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283Y1 -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 Google Patents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283Y1
KR950000283Y1 KR92014324U KR920014324U KR950000283Y1 KR 950000283 Y1 KR950000283 Y1 KR 950000283Y1 KR 92014324 U KR92014324 U KR 92014324U KR 920014324 U KR920014324 U KR 920014324U KR 950000283 Y1 KR950000283 Y1 KR 950000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e
empty
pressing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4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392U (ko
Inventor
임홍빈
Original Assignee
임홍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빈 filed Critical 임홍빈
Priority to KR92014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283Y1/ko
Publication of KR940003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2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9/00Transferring of refuse between vehicles or containers with intermediate storage or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제1도는, 본 고안의 압착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압착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압착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측면도.
제5도(a)(b)는, 본 고안의 압착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키이스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고정판 30 : 받침판
40 : 압착판 42 : 압착돌기
50 : 안내로드 60 : 구동장치
90 : 압착 공간부 100 : 밑판
200 : 경사안내판 201 : 투입구
202: 투입구문 203 : 솔레노이드
204 : 솔레노이드바아 205 : 리미티드스위치
206 : 리미트바아
본 고안은, 빈 캔의 자동 압착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주로 빈 캔의 부피를 줄여 재활용 할수 있도록 압착시키는 빈 캔의 압착장치에 있어서의 빈 캔 이외의 음료병이나, 먹다남은 음료가 들어진채로 그대로 버려지는 캔등을 기기 내에서 분별하여,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착판 및 받침판에 기계적인 무리가 없도록 하는 빈캔의 자동압착 수거함의 제공에 있으며, 또한, 투입구에서 경사안내관을 통하여 투입되는 빈 캔이 압착 공간부에서 세워져 투입되든, 가로뉘어져 투입 되더라도 이에 관계 없이 압착판에 초기의 반발 압력을 최소로 격감시키어 압착시킬수 있는 빈 캔의 자동 압착 수거함의 제공에 있다.
종래의, 빈 캔의 압착처리에 있어서는 빈 캔을 압착부위에 투입시키어 단순히 압착처리하여 상기의 압착부위의 아래쪽으로 추출되도록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예를 들면, 국내 실용신안공보(공고번호 90-10211호)에 개시 되어 있는 바와같이, 일측과 상방이 개구되어 저면이 약간 절곡되며 전방에 투출부가 마련되고, 전, 후벽에 횡방향으로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압착틀체의 내부에 저면이 상기 압착틀체의 저면과 대응되게형성되고 고정부가 마련된 압착부를 슬라이더에 의해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모터에 연동되는 크랭크휠에 연결된 연결레버의 일측 연결공에 슬라이더를 관통시킨 후 그 양측을 너트로 체결하여 별도의 조작수단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캔 압착거리기가 있다.
상기에 있어서 장방형의 압착틀체내에 빈 캔이 투입되면, 압착구가 크랭크휠의 구동에 의하여 압착틀체로 이동되어 압착틀체내의 빈 캔을 압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압착틀체내에 투입된 투입물에 대하여 단순히 압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다소 큰병이나 먹다남은 음료가 들어진 캔이 투입되더라도 이들을 분별하지못하고 그대로 압착구가 작동되도록 되어 초기의 반발 압력이 증대되어 기계적인 무리는 물론 더 나아가서는 기기가 파손될 우려 또한 높았던 것이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 압착틀체내의 저면에 투출구를 일정 크기로 형성하여 이투출구 보다 작은 드링크 종류의 병이 투입되면 그대로 투출구를 통하여 빠져 나가도록 형성하여, 투출구의 크기 보다 작은 투입물에 대하여는 그대로 추출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투출구 보다 다소 큰병 종류나, 먹다남은 음료가 들어진 캔의 경우에는 이 투출구를 빠져 나가지 못하여 상기에서의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캔의 종류에는 알류미늄과 양철판을 말아 성형한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상기예의 경우에는 이들을 분리수거 할수 있도록 되어 있지 않아, 투출구를 통하여 추출되어 모아진 압착 캔들을 알루미늄의 캔과 양철판의 캔으로 분리하여 재활용을 위하여 별도로 각각 수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 공개된 특개소48-21373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본체케이스 상부에는 유압장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실린더구동의 압압판을 내장하고, 안내판, 양측판, 개구부를 가지는 전측방가 폐달로 개폐되는 문을 가지는 투입구로 압축실을 형성하는 동시에 압축실의 하부에는 폐달로 개폐되는 문을 가지는 다른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의 하부에는 폐기물을 수납하는 주머니를 설치한 인출식의 쓰레기케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플라스틱용기등의 압축을 필요로 하는 폐기물은 투입구로 투입되어 압축실에서 압축된 후 쓰레기케이스내에 낙하하고, 압축을 필요로 하지 않는 폐기물은 투입구로 직접 쓰레기케이스내에 수납하도록 구성한 폐기물 처리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을 압축하는 압압판의 중앙부에 유압실린더의 실린더축이 고정되어 있어, 압압시 압압판에 폐기물이 편중되어 압압하도록 되어 있어 반복적인 작동시 실린더축에 전달되는 전, 후작동력이 일측방향으로만 작동되어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없게 되었으며, 또한 압축되지 않은 부피 있는 폐기물만 압축하도록 되어 있을 뿐, 빈 캔보다 무거운 병이나, 먹다남은 음료가 들어있는 캔등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이를 분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주의나 고의로 투입되는 경우 그 내용물과 함께 압축되어 터져버린 본체케이스내를 오염시키는 결점이 있었고, 또 압압판은 평판으로 되어 있어 압압시 초기의 반발 압력이 증대되어 기계적인 무리는 물론 더 나아가서는 기기가 판손될 우려 또한 높았던 것이며, 또 자성체이든지 비자성체이든지 소비자가 선별하여 수납하지 않는 한 그대로 쓰레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분리수거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 폐기물의 투입시 압측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주 요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개의 안내로드가 고정되는 전, 후방의 고정판과, 상기 전방의 고정판에 대하여 탄성력 있게 고정되어 그의 중앙부에 이잭트 핀이 탄성력 있게 튀어 나오게 형성한 받침판과, 이 받침판과 대향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구동장치에 의하여 상기의 고정판쪽으로 안내로드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 압착판과, 상기의 압착 공간부 아래쪽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텐션 스프링에 의하여 수평을 이루고 있다가 일정한 무게가 걸리면 압착 공간부의 아래쪽으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벌어지도록 한 밑판과, 상기 압착 공간부의 상방에 빈 캔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연결되어 압착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일정한 경사통로를 이루는 경사 안내관으로 구성한 빈캔의 자동압착 수거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상기의 압착판의 앞면에는 압착돌기를 돌출시켜 빈 캔의 압착시 최소반발 압력을 최소화 하는 데 있다.
또, 압착판에 자석 또는 전자석을 설치하여 자성체와 비자성체를 구분하여 수거하고자 하는 데 있다.
또, 상기의 경사 안내관에는, 투입구문의 후방에 솔레노이드 바아가 연결되도록 솔레노이드를 고정설치하고, 그 하부에는 캔의 투입시 이를 감지 하여 구동장치로 신호를 보내도록 리미트바아가 설치된 리미트스위치를 고정설치하여 캔의 투입을 판별하도록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또, 상기의 리미트스위치의 신호를 받아 사용중에 멜로디가 울리도록 하여 장치의 작동중임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여러개의 안내로드(50)에 고정되어 전, 후방(도면에서의 좌, 우)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형상의 고정판(10), (20)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 고정판(10), (20)사이에는, 후술하는 받침판(30)과 압착판(40)이 상기의 고정판(10), (20)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의 안내로드(50)들에 탄성력 있게 고정 또는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 고정판(10), (20)은 안내로드(50)들의 양쪽 끝단에 단턱을 형성하고 단턱 끝단부위에 나사를 혀성하여 너트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받침판(30)의 형성에 있어서는, 받침판(30)이, 상기의 전방(도면에서 우측)의 고정판(10)쪽으로 위치하도록 하면서, 상기의 전방의 고정판(10)과 받침판 (30)사이에 압착스프링(11)이 형성되도록 안내로드(50)들에 압착스프링(11)을 끼워 넣은 후, 받침판(30)이 압축스프링(11)이 형성되는 대향되는쪽 즉, 후방으로 밀리지 않토록 안내로드(50)에 단턱등의 고정수단으로써 고정할수도 있으며,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로드(12)를 받침판(30)의 전면에 고정시키어 너트(13)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구성할수 있다.
또한, 받침판(30)의 중앙부위에는, 이잭트 핀(14)을 전방의 고정판(10)에 대하여 스프링(15)에 의하여 탄성력있게 형성하여, 스프링(15)이 장착되는 대향면으로 출몰가능토록 형성 한다.
다음, 압착판(40)의 전, 후이동을 위하여, 후방의 고정판(20)의 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의 안내로드(50)들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조립하며, 압착판(40)뒤면에는 부쉬(41)들이 고정되어 안내로드(50)들에 용이하게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압착판(40)의 전, 후이동을 위하여, 후방의 고정판(20)의 후방에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61)를 형성하여 이 실린더(61)의 실린더로드(62)를 연결시키어 압착판(40)이 받침판(30)쪽으로 이동가능토록 구성한다.
본 고안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장치(60)를 피니언(63)을 구동원으로 하여, 이 피니언(63)을 압착판(40)에 연결시킨 로드의 래크(64)와 맞물리도록 하므로써, 압착판(40)을 받침판(30)쪽으로 슬라이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압착판(40)의 저면에 제5도(a), (b)에 나타낸바와같이 압착돌기(42)가 삼각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압착판(40)이 빈 캔(70)을 압착시킬때 우선적으로 이 압착돌기(42)가 빈 캔(70)과 접촉되도록 되어 압착판(40)의 초기의 반발 압력을 최소화 할수있도록 하고 있다.
이 압착판(40)에 자석 또는 전자석이 형성되도록하여 빈 캔(70)의 압착후, 양철판의 캔인 경우에 이 캔이 압착판(40)에 달라 붙게하여 일정의 위치에서 자석을 전기적으로 제거시키어 분리수거통(80)의 분리부위로 낙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린더(61)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받침판(30)과 압착판 (40)과의 사이는 압착 공간부(9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압착 공간부(90)의 아래쪽에는 밑판(10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밑판(100)은 후방의 고정판(20)의 힌지축(102)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되며 힌지축(102)의 윗쪽은 후방의 고정판(20)에 한쪽이 고정된 탠션 스프링(101)이 밑판 (100)과 연결되도록하여, 밑판(100)이 일정의 무게이상이 얹혀지게 되면, 밑판 (100)이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아래로 쳐지도록 스프링의 탠션을 조절하여 장착한다.
또한, 상기의 압착 공간부(90)의 윗쪽에는, 빈 캔(70)을 압착 공간부(90)로 안내하는 원통형형상의 경사 안내관(200)이 형성된다.
이 경사 안내관(200)은 투입구(201)에 대하여 압착 공간부(90)쪽으로 하향경사각을 이루고있으며, 경사 안내관(200)의 입구에는 투입구문(202)이 형성되고 이 투입구문(202)은 그의 후방에 솔레노이드(203)의 솔레노이드 바아(204)가 접하여 있으며, 경사 안내관(200)의 출구쪽에는 리미트스위치(205)의 리미트바아(206)가 형성되어, 빈 캔(70)이 경사 안내관(200)에 투입되면서 빈 캔(70)이 리미트바아 (206)를 건드리게 되면, 이 신호에 의하여 상기의 솔레노이드(203)를 작동시키어 투입구문(202)을 닫게하는 동시에, 구동장치(60)를 구동시키어 압착판(40)을 받침판(30)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케이스체(300)로써, 본 장치를 안에 형성하여 도로변 또는 공원등의 길가변에 설치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케이스케(300)에는 투입구 (201)와 투입구(201)위에 투입 및 작동 신호등(301)이 형성되고, 이 신호등에는 신호를 알리는 멜로디 발생 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체(300)의 아래부분에는 분리수거통(80)을 교환할수 있는 투시창(302)이 형성된 도어(303)가 형성되어 도어 (303)에 손잡이(3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구(201)를 통하여 빈 캔(70)을 투입구문(202)으로 밀어 넣으면 투입구문 (202)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솔레노이드 바아(204)가 솔레노이드(203)으로 밀려 들어 가게 된다.
밴 캔(70)은 경사 안내관(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리미트 바아(206)를 건드려서 이 리미트 스위치(205)는 상기의 솔레노이드(203)를 작동시키어 투입구문 (202)을 닿아 하나의 빈 캔(70)이, 후술하는 압착이 이루어 지는 동안에는 투입구문(202)이 열리지 않토록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수 있도록 하고있다.
이때 사용중이라는 신호가 투입 및 작동 신호등(301)에 표시되는 동시에 멜로디가 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리미트 스위치(205)는 구동장치(60)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보내어 구동장치(60)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의 빈 캔(70)은 밑판(100)위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빈 캔(70)보다 무거운 병이나, 먹다남은 음료가 들어 있는 캔등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밑판(100)의 탠션스프링(101)이 인장되면서 밑판(100)이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젖혀져 바로 밑으로 빠져 나가도록하여 받침판(30) 및 압착판(40)이 기계적인 무리가 발생하는 일이없도록 하고 있다.
상기에서 실제의 밑판(100)에 올려진 빈 캔(70)은 세워져 있을수도 있고 뉘어진 채로 얹쳐질수가 있는데 본 고안은 압착판(40)의 전면에 압착돌기(42)가 제5도(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판(40)이 받침판(30)쪽으로 빈 캔(70)을 압착시킬때, 빈 캔(70)과의 접촉이 압착돌기(42)와 먼저 접촉하므로 압착판(40)의 압착돌기(42)가 빈 캔(70)에 압착 자국을 내면서 압착시키어 압착판(40)의 압착구동에 의한 초기반발 압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린더로드(62)이 전진구동에 의하여 압착판(40)이 받침판(30)쪽으로의 압착이 완료되면, 구동장치(60)는 압착판(40)을 원래의 상태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압착판(40)이 받침판(30)으로 부터 떨어지면서 받침판(30)의 중앙부위의 이젝트 핀 (14)이 출몰하여 압착된 빈 캔(70)이 받침판(30)에 달라 붙는 일이 없도록 하여서 바로 수거통(80)으로 압착된 캔이 떨어 지도록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압착판(40)에 자석 또는 전자석이 형성되도록 되어 빈 캔(70)중에서 자석에 달라붙는 재질의 양철판인 경우에는 압착판(40)에서 바로 떨어지지 않토록 하여 압착판(40)이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후에, 전자석을 제거시키어 분리 수거통(80)의 분리부위(도시생략)에 떨어지도록 하면, 알루미늄캔과 양철캔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압착된 캔을 따라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덜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장치를 피니언의 구동에 의하여 래크가 직선 이동되도록 하여 압착판이 받침판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할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은 빈 캔의 투입과 동시에 바로 구동장치의 구동 및 솔레노이드, 리미트스위치등이 "온"되어 기기가 가동됨에 따라서 원터치에 의하여 캔의 압착과 추출이 동시에 이루어질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체의 전방, 좌우, 배면등에 선전 광고문 등을 기재하여 광고의 효과를 또한 얻을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빈 캔 이외의 음료수병이나, 먹다남은 음료가 들어진채로 그대로 버려지는 캔들을 기기 내에서 분별하여,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착판 및 받침판에 기계적인 무리가 없도록 할수 있으며, 또한, 투입구에서 경사안내관을 통하여 투입되는 빈 캔이 압착 공간부에서 세워져 투입되든, 가로뉘어져 투입되더라도 이에 관계 없이 압착판에 초기의 반발 압력을 최소로 격감 시키어 압착시킬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공간부(90)가 형성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향되도록 받침판(30)과 압착판 (40)을 설치하되 압착판(40)은 구동장치(60)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압착 공간부(90)의 상반에 빈 캔(70)이 투입되는 투입구(201)에 연결되어 압착 공간부 (90)와 연통하도록 일정한 경사통로를 이루는 경사 안내관(200)을 설치하고, 압착공간부 (90)의 하방에 분리수거통(80)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30)과 압착판(40)을 지지 및 슬라이딩하도록 각각 외측에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여러개의 안내로드(50)로 연결되는 전, 후방의 고정판(10), (20)과, 상기의 압착 공간부(90) 아래쪽에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텐션 스프링 (101)에 의하여 수평을 이루고 있다가 일정한 무게가 걸리면 압착 공간부(90)의 아래쪽으로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벌어지도록 한 밑판(10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압착판(40)의 앞면에는 압착돌기(42)를 돌출시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3. 제1항에 있어서, 압착판(40)에 자석 또는 전자석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빈 캔의 자동 압착 수거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경사 안내관(200)에는, 투입구문(202)의 후방에 솔레노이드 바아 (204)가 연결되도록 솔레노이드(203)를 고정서 하고, 그 하부에는 캔의 투입시 이를 감지 하여 구동장치(60)로 신호를 보내도록 리미트바아(206)가 설치된 리미트스위치(205)를 고정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미트스위치(205)의 신호를 받아 사용중에 멜로디가 울리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KR92014324U 1992-07-31 1992-07-31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KR950000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324U KR950000283Y1 (ko) 1992-07-31 1992-07-31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4324U KR950000283Y1 (ko) 1992-07-31 1992-07-31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392U KR940003392U (ko) 1994-02-18
KR950000283Y1 true KR950000283Y1 (ko) 1995-01-16

Family

ID=1933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4324U KR950000283Y1 (ko) 1992-07-31 1992-07-31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2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392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22523B (zh) 一种自动开门的智能分类回收垃圾箱
US4265170A (en) Solenoid actuated container crusher
GB2379898A (en) Separating cans and bottles by using magnetic attract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US8448570B1 (en) Portable electric can crusher
KR950000283Y1 (ko) 빈 캔의 자동압착 수거함
US5211109A (en) Beverage can crusher
US5327822A (en) Apparatus for crushing articles
US5121685A (en) Can crusher
US5094157A (en) Can crushing machine
CA2111158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compacting aluminum cans
US4474108A (en) Aluminum can compressor device
JPH0577901A (ja) 空き容器回収装置
KR200203552Y1 (ko)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장치
US20110283899A1 (en) Bottle compactor
KR100332228B1 (ko) 음료 캔과 같은 금속 용기를 압축, 및 분리 저장하기 위한장치
US6481346B1 (en) Compactor
KR960009366Y1 (ko) 쓰레기의 압축분리가 가능한 분리형 쓰레기통
KR100454391B1 (ko) 캔의 압착 분리방법 및 그 장치
US5524533A (en) Apparatus for crushing and releasing articles
US5381732A (en) Can crusher with metal-plastic separation capability
JPH1034391A (ja) 飲料容器回収装置
KR102454543B1 (ko) 재활용품 압축기
KR100295787B1 (ko) 빈 캔 압축 분리 수거 기
KR20180125762A (ko) 음료용기 압축 처리장치
KR940004687B1 (ko) 전동식 쓰레기 압축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