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880A -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 Google Patents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880A
KR20190130880A KR1020180055571A KR20180055571A KR20190130880A KR 20190130880 A KR20190130880 A KR 20190130880A KR 1020180055571 A KR1020180055571 A KR 1020180055571A KR 20180055571 A KR20180055571 A KR 20180055571A KR 20190130880 A KR20190130880 A KR 2019013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y
guide rod
pressing
bottom plate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웰엔터프라이즈
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웰엔터프라이즈, 박성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웰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8005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0880A/ko
Publication of KR2019013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29B17/0052Hollow articles, e.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30B9/32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between jaws pivot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30B9/323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between jaws pivot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operated by hand or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29B17/0052Hollow articles, e.g. bottles
    • B29B2017/0063Manually driven deformation tools, e.g. tools being part of domestic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워진 폐 금속캔이나 폐 패티병을 재활용으로 버릴 때 부피를 최대한 작게 압착하여 처리를 용이토록 하는 가정용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면적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으로 하나의 봉을 밴딩하여 2개의 봉으로 이루어진 일정높이로 직립된 가이드봉을 형성하여 바닥판의 저면에서 조임요소로 분리되지 않게 조립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에서 슬라이드로 승강작동되는 압착판을 구비하여 상기 압착판을 발로 가압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Household compressors that press cans or patty bottles for separate collection and discharge}
본 발명은 가정에서 다 먹고 비워진 폐 금속캔이나 폐 패티병을 재활용으로 버릴 때 부피를 최대한 작게 압착하여 처리를 용이토록 하는 가정용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는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와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로 각각 분리수거하여 배출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가정에서는 물을 끓여 먹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거나 정수기를 대여 및 관리비용보다 저렴한 일회용 또는 대용량의 플라스틱 패티병이나 탄산수 또는 이온음료가 들어 있는 금속캔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비치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마시거나 외출시에 휴대 가능하여 많이 애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음료나 물이 담아 있는 금속캔이나 플라스틱 패티병을 다 마신 후에는 재활용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손으로 가압하여 찌끄림으로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비닐봉투나 박스에 일정기간 동안 모았다가 한 번에 버리거나 지정한 날에 배출할 수 있어 처리방법도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캔이나 플라스틱 패티병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손부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금속캔이나 패티병은 상하로 압착이 불가능하여 대부분 몸통의 측면을 가압하여 압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금속캔이나 패티병이 길이방향으로만 압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소한으로 압착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많을 양을 저장하여 버릴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상하로 쉽게 압착시킬 수 있는 전동식 압착기와 수동식 압착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전동식 압착기는 전원 공급과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피가 매우 크고 비싸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는 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정에서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이면서 저렴한 수동식 압착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수동식 압착기는 대부분 상하 레버방식으로 압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금속캔과 패티병을 압착하는데 많은 힘이 필요하여 성인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압착하는 과정에서 금속캔이나 패티병이 안정적으로 직립되지 못하고 쓰러져 정확한 압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동식 압착기는 대부분 조립이 완료된 완성품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포장을 위한 부피가 커지면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대량납품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로 눌러 상하 압착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인은 물론 어린이도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압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일체형은 물론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간단한 조립구조로 제작하여도 압착을 위한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최소한의 부피로 포장하여 원가절감과 대량납품이 가능토록 한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으로 하나의 봉을 밴딩하여 2개의 봉으로 이루어진 일정높이로 직립된 가이드봉을 형성하여 바닥판의 저면에서 조임요소로 분리되지 않게 조립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에서 슬라이드로 승강작동되는 압착판을 구비하여 상기 압착판을 발로 가압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폭이 미세하게 점점 좁아지게 형성하여 압착판이 가이드봉의 상단에 점점 밀착되면서 가이드봉 상단에 고정되도록 하여 압착을 위한 누름가압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바닥판에는 상면에는 금속캔이나 패티병이 놓여지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패드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바닥판의 내측에는 압착판이 하강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하도록 보강격벽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바닥판의 이면에는 바닥에 놓여진 상태에서 압착판을 누름가압할 때 슬립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로 복수 개의 슬립방지구를 구비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을 이용함으로써 성인은 물론 어린이도 쉽게 압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캔이나 패티병을 최소 부피로 압착 가능하기 때문에 압착된 캔이나 패티병을 다량으로 보관한 상태에서 한 번에 배출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제조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조립됨으로써 포장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대량납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포장에 따른 제조원가가 절감되어 소비자에게 높은 만족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착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압착기의 압착판이 승강되는 작동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압착기의 사용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압착기의 가이드봉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압착기의 가이드봉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가이드봉과 바닥판의 결합홀의 또 다른 결합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가이드봉의 안정적인 직립을 위하여 바닥판에 지지돌부가 형성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압착기에 미끄럼방지패드가 구비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바닥판의 보강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압착판의 보강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바닥판에 슬립방지를 위한 슬립방지구가 장착되는 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의 압착판에 압착돌기가 형성된 저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가이드봉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가이드봉에 압착판이 밀착고정된 상태도.
도15는 본 발명의 가이드봉에 압착판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16과 도17은 본 발명의 바닥판과 가이드봉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18과 도19는 본 발명의 금속캔과 패티병이 압착판에 내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가정용 압착기는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발로 누름가압하여 금속의 캔이나 플라스틱 패티병을 납작하게 압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압착구조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가정용 압착기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이나 패티병이 놓여질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과 높이를 갖는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에 상단이 개구되도록 좌우 양측에 직립되는 가이드봉(200)과 상기 가이드봉(200)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는 압착판(30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판(100)과 압착판(300)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봉(200)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110)과 승강작동을 위한 승강홀(310)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가이드봉(200)을 압착판(300)의 승강홀(310)을 통해 먼저 끼임결합한 상태에서 바닥판(100)의 결합홀(110)에 결합하여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200)의 높이는 바닥판(100) 상면에서 가이드봉(200)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압착판(300)의 사이에 높이가 작은 캔부터 2리터의 패티병이 놓여질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00)에 캔 또는 패티병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압착판(300)을 발로 누르면 하강압에 의하여 놓여진 캔 또는 패티병이 최소한의 부피로 납작하게 찌그러져 성인은 물론 어린이도 쉽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판(100)과 압착판(300)은 플라스틱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이고, 가이드봉(200)은 온도에 의하거나 압착판(300)의 승강작동에 의한 휘어짐을 방지하여 직립강도를 갖는 속이 채워진 봉 또는 파이프 상의 관체 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재질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바닥판(100)의 결합홀(110)에 결합된 가이드봉(200)이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봉(200)의 하단 내벽면에는 나사산(210)을 형성하여 바닥판(100)의 저면 방향에서 결합홀(110)에 의하여 가이드봉(200)의 나사산(210)에 나사조임되는 체결요소(400)를 사용하여 가이드봉(200)을 바닥판(100)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체결토록 한 것이다.
또한 가이드봉(200)을 바닥판(100)에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 예로써 가이드봉(200)의 직경을 결합홀(110)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크게 형성하여 강제 끼임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가이드봉(200)의 선단에는 면치부를 형성하여 끼임결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100)의 결합홀(110) 내벽면에 미세하게 돌출된 밀착돌기(111)를 형성하여 끼임되는 가이드봉(200)의 표면에 밀착돌기(111)가 긴밀한 압박으로 밀착되어 별도의 체결요소(400)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한 결합력으로 결합토록 하여 가이드봉(200)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100)의 결합홀(110)이 형성된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돌부(120)를 형성하여 바닥판(10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도 가이드봉(200)이 결합홀(110)에 끼임결합되는 깊이를 갖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봉(200)이 압착을 위한 누름가압에도 지지돌부(120)에 의하여 지지되어 안정적인 직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에는 캔이나 패티병이 놓여질 경우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점착성이 좋은 고무나 실리콘이나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패드(130)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직립사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즉, 빈 캔이나 패티병은 중량이 매우 가볍기 때문에 미세 충격에도 쉽게 넘어지거나 압착판(300)이 압착되는 순간에 직립되지 못하고 미끄러짐이 발생되면서 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30)는 얇은 두께로써 접착에 의해 바닥판(100)의 상면에 돌출되게 부착되거나 미끄럼방지패드(130)가 압착되는 충격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바닥판(100) 상면에 내입면(100a)을 형성하여 미끄럼방지패드(130)의 상면만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100)의 저면에는 압착기가 바닥에 놓여진 상태에서 압착판(300)을 발로 가압할 때 슬립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균일한 간격으로 돌출된 결합돌부(103)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부(103)에 끼임결합되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복수 개의 슬립방지구(140)를 끼움방식으로 간단하게 장착되도록 구비토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슬림방지구(140)를 바닥판(100)의 저면 각 모서리와 중앙의 테두리에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닥판(100)과 압착판(300)은 저면으로 내입공간(150,320)을 형성하여 사출의 용이성과 저중량을 제공하도록 제조되고 상기 내입공간(150,320)에는 바닥판(100) 및 압착판(300)의 살두께와 동일한 살두께로 복수의 보강격벽(151,321)을 형성하여 성형 후 경화과정이나 기온변화에 따른 플라스틱의 단점인 뒤틀림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보완하게 되고, 더 나아가 캔 또는 패티병을 압착하기 위하여 압착판(300)을 누름 가압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바닥판(100) 또는 압착판(300)이 금이 가거나 깨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바닥판(100)과 압착판(300)이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강한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보강격벽(151,321)에 의해 보강력이 생성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판(300)의 저면에는 하강되는 충격압에 의해 바닥판(100)의 상면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고무패킹(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착판(300)에 형성된 보강격벽(321)의 선단면에는 복수 개의 압착돌기(322)를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압착판(300)이 누름 가압 될 경우에 캔 또는 패티병이 순간적인 찌그러짐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압착력을 강화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200)은 밴딩에 의하여 "∩"형상으로 절곡하여 두 개의 이격된 봉으로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200)은 밴딩의 용이성을 위하여 가능하면 속이 비워진 관체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200)이 결합되는 바닥판(100)에 형성된 결합홀(110)과 압착판(300)에 형성된 승강홀(310)은 "∩"형상으로 절곡된 가이드봉(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홀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200)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점점 간격 폭이 좁아지게 형성하여 승강되는 압착판(3000)이 상승되어 점점 상단에 위치될 경우에 압착판의 승강홀(310)이 두 개의 봉으로 절곡된 가이드봉(200)에 밀착되어 빡빡하게 되면서 임의적으로 하강되지 않고 상승된 일정 높이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가압력에 의해서만 하강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밀착력은 미세한 마찰이기 때문에 압착판(300)의 승강 작동에는 전혀 지장이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압착판(300)을 상승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캔이나 패티병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압착을 위한 압착판(300)의 가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판(300)의 형성된 승강홀(310)은 압착판(300)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홀(310)의 직경보다 가이드봉(200)의 직경을 미세하게 작게 형성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승강홀(310)과 가이드봉(200)의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압착판(300)이 승강 작동중에 유격으로 어느 한쪽이 치우쳐 기울어짐이 발생될 경우에 멈춰지게 되면서 승강 작동이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홀로 형성된 승강홀(310)을 가이드봉(200)의 이격된 봉의 간격 폭만큼의 길이로 이루어진 하나의 구멍으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럴 경우 압착판(300)의 승강홀(310)을 통해 가이드봉(20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봉(200)은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폭이 미세하게 점점 크게 형성되어 분리가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압착판(300)이 승강 작동시에 유격에 의한 기울어짐이 발생되어도 걸림이 발생되지 않고 정확하게 안내되어 승강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16과 도17은 가이드봉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가이드봉(200)을 바닥판(100)에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가이드봉(200)의 하단 내벽면에 나사산(210)을 형성하지 않고 어느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20)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220)를 바닥판(100)의 저면에서 감싸지도록 결합되는 고정브라켓(50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500)을 나사조임으로 고정토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이드봉(200)의 하단에 절곡부(220)를 형성할 경우에 바닥판(100)의 결합홀(110)은 소정길이로 이루어진 하나의 결합홀(110)로 형성하여 벌어진 가이드봉(200)의 절곡부(220)가 형성된 하단을 탄성가압으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바닥판(100)의 결합홀(110)에 관통시켜 저면에 노출토록 한 상태에서 탄성가압을 해제하여 원상태로 복원토록 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봉(200)의 절곡부(220)를 나사조임으로 고정되는 별도의 고정브라켓(500)으로 장착하여 바닥판(100)에서 상하로 유동을 방지하거나 분리를 방지토록 장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판(300)의 저면 중앙에는 패트병의 입구가 끼임되는 제1끼임부(330)와 상기 제1끼임돌부(330) 외측으로 금속캔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단 테두리가 끼워지는 제2끼임부(340)를 각각 형성하여 압착위한 작업과정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즉, 압착판(300)의 제1끼임부(330) 또는 제2끼임부(340)에 패트병의 입구 또는 캔의 상단 테두리를 끼워 바닥판(100)의 상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패드(130)와 함께 안착된 패트병 또는 캔이 전혀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압착판(300)의 가압으로 압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0: 바닥판 110: 결합홀
120: 지지돌부 130: 미끄럼방지패드
140: 슬림방지구 150: 내입공간
200: 가이드봉 210: 나사부
220: 절곡부
300: 압착판 310: 승강홀
320: 내입공간 321: 보강격벽
322: 압착돌기 330: 제1끼임부
340: 제2끼임부
400: 체결수단
500: 고정브라켓

Claims (12)

  1.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빈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압착기에 있어서,
    일정한 면적과 높이를 갖으면서 좌우 양측에 결합홀(110)이 형성된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결합홀(110) 각각에 상단이 개구되도록 직립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200)과,
    상기 가이드봉(200)에서 발의 가압에 의하여 승강작동되어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도록 좌우 양측에 승강홀(310)이 형성된 압착판(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의 결합홀(110)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지지돌부(120)를 형성하여 가이드봉(200)이 압착을 위한 누름가압에도 지지되어져 안정적인 직립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에는 압착을 위한 캔이나 패티병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패드(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의 저면에는 바닥에 놓여진 상태에서 압착판(300)을 누름가압할 때 슬립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슬립방지구(140)를 구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0)과 압착판(300)의 저면은 내입공간(150,320)에 의해 저중량을 제공하면서 상기 내입공간(150,320)에 복수의 보강격벽(151,321)이 형성되어 누름가압되는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300)의 보강격벽(321) 선단면에는 캔이나 패티병의 누름가압이 용이하도록 압착돌기(322)를 더 구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200)이 바닥판(100)에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가이드봉(200)의 하단 내벽면에는 나사산(210)이 형성되어 바닥판(100)의 저면에서 결합홀(110)을 통해서 가이드봉(200)의 나사산(210)에 체결요소(400)로 체결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200)은 하나의 봉을 밴딩에 의하여 "∩"형상으로 절곡되어 두 개의 이격된 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봉(200)이 결합되는 바닥판(100)에 형성된 결합홀(110)과 압착판(300)에 형성된 승강홀(310)은 이격된 두 개의 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200)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점점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압착판(300)이 가이드봉(200)의 상단으로 상승되어 위치될 때 점점 밀착되면서 임의적으로 하강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300)의 형성된 승강홀(310)은 가이드봉(200)의 폭만큼의 길이로 이루어진 하나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압착판(300)이 승강 작동시에 유격에 의한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걸림이 발생되지 않고 정확하게 안내되어 승강작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200)의 하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200)의 하단이 가압에 의해 탄성작용으로 봉 간의 폭이 수축되어 바닥판(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바닥판(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결합홀(110)은 소정길이로 이루어진 하나로 결합홀(110)로 형성되어 바닥판(100)의 저면에서 가이드봉(200)의 절곡부(220)를 감싸져 나사조임으로 고정하는 고정브라켓(500)에 의하여 가이드봉(200)이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결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300)의 저면 중앙에는 패티병의 입구가 끼임되는 제1끼임부(330)와 상기 제1끼임돌부(330) 외측으로 캔의 상면이 끼임되는 제2끼임부(34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KR1020180055571A 2018-05-15 2018-05-15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KR20190130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71A KR20190130880A (ko) 2018-05-15 2018-05-15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71A KR20190130880A (ko) 2018-05-15 2018-05-15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80A true KR20190130880A (ko) 2019-11-25

Family

ID=6873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571A KR20190130880A (ko) 2018-05-15 2018-05-15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08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172B1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US6571696B1 (en) Home compactor
KR20190130880A (ko)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KR20110084735A (ko) 쓰레기통 압착장치
KR101218323B1 (ko) 압축 작업시 뚜껑이 고정되는 압축 쓰레기통
CN106144333B (zh) 一种具有压缩垃圾功能的垃圾桶
AU2016289260B2 (en) Liquid hand wash container
KR20190119482A (ko)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US20170259995A1 (en) Mechanical Apparatus for Compressing Waste
KR20140104693A (ko) 쓰레기통용 쓰레기 압축장치
KR200308577Y1 (ko) 압착식 쓰레기통
KR101426029B1 (ko) 마늘 다지기
JPH115196A (ja) 容器圧縮機
KR102095112B1 (ko) 폐용기 압축장치
GB2141325A (en) Waste bin assembly
KR20200023252A (ko)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US20220040888A1 (en) Recycling Device
CN209039025U (zh) 一种胶粘剂分装下料装置
KR20230085357A (ko) 캔 압축 시스템
WO201318407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mpacting
US7219602B2 (en) Can collection catch bin for use with aluminum can compacting mechanism
JP4565726B2 (ja) 縮小静止型容器
KR950000283Y1 (ko)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AU2010101388B4 (en) Volume reduction device
TW202406729A (zh) 罐體擠壓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