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482A -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 Google Patents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482A
KR20190119482A KR1020180042987A KR20180042987A KR20190119482A KR 20190119482 A KR20190119482 A KR 20190119482A KR 1020180042987 A KR1020180042987 A KR 1020180042987A KR 20180042987 A KR20180042987 A KR 20180042987A KR 20190119482 A KR20190119482 A KR 20190119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patty
metal
bottl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웰엔터프라이즈
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웰엔터프라이즈, 박성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웰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8004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9482A/ko
Publication of KR2019011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29B17/0052Hollow articles, e.g. bot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워진 폐 금속캔이나 폐 패티병을 재활용으로 버릴 때 부피를 최대한 작게 압착하여 처리를 용이토록 하는 가정용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면적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으로 직립된 직립면을 형성하고 직립면의 내측에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본체틀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틀의 가이드레일에 맞물려지도록 좌우 양측에 레일홀이 형성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압착발판을 장착하여 압착발판을 발로 가압함으로써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쉽게 압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틀의 바닥판과 직립면에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바닥판의 양 측면에 직립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조임요소로 조임시켜 간단하게 조립토록 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Household compressors that press metal cans or patty bottles for separate collection and discharge}
본 발명은 가정에서 다 먹고 비워진 폐 금속캔이나 폐 패티병을 재활용으로 버릴 때 부피를 최대한 작게 압착하여 처리를 용이토록 하는 가정용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는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와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로 각각 분리수거하여 배출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가정에서는 물을 끓여 먹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거나 정수기를 대여 및 관리비용보다 저렴한 일회용 또는 대용량의 플라스틱 패티병이나 탄산수 또는 이온음료가 들어 있는 금속캔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비치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마시거나 외출시에 휴대 가능하여 많이 애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음료나 물이 담아 있는 금속캔이나 플라스틱 패티병을 다 마신 후에는 재활용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손으로 가압하여 찌끄림으로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비닐봉투나 박스에 일정기간 동안 모았다가 한 번에 버리거나 지정한 날에 배출할 수 있어 처리방법도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캔이나 플라스틱 패티병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손부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금속캔이나 패티병은 상하로 압착이 불가능하여 대부분 몸통의 측면을 가압하여 압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금속캔이나 패티병이 길이방향으로만 압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소한으로 압착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많을 양을 저장하여 버릴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상하로 쉽게 압착시킬 수 있는 전동식 압착기와 수동식 압착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전동식 압착기는 전원 공급과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피가 매우 크고 비싸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는 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이면서 저렴한 수동식 압착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수동식 압착기는 대부분 상하 레버방식으로 압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금속캔과 패티병을 압착하는데 많은 힘이 필요하여 성인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압착하는 과정에서 금속캔이나 패티병이 안정적으로 직립되지 못하고 쓰러져 정확한 압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동식 압착기는 대부분 조립이 완료된 완성품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포장을 위한 부피가 커지면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대량납품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로 눌러 상하 압착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조작이 용이하면서 성인은 물론 어린이도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압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일체형은 물론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간단한 조립구조로 제작하여도 압착을 위한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최소한의 부피로 포장하여 원가절감과 대량납품이 가능토록 한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으로 일정높이로 직립된 직립면을 형성하고 직립면의 내측에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힌 본체틀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틀의 가이드레일에 맞물려지도록 좌우 양측에 레일홀이 형성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압착발판을 장착하여 상기 압착발판을 발로 가압으로써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간단하게 압착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바닥판에는 상면에 놓여지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바닥판의 상면에 돌출토록 하거나 표면만 노출되도록 내입게 장착하고 바닥판의 내측에는 압착발판이 하강되는 충격에 의해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강격벽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양 측판은 분리되어 바닥판에 조임요소의 조임으로 간단하게 조립토록 제작하여 제조는 물론 최소부피로 포장되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워진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분리수거하기 위하여 압착하는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압착이 상하로 이루어져 최소한의 부피로 압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다량으로 보관은 물론 보관되어진 압착된 재활용품을 한 번에 배출할 수 있어 분리수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압착작업이 성인은 물론 어린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리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면서 분리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조립됨으로서 최소한의 부피로 포장이 가능하여 포장비용에 의한 원가절감효과를 제공하여 제품의 판매단가를 낮추는 효과는 물론 대량납품이 가능하여 구매자와 판매자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착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2는 본 발명의 압착기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압착기의 압착발판이 승강되는 작동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압착기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압착기에 미끄럼방지패드가 구비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패드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본체틀의 보강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슬립방지구가 장착되는 상태도.
도9는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본체틀의 직립면 보강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11은 본 발명의 압착발판의 승강을 위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조립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본체틀을 나타낸 분해도.
도13과 도14는 본 발명의 금속캔과 패티병이 압착발판에 내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압착발판에 압착돌기가 형성된 저면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압착발판에 충격완화수단이 구비된 저면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정용 압착기는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것으로써, 이를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이 놓여지는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갖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좌우 양측에는 상향으로 직립된 직립면(120)과 상기 직립면(120)의 내벽면에 가이드레일(130)이 형성된 본체틀(100)과 상기 본체틀(100)의 직립면(1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0)에는 좌우 양측에 형성된 레일홀(210)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는 압착발판(200)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틀(100)과 압착발판(200)은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써 사출성형에 의하여 두 개의 간소화된 부품으로 간단하게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틀(100)의 직립면(120)은 2리터의 패티병이 놓여질 수 있는 높이로 직립되게 형성되어 높이가 작은 금속캔에서 높이가 큰 패티병을 모두 압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틀(100)의 바닥판(110)에 비워진 금속캔 또는 패티병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압착발판(200)을 발로 누르면 하강압에 의하여 놓여진 금속캔 또는 패티병이 최소한의 부피로 납작하게 찌그러져 성인은 물론 어린이도 간단하게 압착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상단에는 별도의 분리방지구(300)를 조임요소로 조립함으로써 가이드레일(130)에 압착발판(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반복적인 승강 작동에도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틀(100)의 바닥판(110) 상면에는 플라스틱의 미끄러움에 의하여 놓여지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이 미끄러져 넘어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패드(400)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400)는 점착성이 좋은 우레탄이나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미끄럼방지패드(400)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접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틀(100)의 저면에도 슬림방지구(500)를 형성하여 본체틀(100)이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압착작업을 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슬림방지구(500)는 고무재질로써 본체틀(100)의 저면 각 모서리와 중앙에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슬림방지구(500)의 장착을 위하여 본체틀(100) 저면에는 결합돌부(101)를 형성하고 슬림방지구(500)는 원형의 작은 패드상으로 이루어져 일면에 결합돌기(510)를 형성하여 끼움방식으로 간단하게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틀(100)의 바닥판(110)은 금속캔이나 패티병이 놓여질 수 있는 일정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지면에서 일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저면 내측으로 내입된 내공간(111)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살두께로 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공간(111)에는 본체틀(110)이 성형 직후 경화되거나 온도변화에 의하여 뒤틀림이나 형태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가로와 세로로 복수의 보강격벽(112)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격벽(112)에 의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기 위하여 압착발판(200)의 하강충격으로 인하여 금이 가거나 깨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체틀(110)이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강한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것을 보강격벽(112)에 의해 강성이 생성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발판(200)의 저면에는 하강충격으로 본체틀(100)의 좌우 양측 바닥면에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고무패킹(201)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직립면(120)의 내벽면 형성된 가이드레일(130)은 가이드돌부(131)와 상기 가이드돌부(131)의 선단 좌우 양측에는 직립면(120)에서 이격된 돌출된 날개(132)로 이루어진 T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착발판(200)의 레일홀(210)은 T자형의 홀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30)에 끼워져 승강이 가능하면서 승강 작동중에 직립면(120)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면서 압착발판(20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날개(132)에는 내측으로 만곡면(133)을 형성하고, 압착발판(200)의 레일홀(210)에는 맞대응 만곡면(211)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30)에서 압착발판(200)의 마찰면적이 최소화되어 승강 작동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날개(132)는 상단에서 바닥판(110)의 하단방향으로 직경을 점점 크게 형성하여 가이드레일(130)에 압착발판(200)의 결합할 때 쉽게 결합되도록 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압착발판(200)이 하단방향으로 하강할수록 가이드레일(130)의 날개(132)가 압착발판(200)의 레일홀(210)에 밀착되어 점점 미세하게 마찰이 이루어지면서 바닥판(110)으로 완전히 하강되지 않고 일정높이에 멈춰지게 되고, 가압력에 의해서만 바닥판(110)으로 완전히 하강되는 것이고, 이러한 마찰은 미세한 마찰이기 때문에 압착발판(200)의 승강 작동에는 전혀 지장이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압착기를 사용할 때 처음에는 압착발판(200)이 일정높이로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금속캔이나 패티병의 바닥판(110)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압착발판(200)을 가이드레일(130)에서 승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하단과 바닥판(110)에는 보강벽(134)이 형성되어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진 직립면(120)의 직립상태를 안정적으로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벽(134)은 압착발판(200)의 승강 작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상기 압착발판(200)의 레일홀(210) 측벽에는 승강 작동시에 상기 보강벽(134)이 내입될 수 있도록 절개된 개구부(220)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틀(100)은 포장의 용이함을 위하여 바닥판(110)과 직립면(120)이 분리된 상태로 각각 제조되어 직립면(120)의 바닥판(110)의 좌우 양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조임요소로 조임토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판(110)과 직립면(120)을 조립할 때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판(110)의 좌우 양측면에는 절개부(113)를 형성하고, 직립면(120)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0) 하단에는 상기 절개부(113)에 끼워지는 끼임돌부(135)를 형성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끼임돌부(135)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직립보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착발판(200)은 본체틀(100)의 바닥판(110)과 동일하게 저면에서 내측으로 내입된 내입공간(230)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공간(230)에 성형직후 경화과정이나 온도변화에 의해 뒤틀림이나 형태변형을 방지하고, 압착발판(200)을 가압할 때 가압충격에 의해 파손이 방지되도록 보강격벽(23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발판(200)을 가압할 때 그 상면에는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에 맨발이나 양말은 신은 상태에서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돌기(24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착발판(200)은 레일홀(210)이 형성된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연장돌부(250)를 형성하여 레일의 안정적인 승강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하강시에 본체틀(100)의 바닥판(110) 상면에 밀착되는 가압충격을 최소화하여 깨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발판(200)의 하강시에 충격을 더욱 완화하기 위하여 레일홀(210)의 좌우 양측에 끼임홈(212)을 형성하고, 상기 끼임홈(212)에 고무재질의 충격방지구(201)를 끼임결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발판(200)의 저면 중앙에는 패트병의 입구와 금속캔의 상단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끼임홈부(261)를 형성하여 압착을 위한 작업과정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즉, 압착발판(200)의 끼임홈부(261)에 금속캔 또는 패트병의 입구를 끼워 간단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압착발판(200)을 가압하여 압착토록 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압착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착발판(200)의 끼임홈부(261)는 압착발판(200)의 저면 중앙에 패트병의 입구 직경과 금속캔의 상단 테두리 직경과 대응하도록 직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격벽(26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260)의 상단면에는 금속캔이나 패트병을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는 압착돌기(262)를 형성하여 압착력을 강화토록 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틀
110: 바닥판 111: 내공간
112: 보강격벽 113: 절개홈
120: 직립면
130: 가이드레일 131: 가이드돌부
132: 날개 133: 만곡면
134: 보강벽 135: 끼임돌부
200: 압착발판 201: 충격방지구
210: 레일홀 211: 돌출면
212: 끼임홈
220: 개구부 230: 내입공간
231: 보강격벽 240: 요철돌기
260: 격벽 261: 끼움홈부
262: 압착돌기
300: 분리방지구
400: 미끄럼방지패드
500: 슬립방지구

Claims (16)

  1.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압착기에 있어서,
    일정한 면적과 두께를 갖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좌우 양측으로 상향으로 직립된 직립면(120)과,
    상기 직립면(120)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틀(100)과,
    상기 본체틀(100)의 직립면(1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0)에 맞물려 상하로 가이드되도록 좌우 양측에 레일홀(210)이 형성되어 압착발판(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상단에는 끼워진 압착발판(200)이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별도로 조립되는 분리방지구(3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의 상면에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이 놓여진 상태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패드(4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은 저면에서 내측으로 내입된 내공간(111)이 형성되어 균일한 살두께로 성형되어 제조되고, 상기 내공간(111)에는 뒤틀림이나 형태변형 방지와 압착발판(200)의 하강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격벽(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의 저면에는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슬림방지구(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면(1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30)은 가이드돌부(131)와 상기 가이드돌부(131)의 선단 좌우 양측에는 직립면(120)에서 이격된 돌출된 날개(132)로 이루어진 T자형으로 형성되고, 압착발판(200)의 레일홀(210)은 가이드레일(130)이 끼워져 승강 될 수 있도록 T자형의 홀로 형성되어 압착발판(200)이 승강 작동시에 분리가 방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날개(132)는 내측으로 만곡면(133)이 형성되고, 압착발판(200)의 레일홀(210)에는 맞대응 만곡면(211)이 형성되어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압착발판(200)의 상승 및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132)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직경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하단에는 직립면(120)을 보강하는 경사진 보강벽(134)이 형성되고, 압착발판(200)에는 하강시에 보강벽(134)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측벽에 절개된 개구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면(120)은 조임요소에 의해 조립되도록 바닥판(110)과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발판(200)은 저면에서 내측으로 내입된 내입공간(230)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공간(230)에는 뒤틀림이나 형태변형 방지와 압착발판(200)을 가압할 때 파손을 방지하도록 보강격벽(2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발판(200)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돌기(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발판(200)은 레일홀(210)이 형성된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연장돌부(250)가 형성되어 하강시 본체틀(100)의 바닥판(110) 상면에 밀착되는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발판(200)의 저면 중앙에는 패트병의 입구와 금속캔의 상단 테두리가 끼워지도록 직경이 다른 격벽(260)에 의해 다수 개의 끼임홈부(2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60)의 상단면에는 금속캔이나 패트병을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는 압착돌기(2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발판(200)에는 승강에 의하여 음료캔이나 패티병을 압착할 경우에 본체틀(100)의 바닥판(110)의 상면에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방지구(2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KR1020180042987A 2018-04-12 2018-04-12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KR20190119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987A KR20190119482A (ko) 2018-04-12 2018-04-12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987A KR20190119482A (ko) 2018-04-12 2018-04-12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482A true KR20190119482A (ko) 2019-10-22

Family

ID=6842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987A KR20190119482A (ko) 2018-04-12 2018-04-12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94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028A (ko) * 2019-11-18 2021-05-26 이경환 음식물 압착 탈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028A (ko) * 2019-11-18 2021-05-26 이경환 음식물 압착 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172B1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KR20190119482A (ko)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US20120192728A1 (en) Juice Machine and Lid Thereof
KR101821272B1 (ko) 압축형 음식물 쓰레기통
KR101903467B1 (ko) 종이 컵 회수 장치 및 방법
US20230121117A1 (en) A juicer
CN209922443U (zh) 一种木托盘生产自动堆垛装置
JPH10276910A (ja) 食料品の型取りおよび煮焼用積層枠のための圧縮装置
KR101810887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US7387066B2 (en) Cylindrically-shaped can collection bin for use with aluminum can compacting mechanism
JPH115196A (ja) 容器圧縮機
KR101032268B1 (ko) 가정용 소형 용기압착기
KR102159456B1 (ko)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KR20190130880A (ko)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KR20100099410A (ko) 욕실용 발판
KR101426029B1 (ko) 마늘 다지기
KR20110008511U (ko) 종량제봉투가 내장되는 압착식 쓰레기통
KR102582330B1 (ko) 캔 압착기
KR102095112B1 (ko) 폐용기 압축장치
CN209832721U (zh) 一种易拉罐压扁装置
CN207312270U (zh) 一种方便搬运的纸塑包装盒
KR20220128829A (ko) 압축 쓰레기통
CN211636340U (zh) 一种宠物食品推料搅拌装置
CN211365446U (zh) 一种食品包装装置
KR950005722Y1 (ko) 폐음식물 압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