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529A -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529A
KR20190120529A KR1020180043835A KR20180043835A KR20190120529A KR 20190120529 A KR20190120529 A KR 20190120529A KR 1020180043835 A KR1020180043835 A KR 1020180043835A KR 20180043835 A KR20180043835 A KR 20180043835A KR 20190120529 A KR20190120529 A KR 20190120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
pull
latch circuit
output sig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491B1 (ko
KR102419491B9 (ko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491B1/ko
Priority to CN201910288794.9A priority patent/CN110385993B/zh
Publication of KR2019012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491B1/ko
Publication of KR10241949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49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웨이크업(WakeUp)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풀 다운(Pull Down)되어 디스에이블(Disable)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래치 회로부, 래치 회로부에 의해 생성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됨에 따라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부, 및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된 후 미리 설정된 웨이크업 시간 동안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MCU(Micro Contol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POWER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제동 시스템의 웨이크업 과정에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 연료 전지 차량, 또는 전기 자동차는 회생 제동이 가능한 차량으로서, 연비를 높여 주도록 하기 위해 전동식 부스터를 이용한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e)을 구현한다.
차량에 적용되는 회생제동 시스템은 그 특성상 차량의 시동이 OFF 된 경우라도, 차량의 운행 또는 제동을 위한 운전자의 차량 조작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 경우 또는 브레이크 페달이 답입되는 경우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웨이크업 되도록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의 차량 조작이 있는 경우, 회생제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전원을 공급받아 웨이크업 되며, 소정 시간 동안 운전자의 추가적인 차량 조작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암전류로 인한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ECU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다시 슬립 모드로 진입해야 한다. 이때,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차량 조작 신호는 운전자의 추가적인 차량 조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존의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도어 조작 신호는 지속적으로 High-Level로 유지된 상태로 입력되게 된다. 이렇게 High-Level로 유지되는 차량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상황에서도 ECU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청되는 실정이다.
High-Level로 유지되는 차량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상황에서 ECU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별도의 웨이크업 로직이 적용된 특수 IC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특수 IC 적용에 따른 비용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6260호(2011.07.06.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별도의 웨이크업 로직이 적용된 특수 IC의 적용 없이, 소정의 래치 회로를 이용한 차량 조작 신호의 초기화를 통해 시스템의 웨이크업 및 슬립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웨이크업(WakeUp)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풀 다운(Pull Down)되어 디스에이블(Disable)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래치 회로부, 상기 래치 회로부에 의해 생성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됨에 따라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부, 및 상기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된 후 미리 설정된 웨이크업 시간 동안 상기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MCU(Micro Contol Un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래치 회로부는, 상기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노드와, 상기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노드를 연결하는 메인 루트 상에 접속되는 메인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래치 회로부는, 상기 메인 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의해 턴 온되는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출력 노드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턴 온 동작에 의해 턴 온되어 상기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풀 다운시키기 위한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투 스테이지(Two Stage) 풀 다운 트랜지스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는 시점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래치 회로부는, 일 단자가 상기 메인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풀 다운 저항, 및 상기 풀 다운 저항의 타 단자와 접지 단자에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는 시점은 상기 풀 다운 저항의 리지스턴스(resistance)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웨이크업 입력 신호는, 이그니션 동작에 따른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신호, 및 도어 개폐 조작에 따른 도어 개폐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은 래치 회로부가,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웨이크업(WakeUp)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레귤레이터부가, 상기 래치 회로부에 의해 생성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됨에 따라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MCU(Micro Control Unit)가, 상기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되는 단계, 상기 래치 회로부가,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풀 다운(Pull Down)시켜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단계, 및 상기 MCU가, 미리 설정된 웨이크업 시간 동안 상기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조작 신호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소정의 래치 회로를 채용하여 시스템의 웨이크업 및 슬립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웨이크업 로직이 적용된 특수 IC의 적용을 제거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래치 회로의 파라미터 값만을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 다양한 시스템 사양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어 그 확장상 측면에서도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에서 입력 노드, 출력 노드 및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입력 노드에서의 전압 파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 회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에서 입력 노드, 출력 노드 및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입력 노드에서의 전압 파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는 래치 회로부(100), 레귤레이터부(200) 및 MCU(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작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웨이크업(WakeUp)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즉, High-Level을 갖는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래치 회로부(100)는 기준 시간 동안만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고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디스에이블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레귤레이터부(200)로 전달하고, 레귤레이터부(200)는 인에이블 상태의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구동 전원을 생성하여 MCU(300)로 공급하며, MCU(300)는 레귤레이터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된 후 웨이크업 시간 동안 레귤레이터부(200)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 회로부(100)를 통해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생성되어 MCU(300)의 웨이크업이 이루어지고 웨이크업 시간 경과 후 슬립 모드로 진입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웨이크업 로직이 적용된 특수 IC의 적용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래치 회로부(100)는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웨이크업(WakeUp)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풀 다운(Pull Down)되어 디스에이블(Disable)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웨이크업 입력 신호는 이그니션 동작에 따른 이그니션 신호(IGN),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신호(BLS: Brake Light Signal), 및 도어 개폐 조작에 따른 도어 개폐 신호(DO: Door Ope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회로부(10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래치 회로부(100)는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노드(도 2의 V1 노드)와,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노드(도 2의 V2 노드)를 연결하는 메인 루트 상에 접속되는 메인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인에이블 상태의 웨이크업 입력 신호에 의해 우선적으로 턴 온되어 메인 트랜지스터(Q2)를 턴 온시키기 위한 서브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트랜지스터(Q2) 및 서브 트랜지스터(Q1)는 각각 PNP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및 NPN BJT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트랜지스터(Q2) 및 서브 트랜지스터(Q1)의 각 단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 및 분기 경로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저항(R1 - R5)과 제너 다이오드(D1)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래치 회로부(100)는 메인 트랜지스터(Q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의해 턴 온되는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 및 출력 노드에 접속되며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의 턴 온 동작에 의해 턴 온되어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풀 다운시키기 위한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Q4)를 포함하는 투 스테이지(Two Stage) 풀 다운 트랜지스터부(Q_P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 및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Q4)는 각각 NPN BJT 및 PNP BJT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 및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Q4)의 각 단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 및 분기 경로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저항(R6 - R8)이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래치 회로부(100)는 일 단자가 메인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 접속되는 풀 다운 저항(R6), 및 풀 다운 저항(R6)의 타 단자와 접지 단자에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회로 구성을 토대로 래치 회로부(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인에이블 상태의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입력 노드를 통해 입력되면 서브 트랜지스터(Q1) 및 메인 트랜지스터(Q2)가 순차적으로 턴 온되고, 이에 따라 인에이블 상태의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메인 트랜지스터(Q2) 및 외부 저항(R1, R8)을 통해 출력 노드로 전달되어, 출력 노드 상에는 인에이블 상태(즉, High-Level로 유지되는)의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생성된다. 웨이크업 출력 신호의 인에이블 상태에서의 전압 레벨은 외부 저항(R1, R8)에 의한 전압 강하로 인해 웨이크업 입력 신호 대비 낮게 형성된다.
이후,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는 메인 트랜지스터(Q2)로부터 출력되어 외부 저항(R6)을 경유하여 베이스 단자로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턴 온되고,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의 턴 온 동작에 의해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Q4)가 순차적으로 턴 온되며,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Q4)의 턴 온 동작에 의해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풀 다운되어 디스에이블된다(즉, Low-Level로 풀 다운된다).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 및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Q4)를 포함하는 투 스테이지 풀 다운 트랜지스터부(Q_PD)를 통해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풀 다운시킴으로써,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만이 적용되는 싱글 스테이지(Single Stage)를 적용할 경우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류가 낮음으로 인해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풀 다운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가 턴 온되기 전까지는 인에이블 상태의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메인 트랜지스터(Q2) 및 외부 저항(R1, R8)을 통해 출력 노드로 전달됨으로써 출력 노드 상에 생성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는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되고,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가 턴 온되는 시점부터 웨이크업 출력 신호의 풀 다운이 개시되기 때문에,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즉 기준 시간은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가 턴 온되는 시점에 의존하게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래치 회로부(100)는 일 단자가 메인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단자에 접속되는 풀 다운 저항(R6), 및 풀 다운 저항(R6)의 타 단자와 접지 단자에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가 턴 온되는 시점은 풀 다운 저항(R6)의 리지스턴스(resistance) 및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메인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중 일부는 풀 다운 저항(R6)을 거쳐 커패시터(C1)에 축적되므로, 풀 다운 저항(R6)의 리지스턴스(resistance) 및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에 의해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가 턴 온되는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즉,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부터 풀 다운 저항(R6) 및 커패시터(C1)로 인해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가 턴 온되기까지의 지연 시간이 기준 시간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풀 다운 저항(R6)의 리지스턴스(resistance) 및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 다양한 ECU 전원 시스템 사양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어 그 확장상 측면에서도 이점을 갖는다.
전술한 래치 회로부(100)의 동작을 통해, 기준 시간 동안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풀 다운되어 디스에이블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출력 노드에 생성된 후 레귤레이터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웨이크업 입력 신호로서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페달 신호 및 도어 개폐 신호가 래치 회로부(100)의 입력 노드로 입력되는 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레이크 페달 신호 및 도어 개폐 신호는 래치 회로부(100)의 입력 노드로 입력되고, 이그니션 신호는 레귤레이터부(200)로 직접 입력되는 회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입력 노드(V1)로 입력된 경우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의 입력 노드(즉, 베이스 단자, V3)에서의 전압 파형과 출력 노드(V2)에서 생성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의 전압 파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300ms 동안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로서 풀 다운 저항(R6)의 리지스턴스 및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가 각각 470kΩ 및 2μF으로 설정된 예시에서는,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된 시점으로부터 100ms(즉, 기준 시간) 경과 시점에서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가 턴 온되고, 이에 따라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풀 다운되어 디스에이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200)는 래치 회로부(100)에 의해 생성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됨에 따라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으며, 즉 인에이블 상태의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배터리 전원을 레귤레이션(regulation)하여 MCU(300)의 구동 전원을 생성한 후 MCU(300)로 공급할 수 있다.
MCU(Micro Control Unit, 300)는 레귤레이터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된 후 미리 설정된 웨이크업 시간 동안 레귤레이터부(200)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MCU(300)는 레귤레이터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된 후, 웨이크업 시간 동안 High-Level로 유지되는 전압 제어 신호를 GPIO 출력을 통해 레귤레이터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부(200)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 및 전압 제어 신호를 동일한 입력 단자(INH)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웨이크업 시간이 경과하기 전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디스에이블된 경우라도 High-Level로 유지되는 전압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MCU(30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시간은 설계자의 의도 및 시스템 사양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되어 MCU(3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예: 10 mi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래치 회로부(100)는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웨이크업(WakeUp)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S100). 자세히는, 인에이블 상태의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입력 노드를 통해 입력되면 서브 트랜지스터(Q1) 및 메인 트랜지스터(Q2)가 순차적으로 턴 온되고, 이에 따라 인에이블 상태의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메인 트랜지스터(Q2) 및 외부 저항(R1, R8)을 통해 출력 노드로 전달되어, 출력 노드 상에는 인에이블 상태의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생성된다.
S100 단계에서 래치 회로부(100)에 의해 생성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됨에 따라, 레귤레이터부(200)는 MCU(300)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생성한다(S200).
이어서, MCU(300)는 레귤레이터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된다(S300).
이어서, 래치 회로부(100)는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풀 다운(Pull Down)시켜 디스에이블(Disable)시킨다(S400). 자세히는,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가 메인 트랜지스터(Q2)로부터 출력되어 외부 저항(R6)을 경유하여 베이스 단자로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턴 온되고,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Q3)의 턴 온 동작에 의해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Q4)가 순차적으로 턴 온되며,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Q4)의 턴 온 동작에 의해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풀 다운되어 디스에이블된다.
이어서, MCU(300)는 미리 설정된 웨이크업 시간 동안 레귤레이터부(200)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S500). 즉, MCU(300)는 레귤레이터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된 후, 웨이크업 시간 동안 High-Level로 유지되는 전압 제어 신호를 GPIO 출력을 통해 레귤레이터부(200)로 전달함으로써, 레귤레이터부(200)로 하여금 구동 전원을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 조작 신호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소정의 래치 회로를 채용하여 시스템의 웨이크업 및 슬립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웨이크업 로직이 적용된 특수 IC의 적용을 제거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래치 회로의 파라미터 값만을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 다양한 시스템 사양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어 그 확장상 측면에서도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래치 회로부
Q1: 서브 트랜지스터
Q2: 메인 트랜지스터
Q_PD: 풀 다운 트랜지스터부
Q3: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
Q4: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
R1 ~ R8: 외부 저항
R6: 풀 다운 저항
C1: 커패시터
D1: 제너 다이오드
200: 레귤레이터부
300: MCU

Claims (7)

  1.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웨이크업(WakeUp)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풀 다운(Pull Down)되어 디스에이블(Disable)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래치 회로부;
    상기 래치 회로부에 의해 생성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됨에 따라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부; 및
    상기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된 후 미리 설정된 웨이크업 시간 동안 상기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MCU(Micro Contol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부는, 상기 웨이크업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노드와, 상기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노드를 연결하는 메인 루트 상에 접속되는 메인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부는, 상기 메인 트랜지스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의해 턴 온되는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출력 노드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턴 온 동작에 의해 턴 온되어 상기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풀 다운시키기 위한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투 스테이지(Two Stage) 풀 다운 트랜지스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는 시점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회로부는, 일 단자가 상기 메인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풀 다운 저항, 및 상기 풀 다운 저항의 타 단자와 접지 단자에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풀 다운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는 시점은 상기 풀 다운 저항의 리지스턴스(resistance) 및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입력 신호는, 이그니션 동작에 따른 이그니션 신호, 브레이크 페달 조작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신호, 및 도어 개폐 조작에 따른 도어 개폐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7. 래치 회로부가, 운전자의 차량 조작에 따른 웨이크업(WakeUp) 입력 신호가 인에이블(Enable)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레귤레이터부가, 상기 래치 회로부에 의해 생성되는 웨이크업 출력 신호가 인에이블됨에 따라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MCU(Micro Control Unit)가, 상기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의해 웨이크업되는 단계;
    상기 래치 회로부가,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웨이크업 출력 신호를 풀 다운(Pull Down)시켜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단계; 및
    상기 MCU가, 미리 설정된 웨이크업 시간 동안 상기 레귤레이터부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 제어 방법.
KR1020180043835A 2018-04-16 2018-04-16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1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35A KR102419491B1 (ko) 2018-04-16 2018-04-16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1910288794.9A CN110385993B (zh) 2018-04-16 2019-04-11 车辆的电源控制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35A KR102419491B1 (ko) 2018-04-16 2018-04-16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529A true KR20190120529A (ko) 2019-10-24
KR102419491B1 KR102419491B1 (ko) 2022-07-11
KR102419491B9 KR102419491B9 (ko) 2023-05-11

Family

ID=6828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835A KR102419491B1 (ko) 2018-04-16 2018-04-16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9491B1 (ko)
CN (1) CN1103859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80B1 (ko) * 2021-10-20 2022-02-16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차량용 타이머의 보정 및 고장 진단 장치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2154B (zh) * 2020-07-28 2022-03-08 广汽埃安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电池管理系统的唤醒装置、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241A (ko) * 2005-05-31 2006-12-05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엔진제어유닛의 재가동 장치 및 방법
KR20150127421A (ko) *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에스원 전원 공급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9461B2 (en) * 2005-06-23 2012-01-03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Touch wake for electronic devices
JP5680219B2 (ja) * 2011-11-25 2015-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機
CN103701196A (zh) * 2013-12-13 2014-04-02 大连现代高技术集团有限公司 一种能补偿车载设备瞬时失电的车用电源
CN105128694A (zh) * 2014-06-03 2015-12-09 北京现代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整车控制器电源系统的控制方法及装置
JP6417249B2 (ja) * 2015-03-17 2018-10-3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及び車両用制御システム
CN105978099B (zh) * 2016-06-29 2018-11-16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低压电源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4241A (ko) * 2005-05-31 2006-12-05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엔진제어유닛의 재가동 장치 및 방법
KR20150127421A (ko) *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에스원 전원 공급 장치, 그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80B1 (ko) * 2021-10-20 2022-02-16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차량용 타이머의 보정 및 고장 진단 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491B1 (ko) 2022-07-11
KR102419491B9 (ko) 2023-05-11
CN110385993A (zh) 2019-10-29
CN110385993B (zh)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2150B2 (en)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20140292A1 (en) Wake up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 supported on a vehicle
KR102419491B1 (ko) 차량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601422B (zh) 启动电路及电子设备
CN100415571C (zh) 电动机控制装置
US20050023898A1 (en) Device for prompting a controller
CN101402329A (zh) 能自动关闭汽车大灯系统的装置及其控制方法
WO2022142353A1 (zh) 车灯控制装置和方法
JP5044698B2 (ja) 給電電圧を供給する電源装置からランプに電力を供給するための安定器及びリモートイネーブル信号の状態に応じて電源装置からランプに電力を選択的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
CN209949503U (zh) 一种电动车昼间行车灯控制系统
JP2954374B2 (ja) 自動車用バッテリの充電システム
US7173350B2 (en) Load drive control apparatus having minimized power consumption when functioning in waiting status
CN211603929U (zh) 一种行车电脑保护电路及控制系统
CN112959962A (zh) 一种车联网远程智能锁车功能下电方式控制锁车执行的方法
CN209928230U (zh) 一种电子排挡背光灯功能休眠唤醒装置
TWI703061B (zh) 車載終端
KR20080035241A (ko) 자동차 암 전류 절감장치
JP3326880B2 (ja) 車両用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WO2024113179A1 (zh) 电源控制电路、负载电路、供电系统及终端设备
JP2551202Y2 (ja) 車両用負荷制御装置
JP2004159410A (ja) 電源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CN215245344U (zh) 一种电动车刹车接口组件及电动车
CN219999532U (zh) 一种自动识别车载t-box并控制ivi麦克风的电路
US202304124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 power consumption of a vehicle rear lamp
CN108443043B (zh) 汽车点火控制电路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