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044B1 -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044B1
KR102575044B1 KR1020210042461A KR20210042461A KR102575044B1 KR 102575044 B1 KR102575044 B1 KR 102575044B1 KR 1020210042461 A KR1020210042461 A KR 1020210042461A KR 20210042461 A KR20210042461 A KR 20210042461A KR 102575044 B1 KR102575044 B1 KR 102575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video
mobil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ode
wireless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6609A (ko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엘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블랙박스에 위치한 메모리카드슬롯에 삽입되어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하여 분배기로 전달하는 연결단자;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통신 처리기;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본체 메모리카드슬롯; 상기 연결단자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분배하여 본체 메모리카드슬롯과 영상전송제어기로 각각 전송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와이파이통신 처리기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 무선전송하는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영상전송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Wireless Data Transfer Module for Black Box}
본 발명은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블랙박스 영상을 무선을 전송할 수 있는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교통 사고의 발생시 사고 원인 규명은 주로 목격자의 진술에 의하거나 경찰관의 경험적 판단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교통 사고 원인 규명 방식은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므로 과실 여부의 판단이 명확하지 않아 종종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통 사고 혹은 도난 사고가 발생된 경우 사고 당시의 차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사고 원인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가 대중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녹화하고 이 녹화된 영상과 함께 시간 정보를 기록한다.
블랙박스의 영상을 무선통신을 이용해 전송하는 기술은 다양한 목적에 의한 요구가 있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요구를 대응하는 기기를 저렴하고 빠른 시간에 보급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현재 진행되는 기술로는 기존의 블랙박스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새로운 기기를 개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7633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존에 사용하는 블랙박스의 H/W나 S/W의 변형없이 추가의 통신 기능 탑재한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블랙박스에 위치한 메모리카드슬롯에 삽입되어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하여 분배기로 전달하는 연결단자;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통신 처리기;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본체 메모리카드슬롯; 상기 연결단자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분배하여 본체 메모리카드슬롯과 영상전송제어기로 각각 전송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와이파이통신 처리기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 무선전송하는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영상전송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는, 이동통신지기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처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전송제어기는, 상기 분배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처리기로 전달하여 원격 단말기로 이동통신 무선전송하는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전송제어기는, 상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일괄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을 동작시키는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는, 모드 선택 화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전송제어기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 중에서 동작시킬 모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된 모드로만 동작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전송제어기는, 블랙박스 영상에 대하여 이미지 분석하여 차량 사고로 판단되는 긴급 상황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여 미리 등록된 119센터서버와 경찰청 서버로 사고 신고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며,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의 동작만을 선택받았다 하더라도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로서 사용자 스마트폰에 블랙박스 영상을 와이파이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랙박스의 H/W나 S/W의 변형없이 추가의 통신기능 탑재한 기기를 연결함으로써, 무선 전송을 위해 장치설치 비용의 절감과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없이 사용이 가능한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는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에 블랙박스 영상을 손쉽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랙박스 메모리카드슬롯으로 전달되는 실시간 영상 파일정보를 영상전송제어기에서 동일한 내용으로 별도의 본체 메모리카드슬롯의 메모리카드에 저장을 하고, 필요한 무선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블랙박스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가 블랙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블랙박스 영상이 무선 전송 및 저장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가 블랙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블랙박스 영상이 무선 전송 및 저장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는 블랙박스의 H/W나 S/W의 변형없이 추가의 통신기능 탑재한 기기를 연결하므로 목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므로 인해 장치설치 비용의 절감과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없이 사용이 가능한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200;WDTM;Wireless Data Transfer Module for Black Box)는, 블랙박스에 위치한 메모리카드슬롯에 삽입되어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하여 분배기(220)로 전달하는 연결단자(210)와,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통신 처리기(260)와,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는,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본체 메모리카드슬롯(230)과, 연결단자(210)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분배하여 본체 메모리카드슬롯(230)과 영상전송제어기(240)로 각각 전송하는 분배기(220)와, 분배기(220)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와이파이통신 처리기(260)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 무선전송하는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영상전송제어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이동통신지기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처리기(270)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패널(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전원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또는 블랙박스로부터 전원 제공을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연결단자(2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랙박스에 위치한 메모리카드슬롯에 삽입되어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하여 분배기(2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단자(210)와 분배기(220)는, 신호선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블랙박스 영상을 분배기(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단자(210)는, 메모리카드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블랙박스에 위치한 메모리카드슬롯의 포트와 접촉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여, 블랙박스 메모리카드슬롯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분배기(220)로 전달할 수 있다.
와이파이통신 처리기(260)는,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유닛이다. 사용자 스마트폰과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한다. 참고로 와이파이(WiFi)로 구현시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방식은 AP없이 무선으로 직접 다른 기기에 접속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스마트 기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되며 블루투스보다 전송 반경도 넓고 속도도 빠르다.
본체 메모리카드슬롯(230)은,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슬롯이다. 따라서 분배기(220)를 통해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이 본체 메모리카드슬롯(230)에 삽입된 메모리카드에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메모리카드는,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로서,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저장 모듈이다. 이러한 메모리카드는 μSD카드 등과 같이 다양한 크기의 규격을 가질 수 있다.
분배기(220)는, 연결단자(210)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분배하여 본체 메모리카드슬롯(230)과 영상전송제어기(240)로 각각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블랙박스 영상데이터 전송 경로 중간에 데이터를 분배하는 분배기(220)를 구비하여, 도 4와 같이 본체 메모리카드슬롯(230)에 삽입된 메모리카드(uSD카드)로 전달되는 동일한 정보를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의 영상전송제어기(240)로 공유하게 된다.
영상전송제어기(240)는, CPU와 같은 연산처리가 가능한 연산칩으로 구현되어, 분배기(220)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와이파이통신 처리기(260)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 무선전송하는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블랙박스에서 촬영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별도의 H/W나 S/W 업데이트 없이도 본 발명의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블랙박스 메모리카드슬롯으로 전달되는 실시간 영상 파일정보를 W영상전송제어기(240)에서 동일한 내용으로 별도의 본체 메모리카드슬롯(230)의 메모리카드에 저장을 하고, 필요한 무선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여기서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함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에 블랙박스 영상을 손쉽게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는, 이동통신지기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처리기(2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동통신 처리기(27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5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전송제어기(2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기(220)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이동통신 처리기(270)로 전달하여 원격 단말기로 이동통신 무선전송하는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단말기는, 원격에서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통신네트워크 기기로서, 사용자 지인의 스마트폰이 해당될 수 있으며, 나아가 119센터서버, 경찰청서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영상전송제어기(240)는,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일괄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분배기(220)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를 통하여 외부의 지인 스마트폰, 19센터서버, 경찰청서버 등으로 이동통신 무선 전송할 수 있으며, 동시에 블랙박스 영상을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를 통하여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영상전송제어기(240)는 무선전송 모드,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을 동작시키는 선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는, 모드 선택 화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패널(25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영상전송제어기(24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 중에서 동작시킬 모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경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만 동작하며, 반면에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경우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한다.
이는, 불필요한 무선전송 모드를 수행하지 않아 연산부하를 줄이기 위함으로써, 외부의 원격 단말기에 블랙박스 영상을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를 오프(OFF)시키며, 반면에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메모리 용량이 작아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할 여력이 없는 경우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 주행중에 충돌사고, 인명사고 등의 차량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사고 사실을 전파하고, 아울러 사고 현장 블랙박스 영상을 메모리카드 이외에도 사용자 자신의 스마트폰에 저장하여 보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전송제어기(240)는, 블랙박스 영상에 대하여 이미지 분석하여 차량 사고로 판단되는 긴급 상황인 경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여 미리 등록된 119센터서버와 경찰청 서버로 사고 신고 메시지를 직접 전송한다. 아울러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의 동작만을 선택받았다 하더라도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로서 사용자 스마트폰에 블랙박스 영상을 와이파이 무선 전송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에 사고기록영상이 자동 저장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WDTM)
210:연결단자
220:분배기
230:본체 메모리카드슬롯
240:영상전송제어기
260:와이파이통신 처리기
270:이동통신 처리기

Claims (5)

  1. 블랙박스에 위치한 메모리카드슬롯에 삽입되어 블랙박스 영상을 수신하여 분배기로 전달하는 연결단자;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통신 처리기;
    메모리카드가 삽입되는 본체 메모리카드슬롯;
    상기 연결단자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분배하여 본체 메모리카드슬롯과 영상전송제어기로 각각 전송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와이파이통신 처리기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 무선전송하는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영상전송제어기; 및
    이동통신지기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처리기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전송제어기는, 상기 분배기로부터 수신되는 블랙박스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처리기로 전달하여 원격 단말기로 이동통신 무선전송하는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영상전송제어기는, 상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일괄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 중에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을 동작시키는 선택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블랙박스 영상에 대하여 이미지 분석하여 차량 사고로 판단되는 긴급 상황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 동작하여 미리 등록된 119센터서버와 경찰청 서버로 사고 신고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로의 동작만을 선택받았다 하더라도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로서 사용자 스마트폰에 블랙박스 영상을 와이파이 무선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드 선택 화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전송제어기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무선전송 모드, 와이파이 무선전송 모드 중에서 동작시킬 모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선택된 모드로만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5. 삭제
KR1020210042461A 2021-04-01 2021-04-01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KR102575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461A KR102575044B1 (ko) 2021-04-01 2021-04-01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461A KR102575044B1 (ko) 2021-04-01 2021-04-01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609A KR20220136609A (ko) 2022-10-11
KR102575044B1 true KR102575044B1 (ko) 2023-11-17

Family

ID=8359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461A KR102575044B1 (ko) 2021-04-01 2021-04-01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0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99B1 (ko) 2012-03-12 2014-01-28 백상은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31B1 (ko) 2009-12-29 2012-03-16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97565B1 (ko) * 2011-12-13 2013-08-19 주식회사 위츠 차량 장착용 실시간 영상전송시스템
KR20200109132A (ko) * 2019-03-12 2020-09-22 최원근 블랙박스 기반 공공 제보 및 교통사고 대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99B1 (ko) 2012-03-12 2014-01-28 백상은 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609A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623B2 (en) Video stream processing method,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5122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EP2649859B1 (en) Automatically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US20160155476A1 (en) Event data recorder with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thereof
US11452158B2 (en) Dual-network dual-system mobile device
CN114629932B (zh) 电子设备间的协同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0259446A1 (zh) 通信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922539B (zh) 网络连接方法及相关产品
CN108235237B (zh) 数据上报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102575044B1 (ko) 블랙박스 무선데이터 전송 장치
CN202448892U (zh) 车载移动智能终端
CN108306765A (zh) 一种对讲通信设备无线写频系统及其写频方法
CN110876197A (zh) 载波聚合的更新方法及相关产品
CN110768900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CN108650404B (zh) 端口启动电路、装置及移动终端
US7162270B2 (en) Dual communication mode wireless network transmission device
US6934560B2 (en) System combining pager typ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mobile phone module
CN111061355B (zh) 一种供电数据获取方法及设备
US20240015500A1 (en)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9714734B (zh) Dmr系统、dmr的无线通信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4830758A (zh) 确定寻呼原因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5636079A (zh) 网络确定方法及装置
CN109565710A (zh) 传输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CN110876198A (zh) 载波聚合的配置方法及相关产品
CN204539342U (zh) 移动出警作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