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245A -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 및 상기 어레인지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 및 상기 어레인지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245A
KR20190120245A KR1020197026617A KR20197026617A KR20190120245A KR 20190120245 A KR20190120245 A KR 20190120245A KR 1020197026617 A KR1020197026617 A KR 1020197026617A KR 20197026617 A KR20197026617 A KR 20197026617A KR 20190120245 A KR20190120245 A KR 20190120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uilding component
profile
arrangemen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파니 혼카라
Original Assignee
알토 하이테크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토 하이테크 오이 filed Critical 알토 하이테크 오이
Publication of KR2019012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2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oblong elements connected laterally
    • B27M3/004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oblong elements connected laterally by rods or tie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1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 E04B2/70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with longitudinal horizont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solid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solid wood
    • E04C2/1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solid wood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a number of smaller components rigidly or movably connected together, e.g. interlocking, hingedly connected of particular shape, e.g. not rectangular of variable shape or size, e.g. flexible or telescopic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22La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 E04C3/1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with metal or other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10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1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 E04B2/703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with longitudinal vertic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2001/3583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using permanent tensioning means, e.g. cables or rods, to assemble or rigidify structures (not pre- or poststressing concrete), e.g. by tying them around th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4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plastics, fibrous material or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행한 위치에서 함께 기계적으로 결합된 건축 구성요소(1)를 포함하는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건축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측면(2, 3)을 포함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며,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11)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에지 표면(4, 5) 및 단부 표면(6, 7)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평행하는 건축 구성요소의 측면은 대향 측면의 프로파일 크레스트(8) 및 트로프(9)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쌍으로 대향 위치에 맞춰진다. 균일한 판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이들 건축 구성요소(1)가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길이 방향 및 적어도 측면 방향으로 인접하게 연속적으로 적용됨으로써, 건축 구성요소는 기계적 결합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Description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 및 상기 어레인지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composite wood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청구항 10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는 본질적으로 단단한 목재 구조물을 제조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곳에서, 아주 적합한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근에는 특히, 단단한 목재 CLT(Cross Laminated Timber) 패널을 사용하여 주거용 목재 건물의 건축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목재 패널의 물리적 건축 기능은 예를 들어 마감 조건에서는 많이 검토되지 않았으며, 그 제조 방법으로 인해 패널의 내구성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건축 자재에 대한 대안적인 해결책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와 관련된 문제는 없을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청구범위에 정의된 특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현재의 문제점은 특히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개시된 바와 같은 특징을 조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반면에, 현재의 방법에 관한 문제점은 청구항 10의 특징부에 개시된 바와 같은 특징을 조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솔루션은 간단한 구조적 솔루션 및 방법으로 열적 에너지에 대해 놀랍도록 경제적인 건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또한 제조 비용이 매우 저렴한 건축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건축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것은 간단하며, 특별한 도구는 물론, 특별한 기술도 필요하지 않다. 기계적인 결합 수단 만이 작업에 사용되기 때문에, 건축 구성요소는 형상, 재료 스트립, 타이 로드, 결합 케이블, 나사 또는 로드의 도움으로 함께 결합되기 때문에, 최종 구조물이 화학적 물질없이 달성할 수 있다.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목재 건축 구성요소는 치수가 표준화되어 표준화된 일반 팔레트에 저장될 수 있고, 종래의 운송 수단을 사용하여 최종 조립 현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큰 운반 능력과 견고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 및 그 제조 방법은 주거용 또는 유사한 건물의 구현에 또한 적합하다. 이는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가 다양하고 견고한 원목 구조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상기 주거용, 사업체 또는 다른 시설의 베이스 층 및 중간 층 구조물 및/또는 그들의 외벽 또는 칸막이 벽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교량 건설, 지지 구조물 및 교량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거푸집 공사에 또한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장 또는 벨로드롬과 같은 다양한 특수 구조물의 구현에도 매우 적합하다.
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유연한 결합 방법 및 솔루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확립하는데 사용되는 건축 구성요소의 다양한 실시예 A, B, C 및 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건축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건축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건축 구성요소의 제 1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건축 구성요소의 제 2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건축 구성요소의 제 3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건축 구성요소의 제 4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건축 구성요소의 제 5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건축 구성요소의 제 6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건축 구성요소의 제 1 대안적인 결합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건축 구성요소의 제 2 대안적인 결합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건축 구성요소의 제 3 대안적인 결합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은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14는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제 2 실시예이다.
도 15는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제 3 실시예이다.
도 16은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제 4 실시예이다.
도 17은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제 5 실시예이다.
도 18은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제 6 실시예이다.
도 19는 도 14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구조물 두께가 그들 측면에 인접하여 건축 구성요소를 설치함으로써 어떻게 강화될 수 있는지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구조물 두께가 측면에 인접하게 건축 구성요소를 설치함으로써 어떻게 강화될 수 있는지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구조물 두께가 측면에 인접하게 건축 구성요소를 설치함으로써 어떻게 강화될 수 있는지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달성하기 위한 건축 구성요소의 다른 결합 방법을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이용하기 위한 대상을 도시한다.
도 24는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개략적인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6은 건축 구성요소가 결합될 때 도 25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드로우바의 확장 대안의 상세도이다.
도 27은 건축 구성요소를 서로 결합하는 상세도를 도시한다.
본 도면들은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그 크기대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반적인 구조 및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참조 번호로 도시된 건축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 번호로 표시된 건축 구성요소에 대응한다.
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건축 구성요소(1)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들은 유리하게 나무로 만들어진 건축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도 1은 건축 구성요소의 유리한 구조 A, B 및 C를 도시한다. 이어서, 건축 구성요소는 열처리 또는 압력 처리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정제된 원목 또는 나무로 제조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특히 목재 건축 부품으로서의 건축 구성요소를 논의할 것이지만, 건축 구성요소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합성 목재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원재료와 비교하여, 나무는 통나무 구조 형태의 자연적으로 숨쉬는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의 각각의 건축 구성요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단부 표면(6 및 7)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지 표면(4 및 5)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측면(2 및 3)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구성요소(1)의 두 실시예(A 및 B)의 측면은 실질적으로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목재 건축 구성요소의 형상은 밀링 또는 플래닝과 같은 공지된 가공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건축 구성요소가 목재 이외의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그 형상은 예를 들어 주조, 압축 또는 3D 인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건축 구성요소의 에지 및 단부 표면(4 내지 7)은 도 1, 2 및 3의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이 유리하며, 따라서, 한편으로는 에지 표면, 다른 한편으로는 단부 표면이 서로 평행하다. 건축 구성요소(1)의 실시예 C는,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균일한 구조적 표면에서 마감할 때 이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측면(2)은 프로파일되고 측면(3)은 본질적으로 균일한 형상을 갖는다.
도 13 내지 도 21에서와 같이 건축 구성요소(1)가 서로에 대해 가압될 때, 프로파일 측면(2 및 3)을 갖는 건축 구성요소는 서로에 대해 중첩되도록 안내되어, 이전의 건축 구성요소의 프로파일 크레스트(8)가 이에 대응하는 후속 건축 구성요소의 프로파일 트로프(9)에서 정착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정착되어, 도면에 도시된 단단한 조인트 면을 형성한다. 건축 구성요소가 나무로 제조될 때, 도 2의 프로파일의 높이(H)는 가공된 목재 조각의 복수의 연간 성장 층을 통해 연장되도록 건축적으로 선택되어, 건축 구성요소 사이의 조인트를 강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파일의 길이(L)는 건축 구성요소의 총 두께(D)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며, 충분히 강하게 기계 가공되어, 도 2의 반대쪽 위치에서 목재 배턴(wooden batten)의 세팅을 더욱 촉진시킨다.
건축 구성요소(1)의 측면(2 및 3)에 대해 이러한 프로파일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건축 구성요소 사이에 상당히 큰 접촉 표면이 달성되며, 이는 구조의 강도 및 하중-지지 용량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설명된 유형의 기술로 건축 구성요소 사이에 생성된 이음매 구조는 구부림과 뒤틀림에 대비하여 형성된 구조를 강화하여, 그렇게 형성된 판형 구조가 모든 상황에서 직선 및 평면으로 유지되게 한다. 동시에, 건축 구성요소가 서로에 대해 쉽게 제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건축 구성요소의 형상이 본질적으로 최종 구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나무로 만들어진 이러한 건축 구성요소로 조립된 구조물의 현저한 장점 중 하나는, 프로파일에 대해 규칙적인 파형 구조가 선택될 때, 습도 조건에 관계없이 자체적으로 조여진다는 것이다. 인접한 배턴 사이에 아주 작은 틈이 생길 경우, 대향 파형으로 인해 배턴이 약간 더 벌어지기 때문에, 건축 구성요소 그룹을 함께 유지하는 구조물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파형 프로파일은 공지된 규칙적인 파형, 예를 들어 웨이브 크레스트(wave crests) 및 웨이브 트로프(wave troughs)가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에 평행하게 만들어지는 사인파 형태와 같이 규칙적인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파일 파형을 2개의 교차 방향으로 함으로써 건축 구성요소의 상호 결합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프로파일의 웨이브 크레스트 및 트로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과 관련하여 횡 방향으로, 그리고 건축 구성요소의 길이 방향으로 파형을 따라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파형 이외의 다른 형태가 프로파일에서 선택될 때, 건축 구성요소, 특히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서로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얻어진다.
도 14 내지 도 18은 건축 구성요소의 측면 및/또는 에지 표면 및/또는 단부 표면에 대해 달성 가능한 대안적인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14는 프로파일링과 같은 프랙션 라인(fraction line)을 보여주고, 도 15는 지그재그-형 프로파일을 보여주고, 도 16은 균일한 호를 보여 주며, 도 17은 연속 치형을 보여 주며, 도 18은 레벨 차이로 생성된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예를 들어, 건축 구성요소(1)를 나란히 적용함으로써, 도 10 또는 도 11에 따라 형성된다. 그러한 경우에, 건축 구성요소는 못 또는 나사와 같은 기계적 조인트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한 번에 둘 이상의 건축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것이 더 유리한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멍(10)이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11)에 수직인 방향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2 및 3)에 미리 천공되어 있다. 분명히, 건축 구성요소가 나란히 적용되는 것과 동시에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지만, 미리 만들어진 구멍은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완성을 크게 도와준다.
건축 구성요소(1)가 나란히 위치될 때, 거기에 있는 구멍(10)은, 도 24에 도시된, 실질적으로 균일한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반대 쪽 에지 사이에 조임 채널(12)을 형성하며, 여기서 예를 들어, 공지된 드로우바(13)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우바는, 드로우바가 조임 채널을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볼트 또는 다른 방지 수단(14)에 의해, 그 외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드로우바 대신에, 금속 또는 복합 와이어와 같은, 공지된 인장 응력을 설정하는 다른 수단이 분명히 사용될 수 있다.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또한 유리하게, 인장 응력을 생성하는 수단(13)에 적합한 이러한 방지 수단(14)을 규칙적인 간격으로 포함하여, 건축 구성요소(1)를 그 단부가 아닌 다른 곳에서만 조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건축 구성요소는 규칙적인 베이스에서 서로에 대해 밀착되어, 기류에 의해 침투할 수 없는 밀착 구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크고, 균일한 판형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에지 표면(4 및 5) 사이에서 측정된 건축 구성요소(1)의 두께는 측면(2 및 3) 사이에서 측정된 폭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길이가 다른 구성 요소가 사용될 때 더 긴 구성 요소의 길이가 가장 짧은 구성 요소의 정수 배가 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건축 구성요소의 단부 표면(6 및 7) 사이의 선형 측정이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9는 건축 구성요소(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단부 표면(6 및 7)뿐만 아니라 에지 표면(4 및 5)이 측면(2 및 3)보다 상당히 좁은 연장된 건축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그러한 건축 구성요소는 그것이 종축(11)의 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직선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그 에지 표면 또는 측면의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파일은 상기 측면에서만 생성되었다.
도 5 및 7 내지 9는 측면(2 및 3)뿐만 아니라 에지 표면(4 및 5)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건축 구성요소(1)를 도시한다. 이러한 건축 구성요소는 본질적으로 종축 방향으로 직선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에지 표면 또는 측면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건축 구성요소의 프로파일은 측면에서만 달성되는 반면, 도 7 및 8은 측면 및 에지 표면 모두에 프로파일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단부 표면(6 및 7)에도 프로파일이 존재한다. 도 6에 따른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에 수직인 단면은 절단 피라미드의 형상을 가지므로, 예를 들어, 다양한 아치형 구조를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그러한 경우, 건축 구성요소의 협소도는 아치형 구조의 반경에 의해 조절된다. 이 도면은 측면에만 프로파일된 건축 구성요소를 보여 주지만, 측면과 에지 표면뿐만 아니라 단면에도 프로파일링을 구성할 수 있다.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에 필요한 두께는, 도 10 및 도 14 내지 18과 같이, 측면의 길이와 관련하여 가장 적합한 건축 구성요소(1)를 선택하거나, 또는 도 11 내지 13 및 도 19 내지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 표면에 인접해 필요한 개수의 건축 구성 요소를 설치하여 달성된다. 건축 구성요소를 길이, 폭 및 두께 방향으로 결합할 때, 적어도 측면과 에지 표면에 프로파일링을 갖는 건축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설계된 구조적 두께에 도달할 때, 최 외측 건축 구성요소는 도 1c의 편평한 측면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재료 기술 측면에서도 매우 저렴하다. 따라서, 도 24를 검토할 때, 구조물의 건축 구성요소(1)는 간단한 방식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구조물의 측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균일한 판형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축 구성요소는, 도면에 도시된 연속적인 건축 구성요소의 조인트(15)가 완성된 구조에 인접하여 항시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인접한 건축 구성요소 사이의 조인트를 통과하는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견고한 건축 구성요소가 항상 존재한다. 프로파일된 건축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로 인해, 인접한 건축 구성요소는 서로의 프로파일된 형상에 놓여져, 작동하는 정적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결과 모든 개별 건축 구성요소가 구조의 지지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큰 하중을 처리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가 된다. 또한 건축 구성요소의 형태는 특히 프로파일이 제공하는 지지로 인해, 건축 구성요소를 임의의 지점으로 확장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에지 표면(4 및 5) 사이의 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이한 건축 구성요소(1)가 존재할 수 있다. 건축 구성요소의 폭은 파장(L)의 정수 배가 되도록 선택되고, 즉, 프로파일 길이가 된다.
바람직한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건축 구성요소(1)로 형성되어, 어레인지먼트의 단부(16)를 형성하는 단부는 나란히 배열되고 길이가 증가하거나,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짧아지는 건축 구성요소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건축 구성요소는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건축 구성요소는 교대 방식으로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으로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대향 단부는 가능하다면, 가변 길이의 건축 구성요소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레인지먼트에 적합한 길이를 달성할 수 없다면, 자연스럽게 원하는 지점에서 절단될 수 있다.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의 다른 건축 구성요소는 유리하게는 모두 길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집(17)을 건축하기 위해 사용될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신속하게 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벽(18)이 건축될 때, 건축 구성요소가 유리하게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구조는 전통적인 수직 통나무 벽과 비교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열적 가치, 강도 및 견고성과 관련하여 훨씬 더 우수한 최종 제품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건축 구성요소(1)는 인장 응력을 발생시키는 수단(13)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설치된 방지 수단(14)에 의해 서로 조여진다. 인장 응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수단은 연장 슬리브(19)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인접하게 배열된 모든 건축 구성요소를 통해 연장된다. 이는 필요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균일한 표면 구조를 형성한다. 방지 수단 또는 연장 슬리브와 건축 구성요소 사이에 스프링 부재(20)를 설치함으로써, 건축 구성요소 그룹에서 발생하는 횡 방향 팽창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망의 간격, 예를 들어 2 미터마다 인접한 그룹들 사이에 작은 팽창 마진이 남게되어, 구조물의 습도 제어가 보장된다.
도 27은 본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사용함으로써 완전한 건축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따라서, 표준 폭 및 길이를 갖는 건축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건축 구성요소(1)는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11)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10)에 적용된 설치 튜브(21)에 의해 서로 조여진다. 이러한 설치 튜브는 유리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설치 튜브는 볼트와 같은 방지 수단(14)이 그 대향 단부에 설치되어, 건축 구성요소를 서로 조일 수 있을 정도로, 건축 구성요소의 구멍(1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들 요소는 차례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사이에 특정 설치 건축 구성요소(22)가 적용되며, 이는 방지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방지 수단 채널(23)을 갖는다. 일단 설계된 요소가 제 위치에 설치되면, 장력을 발생시키는 수단(13)이 설치 튜브를 통해 안내된다. 수단(13)에 의해, 요소 그룹은 요소 그룹의 외부 에지에 설치된 제 2 방지 수단(14)에 의해 균일한 보드로 컴파일된다.
제조될 구조에 관계없이, 본 솔루션의 중요한 이점은 건축 구성요소(1)의 간단한 결합 기술 및 작은 물리적 치수에 의해 야기되는 용이한 취급이다. 또한, 특정 고정 장치 또는 접착제없이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컴파일하면, 구조물을 해체하고 새로운 사용 장소로 옮길 수 있다.
당업자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는 전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 스트립(24) 또는 페그(25)에 의해 건축 구성요소(1)의 측면(2 및 3)의 프로파일링을 대체함으로써, 전술한 유형의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5)

  1. 합성 어레인지먼트로서,
    평행 위치에서 기계적으로 함께 결합된 건축 구성요소(1)를 포함하며, 각각의 건축 구성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측면(2, 3)을 포함하며, 이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11)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에지 표면(4, 5) 및 단부 표면(6, 7)을 포함하며,
    평행한 건축 구성요소의 측면은 반대 측면의 프로파일 크레스트(8) 및 트로프(9)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쌍으로 반대 위치에서 적응하게 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성요소(1)는 균일한 판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길이 방향 및 적어도 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응되고,
    상기 건축 구성요소는 기계적 결합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성요소(1)는, 그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에지 표면(4, 5)이 상기 측면(2, 3) 보다 상당히 좁게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성요소(1)의 측면(2, 3)과 에지 표면(4, 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성요소(1)는 종축(11)의 방향으로, 그 에지 표면(4, 5)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성요소(1)는 종축(11) 방향으로, 측면 방향(2, 3)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건축 구성요소(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측면(2, 3)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에지 표면(4, 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건축 구성요소(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측면(2, 3),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에지 표면(4, 5),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단부 표면(6, 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파형 형태를 포함하며, 그 웨이브 크레스트(wave crests) 및 웨이브 트로프(wave troughs)가 상기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파형 형태를 포함하며, 그 웨이브 크레스트 및 웨이브 트로프가 상기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 방향과 그에 대한 횡 방향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측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어도 2개의 건축 구성요소(1)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
  11.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건축 구성요소(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축 구성요소(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측면(2, 3)을 포함하며, 이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11)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에지 표면(4, 5)과 단부 표면(6, 7)을 포함하며,
    상기 건축 구성요소(1)는 서로에 대해 평행 위치에 설치되며,
    평행한 건축 구성요소의 측면은 대향 측면의 프로파일 크레스트(8) 및 트로프(9)가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쌍으로 반대 위치에서 적응되고,
    상기 건축 구성요소는 기계적으로 서로 결합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성요소(1)는 균일한 판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길이 방향 및 적어도 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응되고,
    기계적 결합 수단이 상기 건축 구성요소를 함께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성요소(1)은 적어도 2개가 나란히 있도록 합성 어레인지먼트의의 측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측면들 사이, 그리고 건축 구성요소의 종축(11)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건축 구성요소(1)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10)을 형성함으로써, 조임 채널(12)을 형성하고,
    방지 수단(14)을 갖는 드로우바(13)를 조임 채널에 결합시키고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외부 에지로의 연장이 드로우바에 의해 관통된 건축 구성요소를 서로에 대해 조이도록 유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란히 배열된 건축 구성요소(1)로 구성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에서, 상기 건축 구성요소는 그 종축(1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인접한 건축 구성요소의 조인트(15) 사이에, 조인트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 건축 구성요소가 항상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성요소(1)는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단부(16)에서 길이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그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어레인지먼트의 제조 방법.

KR1020197026617A 2017-02-27 2018-02-21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 및 상기 어레인지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90120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U20174052 2017-02-27
FIU20174052U FI11685U1 (fi) 2017-02-27 2017-02-27 Liittopuujärjestely
FIU20174092 2017-03-31
FIU20174092U FI11704U1 (fi) 2017-02-27 2017-03-31 Liittopuujärjestely
FIU20174200U FI11917U1 (fi) 2017-02-27 2017-08-25 Liittopuujärjestely
FIU20174200 2017-08-25
PCT/FI2018/050128 WO2018154184A1 (en) 2017-02-27 2018-02-21 Wood composite arrang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arran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245A true KR20190120245A (ko) 2019-10-23

Family

ID=5929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617A KR20190120245A (ko) 2017-02-27 2018-02-21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 및 상기 어레인지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00048906A1 (ko)
EP (1) EP3585953A4 (ko)
JP (1) JP2020510143A (ko)
KR (1) KR20190120245A (ko)
CN (1) CN110366625A (ko)
AU (1) AU2018225322A1 (ko)
CA (1) CA3054612A1 (ko)
FI (3) FI11685U1 (ko)
WO (1) WO2018154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2436B1 (en) * 2020-01-03 2021-04-20 John P. Ross Log wall construction
US20220275635A1 (en) * 2021-02-26 2022-09-01 Mercer Mass Timber Llc Cross-laminated timber and cold formed steel connector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78661A5 (ko) * 1974-08-26 1976-08-13 Menig Wilhelm
JPH0650007B2 (ja) * 1991-12-14 1994-06-29 繁男 中尾 木製ブロック
FI1892U1 (fi) * 1995-02-22 1995-05-09 Logg Ist Oy Traedbalk
JPH11131771A (ja) * 1997-10-31 1999-05-18 Central Glass Co Ltd 床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FR2813901A1 (fr) * 2000-09-14 2002-03-15 Daniel Lacroix Maison en bois
JP2003285303A (ja) * 2002-01-22 2003-10-07 Yutaka Ogino 材料湾曲加工方法及び加工用材料
US20060179741A1 (en) * 2005-02-03 2006-08-17 Thomas Sohm Unknown
WO2011018758A1 (en) * 2009-08-11 2011-02-17 John Mathias Reelick Elongated structures produced from profiles staves
AT510089B1 (de) * 2010-07-13 2012-09-15 Tuechler Buehnen & Textiltechnik Gmbh Bodenbelag
CN202007504U (zh) * 2011-03-01 2011-10-12 邱雪琴 带波纹状横截面的金属复合地板
CN202170592U (zh) * 2011-06-24 2012-03-21 衢州伊梦特实业有限公司 一种易于快速拼接的墙体板
PL2821191T3 (pl) * 2013-07-02 2016-03-31 Gerhard Weissteiner Element płytowy z drewna
JP2015063795A (ja) * 2013-09-24 2015-04-09 合同会社ウッドワークス 重ね梁の製造方法
FI127039B (fi) * 2013-12-03 2017-10-13 Tapani Honkala Järjestely suoran ympyrälieriön kaariosan muodostamiseksi
DE102014119610A1 (de) * 2014-12-23 2016-06-23 Paul Reichartz Segmentierter Mast oder Stüt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0143A (ja) 2020-04-02
CA3054612A1 (en) 2018-08-30
EP3585953A1 (en) 2020-01-01
WO2018154184A1 (en) 2018-08-30
AU2018225322A2 (en) 2019-09-19
FI11917U1 (fi) 2018-01-11
US20200048906A1 (en) 2020-02-13
FI11704U1 (fi) 2017-06-21
AU2018225322A1 (en) 2019-09-19
CN110366625A (zh) 2019-10-22
EP3585953A4 (en) 2021-01-06
FI11685U1 (fi)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0236B2 (en) Friction fit composite column
US9234350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assembly
US20080250747A1 (en) T-chord open web joist with adjustable ends
US10711462B1 (en) Friction fit composite column
US9528265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osite assembly
KR20190120245A (ko) 합성 목재 어레인지먼트 및 상기 어레인지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FI127039B (fi) Järjestely suoran ympyrälieriön kaariosan muodostamiseksi
CA1182266A (en) Service girder of wood as well as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RU86615U1 (ru) Деревянный элемент стены или перекрытия (варианты)
US20060179741A1 (en) Unknown
RU171490U1 (ru) Деревянная балка
AU2021200695B2 (en) Composite Timber Components
RU2093647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опорная балка из двух деревянных балок
RU2103455C1 (ru) Деревянная брусовая панель
RU24172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CN220285232U (zh) 一种超长扭曲木制构件框架结构
JP2004230697A (ja) 丸太構造材
RU82242U1 (ru) Деревянная двутавровая балка (варианты)
US20240093486A1 (en) System for construction
FI129236B (fi) Lamellihirsirakenne, menetelmä ja käyttö
KR200338618Y1 (ko) 목재연결용 커넥터
KR200351242Y1 (ko) 건축구조물의 목재연결용 패스너
AU2024202203A1 (en) Extended Length Panels
DE20210920U1 (de) Gebäudewand mit einem Stützgerüst und Profil für eine Gebäudewand
WO2021258135A1 (en) A reinforced timber panel for mass timbe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