送卡及存储介质
US89355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ooting in computer device with built-in communication module
FI115280B (fi) Päätelaite ja langaton etäyksikkö
CN117111483A (zh) 一种智能设备控制方法及系统
KR20150112309A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