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049A -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 - Google Patents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049A
KR20190120049A KR1020180121142A KR20180121142A KR20190120049A KR 20190120049 A KR20190120049 A KR 20190120049A KR 1020180121142 A KR1020180121142 A KR 1020180121142A KR 20180121142 A KR20180121142 A KR 20180121142A KR 20190120049 A KR20190120049 A KR 2019012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ositioning
section
roof
shi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쭈
지카이 짱
Original Assignee
베이징 하너지 솔라 파워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하너지 솔라 파워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하너지 솔라 파워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2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 F24S25/61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in the form of bent strips or assemblies of strips; Hook-like connectors; Connectors to be mounted between building-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0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er type or material
    • E04D2001/3414Metal strips or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4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roof covering or structure with integral or premounted faste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52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52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 E04D2001/3455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on the internal surface of the roof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52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 E04D2001/345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on the upper or lower transverse edges of the roof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52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 E04D2001/3467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fastening means through apertures, holes or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7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pattern
    • E04D2001/3473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pattern fastening single roof elements to the roof structure with or without indirect clamping of neighbouring roof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2001/3488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oof covering elements being fastened
    • E04D2001/349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oof covering elements being fastened made of rigid material having a flat externa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를 제공하고, 태양광 발전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지붕 널에 대한 기와 후크의 압력을 줄임으로써, 지붕 널의 사용 년한을 늘인다. 상기 기와 고정 장치는 기와에 마련된 장착홀에 맞춰서 사용되도록 배치된 고정부재와, 지붕 널을 제한하기 위해 배치된 위치결정구조가 마련된 기와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기와 설치 방법은 상술한 기와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기와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와 고정 장치 및 기와 설치 방법, 지붕은 태양광 발전에 응용된다.

Description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TILE FIXING DEVICE, TILE MOUNTING METHOD AND ROOF.}
본 발명은 건축용 기와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에 관한 것이다.
기존 기술에 있어서, 사람들은 태양 에너지 발전 기술과 전통 건출물을 결합하여, 태양광 발전용 기와를 연구 제작하였는바, 이는 통상적인 기와로서 주택 건설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태양 에너지 전환 장치로서 태양광 발전에 사용될 수도 있다. 태양광 발전용 기와의 기와 잇기 방식은 전통적인 소결 기와, 세멘트 기와 등과 같은 기와의 기와 잇기 방식을 따르나, 여전히 많은 흠결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81141
본 발명은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을 제공하여, 지붕 널에 대한 기와 후크의 압력을 줄임으로써, 지붕 널의 사용 년한을 늘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제공한다.
기와 고정 장치에 있어서, 당해 기와 고정 장치는 기와에 마련된 장착홀에 맞춰서 사용되도록 배치된 고정부재와, 지붕 널을 제한하기 위해 배치된 위치결정구조가 마련된 기와 후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방안에 기재된 기와 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기와 설치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기와 설치 방법은
장착홀이 마련된 기와를 제공하는 단계,
제1 연결부재를 장착홀에 관통시키고,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1연결부재를 고정시켜,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가 상기 기와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를 지붕 널에 겹이음시켜, 지붕 널의 위치를 제한하는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위치결정구조의 위치 제한면이 지붕 널에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와 및 상술한 기술방안에 기재된 상기 기와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지붕을 제공하며, 상기 기와의 장착홀 내에는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맞는 제1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는 지붕 널에 겹이음되며, 지붕 널의 위치를 제한하는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위치결정구조의 위치 제한면은 지붕 널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와 고정 장치는 위치결정구조의 위치 제한면을 통해 기와 후크가 겹이음되는 지붕 널에 대해 위치 제한을 진행하여, 위치결정구조가 지붕 널에 대해 일정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지붕 널에 대한 기와 후크의 압력을 완충시키고, 나아가서 지붕 널의 사용 수명을 늘인다.
여기서 설명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제공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부분이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부적절한 한정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와 고정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붕 일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와 설치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부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동을 들이지 않은 전제 하에서 얻은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등이 의미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기초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고, 본 발명을 서술하고 또한 간략하게 서술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거나,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해야 함을 의미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또한, 용어 “제1”, “제2”, “제3”은 서술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지, 상대적 중요성을 의미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서술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은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없는 한, 용어 “설치”, “접속” 및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해야 하고, 예를 들어, 고정 연결될 수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일체로 연결될수 있으며,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직접 접속될 수 있고, 중간 매개체를 거쳐 간적접으로 접속될 수도 있으며, 두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에서의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 상황에 따라 이해한다.
기존 기술의 기와 후크와 지붕 널의 접촉 면적이 비교적 작아, 태양광 발전용 기와의 중압 하에, 지붕 널에 대한 기와 후크의 압력이 비교적 커서, 강도가 비교적 낮은 지붕 널의 구조가 파손되기 쉬워, 지붕 널의 사용 년한이 대폭 줄어든다.
본 발명은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을 제공하여, 지붕 널에 대한 기와 후크의 압력을 줄임으로써, 지붕 널의 사용 년한을 늘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와 고정 장치는 기와 후크(1)를 포함하고, 기와 후크(1)에는 기와(4)에 마련된 장착홀에 결합하여 사용되도록 배치된 고정부재(101)가 마련되어 있고, 기와 후크(1)에는 지붕 널(3)을 제한하도록 배치된 위치결정구조(2)가 더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와 고정 장치는 각종 기와 예를 들어, 흔히 보는 소결 기와, 세멘트 기와 또는 태양광 발전용 기와 등과 같은 기능성 기와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3 및 도 4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와 고정 장치를 통해 기와(4)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단계에서, 기와(4)을 제공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홀이 마련된 태양광 발전용 기와(4)를 예로 든다.
제2 단계에서, 제1 연결부재를 장착홀에 관통시키고,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재(101)를 통해 제1 연결부재를 고정시켜,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1)가 태양광 발전용 기와(4)에 고정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기와 후크(1)에는 장착홀에 맞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어, 제1 연결부재가 장착홀 및 관통홀을 관통하여, 기와 후크(1)와 태양광 발전용 기와의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부재가 장착홀 및 관통홀을 관통한 후, 고정부재(101)를 통해 제1 연결부재를 고정시켜, 기와 후크(1)와 태양광 발전용 기와의 연결을 실현한다.
제3 단계에서,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1)를 지붕 널(3)에 겹이음시켜, 지붕 널(3)의 위치를 제한하는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이 지붕 널(3)에 접촉하도록 하여, 지붕 널(3)데 대한 위치 제한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와 고정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와 설치 과정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기와 후크(1)에는 지붕 널(3)을 제한하기 위해 배치된 위치결정구조(2)가 더 마련되어 있어, 기와 후크(1)가 기와(4)에 고정된 후,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을 통해 기와 후크(1)가 겹이음된 지붕 널(3)에 대해 위치 제한을 진행하여, 위치결정구조(2)가 지붕 널(3)에 대해 일정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지붕 널(3)에 대한 기와 후크(1)의 압력을 완충시키고, 나아가서 지붕 널(3)의 사용 수명을 늘인다.
선택 가능하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붕 널(3)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은 아크형 위치 제한면이고, 이를 통해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이 지붕 널(3)에 대해 위치 제한할 때, 아크형 위치 제한면은 위치결정구조(2)에 의한 지붕 널(3)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동시에, 위치결정구조(2)의 아크형 위치 제한면과 지붕 널(3) 사이에 상대적 변위가 발생할 경우, 위치결정구조(2)의 아크형 위치 제한면은 지붕 널(3)에 대한 저항력을 줄일수 있다. 따라서, 기와(4)가 설치, 해체 또는 흔들리는 과정에서, 기와(4)에 따라, 기와 후크(1)에 마련된 위치결정구조(2)와 지붕 널(3) 사이에 상대적 변위가 발생하는바, 위치결정구조(2)의 아크형 위치 제한면은 상대적 변위 과정에서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에 의한 지붕 널(3)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기와(4)의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에 의한 지붕 널(3)의 불필요한 마모를 줄일 수도 있어, 태양광 발전용 기와와 같은 기와(4)의 설치 및 해체에 편의하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101)와 지붕 널(3)은 위치결정구조(2)의 양측에 위치하고, 아크형 위치 제한면은 지붕 널(3)에 외접하여, 기와(4) 설치 시, 지붕 널(3)이 위치결정구조(2)의 아크형 위치 제한면에 외접되도록 한다. 동시에, 고정부재(101)와 지붕 널(3)이 위치결정구조(2)의 양측에 위치하고, 아크형 위치 제한면은 지붕 널(3)에 외접하므로, 기와(4)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붕 널(3) 및 제1 연결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01)는 아크형 위치 제한면을 분계선으로, 서로 반대되는 양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지붕 널(3)은 제1 연결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01)에서 멀리 떨어져 가능한 한 지붕 널(3)이 제1 연결부재 및 고정부재(101)에 접촉되는 것을 피함으로써, 제1 연결부재 및 고정부재(101)에 의한 지붕 널(3)의 마모를 줄인다.
유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재(101)의 종류는 비교적 많고, 나사산을 구비한 나사부재, 예를 들어 리벳 너트일 수 있고, 걸림 연결부재 또는 힌지 부재일 수도 있으며, 물론 다른 형식의 고정부재(101)일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고정부재(101)와 기와에 마련된 장착홀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장착홀의 단면 형상은 여러가지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고정부재(101)는 제1 연결부재에 나사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리벳 너트 등 나사부재일 수 있고, 기와 설치 과정에서 사용되는 제1 연결부재는 볼트이다.
고정부재(101)는 제1 연결부재에 걸림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고정부재(101) 및 기와의 설치 과정에서 사용되는 제1 연결부재는 클립 구조이고, 물론 다른 걸림 연결 구조 일 수도 있다. 클립 구조를 예로 들 경우, 고정부재(101)는 일반적으로 링 구조인 체결부재이고, 제1 연결부재는 일반적으로 기둥모양 구조인 위치 결정 부재이다.
고정부재(101)는 제1 연결부재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일반적으로 경첩 등 힌지 부재이고, 제1 연결부재는 기둥모양 구조이며 장착홀을 관통하여 클레비스핀을 통해 고정부재(101)에 연결된다.
실현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결정구조(2)는 기와 후크(1)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22) 및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과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22)을 연결하는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을 포함한다.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22) 및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이 이루는 구체적인 형상은 실제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바, 기와(4) 설치 후, 위치결정구조(2)가 지붕 널(3)에 대해 충분한 위치 제한 작용을 가지는 것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과 지붕 널(3) 사이에 상대적 변위가 발생할 때의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과 지붕 널(3) 사이의 상대적 변위의 저항력이 작을 수 있도록 확보하기 위해,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의 선방향에 위치한 직선 및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22)의 선방향에 위치한 직선은 각각 상기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의 아크형면에 외접된다. 이럴 경우,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22) 및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이 이루는 위치 제한면은 비교적 매끄러워, 기와(4)의 설치, 해체 또는 흔들림 발생 시,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과 지붕 널(3) 사이의 상대적 변위의 저항력이 더욱 감소되어, 위치결정구조(2)에 의한 지붕 널(3)의 마모를 더 줄인다.
추가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붕 널(3)이 고정부재(101), 제1 연결부재와 서로 독립적인 위치에 있도록(즉 지붕 널(3)은 고정부재(101), 제1 연결부재 각각과 간극을 가진다) 확보하기 위해,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의 선방향과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22)의 선방향이 이루는 협각(α)은 예각이고,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은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의 선방향과 상기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22)의 선방향이 이루는 협각 범위 내에 위치하며, 당해 협각의 크기는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70°일 수 있고, 물론 다른 각도 일 수도 있다.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의 선방향과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22)의 선방향이 이루는 협각(α)이 예각일 경우,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은 최대한으로 고정부재(101)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와(4) 설치된 상태에서, 지붕 널(3)이 고정부재(101) 및 제1 연결부재와 충분한 거리를 가질수 있다. 이는 지붕 널(3)이 고정부재(101) 및 제1 연결부재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피하고, 다른 관점에서 볼 때, 고정부재(101)에 제1 연결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더 넒은 고정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기와 후크(1)와 기와(4) 사이의 연결이 더욱 견고하도록 확보한다.
기존 기술에 있어서, 기와에 마련된 장착홀 및 기와 후크에 마련된 관통홀은 그 직경이 제1 연결부재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동일한 태양광 발전용 기와를 고정 할 필요가 있을 시, 동일 지붕 널에 적어도 두개의 기와 후크가 연결되므로, 동일한 태양광 발전용 기와에 두개의 기와 후크가 연결될 경우, 제1 연결부재와 기와에 마련된 장착홀 및 기와 후크에 마련된 관통홀 사이에 틈새가 있어, 두개의 기와 후크의 기하적 중심 연결 선이 경사지게 되어, 태양광 발전용 기와를 설치 완료 후, 태양광 발전용 기와 양측이 높낮이가 고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동시에, 기존의 태양광 발전용 기와 설치 과정에서 각종 설치 오차가 존재하여, 동일한 줄의 발전용 기와가 경사질 수 있고, 심할 경우, 전체적인 시공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감안하여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와 후크(1)는 기와 고정 구간(11),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 및 지붕 널(3)에 겹이음되도록 배치된 지붕 널 겹이음 구간(13)을 포함하고, 고정부재(101)는 기와 고정 구간(11)에 배치되고, 기와 고정 구간(11)은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을 통해 지붕 널 겹이음 구간(13)에 연결되며,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에는 지붕 널(3)에 대해 위치결정하기 위해 배치된 위치결정홀(102)이 마련되고,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은 기와 고정 구간(11)에 연결된다. 기와 고정 구간(11)은 기와(4)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그 위에 장착홀에 맞는 관통홀이 마련된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기와(4)를 설치 시, 마지막 단계에서 체결 볼트 등 제2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을 지붕 널(3)에 체결하여,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이 지붕 널(3)에 밀접하도록 함으로써, 지붕 널(3)에 대한 정확한 위치결정을 진행하여 기와(4) 설치 과정 또는 전통 기와 잇기 방식에서 기와(4)의 양측 높낮이가 고르지 않은 문제점을 보완한다.
위치결정홀(102)의 단면 형상은 여러가지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위치결정홀(102)의 수량은 하나, 두개, 세개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위치결정홀(102)은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의 중심에 위치한다. 위치결정홀(102)이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지붕 널(3)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확보하고, 지붕 널(3)이 힘을 더 균일하게 받을 수 있으며, 기와(4)의 설치 과정 또는 전통 기와 잇기 방식에서 기와(4)의 양측 높낮이가 고르지 않은 문제점을 더 잘 피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와 고정 구간(11)은 선형 구조이고,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의 선방향은 기와 고정 구간(11)의 선방향에 수직되며, 이럴 경우,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에 연결된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은 기와 고정 구간(11)과 가장 먼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가능한 한 지붕 널(3)이 위치 결정부재 및 제1 연결부재에 접촉되는 것을 피한다.
선택 가능하게,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붕 널(3)은 지붕을 따라 연장한 막대기 모양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다. 지붕 널(3)의 아크형 위치 제한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의 전폭은 기와 고정 구간(11)의 길이에 비해, 기와 고정 구간(11)의 길이가 당해 접촉면의 전폭보다 작다.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21)의 선방향은 기와 고정 구간(11)의 선방향에 수직되기에, 기와 고정 구간(11)의 길이가 지붕 널(3)의 아크형 위치 제한면에 접촉되는 면의 전폭보다 작을 경우,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은 마침 지붕 널(3)의 접촉면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이 지붕 널(3)에 완전히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고, 위치결정구조(2)의 아크형 위치 제한면과 지붕 널(3) 사이에 상대적 변위가 발생할 경우에도, 아크형 위치결정구간(20)이 지붕 널(3)의 당해 접촉면에 접촉되는 것을 여전히 확보할 수 있고, 지붕 널(3)에 대한 기와 후크(1)의 압력을 더욱 완충하였으며, 나아가서 지붕 널(3)의 사용 수명을 늘인다.
바람직하게는 기와 고정 구간(11)의 길이는 지붕 널(3)의 아크형 위치 제한면에 접촉되는 면의 전폭 절반보다 크고, 지붕 널(3)의 아크형 위치 제한면에 접촉되는 면의 전폭보다 작다.
유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와 고정 구간(11),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 및 지붕 널 겹이음 구간(13)이 이루는 형상은 기와 고정 구간(11),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 및 지붕 널 겹이음 구간(13)의 실제적인 방향에 의해 결정되고, 일반적으로 기와 후크는 C형 후크 또는 U형 후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형”은 직선으로 이상화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각 막대기 모양 구조의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 및 기와 고정 구간은 직선으로 이상화할 수 있으며, 다만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 및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을 각각 이상화한 직선이 이루는 협각은 예각이고,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 및 상기 기와 고정 구간을 이상화한 직선은 서로 수직된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고정 장치를 사용한 기와 설치 방법을 제공하였는 바, 당해 방법은 S100 내지 S300을 포함한다.
단계S100에서 기와(4)을 제공하는 바,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와(4)는 장착홀이 마련된 태양광 발전용 기와일 수 있다.
단계S200에서, 제1 연결부재를 장착홀에 관통시키고,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재(101)를 이용하여 제1 연결부재를 고정시켜,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1)가 기와(4)에 고정되도록 한다.
단계S300에서,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1)를 지붕 널(3)에 겹이음시켜, 지붕 널(3)의 위치를 제한하는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이 지붕 널(3)에 접촉되도록 한다.
기존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와 설치 방법의 유익한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와 고정 장치의 유익한 효과와 같기에,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서 태양광 발전용 기와가 설치완료 후의 제1 연결부재와 지붕 널(3) 사이에 간극이 있어 지붕 널(3)이 제1 연결부재에 의해 긁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와 후크(1)는 기와 고정 구간(11),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 및 지붕 널(3)에 겹이음되도록 배치된 지붕 널 겹이음 구간(13)을 포함하고,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1)를 기와에 겹이음시킨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와 설치 방법은
제2 연결부재를 위치결정홀(102)에 관통시켜,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이 지붕 널(3)에 밀접되도록 하는 단계 S400을 더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와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지붕을 제공하는 바, 기와의 장착홀에는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재(101)에 맞는 제1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1)는 지붕 널(3)에 겹이음되며, 붕 널(3)의 위치를 제한하는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위치결정구조(2)의 위치 제한면은 지붕 널(3)에 접촉된다.
기존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지붕의 유익한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와 고정 장치의 유익한 효과와 같기에, 여기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와 후크(1)는 기와 고정 구간(11), 지붕 널(3)에 겹이음되는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 및 지붕 널 겹이음 구간(13)을 포함하고, 제2 연결부재는 위치결정홀(102)을 관통하여 상기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12)을 지붕 널에 위치결정시키며, 제1 연결부재와 지붕 널(3) 사이에는 간극이 있어 지붕 널(3)이 제1 연결부재에 의해 긁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임의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낸 변경 또는 대체방식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준한다.
1 : 기와 후크 11 : 기와 고정 구간
12 :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 13 : 지붕 널 겹이음 구간
101 : 고정부재 102 : 위치결정홀
2 : 위치결정구조 20 : 아크형 위치결정구간
21 :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 22 :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
3 : 지붕 널 4 : 기와

Claims (16)

  1. 기와에 마련된 장착홀에 맞춰서 사용되도록 배치된 고정부재와, 지붕 널을 제한하기 위해 배치된 위치결정구조가 마련된 기와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붕 널의 위치를 제한하는 상기 위치결정구조의 위치 제한면은 아크형 위치 제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지붕 널은 상기 위치결정구조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아크형 위치 제한면은 상기 지붕 널에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구조는 상기 기와 후크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 및 상기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과 상기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을 연결하는 아크형 위치결정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의 선방향과 상기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의 선방향이 이루는 협각은 예각이고, 상기 아크형 위치결정구간은 상기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의 선방향과 상기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의 선방향이 이루는 협각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의 선방향에 위치한 직선 및 상기 제2 선형 위치결정구간의 선방향에 위치한 직선은 각각 상기 아크형 위치결정구간의 아크형면에 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와 후크는 상기 고정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에 연결된 기와 고정 구간과, 지붕 널에 대해 위치결정 하기 위한 위치결정홀이 마련된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과, 및 상기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을 통해 상기 기와 고정 구간에 연결되며 지붕 널에 겹이음되도록 배치된 지붕 널 겹이음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홀은 상기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와 고정 구간은 선형 구조이고, 상기 제1 선형 위치결정구간의 선방향은 상기 기와 고정 구간의 선방향에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리벳 너트, 걸림 연결 부재 또는 힌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고정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와 고정 장치를 사용하고,
    장착홀이 마련된 기와를 제공하는 단계,
    제1 연결부재를 장착홀에 관통시키고,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1연결부재를 고정시켜,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가 상기 기와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를 지붕 널에 겹이음시켜, 지붕 널의 위치를 제한하는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위치결정구조의 위치 제한면이 지붕 널에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설치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와 후크는 기와 고정 구간,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 및 지붕 널에 겹이음되는 지붕 널 겹이음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를 기와에 겹이음시킨 후, 상기 기와 설치 방법은
    제2 연결부재를 위치결정홀에 관통시켜 상기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이 상기 지붕 널에 부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설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지붕 널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와 설치 방법.
  14. 기와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상기 기와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와의 장착홀 내에는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맞는 제1 연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기와 후크는 지붕 널에 겹이음되며, 지붕 널의 위치를 제한하는 상기 기와 고정 장치에 구비된 위치결정구조의 위치 제한면은 지붕 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와 후크는 기와 고정 구간, 지붕 널에 겹이음되는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 및 지붕 널 겹이음 구간을 포함하고, 제2 연결부재는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의 위치결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붕 널 위치결정구간을 상기 지붕 널에 위치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지붕 널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KR1020180121142A 2018-04-13 2018-10-11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 KR20190120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333939.8 2018-04-13
CN201810333939.8A CN110374269A (zh) 2018-04-13 2018-04-13 一种瓦片固定装置及瓦片安装方法、屋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049A true KR20190120049A (ko) 2019-10-23

Family

ID=6396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142A KR20190120049A (ko) 2018-04-13 2018-10-11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16356A1 (ko)
EP (1) EP3553247A1 (ko)
JP (1) JP2019183615A (ko)
KR (1) KR20190120049A (ko)
CN (1) CN110374269A (ko)
WO (1) WO2019196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5629A1 (en) * 2021-06-29 2023-01-05 Arka Energy Inc. System for mounting tiles over a surface
US11598100B1 (en) 2021-09-10 2023-03-07 Vicki Lepior Roof sheath connec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141A (ko) 2012-01-06 2013-07-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스아이피 기반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보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7584A (en) * 1922-07-18 1923-05-17 Thomas Bailey An improvement in the method of fastening slates and tiles to roofs
GB2272474A (en) * 1992-07-30 1994-05-18 Jones Rebecca Louise Wyatt Fixing for sloping or vertical building finish coverings or hangings,e.g.tiles or slates
DE19933656A1 (de) * 1999-02-15 2000-09-07 Erwin Mueller Firstklammer
WO2002033192A1 (en) * 2000-10-17 2002-04-25 Alan Zafer & Associates Limited Slate laying system
DE20103923U1 (de) * 2001-03-07 2001-07-26 Homann Bernhard Befestigungsklammer für geschnittene Gradziegel
DE20204963U1 (de) * 2002-03-28 2002-08-01 Schueco Int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Bauteile wie Kollektoren
JP3904528B2 (ja) * 2003-03-27 2007-04-11 有限会社シミズ・メタル すがもれ防止瓦屋根
CN202090487U (zh) * 2011-01-19 2011-12-28 浙江华夏杰高分子建材有限公司 吊顶安装结构及吊钩
CN203179919U (zh) * 2013-01-21 2013-09-04 上海太阳能科技有限公司 瓦片式光伏组件
CN203669217U (zh) * 2013-09-18 2014-06-25 北京融博郎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紧固件
JP6216613B2 (ja) * 2013-11-05 2017-10-18 株式会社鶴弥 瓦保持方法及び瓦保持クリップ
CN204349862U (zh) * 2015-01-22 2015-05-20 英利集团有限公司 固定装置及具有其的光伏组件安装装置
CN106911292B (zh) * 2017-03-02 2019-11-19 江苏汉嘉薄膜太阳能科技有限公司 曲面柔性基屋顶太阳能薄膜发电光伏瓦系统及其制备方法
CN106936373A (zh) * 2017-04-28 2017-07-07 无锡尚德太阳能电力有限公司 双玻组件的安装结构
CN207083043U (zh) * 2017-06-14 2018-03-09 杭州淘顶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建筑一体化防水型光伏构件
CN208733937U (zh) * 2018-04-13 2019-04-12 北京汉能光伏投资有限公司 一种瓦片固定装置及屋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141A (ko) 2012-01-06 2013-07-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스아이피 기반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보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3247A1 (en) 2019-10-16
WO2019196328A1 (zh) 2019-10-17
US20190316356A1 (en) 2019-10-17
CN110374269A (zh) 2019-10-25
JP2019183615A (ja)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2591B2 (en) Solar panel racking system and devices for the same
JP4975893B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KR20190120049A (ko) 기와 고정 장치, 기와 설치 방법 및 지붕
JP201507850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支持屋根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り付け器具
KR102074793B1 (ko) 태양광발전모듈용 지지구조물
US9435465B1 (en) Bracket for utilities support hardware
KR20170106112A (ko)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CN113293923A (zh) 一种龙骨的吊点错位调整结构及安装方法
JP2022107492A (ja) ボルト支持金具
CN111519822A (zh) 一种装配式住宅顶面悬挂系统及安装方法
WO2004005641A1 (en) Surface mounted grid system
JP6062635B2 (ja) 屋根構造
KR20100126181A (ko) 태양전지판용 클램프
CN215368097U (zh) 一种反吊蜂窝复合石材安装系统
JP474986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一体型屋根材、これに用いる固定部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交換方法
CN218758486U (zh) 一种墙板龙骨结构
CN218148871U (zh) 一种建筑钢结构网架
CN217558148U (zh) 一种连接外大梁与帽头的附件
CN215105361U (zh) 一种钢支撑三角件
CN218758325U (zh) 一种瓷瓦挂钩
CN220928521U (zh) 一种内装板材开槽平接条调平安装构造
CN110284663A (zh) 屋顶结构及瓦片安装组件
CN220359077U (zh) 贴屋面柔性光伏支承装置
CN215407134U (zh) 墙砖墙面悬挂连接结构、墙角安装结构、连接组件
JP6023473B2 (ja) 機能部材の屋根面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