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272A - 잭베이스 서포터 - Google Patents

잭베이스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272A
KR20190118272A KR1020180041422A KR20180041422A KR20190118272A KR 20190118272 A KR20190118272 A KR 20190118272A KR 1020180041422 A KR1020180041422 A KR 1020180041422A KR 20180041422 A KR20180041422 A KR 20180041422A KR 20190118272 A KR20190118272 A KR 20190118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er
diameter
support
jack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439B1 (ko
Inventor
차명길
남연주
Original Assignee
차명길
남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명길, 남연주 filed Critical 차명길
Priority to KR102018004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43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w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잭베이스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기부판(2)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된 나사봉(3)을 구비한 잭베이스부(1), 상기 나사봉(3)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방향의 회전 또는 풀림방향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과 동심원적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파이프의 하단부를 수용 및 지지하면서 파이프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정하도록 된 서포터(10)를 구비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에 있어서, 동바리용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파이프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계용 파이프를 함께 사용하도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파이프를 수용 및 지지하는 제 1 수용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파이프를 수용 및 지지하는 제 2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20,200,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직경이 다른 두개의 파이프들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종래 별도의 서포터를 구비해야 하는 것과 비교하여 비용을 절감과 함께 상품의 효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잭베이스 서포터{A JACK BASED SUPPORTER}
본 발명은 잭베이스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경이 다른 규격의 동바리용 파이프와 비계용 파이프에 겸용하여 사용가능하며, 하부에서 잭베이스용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들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며 지지하는 잭베이스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바리용 파이프는 거푸집 하부에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비계용 파이프는 작업자의 작업공간확보를 위해 발판 등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에 작용하는 하중이 다르기 때문에 그 규격, 즉 직경이 다르다.
이에 따라, 동바리용 파이프와 비계용 파이프를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잭베이스용 볼트의 직경도 다르므로,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는 동바리용 파이프와 비계용 파이프 설치를 위해 각각에 적합한 규격의 잭베이스 서포터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서포터의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0346호(2005년10월28일 등록)에는 하단에 잭베이스가 결합된 지주대와, 지주대 상부에 십입결합되어 멍에가 설치되는 멍에용 서포터와, 지주대에 형성된 수개의 조절공과 멍에용 서포터의 안내공에 끼움고정되는 고정핀과, 안내공이 형성된 멍에용 서포터의 나사체결부에 결합되어 승강 조작되는 조절핸들을 포함하는 천정 거푸집 설치용 동바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거푸집 설치용 동바리와 같은 서포터는 단일 직경의 파이프만 사용가능하며, 직경이 다른 동바리용 파이프와 비계용 파이프에 겸용할 수 없어 각각의 파이프들에 대해 별도의 서포터를 구비해야 하는 점에서 서포터들의 구매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0346호(2005년10월28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서포터들에서 동바리용 파이프와 비계용 파이프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하나의 서포터에서 동바리용 파이프와 비계용 파이프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적어도 2개의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잭베이스 서포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잭베이스 서포터는, 기부판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된 나사봉을 구비한 잭베이스부,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방향의 회전 또는 풀림방향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과 동심원적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파이프의 하단부를 수용 및 지지하면서 파이프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정하도록 된 잭베이스 서포터에 있어서,
동바리용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파이프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계용 파이프를 함께 사용하도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파이프를 수용 및 지지하는 제 1 수용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파이프를 수용 및 지지하는 제 2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제 1 수용부는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부의 바닥과 내측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수용부는 요홈부의 바닥과 외측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의 내측벽의 외경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비계용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측벽의 내경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동바리용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는 요홈부의 바닥에 형성된 원호형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수용부는 요홈부의 바닥에 형성된 원호형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상단부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원호형상의 쐐기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홈들 각각의 바닥부분과 연통되게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홀들을 통해 핀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의 상단이 상기 요홈부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부는 제 1, 2 수용부가 그 상면에서 상방으로 단턱져 돌출된 환형의 복수 직경을 갖는 돌출부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동바리용 파이프의 내측면이 외측면에 맞물리는 외경을 갖고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돌출부와, 그 상단에서 평탄하게 형성된 단턱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비계용 파이프의 내측면이 외측면에 맞물리는 외경을 갖고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돌출부가 단턱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부는 제 1 및 제 2 수용부로서 반경이 다르게 단턱진 요홈부들로 구성되고,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동바리용 파이프는 제 2 수용부의 제 1 요홈부에 배치되어 지지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비계용 파이프는 제 1 수용부의 제 2 요홈부에 배치되어 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는 설치할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동바리용 파이프의 외측면이 제 1 요홈부의 측벽에 맞물리고 평탄한 바닥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수용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비계용 파이프의 외측면이 제 2 요홈부의 측벽에 맞물리고 하단이 제 2 요홈부 바닥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잭베이스 서포터는 제 1 및 제 2 수용부들을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다른 두개의 파이프들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종래 별도의 서포터를 구비해야 하는 것과 비교하여 비용을 절감과 함께 상품의 효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잭베이스 서포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서포터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동바리용 파이프를 고정지지하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서포터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계용 파이프를 고정지지하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서포터를 사용하여 동바리 파이프로 거푸집을 지지하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서포터를 사용하여 지지되는 비계용 파이프에 건축현장의 발판을 설치하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잭베이스 서포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서포터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동바리용 파이프를 고정지지하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서포터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계용 파이프를 고정지지하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잭베이스 동바리 및 비계 겸용 서포터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동바리용 파이프를 고정지지하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 도 9의 서포터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계용 파이프를 고정지지하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잭베이스 동바리 및 비계 겸용 서포터는 기부판(2)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된 나사봉(3)을 구비한 잭베이스부(1), 상기 나사봉(3)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방향의 회전 또는 풀림방향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과 동심원적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파이프의 하단부를 수용 및 지지하면서 파이프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정하도록 된 서포터(10)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10)의 측면에는 핸들(11)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서포터(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터(10)는 복수 직경의 파이프들, 즉 비계용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파이프(30)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동바리용 파이프(40)를 함께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된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20)에 배치되는 파이프들은 핸들(11)로 서포터(1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봉(3)에서 상승시킴으로써 파이프가 거푸집이나 비계설치 위치로 배치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부(20)의 제 1 수용부는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부(21)의 바닥과 내측벽(22)으로 형성되고, 제 2 수용부는 상기 요홈부(21)의 바닥과 외측벽(23)으로 형성된다.
상기 요홈부(21)의 내측벽(22)의 외경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비계용 파이프(30)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측벽(23)의 내경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동바리용 파이프(40)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로써, 비계용 파이프(30)는 제 1 수용부에서 그 하단이 상기 지지부(20)의 요홈부(21)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이때 내측벽(22)이 상기 파이프(30) 속에 삽입되어 비계용 파이프(30)의 내측면이 상기 내측벽(22) 외주면에 맞물리게 끼워져 지지된 다음 건축 작업자용 발판을 설치하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동바리용 파이프(40)는 제 2 수용부에서 그 하단이 상기 지지부(20)의 요홈부(21)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이때 파이프(40)의 외측면이 외측벽(23)의 내측면에 맞물리게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제 1 수용부는, 요홈부(21)의 바닥에 형성된 원호형의 홈(24)을 포함하며, 상기 홈(24)의 바닥부분과 연통되게 상기 지지부(20)의 외주면에 홀(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용부는, 요홈부(21)의 바닥에 형성된 원호형의 홈(25)을 포함하며, 상기 홈(25)의 바닥부분과 연통되게 상기 지지부(20)의 외주면에 홀(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5)은 제 1 수용부의 홈(24)과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24,25)들 각각에는 대응된 원호형상의 쐐기부재(28)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이때 상기 지지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홀(26,27)들을 통해 핀부재(29)가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28)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쐐기부재(28)의 상단이 상기 요홈부(21)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한다.
즉, 상기 쐐기부재(28)가 홈(24,25)에 배치될 때 홀(26,27)을 통해 삽입되는 핀부재(29)에 의해 쐐기부재(28) 상단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요홈부(21)에 배치되는 파이프,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동바리용 파이프(40)의 경우에는 도 2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내측면과 맞물리게 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계용 파이프(30)의 경우에는 도 3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외측면과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요홈부(21)에 배치되는 파이프들이 측방향으로의 유동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쐐기부재(28)의 하단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서 홀(26,27)을 통해 삽입되는 핀부재(29)에 의해 쉽게 상승되어 쐐기부재의 상단이 요홈부(21)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한다. 이러한 동바리용 파이프(40)는 상단이 거푸집의 저면을 지지한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수용부로서 지지부(200)가 그 상면(201)에서 상방으로 단턱져 돌출된 환형의 복수 직경을 갖는 돌출부들의 형태로 구성된다.
즉, 제 2 수용부로서, 설치할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동바리용 파이프(40)의 내측면이 외측면에 맞물리는 외경을 갖고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돌출부(202)와, 그 상단에서 평탄하게 형성된 단턱면(203)에서 감소된 직경, 즉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비계용 파이프(30)의 내측면이 외측면에 맞물리는 외경을 갖고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돌출부(205)가 단턱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로 된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동바리용 파이프(40)는 제 2 돌출부(202)의 외측면에 끼워져 지지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비계용 파이프(30)는 제 1 돌출부(205)의 외측면에 끼워져 지지된다.
도 9와 10에서 사용상태 단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다른 직경의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수용부로서 상기 지지부(300)가 반경이 다르게 단턱진 요홈부들로 구성된다.
즉, 제 2 수용부에서, 환형의 제 1 요홈부(301)의 측벽(302)의 내측면에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파이프, 즉 동바리용 파이프(40)의 외측면이 맞물리고 평탄한 바닥(303)에서 지지되며, 제 1 수용부에서 상기 제 1 요홈부(301) 내측에서 단턱져 보다 깊게, 작은 직경의 환형으로 형성된 제 2 요홈부(305)의 측벽(306)에서 감소된 직경, 즉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비계용 파이프(30)의 외측면이 맞물리고 하단이 제 2 요홈부 바닥(307)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동바리용 파이프(40)는 제 2 수용부의 제 1 요홈부(301)에 배치되어 지지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비계용 파이프(30)는 제 1 수용부의 제 2 요홈부(305)에 배치되어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내지 3 실시예들에 의한 서포터(10)의 제 1 및 제 2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20,200,300)에는 두개의 직경이 다른, 즉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통상적으로 φ60.5×2.5t의 규격을 갖는 동바리용 파이프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통상적으로 φ48.6×2.2t의 규격을 갖는 비계용 파이프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거푸집 지지용의 동바리 파이프와 비계용의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파이프들을 승하강되게 지지하는 잭베이스 서포터에 이용될 수 있다.
1 : 잭베이스부 2 : 기부판
3 ; 나사봉 10 : 서포터
11 : 핸들 20,200,300 : 지지부
21 : 요홈부 22 : 내측벽
23 : 외측벽 30 : (비계용) 파이프
40 : (동바리용) 파이프 202 : 제 1 돌출부
205 : 제 2 돌출부 301 : 제 1 요홈부
305 : 제 2 요홈부

Claims (8)

  1. 기부판(2)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된 나사봉(3)을 구비한 잭베이스부(1), 상기 나사봉(3)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방향의 회전 또는 풀림방향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과 동심원적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파이프의 하단부를 수용 및 지지하면서 파이프를 승하강시켜 높이를 조정하도록 된 서포터(10)를 구비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에 있어서,
    동바리용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파이프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비계용 파이프를 함께 사용하도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파이프를 수용 및 지지하는 제 1 수용부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파이프를 수용 및 지지하는 제 2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20,200,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의 제 1 수용부는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부(21)의 바닥과 내측벽(22)으로 형성되고, 제 2 수용부는 상기 요홈부(21)의 바닥과 외측벽(23)으로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21)의 내측벽(22)의 외경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비계용 파이프(30)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측벽(23)의 내경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동바리용 파이프(40)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는 요홈부(21)의 바닥에 형성된 원호형의 홈(24)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수용부는, 요홈부(21)의 바닥에 형성된 원호형의 홈(25)을 포함하며, 상기 홈(24,25)들 각각에 선택적으로 상단부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원호형상의 쐐기부재(28)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24,25)들 각각의 바닥부분과 연통되게 상기 지지부(20)의 외주면에 홀(26,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홀(26,27)들을 통해 핀부재(29)가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재(28)의 상단이 상기 요홈부(21)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제 1, 2 수용부가 그 상면(201)에서 상방으로 단턱져 돌출된 환형의 복수 직경을 갖는 돌출부들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동바리용 파이프(40)의 내측면이 외측면에 맞물리는 외경을 갖고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돌출부(202)와, 그 상단에서 평탄하게 형성된 단턱면(203)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비계용 파이프(30)의 내측면이 외측면에 맞물리는 외경을 갖고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돌출부(205)가 단턱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0)는 제 1 및 제 2 수용부로서 반경이 다르게 단턱진 요홈부들로 구성되고,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동바리용 파이프(40)는 제 2 수용부의 제 1 요홈부(301)에 배치되어 지지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비계용 파이프(30)는 제 1 수용부의 제 2 요홈부(305)에 배치되어 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용부는 설치할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동바리용 파이프(40)의 외측면이 제 1 요홈부(301)의 측벽(302)에 맞물리고 평탄한 바닥(303)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수용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비계용 파이프(30)의 외측면이 제 2 요홈부(305)의 측벽(306)에 맞물리고 하단이 제 2 요홈부 바닥(307)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베이스의 서포터.
KR1020180041422A 2018-04-10 2018-04-10 잭베이스 서포터 KR10203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22A KR102039439B1 (ko) 2018-04-10 2018-04-10 잭베이스 서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22A KR102039439B1 (ko) 2018-04-10 2018-04-10 잭베이스 서포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72A true KR20190118272A (ko) 2019-10-18
KR102039439B1 KR102039439B1 (ko) 2019-11-01

Family

ID=6846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422A KR102039439B1 (ko) 2018-04-10 2018-04-10 잭베이스 서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119A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선우가설산업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가설 지지구
KR20210002045U (ko) * 2020-03-05 2021-09-15 박지현 건축용 가설 지지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6Y1 (ko) 2005-08-09 2005-11-04 강남건설 주식회사 천정 거푸집 설치용 동바리
JP2007321489A (ja) * 2006-06-02 2007-12-13 Nippon Kiden Kk ジャッキ型ベース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6Y1 (ko) 2005-08-09 2005-11-04 강남건설 주식회사 천정 거푸집 설치용 동바리
JP2007321489A (ja) * 2006-06-02 2007-12-13 Nippon Kiden Kk ジャッキ型ベース金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119A (ko) *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선우가설산업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가설 지지구
KR20210002045U (ko) * 2020-03-05 2021-09-15 박지현 건축용 가설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439B1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439B1 (ko) 잭베이스 서포터
KR20090079024A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JP5847239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設置方法および装置
KR101531474B1 (ko) 파이프 스탠드
KR20090059906A (ko) 구조물지지용 서포트
KR102252089B1 (ko) 빔 인상장치
KR20140147642A (ko) 건축용 서포트
CN214569781U (zh) 一种高度可调节的电力物资放线滑车
US20010029715A1 (en) Drywall installation apparatus
KR102038062B1 (ko)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KR20130001712A (ko) 배관 거치대
JP201815008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運用方法
KR20210078118A (ko) 시스템동바리용 수직서포트 설치구조
KR101194410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그를 위한 조인트
KR1023617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가설 지지구
JP4053153B2 (ja) ジャッキ
KR20120106172A (ko) 배관 거치대
KR200343286Y1 (ko) 이동식 건물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KR100919666B1 (ko) 발코니 확장형 윌타이 브라켓
KR20210111446A (ko) 시스템비계 수직재의 수평결합장치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CN214330047U (zh) 一种可拆卸式支撑装置
KR20190079286A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CN212689523U (zh) 新型建筑工程施工用挑架装置
CN111962849B (zh) 操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