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131A -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131A
KR20190117131A KR1020180040275A KR20180040275A KR20190117131A KR 20190117131 A KR20190117131 A KR 20190117131A KR 1020180040275 A KR1020180040275 A KR 1020180040275A KR 20180040275 A KR20180040275 A KR 20180040275A KR 20190117131 A KR20190117131 A KR 2019011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finish
insulating material
insulation
fin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용
Original Assignee
(주) 창조리유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창조리유즈 filed Critical (주) 창조리유즈
Priority to KR102018004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131A/ko
Publication of KR2019011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불연성 단열재는, 단열재와, 단열재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사이드 마감재와, 사이드 마감재와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단열재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면 마감재와, 단열재에서 전면 마감재에 대향하는 표면에 사이드 마감재와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접착되는 후면 마감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NONCOMBUSTIBLE INSUL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마감재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는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단열재는 건축물의 외부를 마감하고 단열성능을 부여하는데 사용되는 마감자재를 말한다.
단열재는, 건물 구조체의 외부에 접착 설치하고 그 위에 직접 외부 마감을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단열과 외부 마감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외 단열 공법의 주요 구성 재료인 단열재는, 저렴한 가격 및 바탕 면과의 접착, 표면 마감의 특성상 대부분 스티로폼 단열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단열재를 구성하는 가연성 자재인 스티로폼으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확산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바, 화재로부터의 안전 확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7-00597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열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마감재가 안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열재와, 단열재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사이드 마감재와, 사이드 마감재와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단열재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면 마감재와, 단열재에서 전면 마감재에 대향하는 표면에 사이드 마감재와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접착되는 후면 마감재를 포함한다.
단열재의 내부에는 난연재가 함침되고,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사이드 마감재는, 단열재의 가장자리 부분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단열재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양측에 삽입될 수 있다.
사이드 마감재와 전면 마감재 및 후면 마감재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마감재의 일부분은 단열재의 표면 위치에서 전면 마감재와 후면 마감재의 각각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내부에 난연재가 함침되고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양측에 사이드 마감재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상기 단열재의 상부 표면에 전면 마감재를 접착하는 단계와, (c) 상기 단열재의 하부 표면에 후면 마감재를 접착하는 단계와, (d) 상기 단열재와 상기 사이드 마감재와 상기 전면 마감재와 상기 후면 마감재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력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재의 가장자리에 사이드 마감재를 부착하고, 전면과 후면의 각각에 종이 재질의 전면 마감재와 후면 마감재를 부착하는 바, 접착력이 향상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마감재가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감재들에 의해 단열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바, 외부 이물질에 의해 단열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불연성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불연성 단열재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불연성 단열재의 B-B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성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불연성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불연성 단열재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불연성 단열재의 B-B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단열재(100)는, 단열재(10)와, 단열재(10)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사이드 마감재(20)와, 사이드 마감재(20)와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단열재(10)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면 마감재(30)와, 단열재(10)에서 전면 마감재(30)에 대향하는 표면에 사이드 마감재(20)와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접착되는 후면 마감재(40)를 포함한다.
단열재(10)는 본 실시예에서 스티로폼 재질로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단열재는 스티로폼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허니콤 형상의 박스 형태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단열재(10)의 내부에는 불연성 확보를 위해, 난연재가 함침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10)는 화재 발생 과정에서 내부에 함침된 난연재에 의해 화재 전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단열재(10)는 표면에 편평면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단열재(10)의 표면 및 가장자리 전체의 둘레에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가 표면에 도포된 단열재(10)의 가장자리에는 사이드 마감재(20)가 삽입될 수 있다.
사이드 마감재(20)는 내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도록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마감재(20)는 평판형의 단열재(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마감재(20)가 단열재(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삽입되는 것은,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재(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환경에 따라 오염 또는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사이드 마감재(20)가 단열재(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이드 마감재(20)의 일부분이 단열재(10)의 표면에 연장 형성되는 바, 후술하는 전면 마감재(30) 또는 후면 마감재(40)가 사이드 마감재(20)에 접착되어 접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면 마감재(30)는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전면 마감재(30)는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접착제에 부착되는 것으로, 일부분은 단열재(10)의 표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부착되고, 일부분은 사이드 마감재(20)에 접촉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마감재(30)는 사이드 마감재(20)에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바, 접착력이 더욱 향상된 상태로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후면 마감재(40)는, 단열재(10)의 하부 표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단열재(10)의 하부 표면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후면 마감재(40)는 단열재(10)의 하부 표면에 접착제에 부착되는 것으로, 일부분은 단열재(10)의 표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부착되고, 일부분은 사이드 마감재(20)에 접촉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 마감재(40)는 사이드 마감재(20)에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바, 접착력이 더욱 향상된 상태로 단열재(10)의 하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사이드 마감재(20)와 전면 마감재(30) 및 후면 마감재(40)는 종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마감재(20)와 전면 마감재(30) 및 후면 마감재(40)가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바, 단열재(10)의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재(10)의 가장자리에 사이드 마감재(20)를 부착하고, 전면과 후면의 각각에 종이 재질의 전면 마감재와 후면 마감재를 부착하는 바, 접착력이 향상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마감재가 접착될 수 있다.
아울러, 마감재들에 의해 단열재(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바, 외부 이물질에 의해 단열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성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단열재(200)의 단열재(110)는 허니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110)는 허니콤 형상의 종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바, 단열 성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면서, 종이 재질의 사이드 마감재(20)와 전면 마감재(30) 및 후면 마감재(40)의 안정적인 접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단열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내부에 난연재가 함침되고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의 가장자리에 사이드 마감재(20)를 삽입한다(S10).
(S10) 단계의 사이드 마감재(20)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단열재(10)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다음,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전면 마감재를 접착한다(S20). (S20) 단계의 전면 마감재(30)는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S20) 단계의 전면 마감재(30)는 단열재(10)의 상부 표면에 접착제에 부착되는 것으로, 일부분은 단열재(10)의 표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부착되고, 일부분은 사이드 마감재(20)에 접촉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어서, 단열재(10)의 하부 표면에 후면 마감재(40)를 접착한다(S30). (S30) 단계의 후면 마감재(40)는 단열재(10)의 하부 표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단열재(10)의 하부 표면의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단열재(10)의 하부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S30) 단계의 후면 마감재(40)는 단열재(10)의 하부 표면에 접착제에 부착되는 것으로, 일부분은 단열재(10)의 표면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부착되고, 일부분은 사이드 마감재(20)에 접촉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다음, 단열재(10)와 사이드 마감재(20)와 전면 마감재(30)와 후면 마감재(40)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력을 부여한다(S40).
(S40) 단계에서 프레스에 의해 단열재(10)와 사이드 마감재(20)와 전면 마감재(30)와 후면 마감재(40)의 부착된 상태에 압착력을 더욱 부여하는 바, 보다 안정적인 접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110...단열재 20...사이드 마감재
30...전면 마감재

Claims (5)

  1.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가장자리에 삽입되는 사이드 마감재;
    상기 사이드 마감재와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 접착되는 전면 마감재; 및
    상기 단열재에서 상기 전면 마감재에 대향하는 표면에 상기 사이드 마감재와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접착되는 후면 마감재;
    를 포함하는 불연성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는 난연재가 함침되고,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불연성 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감재는, 상기 단열재의 가장자리 부분이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열재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양측에 삽입되는 불연성 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감재와 상기 전면 마감재 및 상기 후면 마감재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마감재의 일부분은 상기 단열재의 표면 위치에서 상기 전면 마감재와 상기 후면 마감재의 각각에 접착되는 불연성 단열재.
  5. (a) 내부에 난연재가 함침되고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양측에 사이드 마감재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단열재의 상부 표면에 전면 마감재를 접착하는 단계;
    (c) 상기 단열재의 하부 표면에 후면 마감재를 접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열재와 상기 사이드 마감재와 상기 전면 마감재와 상기 후면 마감재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착력을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연성 단열재 제조 방법.
KR1020180040275A 2018-04-06 2018-04-06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 KR20190117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75A KR20190117131A (ko) 2018-04-06 2018-04-06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75A KR20190117131A (ko) 2018-04-06 2018-04-06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131A true KR20190117131A (ko) 2019-10-16

Family

ID=6842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275A KR20190117131A (ko) 2018-04-06 2018-04-06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71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711A (ko) 2015-11-23 2017-05-31 장지훈 건축용 단열재 및 골조 일체형 불연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711A (ko) 2015-11-23 2017-05-31 장지훈 건축용 단열재 및 골조 일체형 불연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6986B2 (ja) 建物内に配される音響バッフル
KR20190117131A (ko) 불연성 단열재 및 제조 방법
JP2006161406A (ja) 天井または床の耐火構造
JP2006257752A (ja) 壁の耐火構造
KR101446505B1 (ko) 복합단열패널
JP4789519B2 (ja) 気密耐火被覆材及び気密耐火被覆構造
JP5183870B2 (ja) 木造建築の耐火構造
JP4741314B2 (ja) 内装構造及び内装構造用部材
JP2018168548A (ja) 断熱壁構造の施工方法、断熱壁構造、及び断熱材
HU212823B (en) Method of fixing cover members to wall
JP2014020018A (ja) 組立式床材
JP5484703B2 (ja) 照明器具
JP2007284948A (ja) 取付部材、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ユニットパネル
JP4456445B2 (ja) 二重壁の製造方法
JP3166171U (ja) 組立式床材
JP2001098738A (ja) 壁面仕上げ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138346U (ja) 補助胴縁
KR200279144Y1 (ko) 샌드위치 패널용 광물성 섬유보드
JP2020094418A (ja) 外壁目地構造
KR200264158Y1 (ko) 마루바닥재
KR20210094342A (ko) 화스너 조립부품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 공법
KR200469526Y1 (ko) 보강 결합구조를 갖는 아치판넬 조립체
JPH1150562A (ja) 壁取付部材及びその使用方法
CN117966988A (zh) 一种发热石膏板
JP2014234639A (ja) 石膏系建材、出隅部構造、コーナー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53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507

Effective date: 2020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