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984B1 -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984B1
KR101670984B1 KR1020150135586A KR20150135586A KR101670984B1 KR 101670984 B1 KR101670984 B1 KR 101670984B1 KR 1020150135586 A KR1020150135586 A KR 1020150135586A KR 20150135586 A KR20150135586 A KR 20150135586A KR 101670984 B1 KR101670984 B1 KR 101670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령
강성일
박희숙
권영모
Original Assignee
(주)헤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리트 filed Critical (주)헤리트
Priority to KR102015013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984B1/ko
Priority to PCT/KR2016/009767 priority patent/WO20170520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이 개시된다. 출력 공유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중 하나에게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하고,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단말로부터 컨텐츠 전송권한을 허락받은 단말이 전송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Description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Shared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말이 빔 프로젝터 등과 같은 영상표시장치를 공유하여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빔 프로젝트 등과 같은 영상표시장치는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를 출력한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 자신의 컨텐츠를 빔 프로젝트 등을 통해 출력하고자 한다면 매번 빔 프로젝트와 연결된 컴퓨터에 각 사용자의 컨텐츠를 미리 저장시키거나 각 사용자의 컴퓨터를 빔 프로젝트와 다시 연결하여야 한다.
더구나 빔 프로젝트가 위치한 공간이 아닌 제3의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는 자신의 컨텐츠를 빔 프로젝트를 통해 출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빔 프로젝트를 통해 출력되는 내용이 무엇인지 실시간 확인할 수도 없다.
특허공개번호 제2015-009655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빔 프로젝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출력장치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공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공유장치의 일 예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통신부;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단말과 상기 원거리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단말의 제어권한 레벨을 설정하는 권한설정부;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단말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수신부; 및 수신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표시장치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컨텐츠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출력 방법의 일 예는, 출력 공유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말의 컨텐츠 출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출력 공유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직접 통신 연결하거나, 서버를 경유하여 원거리에서 간접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출력 공유장치로부터 제어권한의 레벨을 설정받는 단계; 및 컨텐츠 전송권한을 부여받으면, 컨텐츠를 출력 공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간접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출력 공유장치 리스트 또는 출력 공유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출력 공유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선택된 출력 공유장치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출력 방법의 일 예는, 복수의 출력 공유장치와 복수의 단말 사이를 중계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출력 공유장치와 복수의 단말 사이의 맵핑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맵핑관계를 기초로, 복수의 출력 공유장치와 복수의 단말 사이의 컨텐츠 송수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빔 프로젝터 등과 같은 컨텐츠 출력장치가 물리적 공간에 위치하지 아니한 사용자도 빔 프로젝터 등을 통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빔 프로젝트 등의 컨텐츠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공유할 수 있어, 회의나 강의 등에 원격의 사용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출력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공유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공유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출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출력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공유장치(100,110)가 존재한다. 출력 공유장치(100,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150,152) 내에 위치한 단말(102,104,112,114)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영역에 위치한 단말(122,124)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빔 프로젝트 등과 같은 컨텐츠출력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 공유장치(100,110)는 실시 예에 따라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일종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라고 함은 동영상, 정지영상, 소리, 각종 문서 파일, 출력 공유장치(100,110)의 상태(배터리 등), 출력 공유장치(100,110)에서 각종 센서를 통해 측정된 환경정보(온도, 습도 등) 등과 같이 통신을 통해 주고받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별도의 중계기가 필요없이 출력 공유장치와 단말 사이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 예로,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WiFi) 등이 있다. 원거리 무선 통신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며 일 예로,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등이 있다.
출력 공유장치(100,110)는 빔 프로젝터,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영상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스피커, 프린터, 팩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출력장치의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어 구현되는 형태이거나, 컨텐츠출력장치의 일부로 함께 구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공유장치는 빔 프로젝터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공유장치(100,1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22,124) 사이에서 컨텐츠나 각종 제어정보 등을 중계한다. 서버는 일 예로,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는, 원거리 무선 통신 영역에 위치한 단말(122,124)의 경우 서버(120)를 경유하여 출력 공유장치(100,110)와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거리 무선 통신 영역에 위치한 단말(122,124)이 서버(120)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출력 공유장치(100,110)에 접속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공유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출력 공유장치(100)는 근거리통신부(200), 원거리통신부(210), 권한설정부(220), 컨텐츠수신부(230), 컨텐츠버퍼(240), 컨텐츠출력부(250), 컨텐츠생성부(260), 컨텐츠전송부(270)를 포함한다. 이 외에, 실시 예에 따라, 출력 공유장치(100)는 카메라(262), 마이크(264), 각종 센서(266), 영상표시장치(252), 스피커(25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한다.
원거리통신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한다. 이때 원거리통신부(210)는 원거리의 단말과 직접 통신 연결하거나 클라우드 서버 등을 경유하여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단말과 통신 연결할 때, 출력공유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공유장치(100)는 아이디/패스워드 기반의 인증 또는 단말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인증 등의 다양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공유장치(100)는 인증되지 아니한 단말의 경우에 별도의 등록과정을 통해 통신 연결할 수 있다.
권한설정부(220)는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제어권한의 레벨을 설정한다. 제어권한의 레벨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권한의 레벨은 출력 공유장치를 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최상위 제어권한의 레벨, 출력 공유장치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컨텐츠 전송권한의 레벨, 단순히 출력 공유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만 할 수 있는 레벨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02,104)로 구성된 제1 그룹과 원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22,124)로 구성된 제2 그룹이 있을 때, 권한설정부(220)는 제1 그룹에 위치한 단말(102,104) 중 하나에게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한다.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단말은 출력 공유장치(100)의 컨텐츠 출력 여부를 비롯한 각종 제어 권한을 가지며, 또한 출력 공유장치에 연결된 다른 단말(104,122,124)에게 컨텐츠 전송권한을 부여하고 회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앞서 언급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권한설정부(220)는 인증 과정을 통해 파악된 각 사용자의 제어 등급 등에 따라 제어권한의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권한설정부(220)는 제1 그룹 내에 위치한 단말(102,104) 중 임의의 하나의 단말에게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하고, 나머지 단말에게는 기 설정된 기본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한 후,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단말이 나머지 단말의 제어권한의 레벨을 변경하거나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컨텐츠수신부(23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컨텐츠 전송을 위하여 별도의 전송권한이 필요하다면, 각 단말은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가진 단말로부터 컨텐츠 전송권한을 부여받은 후 컨텐츠를 출력 공유장치로 전송한다. 컨텐츠 전송권한을 부여받은 단말은 실시 예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만 컨텐츠의 전송이 허락되거나 컨텐츠의 전송 개수가 1개 이상의 일정 개수로 제한될 수 있다.
컨텐츠버퍼(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한다. 컨텐츠버퍼(240)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컨텐츠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된 컨텐츠는 버퍼 내에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되는 컨텐츠는 실시 예에 따라, 출력 공유장치(100)에 외장 또는 내장되는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컨텐츠버퍼(240)는 버퍼의 여유 용량을 체크하며 더 이상의 컨텐츠 수용 공간이 없거나, 수신한 컨텐츠의 용량이 커서 컨텐츠 전부가 제대로 저장되지 아니한 경우에 에러 메시지 등을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가진 단말 또는 컨텐츠를 전송한 단말에게 보낸다.
컨텐츠출력부(250)는 컨텐츠버퍼(24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영상표시장치(252)나 스피커(254), 프린터 등의 각종 컨텐츠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출력부(250)는 빔 프로젝터를 통해 동영상, 이미지, PPT(PowerPoint) 파일 등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버퍼(240)에 복수 개의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면, 컨텐츠출력부(250)는 수신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수신 순서와 관계없이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여 표시하거나,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의 표시 순서나 동시 표시되는 컨텐츠의 종류 등은 제어권한을 가진 단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상위 레벨의 권한을 가진 단말이 컨텐츠버퍼(240)에 저장된 컨텐츠 중 표시할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화면 분할의 개수 및 각 분할 화면에 표시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출력부(25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표시 순서나 표시 개수 등의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표시한다. 물론 최상위 레벨의 권한과 컨텐츠 출력 제어의 권한은 서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단말에 부여될 수도 있다.
빔 프로젝터 등을 통해 PPT 자료의 컨텐츠를 표시할 때, 화면에 표시되는 PPT 자료의 페이지는 사용자가 출력 공유장치나 단말을 통해 입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공간 내에 위치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와 동일한 PPT 자료의 페이지를 보면서 회의나 강의 등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PPT 자료의 컨텐츠를 단순히 공유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다시 말해, 빔 프로젝터를 통해 현재 PPT 자료의 7페이지가 표시된다고 할 때, 단순히 PPT 자료의 컨텐츠(즉, PPT 파일)를 전송받은 원거리 사용자는 현재 7페이지가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가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하에서 살필 컨텐츠 생성부(260) 및 컨텐츠 전송부(270)를 포함한다.
컨텐츠생성부(260)는 카메라(262), 마이크(264), 센서(266) 등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생성한다. 앞의 예를 다시 들면, 컨텐츠생성부(260)는 빔 프로젝터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화면을 카메라(262)로 촬영한 컨텐츠를 생성한다. 또는 컨텐츠생성부(260)는 마이크(264)를 통해 빔 프로젝터가 위치한 곳의 사용자 목소리 등을 카메라 촬영 영상과 함께 포함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전송부(270)는 컨텐츠생성부(260)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를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 전송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사용자는, 컨텐츠출력부(250)에 의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직접 볼 수 있으므로,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전송부(27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에게는 컨텐츠 전송을 생략할 수 있다.
컨텐츠전송부(270)는 원거리에 위치한 단말에게 직접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도 1에서 살핀 서버(120)를 경유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120)를 통한 컨텐츠 전송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공유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 영역(150)과 원거리 통신 영역(160)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02,122)은 출력 공유장치(100)와 통신을 연결한다(S300,S305). 출력 공유장치(100)는 연결된 단말들(102,122)에게 제어권한을 부여한다(S310,S315). 출력 공유장치(100)의 각종 기능 등을 제어하는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은 근거리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102)에게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 근거리 통신 영역의 단말(102)에게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이 부여된 것으로 가정한다.
최상의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근거리 통신 영역의 단말(102)은 원거리 통신 영역의 단말(122)에게 컨텐츠 전송 권한을 부여한다(S320). 보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 영역의 단말(102)이 원거리 통신 영역의 단말에 대한 컨텐츠 전송권한 부여의 제어정보를 출력 공유장치(100)에 전송하면, 출력 공유장치(100)는 이를 원거리 통신영역의 단말(122)에게 전달한다. 출력 공유장치(100)는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가진 단말이 용이하게 컨텐츠 전송권한을 다른 단말에게 부여할 수 있도록 단말 리스트를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가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 공유장치(100)는 수신한 컨텐츠를 컨텐츠버퍼에 저장하고, 컨텐츠버퍼에 저장된 컨텐츠를 빔 프로젝터 등을 통해 출력한다(S340).
또한 출력 공유장치(100)는 빔 프로젝터 등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카메라, 마이크 등을 통해 촬영하여 컨텐츠를 생성한다(S350). 그리고 생성된 컨텐츠를 각 단말에게 전송한다(S360,S365). 실시 예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의 단말에게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S36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20)는 복수의 출력 공유장치(100,110) 및 복수의 단말(122,124)과 연결된다. 출력 공유장치(100,110)가 원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122,124)과 직접 연결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각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큰 대역폭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 등과 같이 대용량 컨텐츠를 많은 수의 원거리 단말에게 전송한다면 제한된 대역폭으로 인해 컨텐츠의 전송이 지연되어 실시간 회의나 강의 등의 목적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출력 공유장치(100,110)는 직접 단말(122,124)과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대역폭 등의 자원 활용이 좀더 원활한 서버(120)(일 예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단말(122,124)에게 컨텐츠를 제공한다.
서버(120)는 복수의 출력 공유장치(100,110)와 복수의 단말(122,124) 사이의 맵핑관계를 파악하여 저장한다(S400, S405). 예를 들어, 서버(120)는 복수의 출력 공유장치(100,110)의 리스트를 단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출력 공유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단말로부터 출력 공유장치의 식별정보 등을 입력받아, 각 단말과 맵핑되는 출력 공유장치를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출력 공유장치(100)는 제1 단말(122), 제2 출력 공유장치(110)는 제2 단말(124)과 맵핑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서버(120)는 복수의 출력 공유장치(100,1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S410), 맵핑 정보를 기초로 각 출력 공유장치(100,100)의 컨텐츠를 어떤 단말에게 제공하여야 하는지를 파악한 후(S415), 컨텐츠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한다(S420). 예를 들어, 제1 출력 공유장치(100)와 제1 단말이 맵핑되어 있으므로, 서버(120)는 제1 출력 공유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제1 단말(122)에게 제공한다.
반대로, 단말(122,124)이 컨텐츠를 출력 공유장치(100,110)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서버(120)는 단말(122,124)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S430), 맵핑정보를 기초로 각 단말과 맵핑된 출력 공유장치를 파악한 후(S435), 컨텐츠를 해당하는 출력 공유장치(100,110)에 전송한다(S44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출력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출력 공유장치와 통신 연결한다(S500. S540). 단말은 근거리 통신과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이 있다. 단말은 도 5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S500), 단말은 출력 공유장치로부터 제어권한의 레벨을 부여받는다(S510). 제어권한의 레벨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단말에게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경우로 가정한다.
최상위 권한을 부여받은 단말은 컨텐츠 전송이 필요한 다른 단말에게 컨텐츠 전송권한을 부여한다(S520). 그리고 단말은 필요에 따라 자신이 직접 공유 출력장치에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공유 출력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530).
다음으로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S540), 단말은 직접 출력 공유장치와 연결되거나 도 4에서 살핀 바와 같이 서버를 경유하여 출력 공유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서버를 통해 공유하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단말이 연결 대상 출력 공유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출력 공유장치와 연결이 설정되면, 단말은 출력 공유장치로부터 제어권한의 레벨을 부여받는다(S550). 이때 원거리 단말은 일반적으로 컨텐츠 수신의 권한 레벨을 부여받아 출력 공유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전송받는다(S550).
만약 컨텐츠를 출력 공유장치에 전송하고자 한다면, 단말은 컨텐츠 전송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 단말은 출력 공유장치에게 컨텐츠 전송권한의 부여를 요청한다.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가진 단말은 출력 공유장치로부터 컨텐츠 전송권한의 부여 요청을 전달받은 후 컨텐츠 전송 권한의 부여 여부를 결정한다. 최상위 권한의 단말로부터 컨텐츠 전송권한을 부여받으면(S570), 단말은 컨텐츠를 출력 공유장치에 전송한다(S58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영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통신부;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단말과 상기 원거리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단말의 제어권한 레벨을 설정하는 권한설정부;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단말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수신부; 및
    수신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화면표시장치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컨텐츠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출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통신부는,
    클라우드 서버를 경유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출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설정부는,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중 하나에게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컨텐츠수신부는, 상기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단말로부터 컨텐츠 전송권한을 허락받은 단말이 전송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출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카메라, 마이크,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생성부; 및
    상기 근거리통신부 또는 상기 원거리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상기 컨텐츠생성부가 생성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출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생성부는, 상기 컨텐츠출력부에 의해 화면표시장치나 마이크를 통해 출력된 영상이나 소리를 카메라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출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부 또는 상기 원거리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출력부는 상기 컨텐츠버퍼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화면분할을 통해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출력장치.
  7. 공유 출력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 출력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중 하나에게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최상위 레벨의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단말로부터 컨텐츠 전송권한을 허락받은 단말이 전송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화면표시장치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장치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카메라나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클라우드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버퍼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를 화면분할을 통해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10. 출력 공유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말의 컨텐츠 출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출력 공유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직접 통신 연결하거나, 서버를 경유하여 원거리에서 간접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출력 공유장치로부터 제어권한의 레벨을 설정받는 단계; 및
    컨텐츠 전송권한을 부여받으면, 컨텐츠를 출력 공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간접 통신 연결하는 단계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출력 공유장치 리스트 또는 출력 공유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출력 공유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선택된 출력 공유장치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35586A 2015-09-24 2015-09-24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KR101670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86A KR101670984B1 (ko) 2015-09-24 2015-09-24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PCT/KR2016/009767 WO2017052093A1 (ko) 2015-09-24 2016-09-01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86A KR101670984B1 (ko) 2015-09-24 2015-09-24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984B1 true KR101670984B1 (ko) 2016-10-31

Family

ID=5744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86A KR101670984B1 (ko) 2015-09-24 2015-09-24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0984B1 (ko)
WO (1) WO201705209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854A1 (ko) * 2016-11-11 2018-05-17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iot 모니터링 시스템
WO2018128432A1 (ko) * 2017-01-04 2018-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간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전자 장치의 콘텐츠 공유 방법
KR102139058B1 (ko) * 2019-05-10 2020-07-29 (주)비앤에스컴 서버 관리 장치를 구비한 클라우드 서버 및 로컬 서버를 이용하는 제로클라이언트 단말기용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670A (ko) * 2019-07-17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서버 및 서버의 제어 방법
CN111314305B (zh) * 2020-01-16 2022-04-15 成都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电子信息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709A (ko) * 2005-11-28 2007-05-31 주식회사 케이티 빔 프로젝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발표 시스템 및 방법
KR100986619B1 (ko) * 2010-03-12 2010-10-08 이상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멀티입출력장치 및 방법
KR101539955B1 (ko) * 2011-03-02 2015-08-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미디어출력서비스를 위한 방법, 관리장치,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20128348A (ko) * 2011-05-17 2012-11-27 (주)에어로직스 원격 영상 전송 및 프로젝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4830B1 (ko) * 2012-09-28 2014-09-02 한빛 세마텍(주)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854A1 (ko) * 2016-11-11 2018-05-17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iot 모니터링 시스템
WO2018128432A1 (ko) * 2017-01-04 2018-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간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전자 장치의 콘텐츠 공유 방법
US11030143B2 (en) 2017-01-04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sharing content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content shar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102139058B1 (ko) * 2019-05-10 2020-07-29 (주)비앤에스컴 서버 관리 장치를 구비한 클라우드 서버 및 로컬 서버를 이용하는 제로클라이언트 단말기용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2093A1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984B1 (ko)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US10021049B2 (en)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EP3244299B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ontent
CN108429814B (zh) 用于在多个装置之间传输数据的方法和系统
KR101974136B1 (ko) 차량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2986008A1 (en)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KR20090002658A (ko)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무선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방법
KR20140076274A (ko)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23701A (ko) 네트워크 접속 방법, 기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202004263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43529A (ko) 블록체인과 해쉬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영상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00957A (ko) 블록체인과 해쉬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영상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20336A (ko) 클라우드 시스템 및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N104584059A (zh) 电子设备和内容共享方法
US9729724B2 (en) Communication system, re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802882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3679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80152830A1 (en) Information recep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CN109511102A (zh) 具有多个线路的信息处理装置、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102616600B1 (ko) 분실 위험이 없고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571682B1 (ko) 다중 화상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4178904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01879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KR10120930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영상 처리 장치 사이에서 블루투스 네트워크 구현 방법 및 블루투스 신호 변환 장치
KR20150054606A (ko) 학습 맵을 이용한 학습자 주도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