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879B1 -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879B1
KR101601879B1 KR1020140164158A KR20140164158A KR101601879B1 KR 101601879 B1 KR101601879 B1 KR 101601879B1 KR 1020140164158 A KR1020140164158 A KR 1020140164158A KR 20140164158 A KR20140164158 A KR 20140164158A KR 101601879 B1 KR101601879 B1 KR 101601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mage
image content
cloud server
electronic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탱그램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탱그램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탱그램팩토리
Priority to KR102014016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기능; 상기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 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중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시킬 이미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기능;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기능;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액자 중 상기 편집이 완료된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액자를 선택하는 선택기능;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 중 상기 선택된 전자액자의 라이브러리에 상기 편집이 완료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하는 전송기능;을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액자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동기화되어 전자액자에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전송, 편집 및 관리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IMAGE CONTENTS PROVIDING APPLICATION IN RECORDING MEDIUM ,SYSTEM FOR DIGITAL FRAME}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액자는 외부장치의 연결을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한 이미지를 출력하여주고, 일정한 출력방식을 적용하여 다수의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기 설정한 방식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기능을 하는 디지털 방식의 액자로 마련되어 진다.
이러한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이용한 전자액자 내 이미지 출력에 관련된 종래기술의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0793호의 "전자액자 및 이의 작동방법 "(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전자액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저장장치에서 사용자가 설정하여 기 저장해둔 이미지 파일 중에서 선택하여 이미지 파일을 이동시킴으로써, 전자액자 상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해야 함으로, 하나의 저장매체가 다수의 전자액자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관리하기는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며, 단순히 전자액자로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기 전송되어진 데이터들에 관한 편집을 동시에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전자액자와 동기화되어 사용자가 전자액자에 출력을 원하는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전송, 편집 및 관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기능; 상기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 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중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시킬 이미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기능;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기능;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액자 중 상기 편집이 완료된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액자를 선택하는 전자액자 선택기능;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 중 상기 선택된 전자액자의 라이브러리에 상기 편집이 완료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하는 전송기능;을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속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 상기 제공된 리스트 중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하나의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을 요청하는 기능; 및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거쳐 상기 선택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집기능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 내에서 상기 전자액자의 영상표시부 상에 출력될 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및 상기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의 크기 및 회전상태를 변경하는 기능;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편집기능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를 상기 전자액자를 통해 출력되기 위해 적합한 데이터 형식 및 해상도로 변환하는 기능;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각각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 컨텐츠들을 관리하는 관리기능;을 더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기능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액자 중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액자를 선택하는 기능; 상기 선택된 전자액자에 대응되는 라이브러리 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중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하는 기능;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삭제하는 기능;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액자 시스템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는 전자액자; 상기 전자액자와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액자와 대응되는 개별적인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되는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전자 액자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를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액자는 상기 전자액자의 고유식별정보와 대응되는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액자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동기화되어 전자액자에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전송, 편집 및 관리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전자액자가 연동되어 있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버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액자의 사용이 미숙하거나 해당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용이하게 전자액자 출력되는 이미지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저액자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텐츠 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접속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 리스트 제공부의 서버 리스트 제공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편집부의 이미지 컨텐츠 편집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컨텐츠 관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관하여 설명하면,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인증기능; 이미지 선택기능; 편집기능; 전자액자 선택기능; 전송기능;을 사용자 단말기(10)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인증기능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로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증기능은 서버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 통신기능, 접속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접속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20)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버(20)들 중에서 전자액자(30)와 사용자 단말기(10)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 서버로서의 기능이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20)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증기능은 이렇게 제공받은 클라우드 서버(20)의 리스트들 중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시키고자 하는 전자액자(30)가 기 연동된 클라우드 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해 하나의 클라우드 서버(20)를 선택하여 접속을 요청하는 통신기능 및 접속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거쳐 선택된 하나의 클라우드 서버(20)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 과정은 선택된 클라우드 서버(20)의 기 가입된 계정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에 로그인하여 접속하는 과정이며, 인증 과정에서 사용된 계정은 선택된 클라우드 서버(20)에 연동되어 라이브러리(25)를 기 생성하기 위해 전자액자가 접속 시 사용되었던 사용자의 계정과 동일해야 한다.
이미지 선택기능은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10) 내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중 클라우드 서버(20)로 전송시킬 이미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편집기능은 이미지 선택기능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한다. 여기서, 편집기능은 출력 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이미지 컨텐츠의 상태를 변형하는 기능, 이미지 컨텐츠의 데이터 형식 및 해상도를 변환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출력 영역을 선택하는 기능은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 내에서 전자액자(30)의 영상표시부 상에 출력될 영역(50)을 선택한다. 여기서, 전자액자(30)는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고유한 프래임 영역(50)을 가지고 있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영역(50)을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 상에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여 출력될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컨텐츠의 상태를 변형하는 기능은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의 크기 및 회전상태를 변형한다. 이러한 기능의 수행과정은 출력 영역을 선택하는 기능를 통해 제공되는 전자액자(30)의 영상표시부 상에 출력될 영역(50)을 확인함과 동시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출력 영역을 선택하는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전자액자(30)의 영상표시부 상에 출력될 영역(50)을 확인하면서,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의 크기 및 회전상태를 변형하여 원하는 부분이 전자액자(30)의 영상표시부 상에 출력될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편집기능은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를 전자액자(30)를 통해 출력되기 위해 적합한 데이터 형식 및 해상도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출력하고자하는 이미지 컨텐츠들의 데이터 형식 및 해상도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전자액자(30)에 수신되어 출력되기 위한 일정한 데이터 형식 및 해상도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 컨텐츠들에 대한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전자액자 선택기능은 클라우드 서버(20)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25)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액자(30) 중 편집이 완료된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전자액자(30)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액자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면, 전자액자 시스템은 전자액자(30); 클라우드 서버(20); 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한다.
전자액자(3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서버(20)로부터 수신받은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한다. 여기서, 전자액자(30)는 클라우드 서버(20)에 기 가입되어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계정을 통해 접속되어 클라우드 서버(20) 내에 고유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접속된 전자액자(30)와 대응되는 개별적 라이브러리(25)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라이브러리(25) 내에 저장되는 이미지 컨텐츠는 전자액자(30)에 의해 수신되어 전자액자(30)의 영상표시부에 출력된다.
클라우드 서버(20)는 해당 클라우드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에게 별도의 저장공간을 마련해주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전자액자(30)와 연결되어 이 저장공간 내에 접속되어지는 전자액자(30)들에 대응되는 각각의 라이브러리(25)들을 마련해줄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20)는 전자액자(30)가 라이브러리(25) 내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TSP, Real Time Streaming Protocol)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클라우드 서버(20)와 연동되어 지는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이러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버(20) 내에 기 생성되어 있는 각각의 전자액자(30)들에 대응되는 라이브러리(25)에 저장되어진 이미지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20) 내에는 각각의 전자액자(30)에 대응되어 기 생성된 복수의 라이브러리(25)들이 존재하고, 사용자 단말기(10)는 이들 중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하나의 전자액자(30)에 대응되는 라이브러리(25)를 선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편집기능을 통해 편집이 완료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전자액자 선택기능은 클라우드 서버(20) 내 어떤 라이브러리(25)에 전송할지 선택하게 된다.
전송기능은 전자액자 선택기능을 통해 선택되어진 전자액자(10)의 라이브러리(25)에 편집기능을 통해 편집이 완료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로써, 전자액자 선택기능을 통해 선택되어진 전자액자(10)는 해당 라이브러리(25)에 저장되어진 이미지 컨텐츠를 영상표시부에 출력하여 제공한다.
아울러, 이렇게 라이브러리(25)에 저장되어진 이미지 컨텐츠들을 관리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관리기능을 사용자 단말기(10) 상에서 더 실행시킬 수 있다.
관리기능은 클라우드 서버(20) 내 각가의 라이브러리(25)에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 컨텐츠들을 관리한다. 여기서, 관리기능(160)은 관리될 전자액자 선택 기능, 삭제 이미지 선택 기능, 이미지 삭제 기능을 포함한다.
먼저, 관리기능은 클라우드 서버(20)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25)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액자(30) 중 라이브러리(25)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액자(30)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삭제 이미지 선택 기능은 선택된 전자액자에 대응되는 라이브러리(25) 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중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되어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는 이미지 삭제 기능을 통해 삭제되어지고, 그 결과 해당 라이브러리(25)에 대응되어 있는 전자액자(30)는 더 이상 삭제된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2.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컨텐츠 제공 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2, 도3, 도5, 도7의 순서도 및 도4 및 도6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클라우드 서버 접속단계<S100>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로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 접속단계(S1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 리스트 제공단계(S110); 클라우드 서버 선택단계(S120); 접속 요청 단계(S130); 접속단계(S140);로 진행된다.
먼저,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서버 리스트 제공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접속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20)의 리스트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S110)받는다.
이렇게 제공받은 다수의 클라우드 서버(20)의 리스트 중에 사용자는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고자 하는 전자액자(30)가 기 접속되어 대응되는 라이브러리(25)를 생성해둔 클라우드 서버(20)를 선택(S120)한다.
그 후,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서버 선택단계(S120)를 통해 선택된 클라우드 서버(20)에 통신기능을 수행하여 접속을 요청(S130)한다.
또한, 인증기능은 접속 요청(S130)에 따라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정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인증기능을 통한 인증과정은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고자 하는 전자액자(30)가 클라우드 서버(20)로의 접속을 수행할 때 인증되었던 사용자의 계정과 동일한 계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2) 이미지 선택단계<S200>
본 단계에서는 클라우드 서버 접속단계(S100)를 통해 접속되어진 클라우드 서버(20)로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중 전송이 이루어질 이미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3) 이미지 편집단계<S300>
본 단계에서는 이미지 선택단계(S200)를 통해 선택되어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편집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미지 편집단계(S3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영역 선택단계(S310); 상태 변형단계(S320); 변환단계(S330);로 진행된다.
먼저, 출력 영역을 선택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이미지 선택단계(S200)를 통해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 내에서 전자액자(30)의 영상표시부 상에 출력될 영역(50)을 선택한다. 여기서, 전자액자(30)는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고유한 프래임 영역(50)을 가지고 있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영역(50)을 이미지 선택단계(S200)를 통해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 상에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여 출력될 영역(50)을 조절(S310)할 수 있다.
이렇게 전자액자(30)의 영상표시부 상에 출력될 영역(5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미지 컨텐츠의 상태를 변형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이미지 선택단계(S200)를 통해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의 크기 및 회전상태를 변형(S320)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출력영역 선택단계(S310) 및 상태 변형단계(S320)를 거쳐 전자액자(30)의 영상표시부 상에 출력될 상태가 편집된 이미지 컨텐츠는 데이터 형식 및 해상도를 변환하는 기능을 통해 전자액자(30)에 출력되기 위해 적합한 데이터 형식 및 해상도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S330)한다.
(4) 전자액자 선택단계<S400>
본 단계에서는 이미지 편집단계(S300)를 통해 편집되어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전송 대상이 되는 전자액자(30)를 선택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전자액자 선택기능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25)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액자(30) 중 편집이 완료된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전자액자(30)를 선택(S400)한다.
(5)이미지 전송단계<S500>
본 단계에서는 전자액자 선택단계(S400)를 통해 선택되어진 전자액자(10)에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미지 편집단계(S300)를 통해 편집이 완료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는 전송기능을 이용하여 전자액자 선택단계(S400)를 통해 선택되어진 전자액자(10)의 라이브러리(25)에 전송(S500)되어 진다.
결과적으로 전자액자 선택단계(S400)를 통해 선택되어진 전자액자(10)는 이미지 전송단계(S500)를 통해 해당 라이브러리(25)에 전송되어진 이미지 컨텐츠를 영상표시부에 출력하여 제공한다.
(6)이미지 관리단계<S600>
본 단계에서는 상기 일련의 과정(S100 내지 S5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25)에 저장되어진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관리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미지 관리단계(S60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액자 선택단계(S610); 삭제 이미지 선택단계(S620); 이미지 삭제단계(S630);로 진행된다.
먼저, 사용자는 관리될 전자액자 선택기능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20)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25)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액자(30) 중 라이브러리(25)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액자(30)를 선택(S610)한다.
그 후, 사용자는 삭제 이미지 선택기능응 이용하여 전자액자 선택단계(S610)를 통해 선택된 전자액자에 대응되는 라이브러리 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중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S620)한다.
이렇게 삭제 이미지 선택단계(S620)를 통해 선택되어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는 이미지 삭제기능 통해 삭제되어지고, 그 결과 해당 라이브러리(25)에 대응되어 있는 전자액자(30)는 더 이상 삭제된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클라우드 서버
30 : 전자액자

Claims (7)

  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기능;
    상기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 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중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시킬 이미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기능;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기능;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를 가지며, 해당 라이브러리 내의 이미지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할 수 있는 다수의 전자액자 중 상기 편집이 완료된 이미지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액자를 선택하는 전자액자 선택기능;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 중 상기 선택된 전자액자의 라이브러리에 상기 편집이 완료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하는 전송기능;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 상기 각각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 컨텐츠들을 관리하는 관리기능;을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실행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인증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전자액자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액자와 대응되는 개별적인 라이브러리를 제공 가능한 클라우드 서버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기능;
    상기 제공된 리스트 중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하나의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을 요청하는 기능; 및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거쳐 상기 선택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기능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 내에 각각의 라이브러리를 가지는 다수의 전자액자 중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액자를 선택하는 기능;
    상기 선택된 전자액자에 대응되는 라이브러리 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중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하나 이상 선택하는 기능;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삭제하는 기능;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기능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 내에서 상기 전자액자의 영상표시부 상에 출력될 영역을 선택하는 기능; 및
    상기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의 크기 및 회전상태를 변경하는 기능;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기능은,
    상기 선택된 이미지 컨텐츠를 상기 전자액자를 통해 출력 가능한 데이터 형식 및 해상도로 변환하는 기능;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64158A 2014-11-24 2014-11-24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KR101601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58A KR101601879B1 (ko) 2014-11-24 2014-11-24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58A KR101601879B1 (ko) 2014-11-24 2014-11-24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879B1 true KR101601879B1 (ko) 2016-03-09

Family

ID=5553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158A KR101601879B1 (ko) 2014-11-24 2014-11-24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8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896A (ko) * 2005-12-05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화면 캡쳐 기능을이용한 액자 이미지 생성 방법
KR20130077097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실행 방법 및 단말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컨텐츠 실행 방법
KR20130125948A (ko) * 2012-05-10 2013-11-20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 액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제공 장치
KR20140031716A (ko)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896A (ko) * 2005-12-05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화면 캡쳐 기능을이용한 액자 이미지 생성 방법
KR20130077097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단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실행 방법 및 단말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컨텐츠 실행 방법
KR20130125948A (ko) * 2012-05-10 2013-11-20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 액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제공 장치
KR20140031716A (ko)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3162B (zh) 一种云导播系统及直播处理方法、装置
US20130339474A1 (en) Media sharing
US9621627B2 (en) Dynamically launching a server-based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JPWO2008153067A1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1771437B1 (ko) 컨텐츠의 속성을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할 기기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US20120215882A1 (en) Content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storage device, and non-transistory content management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50019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ta Change Synchronization of Data Changes across a Plurality of Nodes
US1194351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KR101670984B1 (ko) IoT 출력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CN112911327B (zh) 一种直播软件自动配置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1769845B1 (ko) 기기 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1500741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ransmiss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200711506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601879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컨텐츠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액자 시스템
KR20090123236A (ko) 녹화파일 리스트를 외부로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녹화파일 제공방법 및 녹화파일 제공 시스템
US20110302271A1 (en) Data delivery apparatus
JP6669402B2 (ja) 通信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93564A (ja) コンテンツ取得システム、サーバ及びこれらを用いたコンテンツ取得方法
KR101415691B1 (ko) 스트리밍 영상 컨버터
KR101593320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97522B1 (ko) 믹스 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WO2016051802A1 (ja) コンテンツ受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受信装置、表示装置、コンテンツ受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787303A1 (en) Multi-window viewing system including editor for reaction video and method for producing reaction video by using same
KR20160020194A (ko) 전자 액자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062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ied data access across networked compu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