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456B1 -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456B1
KR102159456B1 KR1020190104539A KR20190104539A KR102159456B1 KR 102159456 B1 KR102159456 B1 KR 102159456B1 KR 1020190104539 A KR1020190104539 A KR 1020190104539A KR 20190104539 A KR20190104539 A KR 20190104539A KR 102159456 B1 KR102159456 B1 KR 102159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late
scaffold
pair
footres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252A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ublication of KR2020002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된 한 쌍의 수직판을 포함하는 지지대; 상면이 완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내부에 동심원 형태로 된 원형벽과 인접한 원형벽 사이를 연결하는 분리벽을 포함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복수의 셀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은 중심부로 갈수록 원형벽과 분리벽의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어 압축대상의 상단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공기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양 단면에 레일홈이 형성되는 발판; 상기 수평판의 결합홈에 설치되어 압축대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수평판과 상기 발판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발판 가압 후 힘을 빼면 상기 발판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발판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PORTABLE COMPRESSOR FOR RECYCLABLE ITEM}
본 발명은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의 간단한 구조로서 이동 및 작동이 편리하고, 빈 캔(Can) 또는 페트(PET)병과 같은 재활용품 압축시 일정 두께로 압축되도록 함은 물론 압축과정에서 재활용품이 압축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활용품 압축 후 발판이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있도록 한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빈 캔이나 페트병과 같은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은 부피가 커 압축을 하지 않으면 재활용을 하기 위해 수거시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러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망치나 발로 빈 캔이나 페트병을 밟아 압축시켜 부피를 줄이고 있으나, 그 효율성이 좋지 않고 압축 상태도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가정집이나 아파트와 같은 공공주택에서 일일이 이러한 작업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빈 캔이나 페트병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압축하기 위한 장치들이 일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재활용품 압축기는 모터나 유압장치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이즈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이동 및 작동이 까다로워 일반 가정집이나 공공주택 등에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반면에, 모터나 유압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압축기의 경우, 소형으로 제작은 가능하지만, 압축시 상태가 완벽하지 않고 두께가 들쭉날쭉하며, 빈 캔이나 페트 병을 장치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제대로 갖추어 지지 않아 압축시 빈 캔이나 페트병이 튕겨져 나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KR10-2010-0071174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KR20-2012-000717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간단한 구조로서 이동 및 작동이 편리하고, 빈 캔 또는 페트병과 같은 재활용품 압축시 일정 두께로 압축되도록 하며 재활용품이 압축기로부터 예기치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는, 상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된 한 쌍의 수직판을 포함하는 지지대; 상면이 완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내부에 동심원 형태로 된 원형벽과 인접한 원형벽 사이를 연결하는 분리벽을 포함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복수의 셀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은 중심부로 갈수록 원형벽과 분리벽의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어 재활용품의 상단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공기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양 단면에 레일홈이 형성되는 발판; 상기 수평판의 결합홈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수평판과 상기 발판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발판 가압 후 힘을 빼면 상기 발판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발판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판탄성지지부는, 상기 수평판에서 상측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발판의 양측 부분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아의 상단에 상기 발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분리방지편;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아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판의 상면에 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하단면에 압축대상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면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거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거치용홈은 동심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소형의 간단한 구조로서 이동 및 압축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빈 캔 또는 페트병과 같은 재활용품 압축시 적은 힘으로도 일정 두께로 압축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밟는 발의 미끄러짐과 장착된 재활용품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재활용품이 압축기로부터 예기치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판탄성지지부가 재활용품을 압축하기 위해 가압한 발판을 힘을 빼면 원위치로 별도의 동작 없이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활용품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활용품 압축기에 빈 캔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활용품 압축기를 이용하여 빈 캔이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활용품 압축기를 이용하여 빈 캔이 압축된 후 힘을 빼 발판이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품 압축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재활용품 압축기의 방향을 정의하면, 도면에 표시된 X, Y, Z는 각각 지지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길이 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폭 방향은 전후 방향으로,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압축대상인 재활용품으로 빈 알루미늄 캔(Can)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재활용품은 페트병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활용품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는, 지지대(100), 발판(200), 탄성부재(150) 및 스프링을 포함하여 발판(200) 가압 후 힘을 빼면 발판(200)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발판탄성지지부를 포함한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지지대(100)는 수평판(110)과 X방향으로 수평판(110)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판(120, 130)을 포함한다. 수평판(110)은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 부분에는 결합홈(111)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수직판(120, 130)은 Y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X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제1 및 제2 레일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레일은 Z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수직부(121)와 제1 수직부(121)의 선단에서 제1 수직부(121)와 직교하는 Y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 수직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레일은 X-Y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제1 레일과 대칭 구조로서, Z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 수직부(131)와 제3 수직부(131)의 선단에서 제3 수직부(131)와 직교하는 Y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4 수직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레일은 X-Y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을 X-Y단면이 T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면, 발판(200)을 승하강 이동시킬 때 안정감을 더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발판(200)을 하강시켜 빈 캔을 압축할 때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안정감을 더 두드러지게 느낄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발판탄성지지부는 수평판(110)과 발판(20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와, 한 쌍의 제1 및 제2 가이드 바아(421, 422) 및 한 쌍의 제1 및 제2 분리방지편(431, 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바아(421)는 제1 수직부(121)와 인접한 위치에 수평판(110)으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판(110)의 상면에는 제1 가이드 바아(421)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홈을 가지는 제1 고정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바아(422)는 제1 가이드바아(421)와 X방향으로 이격하여 제2 수직부(132)와 인접한 위치에 수평판(110)으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판(110)의 상면에는 제2 가이드 바아(422)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홈을 가지는 제2 고정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고정부(113, 114)에는 제1 및 제2 보강편(123, 1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강편(123, 133)은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421, 422)에 결합된 발판(200)을 발로 밟아 하강시킬 때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421, 422)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제1 및 제2 고정부(113, 114)가 예기치 않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분리방지편(431)은 제1 가이드바아(421)와 제1 수직부(121)의 상단에 설치되고, 제2 분리방지편(432)은 제2 가이드바아(422)와 제2 수직부(122)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리방지편(431, 432)은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421, 432)에 결합된 발판(200)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 발판(200)을 지나치게 세게 잡아 당겨 발판(200)이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421, 422)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제1 가이드바아(42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코일스프링(411)과 제2 가이드바아(422)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코일스프링(4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코일스프링(411, 412)은 하단이 수평판(110)의 제1 및 제2 고정부(113, 114)에 각각 지지되고, 상단은 발판(200)의 하면에 지지되어 발판(200)을 일정 높이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발판(200)은 X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발이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Y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확장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200)의 상면(210)은 발로 밟았을 때 발의 저면이 밀착되면서 사용자의 체중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X방향 및 Y방향으로 휘어지는 완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발판(200)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421, 422)가 관통 결합되도록 X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 결합홈(220, 230)이 형성되고, 이때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 결합홈(220, 230)은 제1 및 제2 코일스프링(411, 41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발판(200)의 하면에 제1 및 제2 코일스프링(411, 412)의 상단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제1 및 제2 코일스프링(411, 4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발판(200)의 하면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 결합홈(220, 230)이 형성된 부분은 둘레가 벽면으로 막힌 홈부(242, 252)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판(200)의 상면(210)에는 복수의 제1 돌기(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210a)는 발판(200)의 상면(210)에 얹혀진 발과 마찰되면서 압축시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210a)는 발의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도면에서와 같이 X방향으로 긴 선형 돌기가 Y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다만 제1 돌기(210a)의 형상 및 배치 구조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발판(200)은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하면 내부에는 격벽에 의해 복수의 셀(21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발판(200)의 정가운데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된 복수의 원형벽(215a)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인접한 원형벽(215a)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평판 형태로 된 복수의 분리벽(21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은 중심부로 갈수록 원형벽(215a)과 분리벽(215b)의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어 하단부가 전체적으로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빈 캔의 상단부가 발판(200)의 하단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격벽(215)의 하단면에는 복수의 제2 돌기(2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바디(210)의 하측에 위치한 빈 캔이 제2 돌기(214)와 마찰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압축시 빈 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214)는 복수의 점형 돌기가 격벽(215)의 하단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우둘두들하게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바디(210)에는 Z방향으로 공기배출공(21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공기배출공(212)은 빈 캔이나 페트병 등을 압축시 빈 캔 또는 페트병 등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210)는 X방향으로 양 단면에 지지대(100)의 제1 및 제2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레일홈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은 발판(200)을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일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레일홈은 X방향으로 제1 바디(210)의 일면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2 홈부(243)와 제2 홈부(243)와 연통되고 Y방향으로 일자로 형성되는 제1 홈부(2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제1 레일홈의 X-Y단면이 상기 제1 레일과 대응하는 T자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홈의 경우도, 상기 제1 레일홈과 대칭되게 제3 홈부(251), 제4 홈부(2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제2 레일홈의 X-Y단면이 상기 제2 레일과 대응하는 T자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210)는 X방향의 양단에 Z방향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제1 및 제2 지지다리(240, 2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다리(240, 250)는 발판(200)을 발로 밟아 발판(200) 하강시 하단부가 지지대(100)의 수평판(110)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발판(200)의 하면과 지지대(100)의 수평판(110)의 상면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발판(200)이 너무 세게 눌려지더라도 압축된 빈 캔이나 페트병 등의 두께로 인해 발판(200)이 예기치 않게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은 제1 및 제2 지지다리(240, 250)의 하단을 통해 각각 관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탄성부재(150)는 수지,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수평판(110)의 결합홈(111)에 설치되어 빈 캔이나 페트병 등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받치며 압축시 빈 캔 또는 페트병이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탄성부재(150)는 상면에 복수의 거치용홈(152, 154)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용홈(152, 154)은 상면에 놓인 빈 캔 또는 페트병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큰 사이즈의 캔, 작은 사이즈의 캔, 다양한 사이즈의 페트병 등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150)의 상면에는 격벽(1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50)의 상면 중앙에는 빈 캔 또는 페트병의 하면 중심을 지지하기 위해 돌출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거치용홈(152, 154)은 압축대상이 주로 빈 캔이나 페트병과 같이 원통형의 물체인 것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동심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활용품 압축기에 빈 캔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활용품 압축기를 이용하여 빈 캔이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활용품 압축기를 이용하여 빈 캔이 압축된 후 힘을 빼 발판이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의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빈 캔(C)을 수평판(110)과 발판(200) 사이에 장착하며 이때 빈 캔의 높이가 발판(200)의 위치 보다 높은 경우에는 발판(200)을 Z방향의 상측으로 살짝 잡아 당겨 이동시킨다. 이때, 발판(200)을 지나치게 위로 당겼더라도 제1 및 제2 분리방지편(431, 432)에 의해 발판(200)의 예기치 않은 분리 현상은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탄성부재(150) 위에 압축하고자 하는 캔(C)을 올려놓는다. 이때, 빈 캔(C)은 탄성부재(150)의 거치용홈(152, 154)에 의해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다음으로, 발판(200)은 자체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고 발판(200)의 하면이 빈 캔(C)의 상단에 인접하여 걸쳐 앉게 되는 형태가 된다. 이때, 발판(200)은 양 단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레일홈이 지지대(100)의 제1 및 제2 수직부(121, 131)에 마련된 제1 및 제2 레일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발판(200)의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 결합홈(220, 230)이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421, 4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서 발판(200)의 안정적인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발판(200)의 상면에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리고 Z방향의 하측으로 발판(200)을 세게 밟으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판(200)이 Z방향으로 수직 하강하면서 발판(200)의 하면에 위치한 빈 캔(C)을 압축하게 된다.
종래의 압축기는 발판의 하면에 빈 캔의 상단이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서, 발판을 하강시키면 빈 캔이 찌그러지면서 빈 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데, 이때 빈 캔 내부의 공기가 발판의 하면에 부딪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빈 캔 내부에 일정 부분 남게 됨으로써 빈 캔의 압축 상태가 좋지 못하고 심한 경우 빈 캔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재활용품 압축기는, 발판(200)의 하면에 단차진 형태로 격벽(215)이 형성되어 있어서 빈 캔(C)의 상단이 격벽(215)의 하단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압축이 진행된다. 따라서, 발판(200)을 세게 밟더라도 빈 캔(C)의 내부 공기가 공기배출공(212)을 통해 방출되거나 격벽(215) 사이로 세어 나와 셀(213)에 투입된 후 발판(200)의 하면으로 꺽여서 방출되므로, 빈 캔(C)의 내부 공기가 순조롭게 방출되면서 빈 캔(C)이 압축되므로 빈 캔(C)을 보다 효과적으로 납작하게 찌그러뜨릴 수 있으며, 빈 캔이 예기치 않게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판(200)의 제1 및 제2 지지다리(240, 250)가 발판(200)의 X방향의 양단과 수평판(110)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발판(200)을 지지하게 되므로, 압축된 빈 캔(C')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이로 인해 발판(200)이 눌리면서 예기치 않게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판(200)을 누르고 있는 사용자의 발을 발판(200)으로부터 내리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발판(200)이 제1 및 제2 코일스프링(411, 412)의 탄성에 의해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421, 422)와 제1 및 제2 레일을 따라 원래 위치로 승강하면서 복귀하게 되고, 이후 발판(200)과 압축된 빈 캔(C')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빈 캔(C')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재활용품 압축기는, 사용자가 발로 밟아 빈 캔을 압축하는 것이지만, 사용자의 발과 빈 캔이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빈 캔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빈 캔의 날카로운 모서리 등에 의해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지대
110: 수평판
111: 결합홈
120, 130: 제1 및 제2 수직판
121, 122: 제1 및 제2 수직부
123, 133: 제1 및 제2 보강편
150: 탄성부재
151: 돌출부
152, 154: 거치용홈
200: 발판
210: 상면
210a: 제1 돌기
211: 확장부
212: 공기배출공
213: 셀
214: 제2 돌기
215: 격벽
220, 230: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 결합홈
240, 250: 제1 및 제2 지지다리
241, 243: 제1 및 제2 홈부
251, 253: 제3 및 제4 홈부
411, 412: 제1 및 제2 코일스프링
421, 422: 제1 및 제2 가이드바아
431, 432: 제1 및 제2 분리방지편
C: 빈 캔

Claims (5)

  1. 상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된 한 쌍의 수직판을 포함하는 지지대;
    상면이 완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내부에 동심원 형태로 된 원형벽과 인접한 원형벽 사이를 연결하는 분리벽을 포함하는 격벽이 형성되어 복수의 셀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은 중심부로 갈수록 원형벽과 분리벽의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어 재활용품의 상단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공기배출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양 단면에 레일홈이 형성되는 발판;
    상기 수평판의 결합홈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수평판과 상기 발판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발판 가압 후 힘을 빼면 상기 발판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발판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탄성지지부는,
    상기 수평판에서 상측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발판의 양측 부분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아의 상단에 상기 발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분리방지편;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아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상면에 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하단면에 압축대상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면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거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거치용홈이 동심원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KR1020190104539A 2018-08-24 2019-08-26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KR102159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69 2018-08-24
KR20180099069 2018-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252A KR20200023252A (ko) 2020-03-04
KR102159456B1 true KR102159456B1 (ko) 2020-09-23

Family

ID=6978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539A KR102159456B1 (ko) 2018-08-24 2019-08-26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519B1 (ko) 2021-12-02 2022-05-20 이서연 페트병 압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4609B2 (ja) 2000-02-18 2004-02-09 株式会社トヨダプロダクツ 空容器プレ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399A (ja) * 1993-09-28 1995-04-11 Toshio Okamura 空き缶処理用手動式小型プレス
KR19980062222U (ko) * 1997-03-31 1998-11-16 이용재 가정용 pet병 압축기
KR20100071174A (ko) 2008-12-19 2010-06-29 임훈 가정용 캔 압축기
KR20120007176U (ko) 2011-04-10 2012-10-18 권서원 가정용캔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4609B2 (ja) 2000-02-18 2004-02-09 株式会社トヨダプロダクツ 空容器プレ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252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0682B2 (ja) 物品を保管および運搬するためのパレット
KR102159456B1 (ko) 이동식 재활용품 압축기
CN207045955U (zh) 一种货架型物流托盘
KR100657222B1 (ko) 금속판용 절곡장치.
KR101210375B1 (ko) 작업용 바닥매트
CN207957123U (zh) 一种板材堆码装置
US7090092B1 (en) Clothes hamper
US3900133A (en) Plate separator for self-leveling plate dispensing
CN207129351U (zh) 周转箱
KR200482135Y1 (ko) 본봉미싱 테이블 연장장치
CN214085840U (zh) 一种多功能包装纸箱
CN214266789U (zh) 一种高强度纸箱成型装置
CN209035228U (zh) 一种用于led灯具生产的冲压设备
US5218904A (en) Manual refuse compactor apparatus having parallel crushing platens
CN216784521U (zh) 一种新型室外使用的垃圾箱
KR20090006385U (ko) 자재박스 경사 제공장치
CN207698633U (zh) 一种车间运输设备上悬挂筐
CN216373448U (zh) 一种自动压缩打包机构
CN211605007U (zh) 键盘打钉机用支撑结构
CN220263544U (zh) 一种便于运输的吸塑盒
CN217669791U (zh) 一种便于出料的冰箱门板用冲孔装置
KR20190119482A (ko) 분리수거 배출을 위하여 금속캔이나 패티병을 압착시키는 가정용 압착기
CN110040349B (zh) 一种翻盖缓冲式盖合垃圾桶
CN215941029U (zh) 一种裁床防尘装置
US20050188739A1 (en) Furniture structure having a bamboo-like sh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