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275A -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275A
KR20190120275A KR1020197027255A KR20197027255A KR20190120275A KR 20190120275 A KR20190120275 A KR 20190120275A KR 1020197027255 A KR1020197027255 A KR 1020197027255A KR 20197027255 A KR20197027255 A KR 20197027255A KR 20190120275 A KR20190120275 A KR 2019012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kneading
raw
sand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오구라
히사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04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grinding, blending, mixing, kneading, or stirring
    • B22C5/0409Blending, mixing, kneading or stirring; Metho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04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grinding, blending, mixing, kneading, or stirring
    • B22C5/0409Blending, mixing, kneading or stirring; Methods therefor
    • B22C5/0472Parts; Accessories; Controlling; Feeding; Discharging; Propor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14Equipment for storing or handling the dressed mould material, forming part of a plant for preparing such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18Plants for preparing moul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5/00Equipment for ca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과제] 생형사에의 주수량을 보다 적절히 제어하여, 보다 안정된 성상을 갖는 혼련사를 작성하는 주수 혼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으로서, 계량된 생형사를 저류하는 계량 호퍼와, 생형사와 물을 혼련하는 혼련기와, 계량 호퍼 내의 생형사를 혼련기에 방출하거나, 또는, 방출을 차단하는 모래 투입 수단과, 혼련기 내의 생형사에 대해 주수를 행하는 주수 장치와, 한 쌍의 전극으로 구성되고, 계량 호퍼 내에 저류된 생형사의 수분량을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하는 수분 센서와, 수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주수 장치에 의한 주수량을 제어하고, 모래 투입 수단을 제어하는 혼련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본 발명은, 생형사의 주수(注水) 혼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주물사에 벤토나이트 등의 첨가제(점결제)가 가해진 생형사에 물을 주수하여 혼련하는 혼련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3-237086호 공보
이전부터, 생형사에의 주수량을 보다 적절히 제어하여, 보다 안정된 성상(性狀)을 갖는 혼련사를 작성하는 주수 혼련 시스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형사에의 주수량을 보다 적절히 제어하여, 보다 안정된 성상을 갖는 혼련사를 작성하는 주수 혼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주수 혼련 시스템은, 계량된 생형사를 저류(貯留)하는 계량 호퍼와, 생형사와 물을 혼련하는 혼련기와, 상기 계량 호퍼 내의 생형사를 상기 혼련기에 방출하거나, 또는, 방출을 차단하는 모래 투입 수단과, 상기 혼련기 내의 생형사에 대해 주수를 행하는 주수 장치와, 한 쌍의 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계량 호퍼 내에 저류된 생형사의 수분량을 상기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하는 수분 센서와, 상기 수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수 장치에 의한 주수량을 제어하고, 모래 투입 수단을 제어하는 혼련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형사와 물의 비율을 조정하고, 생형사에의 주수량을 보다 적절히 제어하여, 보다 안정된 성상을 갖는 혼련사를 작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혼련 제어 장치와, 계량 호퍼, 모래 투입 실린더, 주수 유닛, 수분 센서, 및 온도 센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주수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주수 유닛에 의한 주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수분 센서의 전극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수분 센서의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수평 거리를 A로부터 B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수분 센서(한 쌍의 전극)와 수분량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조정을 종료한 직후와 2주간 가동한 후에 수분 센서가 측정한 수분 전압과 실측 수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수분 센서가 측정한 수분 전압과 실측 수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한 쌍의 전극 사이의 거리와 수분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수 혼련 시스템을 이용한 생형사의 혼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모래 계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주수 유닛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수 혼련 시스템(1)은, 생형사에 점결제와 물을 더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일정한 성상을 갖는 혼련사를 제작한다. 주수 혼련 시스템(1)은, 혼련 유닛(2), 계량 호퍼(3), 모래 투입 실린더(4), 점결제 투입 장치(5), CB 컨트롤러(6), 주수 유닛(7), 수분 센서(8), 및 온도 센서(9)를 구비하고 있다.
혼련 유닛(2)은, 혼련기(10) 및 혼련 제어 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혼련기(10)는, 계량 호퍼(3)로부터 투입된 생형사에, 점결제 투입 장치(5)로부터 방출된 점결제와, 주수 유닛(7)으로부터 주수된 물을 더하고 혼련하여, 혼련사를 제작한다.
혼련 제어 장치(11)는, 모래 투입 실린더(4)의 개방 동작, 주수 유닛(7)의 주수 동작, 및 혼련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혼련 제어 장치(11)는, 계량 호퍼(3) 내에 저류된 생형사의 양, 계량 호퍼(3) 내에 설치된 수분 센서(8)의 수분 측정값, 및 계량 호퍼(3) 내에 설치된 온도 센서(9)의 온도 측정값에 기초하여, 주수 유닛(7)이 주수하는 물의 양을 결정함으로써, 혼련기(10) 내의 생형사의 수분량을 제어한다. 혼련 제어 장치(11)는, 수분 센서(8)의 측정값 및 온도 센서(9)의 측정값으로부터 생형사의 수분량을 산출하는 수분량 산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수분량 산출부(12)에 대해서는, 나중에 수분 센서(8) 및 온도 센서(9)의 설명시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혼련 제어 장치(11)는, 모래 투입 신호 및 주수 요구 신호를 발신한다.
도 3은, 혼련 제어 장치(11)와, 계량 호퍼(3), 모래 투입 실린더(4), 주수 유닛(7), 수분 센서(8), 및 온도 센서(9)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혼련 제어 장치(11)는, 수분 센서(8)로부터 수분 측정값, 온도 센서(9)로부터 온도 측정값, 및 계량 호퍼(3)로부터 계량 완료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혼련 제어 장치(11)는, 모래 투입 실린더(4)에, 모래 투입 실린더(4)를 열어 생형사의 혼련기(10)에의 투입을 지시하는 모래 투입 신호, 및 주수 유닛(7)에, 주수 및 주수량을 지시하는 주수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혼련 제어 장치(11)는, 계량 호퍼(3), 모래 투입 실린더(4), 주수 유닛(7), 수분 센서(8), 및 온도 센서(9)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PLC이다.
계량 호퍼(3)는, 계량 호퍼(3)에 구비된 모래 계량 수단(도시생략)으로 생형사를 계량하여 저류한다. 그리고, 계량 호퍼(3)는, 생형사의 계량 완료 후, 혼련 제어 장치(11)에 계량 완료 신호를 발신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생형사의 계량은, 계량 호퍼(3)에서 행하고 있지만, 별도로 모래 계량을 행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본 계량 호퍼(3)를 계량된 생형사의 저류에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량 호퍼(3)는, 혼련기(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 모래 계량 수단은 혼련기(10)의 기동 신호를 받아 작동하지만, 그 밖에 작업자의 수동 신호에 의한 작동 등도 있다.
모래 투입 실린더(4)는, 혼련 제어 장치(1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계량 호퍼(3)와 혼련기(10)의 사이를 개방하고, 타이머 제어에 의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계량 호퍼(3)와 혼련기(10)의 사이를 폐쇄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래 투입 실린더(4)를 개방함으로써 계량 호퍼(3) 내의 생형사를 혼련기(10)에 방출하고, 생형사의 혼련기(10)에의 투입 후에 모래 투입 실린더(4)를 폐쇄함으로써, 다음 혼련 배치용으로 계량 호퍼(3)에 새로 생형사를 계량하였을 때 계량 호퍼(3)로부터 혼련기(10)에 생형사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모래 투입 실린더(4)는, 계량 호퍼(3)와 혼련기(10)의 사이에 설치된다.
점결제 투입 장치(5)는, 혼련 제어 장치(11)로부터의 지시, 또는, 작업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점결제를 혼련기(10) 내에 방출한다. 점결제 투입 장치(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혼련기(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결제로서 벤토나이트를 이용한다.
CB 컨트롤러(6)는, 혼련된 모래의 성상인 CB값(컴팩터빌리티값)을 측정함과 아울러, 혼련된 모래가 원하는 CB값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혼련사가 원하는 CB값이 아닌 경우, 추가 주수를 지시한다. CB 컨트롤러(6)는, 컴퓨터 또는 PLC를 가지고 있다.
(주수 유닛)
주수 유닛(7)은, 물을 혼련기(10) 내에 주수하고, 혼련 유닛(2) 내의 생형사와 점결제에 대해 최적의 주수량을 첨가한다. 도 4는, 주수 유닛(7)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주수 유닛(7)에 의한 주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주수 유닛(7)은, 주수 장치(13) 및 주수 제어 장치(14)를 구비하고 있다.
주수 장치(13)는, 수원(水源)으로부터의 물을 혼련기(10)에 주수한다. 주수 장치(13)는, 주수 탱크(15), 급수 밸브(16), 만(滿)레벨계(17), 가압 밸브(18), 작은 주수 밸브(19), 큰 주수 밸브(20), 및 디지털 유량계(21)를 구비하고 있다.
주수 탱크(15)는, 수도관 등의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축적한다. 급수 밸브(16)는,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주수 탱크(15)에 공급하는 물의 양을 조정한다. 급수 밸브(16)는, 수원과 주수 탱크(15)의 사이에 설치된다. 만레벨계(17)는,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인지를 측정한다. 만레벨계(17)는, 주수 탱크(15)의, 주수 탱크(15) 내의 물이 가득 차게 되었을 때의 수면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설치된다. 가압 밸브(18)는,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주수 탱크(15) 내를 가압하는 압축 공기의 양을 조정한다. 가압 밸브(18)는, 압축 공기원과 주수 탱크(15)의 사이에 설치된다.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는,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주수 탱크(15)로부터 혼련기(10)로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정한다.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는, 주수 탱크(15)와 혼련기(10)의 사이에서 병렬로 접속된다. 디지털 유량계(21)는, 주수 탱크(15)로부터 방출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한다. 디지털 유량계(21)는,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보다 하류의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주수 탱크(15) 내의 물은,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 및 디지털 유량계(21)를 경유하여, 혼련기(10)에 주수된다.
여기서, 밸브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작은 주수 밸브(19)에 흐르는 물의 양이 큰 주수 밸브(20)에 흐르는 물의 양보다 적게 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작은 주수 밸브(19)에 흐르는 물의 양과 큰 주수 밸브(20)에 흐르는 물의 양의 유량비를, 1:2 내지 1:10의 사이로 설정한다.
주수 제어 장치(14)는, 주수 장치(13)를 제어하여, 주수 탱크(15)에 물을 공급한다. 또한, 주수 제어 장치(14)는, 혼련 제어 장치(11)로부터의 주수 요구 신호에 기초하여 주수 장치(13)를 제어하여, 주수 탱크(15)로부터 혼련기(10)에 주수하는 물의 양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수 밸브(16)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주수 탱크(15)에 물을 공급하고, 가압 밸브(18),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혼련기(10)에 주수하는 물의 양을 조정한다.
다음에, 주수 유닛(7)이 수원으로부터 주수 탱크(15)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우선, 혼련기(10)가 기동하면, 주수 제어 장치(14)는, 만레벨계(17)에 의해,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인지를 측정한다. 그리고,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가 아닌 경우, 주수 제어 장치(14)는, 급수 밸브(16)를 개방하도록 지시하고, 그 결과, 급수 밸브(16)가 개방되고, 주수 탱크(15)에의 물의 공급이 개시된다.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가 되면, 주수 제어 장치(14)는, 급수 밸브(16)를 폐쇄하도록 지시하고, 그 결과, 급수 밸브(16)가 폐쇄되고, 주수 탱크(15)에의 물의 공급이 종료된다. 또, 혼련기(10)의 기동 시점에서,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인 경우는, 주수 제어 장치(14)는, 특별히 아무것도 지시를 하지 않는다.
나아가 주수 유닛(7)이 주수 탱크(15)로부터 혼련기(10)에 물을 주수한 후에도, 주수 제어 장치(14)는, 만레벨계(17)에 의해,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인지를 감시한다. 혼련기(10)의 기동 중은, 주수 제어 장치(14)는, 혼련기(10)에의 물의 주수시 이외에, 항상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이도록,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을 제어한다.
다음에, 주수 유닛(7)이 주수 탱크(15)로부터 혼련기(10)에 물을 주수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우선, 주수 제어 장치(14)는, 혼련 제어 장치(11)로부터 주수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가압 밸브(18)를 개방하도록 지시하고, 그 결과, 압축 공기가 주수 탱크(15)에 공급되어 주수 탱크(15) 내부가 가압된다. 다음에, 주수 제어 장치(14)는,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를 개방하도록 지시하고, 그 결과,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가 개방되고, 혼련기(10)에의 주수가 개시된다. 디지털 유량계(21)는, 주수량을 적산(積算)하여, 그 값이 당초 예정한 필요 주수량에 대한 설정 주수량에 도달하였을 때, 대유량이 흐르고 있는 큰 주수 밸브(20)가 폐쇄되고, 소유량이 흐르고 있는 작은 주수 밸브(19)에서만 주수가 계속된다.
주수 제어 장치(14)가 작은 주수 밸브(19)에 대해 폐쇄 신호를 발신하고 나서, 작은 주수 밸브(19)에 의한 주수가 멈추기까지의 물의 양은 이미 파악되어 있다. 그리고, 적산된 주수량이, 목표 물의 양으로부터 그 주수가 멈추기까지의 물의 양을 뺀 양이 되었을 때에, 주수 제어 장치(14)는 작은 주수 밸브(19)의 폐쇄 신호를 발신한다. 또, 주수가 멈추기까지의 물의 양은 반드시 측정에 의해 파악할 필요는 없고, 목표 물의 양에 대한 주수 완료시의 디지털 유량계(21)의 계측값에 의해 가감해도 된다. 이들 공정에 의해, 주수 장치(13)에서의 수압의 변화나 배관의 막힘이 발생해도 정확한 주수가 가능해진다. 주수 완료 후, 주수 제어 장치(14)는, 가압 밸브(18)를 폐쇄하도록 지시하고, 그 결과, 압축 공기가 주수 탱크(15)로부터 배출되고, 주수 탱크(15) 내부의 압력은 가압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유량계(21)는,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의 하류에 배치되지만,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로부터 주수 탱크(15)까지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즉, 디지털 유량계(21)가 주수 탱크(15)로부터 방출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한 후,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에 물이 흐르도록 해도 된다.
(수분 센서 및 온도 센서)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수분 센서(8)의 전극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분 센서(8)는, 계량 호퍼(3) 내에 투입된 모래의 수분량을 측정한다. 수분 센서(8)는, 한 쌍의 봉상(棒狀)의 전극(22)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수분을 측정한다.
수분 센서(8)(한 쌍의 전극(22))는, 계량 호퍼(3)의 상부에 설치된 수분 센서 지지 장치(23)에 절연물을 개재하여 계량 호퍼(3) 내에 장착된다. 수분 센서 지지 장치(23)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분 센서(8) 자체는 파이프 클램프에 의해 홀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분 센서 지지 장치(23)는, 수분 센서(8)(한 쌍의 전극(22))의 계량 호퍼(3)에 대한 설치의 높이와 수분 센서(8)(한 쌍의 전극(22)) 사이의 수평 거리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상기 전극은, 수분 센서 지지 장치(2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간과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으로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전극(2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수분의 계측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6을 보면, 한 쌍의 전극(22)이 거리(A)만큼 떨어진 상태로 계량 호퍼(3)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그 상단이 계량 호퍼(3)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8은, 수분 센서(8)의 한 쌍의 전극(22) 사이의 수평 거리를 A로부터 B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22)은, 상부와 하부의 2개소에서 수분량을 측정하고 있다. 전극(22)은, 상부 전극 배선 접속부(24), 하부 전극 배선 접속부(25), 상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6), 하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7), 상부 전극부(28), 하부 전극부(29), 상부 전극 도전 부재(30), 하부 전극 도전 부재(축부품)(31), 절연 부재(32), 및 너트(33)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전극 배선 접속부(24)는, 상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6)와 혼련 제어 장치(11)(수분량 산출부(12))를, 전선 등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하부 전극 배선 접속부(25)는, 하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7)와 혼련 제어 장치(11)(수분량 산출부(12))를, 전선 등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부 전극부(28)는, 계량 호퍼(3)의 상층 부분의 생형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22)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의 측정에 이용된다. 하부 전극부(29)는, 계량 호퍼(3)의 하층 부분의 생형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22)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의 측정에 이용된다.
상부 전극 도전 부재(30)는, 상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6)와 상부 전극부(28)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하부 전극 도전 부재(축부품)(31)는, 전극(22)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7)와 하부 전극부(29)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전극(22)의 축이 되는 부분이다.
절연 부재(32)는, 상부 전극 배선 접속부(24), 상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6), 상부 전극부(28), 및 상부 전극 도전 부재(30)로 구성되는, 상부에서 수분량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부재와, 하부 전극 배선 접속부(25), 하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7), 하부 전극부(29), 및 하부 전극 도전 부재(축부품)(31)로 구성되는, 하부에서 수분량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22)의 중심부에 있는 하부 전극 도전 부재(축부품)(31)의 주위에 대략 관상(管狀)체의 절연 부재(32)가 배치되고, 나아가 절연 부재(32)의 주위에 대략 관상체의 상부 전극 도전 부재(30)가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전극부(28)와 하부 전극부(29)는, 절연 부재(32)를 경계로 상하 각각의 측정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부 전극부(28)와 하부 전극부(29)와, 그 사이에 배치된 절연 부재(32)로 구성되는 선단의 부분은 일체화되어 있다.
너트(33)는, 전극(22)의 각 구성요소를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전극(22)은, 너트(33)를 이완시킴으로써, 전술한 선단의 부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생형사와 접촉하여 선단의 부분이 마모되어도, 그 부분만 새로운 부품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너트(33)를 조이면, 각 구성요소가 고정되고, 하부 전극 도전 부재(31)를 통해 하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7)와 하부 전극부(29)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상부 전극 도전 부재(30)를 통해 상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26)와 상부 전극부(28)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9)는, 계량 호퍼(3) 내에 투입된 생형사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센서(9)는, 계량 호퍼(3)의 상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지지 장치(도시생략)에 장착되고, 계량 호퍼(3) 내에 설치된다. 온도 센서 지지 장치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온도 센서(9) 자체는 파이프 클램프에 의해 홀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9)는, 수분 센서(8)가 설치된 위치에 대해 자유롭게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온도 센서(9)는, 그 측정부가, 수분 센서(8)(한 쌍의 전극(22))의 상부 전극부(28) 및 하부 전극부(29)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도록 조정된다.
다음에, 수분 센서(8)(한 쌍의 전극(22))를 제어하여 생형사의 수분량을 산출하는 수분량 산출부(12)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수분 센서(8)(한 쌍의 전극(22))와 수분량 산출부(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 쌍의 전극(22)은, 수분량 산출부(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수분량 산출부(12)는, 구형파(矩形波) 정전류 공급 수단(34), 스위치(35), 전압 평활 측정 수단(36), 전압값 보정 수단(37), 및 수분량 환산 수단(38)을 구비하고 있다.
구형파 정전류 공급 수단(34)은, 한 쌍의 전극(22) 각각의 상부 전극부(28) 및 하부 전극부(29)에, 상부 전극 배선 접속부(24) 및 하부 전극 배선 접속부(25)를 개재하여 저주파 구형파 정전류를 공급한다. 스위치(35)는, 구형파 정전류 공급 수단(34)으로부터 2개의 전극(22)에 공급하는 저주파 구형파 정전류를, 상부 전극부(28)에 공급할지, 하부 전극부(29)에 공급할지를 절환한다. 이에 따라, 대향하는 상부 전극부(28)의 사이에 공급하는 저주파 구형파 정전류, 및 대향하는 하부 전극부(29)의 사이에 공급하는 저주파 구형파 정전류는, 스위칭에 의해 공급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전극부(28) 및 하부 전극부(29)에 동시에 공급되는 일은 없다.
전압 평활 측정 수단(36)은, 생형사를 개재하여 한 쌍의 전극(22)의 상부 전극부(28)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한 쌍의 전극(22)의 상부 전극 배선 접속부(24)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평활화함과 아울러 측정한다. 마찬가지로, 전압 평활 측정 수단(36)은, 생형사를 개재하여 한 쌍의 전극(22)의 하부 전극부(29)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한 쌍의 전극(22)의 하부 전극 배선 접속부(25)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평활화함과 아울러 측정한다.
전압값 보정 수단(37)은, 전압 평활 측정 수단(36)으로부터 얻은 평활 전압값을 온도 센서(9)로부터의 온도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보정한다. 수분량 환산 수단(38)은, 전압값 보정 수단(37)에 의해 보정된 평활 전압값에 기초하여 생형사의 수분량을 환산한다.
수분량을 측정해야 할 생형사 중에 수분 센서(8)(한 쌍의 전극(22))를 배치한 후, 구형파 정전류 공급 수단(34)에 의해 한 쌍의 전극(22)의 상부 전극부(28) 및 하부 전극부(29)에 저주파 구형파 정전류를 공급하여 한 쌍의 전극(22)의 상부 전극부(28)의 사이, 및 한 쌍의 전극(22)의 하부 전극부(29)의 사이에 생형사를 개재하여 전류를 흘려보냄과 아울러, 2개의 상부 전극 배선 접속부(24)의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 및 2개의 하부 전극 배선 접속부(25)의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전압 평활 측정 수단(36)에 의해 평활화함과 아울러 측정한다.
다음에, 온도 센서(9)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전압값 보정 수단(37)이 전압 평활 측정 수단(36)으로부터 얻은 평활 전압값을 보정하고, 이 보정한 평활 전압값에 기초하여 수분량 환산 수단(38)이 생형사의 수분량을 환산한다. 이에 의해, 실제 생형사의 수분량이 산출된다. 또, 전극(22)의 상부 전극부(28)에 의한 측정과, 전극(22)의 하부 전극부(29)에 의한 측정은, 교대로 행해진다.
대용량의 호퍼를 이용하는 경우, 생형사층의 상하층을 상부 전극부(28) 및 하부 전극부(29)에서 각각 계측하여 값을 평균화함으로써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소용량의 호퍼를 이용하는 경우, 상부 전극부(28) 및 하부 전극부(29) 중 어느 하나의 측정만으로 필요한 측정 정밀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는, 생형사가 계량 호퍼(3)에 저류되기 전의 벨트 컨베이어 상에 평행판 전극식의 수분 센서를 설치하고, 벨트 컨베이어 상을 흘러 오는 생형사의 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수분 센서가 생형사층 중에 일정한 깊이로 묻히지 않으면 동일한 조건으로 수분의 양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생형사를 정량으로 떼어내는 정량 떼어내기용 호퍼가 필요하고, 또한, 레이아웃에 따라서는 혼련 직전의 수분을 측정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 상을 흘러 오는 생형사에 대해 측정을 행하기 때문에, 측정 정밀도가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분 센서(8)는, 한 쌍의 봉상의 전극(22)이기 때문에, 상술한 것 이외에도 이하와 같은 이점을 가진다.
·설치시에 벨트 컨베이어나 정량 떼어내기용 호퍼가 필요 없어 이미 설치된 설비에의 도입이 용이하다.
·생형사 투입 직전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벨트 컨베이어에 설치하고, 흘러 오는 생형사를 측정하는 평행판 전극식의 수분 센서에 비해, 센서 자신의 생형사의 마찰이 작아 마모되기 어렵다.
·저류된 생형사의 수분량을 측정하므로, 측정 정밀도가 안정되어 있다.
·수분 센서(8)(및 온도 센서(9))는, 계량 호퍼(3)에 수분 센서 지지 장치(23)(및 온도 센서 지지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미 설치된 설비에 추가 개조할 때에도, 개조가 적어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계량 호퍼(3) 내에 수분 센서(8)(및 온도 센서(9))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수분 센서(8)(및 온도 센서(9))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장소를 취하지 않는다.
·계량 호퍼(3)로부터 수분 센서(8)(및 온도 센서(9))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밖으로부터 용이하게 수분 센서(8) 사이의 거리와 수분 센서(8)(및 온도 센서(9))의 삽입 깊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본 실시형태의 주수 혼련 시스템(1)을 실제로 가동시켜, 수분 센서(8)의 측정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1: 조정을 종료한 직후에 수분 센서(8)로 측정한 생형사의 수분량과, 조정 종료 후, 주수 혼련 시스템(1)을 2주간 가동한 후에 수분 센서(8)로 측정한 생형사의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또, 주수 혼련 시스템(1)의 가동 중에 수분 센서(8)의 청소는 일절 행하지 않았다. 도 10은, 조정을 종료한 직후와 2주간 가동한 후에 수분 센서(8)가 측정한 수분 전압과 실측 수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종래의 센서는, 주수 혼련 시스템(1)을 1일 가동한 것만으로, 센서의 측정부에 생형사가 부착되어 측정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수분 센서(8)는, 주수 혼련 시스템(1)을 가동 후, 2주간 경과해도 측정 정밀도는 저하되지 않았다.
실험 2: 수분 센서(8)가 측정 가능한 생형사의 수분량 범위의 확인을 행하였다. 도 11은, 수분 센서(8)가 측정한 수분 전압과 실측 수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종래의 센서는, 생형사의 수분량이 3% 정도인 고수분 영역은 측정 불가능하였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수분 센서(8)는, 생형사의 수분량이 3% 정도에서도 측정 가능하였다.
실험 3: 생형사의 수분량을 일정한 상태로 하고, 한 쌍의 전극(22) 사이의 거리를 벌려 가며, 그 때의 수분 전압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생형사의 수분량이 2.2%, 1.9%, 및 1.4%인 경우에서 각각 행하였다. 도 12는, 한 쌍의 전극(22) 사이의 거리와 수분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시형태의 수분 센서(8)는, 동일한 수분량의 생형사를 측정해도 전극(22) 사이의 거리를 벌리면 수분 전압이 저하되었다. 이에 따라, 측정하는 생형사의 수분량이 많아도, 전극(22) 사이의 거리를 벌림으로써 측정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주수 혼련 방법)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수 혼련 시스템(1)을 이용한 생형사의 혼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수 혼련 시스템(1)을 이용한 생형사의 혼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혼련기(10)를 기동한다(단계 S1). 혼련기(10)의 기동과 동시에 혼련기(10)에 투입하는 생형사를 계량하는 모래 계량을 개시한다(단계 S2). 다음에, 모래 계량이 완료되고, 혼련 제어 장치(11)로부터 모래 투입 신호를 모래 투입 실린더(4)에 송신한다. 모래 투입 신호를 수신하면 모래 투입 실린더(4)가 개방되고, 생형사가 계량 호퍼(3)로부터 혼련기(10)에 투입된다(단계 S3). 모래 투입 실린더(4)는, 타이머 제어에 의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계량 호퍼(3)와 혼련기(10)의 사이를 폐쇄한다.
다음에, 혼련 제어 장치(11)의 지시에 의해, 점결제가 점결제 투입 장치(5)로부터 혼련기(10)에 투입된다(단계 S4). 다음에, 혼련 제어 장치(11)는, 혼련기(10)에 지시를 하고, 혼련기(10)에 의한 혼련이 개시된다(단계 S5).
다음에, 혼련 제어 장치(11)는, 주수 요구 신호를 주수 유닛(7)의 주수 제어 장치(14)에 송신한다. 주수 유닛(7)의 주수 제어 장치(14)는, 주수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주수 조작을 개시한다(단계 S6). 그리고, 주수 유닛(7)의 주수 탱크(15)로부터 물이 혼련기(10)에 주수된다. 또, 주수 유닛(7)에 의한 주수 조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CB 컨트롤러(6)는, CB값을 측정하여(단계 S7), 혼련사가 원하는 CB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 CB 컨트롤러(6)가, 혼련사가 원하는 CB값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8: '아니오'), CB 컨트롤러(6)는, 필요한 주수량을 계산하고(단계 S9), 계산한 양의 물을 다시 혼련기(11)에 주수하도록 혼련 제어 장치(11)를 통해 주수 유닛(7)에 지시를 한다(주수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계 S6으로 되돌아가, 주수 유닛(7)의 주수 제어 장치(14)가, 다시 주수 조작을 개시한다.
CB 컨트롤러(6)가, 혼련사가 원하는 CB값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8: '예'), 혼련사를 혼련기(10)로부터 배출한다(단계 S10).
다음에, 혼련 제어 장치(11)는, 혼련할 예정인 생형사의 양으로부터, 연속하여 혼련 작업을 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혼련 제어 장치(11)는, 연속하여 혼련 작업을 행한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1: '예'), 단계 S3으로 되돌아가, 모래 계량(단계 S2)의 완료를 기다리고 단계 S3 이후의 공정을 반복한다. 또한, 혼련 제어 장치(11)는, 연속하여 혼련 작업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1: '아니오'), 혼련기(10)를 정지시키고(단계 S12), 혼련 작업이 종료된다. 또, 주수량과 CB값의 변화량을 다음 회의 주수량으로 피드백하여, 다음 회 이후의 주수량의 정밀도를 높여 간다.
(모래 계량)
다음에, 모래의 계량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모래 계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혼련기(10)의 기동과 동시에, 계량 호퍼(3)에 구비된 모래 계량 수단(도시생략)에 의해 계량 호퍼(3) 내의 생형사의 중량을 계측하여, 계량 호퍼(3) 내가 비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단계 S101). 계량 호퍼(3)로부터 비어 있는 신호를 받은 혼련 제어 장치(11)는, 계량 호퍼(3)에 구비된 모래 투입 수단(도시생략)을 작동하여 계량 호퍼(3)에 생형사를 투입한다(단계 S102). 다음에, 모래 계량 수단은, 생형사를 계량하여 저류한다(단계 S103). 또, 생형사의 계량 방법으로서는, 로드 셀에 의한 계량, 타이머 계량, 레벨계에 의한 계량 등이 있다. 계량 호퍼(3)는, 생형사의 계량 완료 후, 혼련 제어 장치(11)에 계량 완료 신호를 발신한다.
다음에, 혼련 제어 장치(11)는, 계량 호퍼(3)로부터 계량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수분 센서(8)로 투입된 생형사의 수분량을 측정함과 아울러, 온도 센서(9)로 투입된 생형사의 온도를 측정한다(단계 S104). 다음에, 혼련 제어 장치(11)는, 수분 센서(8)로 측정된 수분 측정값과 온도 센서(9)로 측정된 온도 측정값, 및 계량 호퍼(3) 내에 저류된 생형사의 양을 기초로 주수량을 계산한다(단계 S105). 주수량의 계산이 종료되면 모래 계량의 일 공정이 완료된다(단계 106).
다음에, 혼련 제어 장치(11)는, 다음 모래 계량을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7). 혼련 제어 장치(11)는, 모래 계량을 계속한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07: '예'), 단계 S101로 되돌아가, 이후의 공정을 반복한다. 혼련 제어 장치(11)는, 모래 계량을 계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07: '아니오'), 모래 계량을 종료한다.
(주수 유닛 조작)
다음에, 주수 유닛(7)에 의한 주수 유닛 조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주수 유닛(7)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혼련기(10)가 기동하면, 주수 제어 장치(14)는, 만레벨계(17)에 의해,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01). 주수 제어 장치(14)는,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001: '아니오'), 급수 밸브(16)를 개방하도록 지시하고, 급수 밸브(16)가 개방되어, 주수 탱크(15)에의 물의 공급이 개시된다(단계 S1002). 다음에,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가 되면(단계 S1003), 주수 제어 장치(14)는, 급수 밸브(16)를 폐쇄하도록 지시하고, 급수 밸브(16)가 폐쇄되어(단계 S1004), 단계 S1005로 진행된다.
주수 제어 장치(14)는, 주수 탱크(15) 내의 물의 양이 가득 찬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S1001: '예'), 단계 S1005로 진행된다.
단계 S1005에서, 주수 유닛(7)의 주수 제어 장치(14)는, 주수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주수 조작을 개시한다. 따라서, 도 15에서의 단계 S1001~S1004까지의 단계는, 도 13에서의 단계 S1~S5의 사이에 주수 유닛(7)에서 실제로 행해지는 동작이며, 도 15에서의 단계 S1005 이후의 단계가 도 13의 단계 S6에서 행해지는 동작에 상당한다.
단계 S1005에서, 주수 제어 장치(14)는, 주수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가압 밸브(18)를 개방하도록 지시하고, 압축 공기가 주수 탱크(15)에 공급되어 주수 탱크(15) 내부가 가압된다(단계 S1006). 다음에, 주수 제어 장치(14)는,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를 개방하도록 지시하고,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가 개방되어, 혼련기(10)에의 주수가 개시된다(단계 S1007).
디지털 유량계(21)에 의해 적산된 주수량이 계산된 소정량이 되면(단계 S1008), 주수 제어 장치(14)는,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를 폐쇄하도록 지시하고, 작은 주수 밸브(19) 및 큰 주수 밸브(20)가 폐쇄되어, 혼련기(10)에의 주수가 종료된다(단계 S1009). 주수 조작의 완료 후, 주수 제어 장치(14)는, 가압 밸브(18)를 폐쇄하도록 지시하고, 압축 공기가 주수 탱크(15)로부터 배출되어, 주수 탱크(15) 내부의 압력은 가압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단계 S1010).
다음에, 주수 제어 장치(14)는, 혼련기(10)가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1). 주수 제어 장치(14)는, 혼련기(10)가 운전 중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011: '예'), 단계 S1001로 되돌아가, 계속해서 주수 유닛(7)의 조작을 행한다. 주수 제어 장치(14)는, 혼련기(10)가 운전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011: '아니오'), 주수 유닛(7)의 조작을 종료한다.
(변형예)
수분 센서 지지 장치(23)가 혼련 제어 장치(1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수분 센서(8)(한 쌍의 전극(22))의 설치 높이와 수분 센서(8)(한 쌍의 전극(22)) 사이의 수평 거리를 구동 장치 등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설계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온도 센서 지지 장치가 혼련 제어 장치(1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온도 센서(9)의 상하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구동 장치 등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설계해도 된다. 혼련 제어 장치(11)가 수분 센서(8)로 측정된 수분 측정값을 고려하여, 수분 센서 지지 장치(23) 및 온도 센서 지지 장치에 적확한 지시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22)은 상부 전극부(28)와 하부 전극부(29)의 2개소의 측정부를 가지고 있지만, 2개소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계량 호퍼(3)에 투입되는 생형사의 양이나, 계량 호퍼(3)의 크기, 형상 등에 맞추어, 전극(22)의 선단 부분의 길이도 바뀌기 때문에, 측정부의 개소를 1개소만으로 하거나, 3개소 이상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혼련기(10) 내에 수분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고, CB 컨트롤러(6)와 접속하도록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혼련기(11) 내의 혼련사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수분량이 큰 경우는, CB 컨트롤러(6)에 접속된 혼련 제어 장치(11)로부터 혼련 유닛(2)에 생형사를 추가 투입하도록 지시하고, 수분량이 적은 경우는, CB 컨트롤러(6)에 접속된 혼련 제어 장치(11)로부터 주수 유닛(7)에 물을 추가 주입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혼련 완료 후의 수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회 이후의 배치의 주수량으로 피드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주수 혼련 시스템에 CB 컨트롤러(6)가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는, 작업자가 CB값을 직접 측정한다. 그 결과, 혼련사가 원하는 CB값이 아닌 경우, 혼련기(10)에 부가된 추가 주수 버튼을 수동으로 누름으로써 작은 주수 밸브(19) 및/또는 큰 주수 밸브(20)를 다시 개방하여 추가 주수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수 혼련 시스템에 의하면, 혼련 제어 장치가 주수 혼련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생형사에의 주수량을 보다 적절히 제어하여, 보다 안정된 성상을 갖는 혼련사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수 혼련 시스템에 의하면, 혼련 제어 장치만으로 생형사와 물의 비율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미 설치된 설비를 대폭으로 개조하지 않고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주수 혼련 시스템
2 혼련 유닛
3 계량 호퍼
4 모래 투입 실린더
5 점결제 투입 장치
6 CB 컨트롤러
7 주수 유닛
8 수분 센서
9 온도 센서
10 혼련기
11 혼련 제어 장치
12 수분량 산출부
13 주수 장치
14 주수 제어 장치
15 주수 탱크
16 급수 밸브
17 만레벨계
18 가압 밸브
19 작은 주수 밸브
20 큰 주수 밸브
21 디지털 유량계
22 전극
23 수분 센서 지지 장치
24 상부 전극 배선 접속부
25 하부 전극 배선 접속부
26 상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
27 하부 전극 배선 접속 부재
28 상부 전극부
29 하부 전극부
30 상부 전극 도전 부재
31 하부 전극 도전 부재(축부품)
32 절연 부재
33 너트
34 구형파 정전류 공급 수단
35 스위치
36 전압 평활 측정 수단
37 전압값 보정 수단
38 수분량 환산 수단

Claims (14)

  1. 생형사의 주수(注水) 혼련 시스템으로서,
    계량된 생형사를 저류(貯留)하는 계량 호퍼와,
    생형사와 물을 혼련하는 혼련기와,
    상기 계량 호퍼 내의 생형사를 상기 혼련기에 방출하거나, 또는, 방출을 차단하는 모래 투입 수단과,
    상기 혼련기 내의 생형사에 대해 주수를 행하는 주수 장치와,
    한 쌍의 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계량 호퍼 내에 저류된 생형사의 수분량을 상기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하는 수분 센서와,
    상기 수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수 장치에 의한 주수량을 제어하고, 모래 투입 수단을 제어하는 혼련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수 장치를 제어하는 주수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혼련 제어 장치는, 상기 모래 투입 수단에 개방할 것을 지시하는 모래 투입 신호, 및 상기 주수 제어 장치에 주수 및 주수량을 지시하는 주수 요구 신호를 적어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봉상(棒狀)이며, 생형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가 복수 개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측정부와 절연부로 이루어지는 선단의 부분이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센서가, 상기 계량 호퍼 내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호퍼의 상부에는, 수분 센서 지지 장치가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전극은 상기 수분 센서 지지 장치에 수평방향으로 이간된 상태로 각각 생형사 내부에 매설되도록 하방으로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전극은, 수평방향으로 이간, 접근이 자유롭게, 및 상하방향으로 상승, 하강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호퍼에 저류된 생형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련 제어 장치는, 상기 수분 센서의 측정값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으로부터 생형사의 수분량을 산출하는 수분량 산출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장치는, 디지털 유량계, 및 대유량과 소유량의 2개의 주수 계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수 장치는, 물이 축적되어 있는 주수 탱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련된 모래의 CB값을 측정하는 CB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혼련 제어 장치가 상기 CB 컨트롤러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주수 제어 장치에 추가 주수의 지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결제를 상기 혼련기 내에 방출하는 점결제 투입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KR1020197027255A 2017-02-24 2017-11-16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KR201901202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2751 2017-02-24
JP2017032751A JP2018134679A (ja) 2017-02-24 2017-02-24 生型砂の注水混練システム
PCT/JP2017/041285 WO2018154881A1 (ja) 2017-02-24 2017-11-16 生型砂の注水混練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275A true KR20190120275A (ko) 2019-10-23

Family

ID=6325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255A KR20190120275A (ko) 2017-02-24 2017-11-16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29946B2 (ko)
EP (1) EP3586994B1 (ko)
JP (1) JP2018134679A (ko)
KR (1) KR20190120275A (ko)
CN (1) CN110325301A (ko)
BR (1) BR112019017066A2 (ko)
MX (1) MX2019009919A (ko)
TW (1) TW201834763A (ko)
WO (1) WO2018154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3304A (zh) * 2022-01-11 2022-03-29 三一重型装备有限公司 机制砂含水量的控制方法及装置、系统、制砂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7086A (ja) 2012-05-16 2013-11-28 Sintokogio Ltd 混練砂性状計測装置における砂採取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8107A (en) * 1952-03-29 1960-11-01 Hartley Controls Corp Method for automatic moisture control in foundry sand supplies
US4304289A (en) * 1978-04-24 1981-12-08 Foundry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isture content of foundry sand
JPS55113944A (en) 1979-02-27 1980-09-02 Hitachi Metals Ltd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granular body
JPS56141547A (en) * 1980-04-04 1981-11-05 Hitachi Metals Ltd Moisture measuring method of molding sand
JPS6114044A (ja) 1984-06-29 1986-01-22 Sintokogio Ltd 鋳物砂混練機の水分供給量制御装置
US4780665A (en) * 1986-09-30 1988-10-25 Deere &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nd moisture
US5330265A (en) * 1993-08-16 1994-07-19 Hartley Controls Corpo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for mixing and cooling molding sand
CN1391101A (zh) * 2002-07-23 2003-01-15 东华大学 型砂混砂过程水分在线测控装置及其使用方法
WO2006004147A1 (ja) * 2004-07-07 2006-01-12 Sintokogio, Ltd. 鋳物砂の水分値測定用電極機構、鋳物砂の水分値の測定装置、鋳物砂混練機への注水方法および注水装置
CN200993646Y (zh) * 2006-12-26 2007-12-19 中国农业大学 土壤水分传感器
CN201378984Y (zh) * 2008-08-29 2010-01-13 胡迪 模糊控制自动浇花器
CN102621189A (zh) 2012-02-27 2012-08-01 广东省宜华木业股份有限公司 木材干燥过程中含水率梯度的测试方法及所用测试传感器
JP6183372B2 (ja) * 2012-06-13 2017-08-23 新東工業株式会社 鋳物砂の混練調整方法
CN202857464U (zh) 2012-09-28 2013-04-10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庭院花草自动浇水控制装置
CN103785792B (zh) * 2014-03-07 2015-09-16 孙晓宇 一种连续式粘土砂混砂机
CN204712268U (zh) * 2015-06-25 2015-10-21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远程控制混凝土搅拌站
CN104950012A (zh) * 2015-07-02 2015-09-30 水利部南京水利水文自动化研究所 一体化可调节土壤纵向水分自动记录仪
CN204882437U (zh) * 2015-08-20 2015-12-16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绝缘油老化模拟试验装置
CN205426840U (zh) * 2016-03-14 2016-08-03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用于电容法测量湿型砂含水量的传感器探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7086A (ja) 2012-05-16 2013-11-28 Sintokogio Ltd 混練砂性状計測装置における砂採取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6994A1 (en) 2020-01-01
US20190358697A1 (en) 2019-11-28
JP2018134679A (ja) 2018-08-30
CN110325301A (zh) 2019-10-11
BR112019017066A2 (pt) 2020-04-28
WO2018154881A1 (ja) 2018-08-30
EP3586994A4 (en) 2020-08-19
US11229946B2 (en) 2022-01-25
TW201834763A (zh) 2018-10-01
MX2019009919A (es) 2019-11-18
EP3586994B1 (en) 202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3372B2 (ja) 鋳物砂の混練調整方法
CN104441209B (zh) 一种用于制砖设备的自动配水系统
JPH05185432A (ja) 異なる材料成分を計量・配合する方法と装置
KR20190120275A (ko) 생형사의 주수 혼련 시스템
EP208950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liver predetermined amounts of gas into a liquid
KR20100020491A (ko) 주물사 처리방법
KR20190052142A (ko) 코어 형성 장치 및 코어 형성 방법
CN114985676A (zh) 一种连续混砂机型砂重量监测与液料校正系统及方法
KR100866855B1 (ko) 콘크리트 재료 계량 장치
KR100917947B1 (ko) 주물사의 수분치 측정용 전극 기구, 주물사의 수분치의 측정 장치, 주물사 혼련기로의 주수 방법 및 주수 장치
JP5270530B2 (ja) バッテリーのグループのストラップを成型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205613359U (zh) 一种用于化工物料的动态计量配比混合装置
US3425501A (en) Mixture proportioning apparatus
CN204583110U (zh) 一种用于超硬材料合成用原辅材料的自动配料装置
CN102229237B (zh) 自动控制挤出机出料单位长度重量的装置
US10967422B2 (en) Property adjusting system and property adjusting method for kneaded sand
GB2088331A (en) Wet concrete dispensing equipment
CN218180099U (zh) 一种吊顶式计量斗装置
CN214438757U (zh) 一种分次计量的自动加料装置
JPH04263918A (ja) 材料供給装置
SU1111034A1 (ru) Дозатор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S59187Y2 (ja) バツチヤプラントにおけるコンクリ−トの骨材表面水管理装置
JP2009031081A (ja) 放射性廃棄物の固化用モルタル製造システム、およびその固化用モルタル製造方法
CS221444B1 (cs) Způsob kontroly výtoku kapalných složek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JPH0486218A (ja) 射出成形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