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525A - 윤활유 첨가제 및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윤활유 첨가제 및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525A
KR20190117525A KR1020197023655A KR20197023655A KR20190117525A KR 20190117525 A KR20190117525 A KR 20190117525A KR 1020197023655 A KR1020197023655 A KR 1020197023655A KR 20197023655 A KR20197023655 A KR 20197023655A KR 20190117525 A KR20190117525 A KR 2019011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additive
less
lubricant
thiadiaz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529B1 (ko
Inventor
토모유키 소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노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노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노다
Publication of KR2019011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10M169/048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the additives being a mixture of compounds of unknown or incompletely defined constitution, non-macromolecular an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5/32Esters
    • C10M105/38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04Hydroxy compounds
    • C10M129/10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16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5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30 or more atoms
    • C10M133/56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35/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bond
    • C10M135/10Sulfon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35/32Heterocycl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 C10M135/36Heterocycl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 ring containing sulfur and carbon with nitrogen o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 C10M137/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
    • C10M137/04Phosphate esters
    • C10M137/10Thio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hydrocarbon or such hydrocarbon modified by oxidation
    • C10M143/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hydrocarbon or such hydrocarbon modified by oxidation containing aliphatic monomer having more than 4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7/00Special methods of preparation of lubricating compositions; 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of components or of the whole of a lubricating composition,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6Metal compounds
    • C10M2201/062Oxides; Hydroxides; Carbonates or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8Inorganic acids or salts thereof
    • C10M2201/084Inorganic 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8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containing aliphatic monomers hav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026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ertiary alk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2Esters of (cyclo)aliphatic oolycarboxylic acids
    • C10M2207/2825Esters of (cyclo)aliphatic oolycarboxylic aci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3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 C10M2207/2835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2Heterocyclic nitrogen compounds
    • C10M2215/223Five-membered rings containing nitrogen and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8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4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sulfur-to-oxygen bonds, i.e. sulfones, sulfoxides
    • C10M2219/046Overbasedsulfonic acid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 C10M2219/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containing sulfur and carbon with nitrogen or oxygen in the ring
    • C10M2219/106Thi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10M2223/045Metal containing thio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2Pour-point;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54Fuel econom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76Reduction of noise, shudder, or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2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10N2040/042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10N2040/045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for 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CV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8Hydraulic fluids, e.g. brake-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10N2040/252Diesel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70/00Specific manufacturing methods for lubric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70/00Specific manufacturing methods for lubricant compositions
    • C10N2070/02Concentrating of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Abstract

윤활유에 첨가되는 윤활유 첨가제로서, 당해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이 30.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인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기유와, 당해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이 5.0중량% 이상 30.0중량% 이하인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술폰산칼슘염과,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와, 디티오인산아연계 산화 방지제와, 숙신산이미드와, 티아디아졸계 극압제와,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윤활유 첨가제 및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
(참조에 의한 포함)
본 출원은 2017년 2월 22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특원 2017-31602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시킨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윤활유용 첨가제 및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등의 차량의 엔진, 기어(변속기), 디퍼렌셜 기어(차동 장치) 등의 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윤활유가 알려져 있다. 윤활유의 윤활 성능의 강화·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윤활유의 용도에 따라 각종 첨가제가 배합된다. 윤활유용의 첨가제(이하, 간단히 「윤활유 첨가제」라고도 한다.)는 마모 방지제, 마찰 조정제, 청정 분산제, 점도지수 향상제, 극압제,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윤활유의 용도에 따라 이들 복수 종류의 첨가제로부터 당해 용도에 적합한 첨가제가 선택되어 배합된다. 이와 같은 윤활유 첨가제에 관하여, 각종 발명이 이루어져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에는 윤활유의 기유에 용해 가능한 고분자량의 윤활부와, 재료에 흡착 가능한 관능기를 가지고, 윤활부를 끼우도록 윤활부에 결합된 1쌍의 흡착부를 가지는 윤활유 첨가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기술에 의하면, 1쌍의 흡착부가 재료에 흡착하고, 각 흡착부에 끼워진 기유에 용해 가능한 고분자량의 윤활부도 재료 사이에 남는다. 이 재료 사이의 윤활부나 각 흡착부가 유성 향상제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우수한 마찰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특허문헌 2에는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0.50~2.50mm2/s인 디알킬모노에테르(A) 및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mm2/s 이상인 폴리-α-올레핀(B)을 포함하는 기유를 적어도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6.00mm2/s 이하인 윤활유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른 기술에 의하면, 저점도이면서, 점도-온도 특성, 저온 유동성, 및 증발 특성이 우수하고, 전단 안정성 및 산화 안정성이 양호하며, 고무 등의 유기재가 팽윤하기 어렵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일본 특개 2016-210941호 공보 일본 특개 2016-011384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윤활유 첨가제는 복수 종류의 첨가제로부터 윤활유의 용도에 적합한 첨가제를 선택하여 배합함으로써 생성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엔진용의 윤활유 첨가제와 기어용의 윤활유 첨가제는 상이한 것이 되고, 엔진용의 윤활유 첨가제가 반드시 기어에 적합한 윤활유 첨가제가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의 각 장치에 윤활유를 적용하고자 한 경우, 장치마다 윤활유 첨가제를 준비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한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발명은 개별의 윤활유 첨가제의 성능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 일반적이며,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종 용도의 윤활유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적용 가능한 윤활유 첨가제 및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는 윤활유에 첨가되는 윤활유 첨가제로서,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기유와,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술폰산칼슘염과,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와, 디티오인산아연계 산화 방지제와, 숙신산이미드와, 티아디아졸계 극압제와,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은 윤활유에 첨가되는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기유와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를 소정 용기 내에서 50℃ 이상 90℃ 이하로 가온하여 혼합하는 제1 공정과, 제1 공정에 있어서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에 대하여, 디티오인산아연계 산화 방지제와, 숙신산이미드와, 티아디아졸계 극압제와,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혼합하고, 상기 생성물에 용해시키는 제2 공정과, 제2 공정에 있어서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에 대하여,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술폰산칼슘염을 혼합시키는 제3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용도의 윤활유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적용 가능한 윤활유 첨가제 및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윤활유 첨가제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는 이하의 성분 A~G에 의해 구성된다.
[성분 A]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에 사용되는 성분 A는 에스테르계 기유의 일종이며, 저유동점, 고점도지수, 고인화점이며 열 안정성, 산화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지는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기유이다. 구체적으로는 2종류의 지방산을 결합한 단일 물질의 지방산에스테르인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이다.
당해 성분 A의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25.0중량% 이상 75.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중량% 이상 60.0중량% 이하이다.
또한 성분 A로서는 상기한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의 지방산 예를 들면 탄소수 8~18(이하, 상기한 탄소수 8인 카프릴산, 탄소수 10인 카프린산을 제외하고 기재)의 직쇄상 포화 지방산인 페랄곤산, 운데칸산, 라우린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틴산, 펜타데실산, 팔미틴산, 마르가린산, 스테아린산과의 합성기유여도 되고, 탄소수 8~18의 직쇄상 불포화 지방산인 카프롤레인산, 운데실렌산, 린데르산, 라우롤레인산, 쓰즈산, 피세톨레인산, 미리스톨레인산, 주마린산, 페트로셀린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등과의 합성기유여도 된다. 또 폴리올에스테르에 비해 마찰 저감 효과가 낮지만 고온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디에스테르계 기유여도 된다.
[성분 B]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에 사용되는 성분 B는 공지의 α올레핀을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α올레핀(PAO)올리고머라고 불리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고점도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고점도 PAO)가 사용된다. 공지의 α올레핀은 예를 들면 탄소수 2~20의 α-올레핀이며,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또는 1-이코센이며, 단독 또는 조합하여 중합시킨다.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는 광유에 가까운 조성이면서, 불포화 이중 결합이나 유황 등을 포함하지 않는 균일한 분자 구조를 가지고, 고온 열 안정성, 전단 안정성, 저유동점(저온 유동성), 고점도지수, 고인화점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입체형 구조의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이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는 다른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직쇄형 구조의 것에 비해 점도가 떨어지기 어렵다.
당해 성분 B의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10.0중량% 이상 50.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이상 30.0중량% 이하이다.
또한 성분 B로서는 상기한 입체형 구조의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의 점도지수 향상제 예를 들면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등을 배합해도 된다.
[성분 C]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에 사용되는 성분 C는 디티오인산아연을 주성분으로 한 디티오인산아연계 산화 방지제이며, 비교적 저온 영역에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제1급의 알킬기의 디티오인산아연을 주성분으로 한 산화 방지제를 말한다. 이 제1급의 알킬기의 디티오인산아연은 제2급의 알킬기나 제3급의 알킬기의 디티오인산아연에 비해 마모 방지성이 매우 양호하다. 구체적으로는 2-에틸헥실디티오인산아연이다.
당해 성분 C의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0.5중량% 이상 3.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이다.
또한 성분 C로서는 상기한 2-에틸헥실디티오인산아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의 산화 방지제 예를 들면 디프로필디티오인산아연, 디부틸디티오인산아연, 디펜틸디티오인산아연, 디헵틸디티오인산아연, 디옥틸디티오인산아연, 디데실디티오인산아연 또는 디도데실디티오인산아연 등의 디알킬디티오인산아연(ZnDTP)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배합해도 된다. 또 특히 성분 A로서 디에스테르계 합성기유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디프로필디티오인산아연, 디부틸디티오인산아연, 디옥틸디티오인산아연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함유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D]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에 사용되는 성분 D는 저온시에서의 슬러지나 그을음을 기름 중에 분산시키는 특징을 가지는 알케닐 또는 알킬숙신산이미드라고 불리는 분산제이다. 당해 알케닐 또는 알킬숙신산이미드는 배합되는 각 첨가제의 용해성을 보조하여, 성능의 지속성을 늘리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질소 중량 함유량이 1.0~2.0%인 폴리이소부테닐숙신산이미드를 말한다.
당해 성분 D의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3.0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이다.
또한 성분 D로서는 상기한 폴리이소부테닐숙신산이미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의 알케닐 또는 알킬숙신산이미드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배합해도 된다.
[성분 E]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에 사용되는 성분 E는 티아디아졸(벤조비스) 유도체라고 불리는 티아디아졸계 극압제이며, 금속의 2면 사이의 마찰, 마모를 감소시키거나, 눌어붙음을 방지하거나 하는 마모 방지제로서의 특징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티아디아졸 유도체는 디메르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이며, 구체적으로는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4,5-디메르캅토티아디아졸, 3,5-디메르캅토-1,2,4-티아디아졸 또는 3,4-디메르캅토-1,2,5-티아디아졸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한 것이다.
당해 성분 E의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 4.0중량% 이하이다.
또한 성분 E로서는 상기한 디메르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의 극압제 예를 들면 트리아졸 유도체를 배합해도 된다. 또 특히 성분 A로서 디에스테르계 합성기유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제품 제조의 간소화 및 가격 저감의 관점에서, 티아디아졸 유도체 대신에 유황의 원소를 포함하는 황화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유황계 극압제의 배합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1.0중량% 이상 9.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이다.
[성분 F]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에 사용되는 성분 F는 산화 방지나 슬러지 생성 방지의 관점에서 배합되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2,6-디-tert-부틸-4-메틸페놀이다.
당해 성분 F의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0.1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1.5중량% 이하이다.
또한 성분 F로서는 상기한 2,6-디-tert-부틸-4-메틸페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배합해도 된다. 예를 들면 2,6-디-tert-부틸-4-에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놀) 등이다.
[성분 G]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에 사용되는 성분 G는 통상적으로는 공업용 윤활유의 용도에 사용되며, 탄산칼슘과 수산화칼슘을 함유하는 과염기성 칼슘술포네이트라고 불리는 청정제이다. 구체적으로는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많이 함유하는 술폰산칼슘염을 사용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술폰산칼슘염은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또한 칼슘 금속 함유량 2.0~12.0중량%인 술폰산칼슘염이며, TBN(Total Basic Number)이 15~500인 것이다.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많이 함유하는 술폰산칼슘염은 통상 사용되는 아라고나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많이 함유하는 술폰산칼슘염에 비해 윤활 성능이 우수하다.
당해 성분 G의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5중량% 이상 3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이다.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텝 S1~S3(제1 공정~제3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즉, 우선 스텝 S1(제1 공정)에 있어서, 성분 A와 성분 B를 소정 용기 내에서 약50℃ 이상 약90℃ 이하로 가온하여 혼합한다(스텝 S1). 이어서 스텝 S2(제2 공정)에 있어서, 스텝 S1에 있어서 혼합된 성분 A 및 성분 B에 대하여, 성분 C, 성분 D, 성분 E, 성분 F의 순서로 혼합하고, 소정 용기 내에서 이들 성분 C~F를 용해시킨다(스텝 S3). 그 후 스텝 S2에 있어서의 용해성을 확인한 후에 스텝 S3(제3 공정)에 있어서 추가로 성분 G를 혼합시킨다(스텝 S3).
이상에 나타내는 제1 공정~제3 공정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가 제조된다.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는 상기한 성분 A~성분 G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또한 참고예로서의 윤활유 첨가제 Sa는 상기한 성분 G를 0중량%로 하고 성분 A~성분 G를 배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P1 P2 P3 P4 P5
성분 A(중량%) 57.0 52.0 42.0 32.0 62.0
성분 B(중량%) 28.0 28.0 28.0 28.0 28.0
성분 C(중량%) 1.5 1.5 1.5 1.5 1.5
성분 D(중량%) 5.0 5.0 5.0 5.0 5.0
성분 E(중량%) 3.0 3.0 3.0 3.0 3.0
성분 F(중량%) 0.5 0.5 0.5 0.5 0.5
성분 G(중량%) 5.0 10.0 20.0 30.0 0.0
[제1 비교예]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를 시판되는 차량용의 ATF(Automatic Transmission Fluid), CVTF(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Fluid), 디젤 엔진 오일, 서스펜션 오일에 첨가한 경우의 제1 비교예를 각각 표 2~표 5에 나타낸다.
시험항목 단위 시판되는
ATF 단체
타사 첨가제 Sa P1 P2 P3 P4
동점도 40℃ mm2/s 35.42 35.4 37.06 37.5 38.09 38.88 39.66
동점도 100℃ mm2/s 7.185 7.17 7.444 7.51 7.605 7.727 7.846
점도지수 172 171 173 173 173 175 173
셸 사구 마모 mm 0.51 0.41 0.36 0.32 0.29 0.29 0.34
시험항목 단위 시판되는
CVTF 단체
타사 첨가제 Sa P1 P2 P3 P4
동점도 40℃ mm2/s 28.85 36 32.2 32.62 32.79 33.55 34.46
동점도 100℃ mm2/s 7.181 8.251 7.492 7.56 7.636 7.755 7.902
점도지수 229 215 212 212 214 213 212
셸 사구 마모 mm 0.44 0.4 0.37 0.3 0.29 0.29 0.29
시험항목 단위 시판되는 디젤 엔진 오일 단체 타사
첨가제
Sa P1 P2 P3 P4
동점도 40℃ mm2/s 44.37 53.09 47.33 48.17 48.93 50.52 52.12
동점도 100℃ mm2/s 9.53 10.81 9.922 10.04 10.15 10.38 10.59
점도지수 207 200 203 202 201 200 199
셸 사구 마모 mm 0.43 0.42 0.44 0.4 0.32 0.31 0.32
시험항목 단위 시판되는 서스펜션 오일 단체 Sa P1 P2 P3 P4
동점도 40℃ mm2/s 33.4 36.31 36.85 37.66 38.9 40.55
동점도 100℃ mm2/s 5.701 6.232 6.299 6.432 6.614 6.797
점도지수 111 120 121 122 125 125
셸 사구 마모 mm 0.47 0.62 0.46 0.31 0.3 0.3
또한 표 2~표 5에서는 40℃에 있어서의 동점도(단위 : mm2/s),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단위 : mm2/s), 점도지수, 및 공지의 셸 사구식 내하중 시험을 행했을 때의 마모흔 직경(단위 : mm)을 측정한 경우의 측정값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각 표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2에서는 시판되는 차량용의 ATF 단체와 시판되는 차량용의 ATF에 대하여 종래의 타사 첨가제, 참고예로서의 윤활유 첨가제 Sa,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를 각각 당해 ATF의 총량의 7% 첨가한 경우와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2에 따른 셸 사구식 내하중 시험의 시험 조건(회전수, 하중, 시간, 온도)은 각각 1200rpm, 294N(30kg), 60분, 75℃이다.
표 3에서는 시판되는 차량용의 CVTF 단체와 시판되는 차량용의 CVTF에 대하여 종래의 타사 첨가제, 참고예로서의 윤활유 첨가제 Sa,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를 각각 당해 CVTF의 총량의 7% 첨가한 경우와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3에 따른 셸 사구식 내하중 시험의 시험 조건(회전수, 하중, 시간, 온도)은 각각 1200rpm, 294N(30kg), 60분, 75℃이다.
표 4에서는 시판되는 차량용의 디젤 엔진 오일 단체와, 시판되는 차량용의 디젤 엔진 오일에 대하여 종래의 타사 첨가제, 참고예로서의 윤활유 첨가제 Sa,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를 각각 당해 디젤 엔진 오일의 총량의 10% 첨가한 경우와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4에 따른 셸 사구식 내하중 시험의 시험 조건(회전수, 하중, 시간, 온도)은 각각 1200rpm, 392N(40kg), 60분, 75℃이다.
표 5에서는 시판되는 차량용의 서스펜션 오일 단체와, 시판되는 차량용의 서스펜션 오일에 대하여, 참고예로서의 윤활유 첨가제 Sa,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를 각각 당해 서스펜션 오일의 총량의 10% 첨가한 경우와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5에 따른 셸 사구식 내하중 시험의 시험 조건(회전수, 하중, 시간, 온도)은 각각 1200rpm, 392N(40kg), 60분, 75℃이다.
표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윤활유의 각각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를 첨가한 경우, 종래의 타사 첨가제나 참고예로서의 윤활유 첨가제 Sa에 비해, 셸 사구식 내하중 시험을 행했을 때의 마모흔 직경이 첨가 전보다 짧은 것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용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윤활유의 각각에 대하여 우수한 마모 성능을 실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분 G 즉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술폰산칼슘염이 5.0중량% 이상 30.0중량%인 경우에 특히 효과가 나타난다. 성분 G가 5.0중량%보다 큰 경우에는 성분 G가 0.0중량%인 경우에 비해 셸 사구 마모 시험의 마모흔 직경이 현저하게 작고 내마모 성능이 향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성분 G가 5.0중량%인 경우보다 10.0중량%인 경우 쪽이 셸 사구 마모 시험의 마모흔 직경이 짧고, 또한 성분 G가 20.0중량%인 경우 쪽이 마모흔 직경은 동일 또는 짧다. 한편, 성분 G가 20.0중량%인 경우보다 30.0중량%인 경우 쪽이 셸 사구 마모 시험의 마모흔 직경의 수치는 동일 또는 길다. 이와 같이, 용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윤활유의 각각에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를 첨가한 경우, 셸 사구 마모 시험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성분 G의 함유량은 10.0중량% 내지 20.0중량%이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를 CVTF에 첨가한 경우, 첨가 전까지 발생하고 있던 차량의 클러치의 저더가 해소되었다는 부차적인 효과가 복수의 사례로서 얻어졌다.
[제2 비교예]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를 시판되는 산업기계용의 기어 오일에 첨가한 경우의 제2 비교예를 표 6에 나타낸다.
시험항목 단위 시판되는 산업기계용의 기어 오일의 단체 Sa P1 P2 P3 P4
동점도 40℃ mm2/s 95.19 90.74 92.77 94.52 98.75 102.80
동점도 100℃ mm2/s 10.85 10.96 11.14 11.3 11.66 11.99
점도지수 98 106 106 106 106 106
셸 사구 마모 mm 0.39 0.44 0.35 0.35 0.35 0.36
또한 표 6에서는 40℃에 있어서의 동점도(단위 : mm2/s), 100℃에 있어서의 동점도(단위 : mm2/s), 점도지수, 및 공지의 셸 사구식 내하중 시험을 행했을 때의 마모흔 직경(단위 : mm)을 측정한 경우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있다.
표 6에서는 시판되는 산업기계용의 기어 오일과 시판되는 산업기계용의 기어 오일에 대하여, 참고예로서의 윤활유 첨가제 Sa,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를 각각 당해 기어 오일의 총량의 10% 첨가한 경우와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6에 따른 셸 사구식 내하중 시험의 시험 조건(회전수, 하중, 시간, 온도)은 각각 1200rpm, 392N(40kg), 60분, 75℃이다.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업기계용의 기어 오일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1~P4를 첨가한 경우, 참고예로서의 윤활유 첨가제 Sa에 비해, 셸 사구식 내하중 시험을 행했을 때의 마모흔 직경이 첨가 전보다 짧은 것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산업기계용의 기어 오일에 대하여 우수한 마모 성능을 실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분 G 즉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술폰산칼슘염이 5.0중량% 이상 30.0중량%인 경우에 특히 효과가 나타난다.
[제3 비교예]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를 소정의 제1 기유에 첨가한 경우의 제3 비교예를 표 7에 나타낸다.
제1 기유 P2
La/Lo 5.45 25.4
La/La(기유) 1.0 4.67
샘플수 4 3
표 7에서는 시판되는 제1 기유와 시판되는 제1 기유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2를 당해 제1 기유의 총량의 10% 첨가한 경우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블 분포에 기초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수명 평가 시험을 행한 경우의 베어링 이론 수명 시간 Lo(단위 : h)에 대한 베어링 파손까지의 가동 시간 La(단위 : h)의 측정값의 비(단위 : 무차원), 및 La(실제의 측정값)/La(제1 기유만으로의 측정값)의 계산값(단위 : 무차원)을 나타내고 있다. 표 7에 따른 베어링 수명 평가 시험의 시험 조건(스러스트 볼 베어링, 회전수, 하중)은 각각 #51104, 750rpm, 4.4kN이다.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2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점도지수의 향상에 더해, 베어링 수명 시간이 4.67배로 큰 성능 향상을 실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4 비교예]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를 소정의 제2 기유에 첨가한 경우의 제4 비교예를 표 8에 나타낸다.
제2 기유 P2
La/Lo 2.53 36.7
La/La(기유) 1.0 14.50
동력 삭감률 0.0 8.0
샘플수 5 1
표 8에서는 시판되는 제2 기유와 시판되는 제2 기유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2를 당해 제2 기유의 총량의 10% 첨가한 경우의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블 분포에 기초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수명 평가 시험을 행한 경우의 베어링 이론 수명 시간 Lo(단위 : h)에 대한 베어링 파손까지의 가동 시간 La(단위 : h)의 측정값의 비(단위 : 무차원), La(실제의 측정값)/La(제2 기유만으로의 측정값)의 계산값(단위 : 무차원), 기유의 동력에 대한 첨가유 사용시의 동력 삭감률을 나타내고 있다. 표 8에 따른 베어링 수명 평가 시험의 시험 조건(스러스트 볼 베어링, 회전수, 하중)은 각각 #51104, 750rpm, 4.4kN이다.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 P2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점도지수의 향상에 더해, 베어링 수명 시간이 14.50배이며 또한 동력 삭감률이 8%로, 큰 성능 향상을 실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첨가제에 의하면, 차량용 윤활유 및 공업용 윤활유(금속 가공유를 제외함)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차량의 각 장치에 윤활유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장치마다 윤활유 첨가제를 준비해야 한다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현재 사회에서 요구되는 에너지 절약과 자원 절약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여, 지구 환경의 개선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하나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Claims (16)

  1. 윤활유에 첨가되는 윤활유 첨가제로서,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기유와,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술폰산칼슘염과,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와, 디티오인산아연계 산화 방지제와, 숙신산이미드와, 티아디아졸계 극압제와, 페놀계 산화 방지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기유의 당해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35.0중량% 이상 60.0중량% 이하이며,
    상기 술폰산칼슘염의 당해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5.0중량% 이상 30.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기유는 탄소수 8~18의 직쇄상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기유는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입체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의 당해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10.0중량% 이상 50.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티오인산아연계 산화 방지제는 제1급의 알킬기의 디티오인산아연을 주성분으로 한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티오인산아연은 2-에틸헥실디티오인산아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티오인산아연계 산화 방지제의 당해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0.5중량% 이상 3.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신산이미드는 폴리이소부테닐숙신산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신산이미드의 당해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3.0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아디아졸계 극압제는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4,5-디메르캅토티아디아졸, 3,5-디메르캅토-1,2,4-티아디아졸 및 3,4-디메르캅토-1,2,5-티아디아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아디아졸계 극압제의 당해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1.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2.6-디-tert-부틸-4-메틸페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당해 윤활유 첨가제 중의 함유량은 0.1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
  16. 윤활유에 첨가되는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기유와 폴리α올레핀올리고머를 소정 용기 내에서 50℃ 이상 90℃ 이하로 가온하여 혼합하는 제1 공정과,
    제1 공정에 있어서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에 대하여, 디티오인산아연계 산화 방지제와, 숙신산이미드와, 티아디아졸계 극압제와,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혼합하고, 상기 생성물에 용해시키는 제2 공정과,
    제2 공정에 있어서의 혼합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에 대하여, 칼사이트 결정 구조의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술폰산칼슘염을 혼합시키는 제3 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
KR1020197023655A 2017-02-22 2018-02-22 윤활유 첨가제 및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 KR102345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1602 2017-02-22
JP2017031602 2017-02-22
PCT/JP2018/006596 WO2018155601A1 (ja) 2017-02-22 2018-02-22 潤滑油添加剤及び潤滑油添加剤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525A true KR20190117525A (ko) 2019-10-16
KR102345529B1 KR102345529B1 (ko) 2021-12-30

Family

ID=6325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655A KR102345529B1 (ko) 2017-02-22 2018-02-22 윤활유 첨가제 및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002639A1 (ko)
EP (1) EP3587542B1 (ko)
JP (1) JP6465536B2 (ko)
KR (1) KR102345529B1 (ko)
CN (1) CN110300796A (ko)
AU (1) AU2018224752B2 (ko)
SG (1) SG11201907681QA (ko)
WO (1) WO201815560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7259A (en) * 1998-07-15 2000-08-22 Witco Corporation Oil soluble calcite overbased detergents and engine oils containing same
KR100290629B1 (ko) * 1993-06-24 2001-10-24 도미나가 가즈토 윤활유조성물
JP2007137952A (ja) * 2005-11-15 2007-06-07 Idemitsu Kosan Co Ltd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JP2012201833A (ja) * 2011-03-28 2012-10-22 Lion Corp エステル合成油
JP2016011384A (ja) 2014-06-30 2016-01-21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2016210941A (ja) 2015-05-12 2016-12-15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潤滑油添加剤および潤滑油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0528A (en) * 1988-03-31 1990-10-02 Ethyl Petroleum Additives, Inc.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A2056340A1 (en) * 1990-12-21 1992-06-22 James D. Tschann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and concentrates and the use thereof
JPH10183154A (ja) * 1996-11-08 1998-07-14 Tonen Corp 潤滑油組成物
JP2000273480A (ja) * 1999-03-29 2000-10-03 Asahi Denka Kogyo Kk 潤滑性組成物
US20050124504A1 (en) * 2002-07-26 2005-06-09 Ashland Inc. Lubricant and additive formulation
WO2008072526A1 (ja) * 2006-12-08 2008-06-19 Nippon Oil Corporation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US9029304B2 (en) * 2008-09-30 2015-05-12 Chevron Oronite Company Llc Lubricating oil addi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1093295A1 (ja) * 2010-01-26 2011-08-04 出光興産株式会社 α-オレフィン(共)重合体、水添α-オレフィン(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潤滑油組成物
US9023191B2 (en) * 2010-04-02 2015-05-05 Idemitsu Kosan Co., Ltd. Lubricant composit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lubric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2807908A (zh) * 2012-09-04 2012-12-05 陕西省石油化工研究设计院 一种适用于航空发动机宽温域多元醇酯类润滑油组合物
WO2014164087A1 (en) * 2013-03-12 2014-10-09 The Lubrizol Corporation Lubricating composition containing lewis acid reaction product
CN104560283B (zh) * 2013-10-25 2017-04-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磺酸盐、其制备方法及包含该磺酸盐的润滑脂及其制备方法
CN104673452A (zh) * 2013-11-29 2015-06-03 青岛科润塑料机械有限公司 一种改进型压缩机油组合物
CN104531289A (zh) * 2014-12-05 2015-04-22 重庆加州润滑油有限责任公司 一种使用寿命长的双燃料发动机专用润滑油
CN105037222A (zh) * 2015-06-25 2015-11-11 锦州惠发天合化学有限公司 高碱值结晶型磺酸钙的制备方法
CN106318563A (zh) * 2015-06-29 2017-01-11 辽宁汽众润滑油生产有限公司 一种超长换油期酯类全合成润滑油
JP2017031602A (ja) 2015-07-30 2017-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防雨装置
CN105950266B (zh) * 2016-05-10 2018-06-15 合肥工业大学 车用宽温域生物润滑油及其制备方法
CN106085566B (zh) * 2016-06-19 2019-03-22 海南极风润滑油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船用中速柴油发动机润滑油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629B1 (ko) * 1993-06-24 2001-10-24 도미나가 가즈토 윤활유조성물
US6107259A (en) * 1998-07-15 2000-08-22 Witco Corporation Oil soluble calcite overbased detergents and engine oils containing same
JP2007137952A (ja) * 2005-11-15 2007-06-07 Idemitsu Kosan Co Ltd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JP2012201833A (ja) * 2011-03-28 2012-10-22 Lion Corp エステル合成油
JP2016011384A (ja) 2014-06-30 2016-01-21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JP2016210941A (ja) 2015-05-12 2016-12-15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潤滑油添加剤および潤滑油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529B1 (ko) 2021-12-30
EP3587542A1 (en) 2020-01-01
EP3587542C0 (en) 2023-08-23
CN110300796A (zh) 2019-10-01
JPWO2018155601A1 (ja) 2019-02-28
US20200002639A1 (en) 2020-01-02
WO2018155601A1 (ja) 2018-08-30
JP6465536B2 (ja) 2019-02-06
SG11201907681QA (en) 2019-09-27
EP3587542A4 (en) 2020-12-09
AU2018224752A1 (en) 2019-08-22
AU2018224752B2 (en) 2023-06-01
EP3587542B1 (en)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892B1 (ko) 무단 변속기용 윤활유 조성물
CN102239240A (zh) 润滑脂组合物
EP3692121B1 (en) Grease composition
EP2300582A1 (en) Grease composition
JP6130309B2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ギヤ装置用潤滑油組成物
CN107338101B (zh) 一种适用于低温环境的复合润滑油及其制备方法
KR20160127034A (ko) 금속 나노 입자 기반의 윤활유 조성물
WO2011099207A1 (ja) 潤滑油組成物
CA2838171C (en) Lubricating grease composition for extreme pressure applications
JP7187104B2 (ja) 食品機械用グリース組成物
US9487727B2 (en) Polymer thickened grease compositions with improved low friction properties
EP1568758A2 (en) Lubricant compositon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JP2019065201A (ja) 自動車用ギヤ油組成物、及び潤滑方法
CN104293415A (zh) 一种高质量润滑基础油调合油
CN110023464B (zh) 润滑脂组合物
KR101592588B1 (ko) 저온변속성능이 향상된 수동변속기오일 조성물
KR20190117525A (ko) 윤활유 첨가제 및 윤활유 첨가제의 제조 방법
JP2008539316A (ja) 窒化ホウ素を含む高温バイオベース潤滑剤組成物
KR101336294B1 (ko) 초극압용 윤활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881482A (zh) 一种齿轮箱变速器润滑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86425B1 (ko) 마찰특성 및 연비향상형 수동변속기유 조성물
JP6133148B2 (ja) 駆動系変速装置用潤滑油組成物
CN108102769B (zh) 具有提高的燃料效率和低粘度的车轴油组合物
KR20200079512A (ko) 낮은 마찰계수와 높은 마모 방지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그리스
KR102312591B1 (ko) 하이브리드 윤활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