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506A -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506A
KR20190116506A KR1020197027854A KR20197027854A KR20190116506A KR 20190116506 A KR20190116506 A KR 20190116506A KR 1020197027854 A KR1020197027854 A KR 1020197027854A KR 20197027854 A KR20197027854 A KR 20197027854A KR 20190116506 A KR20190116506 A KR 2019011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vehicle
connecto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655B1 (ko
Inventor
조셉 바린스키
로버트 알 듀윗
알렉산더 스티븐스
드루바 쿠마르
Original Assignee
오펙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펙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펙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11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4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cars or linked car-trains with individual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4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cars or linked car-trains with individual load-carriers
    • B65G2814/035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operated by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목표 영역에 물품을 저장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목표 영역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된다. 상기 물품은, 복수 개의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이송 차량 중 하나에 로딩된다. 상기 이송 차량은, 경로를 따라 위치하게 되는 목표 위치로의 경로 또는 상기 목표 위치로부터의 경로를 따른다. 상기 목표 영역은, 해당 목표 영역이 앞위로 수평선에서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깊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상호 연결된 컨테이너들 중 하나를 인출하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가 옮겨지게 되도록 해제 가능하게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본 출원은 2017년 2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463,352호 및 2018년 2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905,81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전술한 출원의 각각의 전체 개시내용은 인용함으로써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하나 이상의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한 재료 취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으로서,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복수 개의 저장 위치에 저장되고 저장 위치에서 일부 컨테이너는 다른 저장 컨테이너 뒤에 위치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대형 기관은 대규모의 저장 영역을 갖고 있는데, 이 저장 영역에서는 다수의 다양한 물품이 저장되고 및/또는 예컨대 고객의 주문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 영역으로부터 다수의 다양한 물품이 인출된다. 물품을 수백 또는 수천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 영역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을 수작업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하다. 다수의 분야에 있어서, 자동 선별(automated picking)이 개발되어 노동비용을 절감시키고, 고객 주문을 충족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였다. 흔히, 시스템을 셋업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수들, 예컨대 몇 가지만 언급하자면 저장 밀도, 접근성, 풋프린트, 비용 사이의 절충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ASR 시스템)에서 저장 밀도를 높이면,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비용 및 공간 요건(“풋프린트”) 양자 모두가 줄어든다. 그러나, ASR 시스템의 저장 밀도가 너무 크면, 개별 물품이 저장 및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속도 및 용이성의 저하로 인해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용례에 있어서 부적절하게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일부 ASR 시스템은, 복수의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차량을 포함하는 운반 시스템을 이용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복도의 양측에 저장 위치를 갖춘 복도 그리고 이 복도 내의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차량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용량은, 상기 복도를 더 높게 또는 더 길게 제작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대안으로, 추가적인 복도가 추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공간은 상기 시스템을 위해 이용할 수 없을 수도 있고, 용량 향상의 이익보다 비용이 더 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용례에 있어서, 시스템의 처리량에 현저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낮은 비용 및 작은 풋프린트에서 저장 밀도를 높이는 ASR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전술한 바를 감안하여, 시스템은 물품을 저장 및 인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복수 개의 저장 위치 또는 목표 영역 그리고 상기 목표 영역에 물품을 이송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영역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송 차량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차량은 상기 목표 영역까지의 경로를 따른다.
본 발명은 또한 개선된 재료 취급 시스템으로서, 저장 컨테이너는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이 저장 위치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송하도록 그리고 저장 위치로부터 저장 컨테이너를 인출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이며, 저장 위치는 저장 컨테이너들이 앞뒤로 위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평 배향으로 다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갖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저장 위치로 트랙을 따라 차량을 안내하도록 하는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저장 위치는, 저장 위치들이 수직으로 서로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 위치는, 복수 개의 컬럼(column) 또는 로우(row)로 된 저장 위치의 어레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또한 이웃한 저장 컨테이너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저장 위치에서 제1 저장 컨테이너를 옮기면 제1 저장 위치 내에서의 제2 저장 컨테이너가 옮겨지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 개의 물품을 저장 또는 인출하기 위한 재료 취급 시스템으로서, 목표지로 물품을 이송 및 인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을 포함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차량을 안내하기 위한 트랙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복수 개의 저장 위치가 서로 수직으로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인 복수 개의 저장 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위치는, 시스템에 포함되는 트랙을 따라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저장 위치 중 하나 이상은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저장 위치에서 서로 이웃하게 저장되는 저장 컨테이너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저장 위치에서의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변위에 의해 동일한 저장 위치에서의 상호 연결된 컨테이너 또는 컨테이너들이 드러나도록 저장 컨테이너들을 연결한다. 상기 차량은 차량과 저장 위치 사이에서 저장 컨테이너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달 메커니즘은, 제1 컨테이너 또는 제2 컨테이너가 차량에 대해 옮겨질 때 상호 연결된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가 옮겨지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재료 취급 시스템은, 복수 개의 대체로 수평의 트랙 섹션들로서 서로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인 복수 개의 트랙 섹션들을 갖는 트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 시스템은 또한 복수 개의 대체로 수직의 트랙 섹션으로서 서로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인 복수 개의 트랙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의 트랙 섹션 및 상기 수평의 트랙 섹션은 트랙 루프(track loop)의 형성을 위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재료 취급 시스템용 저장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제2 저장 컨테이너에 대한 제1 저장 컨테이너의 수평 변위를 방해하는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연결 가능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갖는다.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연결은, 수평 변위 중에 제2 컨테이너의 중량을 지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1 컨테이너를 수평방향으로 옮기면 제2 컨테이너가 수평방향으로 옮겨지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연결은 제2 컨테이너에 대한 제1 컨테이너의 수직 변위를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제1 저장 컨테이너와 제2 저장 컨테이너를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갖는 저장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커넥터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제1 커넥터가 변위되면 제2 커넥터로부터 제1 커넥터를 분리시키게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저장 컨테이너들을 서로에 대해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갖는 저장 컨테이너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커넥터는 텅(tongu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텅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가 위치하는 저장 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 위치는, 제1 컨테이너가 제2 컨테이너 앞에 위치하게 되는 수평 정렬로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위치는, 이송 차량이 제1 컨테이너와 정렬될 때 제1 컨테이너가 이송 차량으로부터 제2 컨테이너가 떨어져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를 저장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 개의 저장 위치를 갖는 재료 취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위치 각각은 깊이를 가지며, 저장 컨테이너들 중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 각각은 길이를 갖고, 일 저장 위치의 깊이는 적어도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의 조합된 길이만큼 길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재료 취급 시스템을 위한 이송 차량을 제공하며, 각각의 차량은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해 대체로 평평한 플랫폼을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랙과 제2 랙 사이에 복도가 형성되도록 저장 위치의 제2 랙(rack)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저장 위치의 제1 랙을 포함하는 재료 취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료 취급 시스템은 상기 복도의 단부에 배치되는 픽킹 스테이션(picking st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조작자가 상기 픽킹 스테이션에서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픽킹 스테이션으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송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복도 내에서 변위 가능한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트랙에 맞물리는 구동 휠; 저장 컨테이너가 트랙을 넘어 상기 복도 내로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트랙에 대해 위치할 수 있는 저장 위치의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재료 취급 시스템을 위한 컨테이너로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차량의 전달 메커니즘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요소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물품을 저장 또는 인출하기 위해 재료 취급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복수 개의 벽; 저장 컨테이너들 중 2개의 저장 컨테이너 사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도록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저장 컨테이너를 수평방향으로 옮기기 위해 상기 재료 취급 시스템의 전달 메커니즘과 협동하도록 구성되는 맞물림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재료 취급 시스템은 저장 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는 저장 위치의 깊이의 절반 이하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테이너들 중 2개는 2개의 컨테이너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저장 위치에 꼭 맞게 된다.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또한 해제 가능한 연결의 형성을 위해 연결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재료 취급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1 컨테이너 및 제2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컨테이너는, 2개의 컨테이너를 연결하기 위해 제1 컨테이너의 제1 커넥터가 제2 컨테이너의 제2 커넥터에 연결 가능하게 되도록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송 차량의 전달 메커니즘에 의한 제1 컨테이너의 수평 변위에 의해 제2 컨테이너가 변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제2 커넥터의 연결은 제2 컨테이너에 대한 제1 컨테이너의 수평 변위를 방해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 개의 저장 위치에 컨테이너를 저장하고 복수 개의 저장 위치로부터 컨테이너를 인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 개의 저장 위치 중에서 운송 경로를 따라 제1 저장 컨테이너와 함께 제1 차량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저장 컨테이너는 제1 차량으로부터 제1 저장 위치로 언로딩(unloading)된다. 상기 제1 저장 컨테이너는 제1 저장 위치에서 제2 저장 컨테이너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차량은 이때 언로딩 단계 이후에 제1 저장 위치로부터 멀리로 옮겨지게 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컨테이너를 저장 및 인출하기 위한 방법은, 저장 위치에서의 제2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저장 위치에서의 제1 저장 컨테이너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기 단계는 제2 컨테이너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제1 컨테이너를 변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차량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저장 및 인출하기 위한 방법은, 제2 컨테이너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제1 컨테이너를 변위시킴으로써, 연결된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차량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저장 및 인출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저장 컨테이너와 제2 저장 컨테이너를 해제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단계 이후에 차량에 제1 저장 컨테이너를 로딩(loa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로딩하는 단계 동안 제1 저장 컨테이너는 제2 저장 컨테이너를 차량쪽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차량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저장 및 인출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저장 컨테이너를 저장 위치로 언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언로딩하는 단계는, 제2 컨테이너를 저장 위치 내로 더 깊게 구동시키기 위해 제2 저장 컨테이너에 대해 제1 저장 컨테이너를 미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언로딩하는 단계는, 제1 저장 컨테이너를 제1 차량으로부터 떨어뜨리게 구동하기 위해 제1 차량 상의 언로딩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상의 개괄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으면 가장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저장 및 인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저장 및 인출 장치의 트랙을 예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제시된 저장 및 인출 장치의 차량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제시된 트랙의 게이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제시된 트랙의 게이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제시된 트랙의 게이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제시된 차량의 휠(wheel) 및 도 2에 제시된 트랙의 일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 제시된 장치의 복수의 저장 위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에 제시된 장치의 저장 위치에서의 저장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a는,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 9에 제시된 저장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10b는,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 9에 제시된 저장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10c는,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 9에 제시된 저장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10d는,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 9에 제시된 저장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10e는,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 9에 제시된 저장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10f는,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 9에 제시된 저장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10g는,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 9에 제시된 저장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10h는,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저장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의 단계를 나타내는, 도 9에 제시된 저장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에 제시된 장치의 저장 랙의 일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장치의 차량을 비롯한, 도 1에 제시된 장치의 저장 랙의 일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제시된 장치의 저장 컨테이너들 사이의 해제 가능한 연결부에 관한 부분 측면도이며, 여기서 저장 컨테이너들은 연결되어 있다.
도 14는 도 1에 제시된 장치의 저장 컨테이너들 사이의 해제 가능한 연결부에 관한 부분 측면도이며, 여기서 저장 컨테이너들은 분리되어 있다.
이제 대체로 상기 도면들 그리고 특히 도 1을 참고하면, 물품을 저장 및/또는 인출하도록 되어 있는 재료 취급 장치가 대체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장치(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운송 경로를 따라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복수의 차량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내용과 부합되게, 상기 제1 위치는 하나 이상의 저장 랙에서의 복수 개의 저장 위치(50) 중에서 선택 가능한 저장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저장을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 예컨대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또는 저장 컨테이너로 물품이 픽킹(picking), 분류, 및/또는 전달될 수 있게 하는 물품 전달 스테이션(300)이다. 상기 장치(10)는 운반 경로를 따라 물품(또는 물품을 수용하는 컨테이너)을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80)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랙(35, 40)에 이웃한 복도(20)에서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복수 개의 운송 차량 또는 운송 차량들(200)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도(20)는, 차량이 하나 이상의 경로를 따라 복도 내에서 이동하게 되도록 한 쌍의 랙(35, 40) 사이에 형성되는 가늘고 긴 복도일 수 있다. 트랙(110)은, 상기 랙에서의 저장 위치로 차량이 진행하게 하기 위한, 복도 내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는 상기 복도의 한쪽에서의 전방 랙(35)에 이웃하는 전방 트랙(115)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랙(40)에 이웃하는 후방 트랙(120)은 복도(20)를 형성하도록 전방 트랙(115)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을 수 있다. 차량(200)은 트랙을 따라 복도(2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은, 전방 트랙(115)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전방 휠 그리고 후방 트랙(120)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후방 휠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저장 랙(35, 40)은, 다양한 물품을 저장하는 컨테이너(80)를 저장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저장 위치(50)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은 트랙(110)을 따라 저장 위치로 이동한다. 저장 위치(50)에서, 차량은, 이 차량으로부터의 물품을 저장 위치 중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차량은 저장 위치 중 하나로부터의 물품을 차량으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 차량으로부터의 물품을 저장 위치로 전달하는 한편 동시에 상이한 저장 위치로부터의 물품을 차량 상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위치는 복도에 이웃한 위치들의 어레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아래에 추가로 언급되는 바와 같이, 랙(35, 40)은, 랙에서의 저장 컨테이너(80)의 저장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저장 컨테이너가 2배 이상의 깊이로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 깊이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 랙
저장 랙(35, 40) 및 이 저장 랙에서의 저장 위치에 관한 세부사항을 이제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저장 랙(35, 4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저장 랙은,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저장 위치(50) 또는 목표 영역의 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위치(50)는 컬럼으로서 배치될 수 있지만, 상기 저장 위치는 예컨대 로우와 같은 임의의 다양한 구성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저장 영역(50)으로 물품을 이송할 때 및/또는 저장 영역(50)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때의 상기 시스템이 설명된다. 상기 물품은, 개별 물품이 저장 위치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작동 환경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저장 메커니즘 내에 또는 저장 메커니즘 상에, 예컨대 컨테이너 또는 플랫폼 내에 혹은 컨테이너 또는 플랫폼 상에 저장된다.
이제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저장 랙(35, 40), 구체적으로 저장 위치(50)가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저장 위치(50)는 임의의 다양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 간단한 구성은, 물품 또는 물품을 유지하는 컨테이너를 지지하기 위한 선반이다. 마찬가지로, 저장 위치(50)는, 저장 위치에서 저장 메커니즘을 지지하기 위해 저장 메커니즘과 협동하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35)은, 복수 개의 수평 지지부, 예컨대 수평 비임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복수 개의 수직 지지부, 예컨대 수직 비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트랙(110)은 수직 지지 비임 부분 및 수평 지지 비임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랙(35)은 컬럼(column)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컬럼은 복수 개의 지지부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컬럼은, 2개의 전방 지지 비임 및 2개의 후방 지지 비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수직 비임은 트랙의 수직 레그(130; leg)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컬럼은 복수 개의 저장 영역(5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컬럼은 복수 개의 저장 영역 또는 셀(50; cell)로 분리된다. 각각의 셀은, 컨테이너가 셀 내에 저장될 수 있게 되도록 컨테이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요소는 저장 위치에서 컨테이너를 지지하기 위한 임의의 다양한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저장 위치는, 컨테이너가 배치될 수 있는 선반 또는 다른 수평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35)은, 수직 지지부(130)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브라켓, 예컨대 L자형 채널(5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2)은 각각의 저장 위치(50)의 깊이만큼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지지 위치(50)는 이웃하는 수직 지지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웃하는 한 쌍의 수평 지지 요소(52)로부터 수평 지지부의 상위 쌍 또는 랙의 상부에 이웃하는 지점까지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영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저장 위치(50)는, 컨테이너(80)가 복도를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어 컨테이너의 내측 단부가 수직 지지부를 넘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컨테이너(80)는, [복도(20)에 대한] 컨테이너의 내측 에지가 복도 내로 오버행(overhang)되도록 지지 위치(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랙은, 저장 위치(50) 중 하나 이상이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 위치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대략적으로 저장 컨테이너(80)의 2배 깊이로 되어, 2개의 저장 컨테이너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하나의 저장 컨테이너는 다른 저장 컨테이너 너머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 위치는 임의의 개수의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랙(35, 40)은, 저장 위치 중 하나 이상이 3개의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컨테이너의 3배의 깊이가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위치(50)는 저장 컨테이너(80)의 길이의 대략 3배의 깊이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랙의 깊이는, n이 정수일 때 “n”개의 깊이만큼 저장된 “n”개의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해 저장 컨테이너의 길이의 대략 “n”배가 되도록 길어질 수 있다.
도 9의 예시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n”이 2인 경우 “n”개의 깊이의 구성에서 컨테이너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과 관련하여 예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한쪽에 오직 단일 랙만을 포함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도 9에서는, 2개의 랙, 즉 전방 랙(35) 및 후방 랙(40)을 갖는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랙은 2배 깊이의 구성으로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랙(35, 40)들은 동일한 개수의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전방 랙은 2배 깊이의 랙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후방 랙(40)은 1배 깊이의 랙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위치는 도 8 및 도 9에 제시된 구성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저장 위치(50)는 내측 저장 위치(55) 및 외측 저장 위치(57)를 포함한다. 내측 저장 위치(55) 및 외측 저장 위치(57) 각각은 컨테이너(8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내측 저장 위치(55)는 복도(20)에 이웃한다. 외측 저장 위치(57)는 내측 저장 위치(55) 너머에 존재하며, 이에 따라 내측 저장 위치는 외측 저장 위치를 복도(20) 및 차량(200)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내측 저장 위치(55)는, 컨테이너(8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외측 저장 위치(57)는, 컨테이너(8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외측 저장 위치(57)는 원격 저장 위치로서 간주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외측 저장 위치는 내측 저장 위치에 의해 복도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2배보다 큰 깊이를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저장 위치는, 내측 저장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외측 저장 위치에 의해 복도로부터 떨어져 있는 저장 위치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저장 위치로 물품을 전달하고 저장 위치로부터 물품을 전달하기 위해 저장 위치로 운반되는 복수 개의 차량(2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200)은, 저장 위치(50)로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또는 저장 위치로부터 물품을 회수하기 위한 로딩/언로딩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컨테이너가 2배 이상의 깊이로 저장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차량이 원격 저장 위치들 중 하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인출할 수 있게 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차량은, 내측 저장 위치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해 원격 저장 위치에서의 저장 컨테이너와 맞물리도록 및/또는 원격 저장 위치로부터 차량 상으로 컨테이너를 로딩하도록 원격 저장 위치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되는 로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원격 저장 위치로부터 내측 저장 위치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랙은, 원격 저장 위치로부터 복도를 향해 컨테이너를 구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별도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차량들 중 하나로부터의 구동 메커니즘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은, 원격 저장 위치에서의 컨테이너를 이웃한 컨테이너와 서로 연결시켜, 컨테이너들 중 하나를 옮기면 2개의 컨테이너 모두가 옮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원격 저장 위치에서의 컨테이너는 내측 저장 위치에서의 컨테이너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내측 저장 위치에서의 컨테이너가 복도(20)를 향해 이동하게 될 때, 원격 저장 위치에서의 컨테이너는 내측 저장 위치를 향해 옮겨지게 된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저장 컨테이너(80)는 이웃한 컨테이너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저장 컨테이너는 하나 이상의 이웃한 컨테이너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가능한 커넥터(90)가 2개의 이웃한 컨테이너(80A, 80B)를 연결시킨다. 상기 해제 가능한 커넥터는 선택적으로 2개의 컨테이너를 연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테이너(80A)를 수평방향으로 옮기면 또한 컨테이너(80B)가 옮겨지게 된다. 추가적으로, 해제 가능한 커넥터(90)는 한 방향으로의 상대 운동을 방해할 수 있는 반면, 제2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의 상대 운동은 허용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연결부는, 하나의 컨테이너의 수평 변위에 의해 다른 컨테이너가 옮겨지도록, 컨테이너(80A 및 80B)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동시에, 상기 해제 가능한 커넥터는, 하나의 컨테이너의 다른 컨테이너에 대한 수직 변위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과 도 14에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해제 가능한 커넥터(90)는, 상대 수직 변위를 허용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이웃한 컨테이너를 연결시키도록 또는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의 논의에 있어서, 예시적인 저장 컨테이너(80)에 관한 세부사항이 제시된다. 컨테이너(80)는, 뚜껑이 없는 박스 또는 카튼(carton)와 유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픽킹 스테이션에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해 컨테이너 내로 용이하게 손을 뻗을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컨테이너들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다양한 저장 메커니즘, 예컨대 파렛트 또는 유사한 플랫폼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에 따르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 컨테이너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파렛트, 플랫폼, 트레이, 카튼, 박스, 리셉터클, 또는 유사한 구조체를 비롯하여 물품을 저장 및/또는 지지하도록 의도되는 용품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저장 컨테이너(80)는, 대체로 평면적인 바닥(83)을 갖춘 직각 프리즘(rectangular prism)일 수 있다. 바닥(83)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어,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플랫폼을 형성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또한 바닥(83)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대체로 수직인 복수 개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80)는 대체로 평행한 측벽(8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바닥(83)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전방 벽(8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front face)은 측벽(82)들 사이에 연장되어 측벽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테이너는 바닥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후방 벽(86)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벽(86)은 전방 벽(84)과 대체로 평행할 수 있다. 후방 벽(86)은 역시 측벽(82)들 사이에 연장되어 측벽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컨테이너(80)의 벽(82, 83, 84, 86)은, 물품이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한정한다.
컨테이너(80)는, 차량(200) 상에 컨테이너를 전달하거나 또는 차량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옮기기 위해 차량과 협동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컨테이너는 후크, 오목부(detent), 소켓, 또는 차량과 협동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물리적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차량의 로딩/언로딩 요소(212)와 협동하도록 구성되는 유지 슬롯 또는 유지 홈(88)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홈(88)은 바닥(83) 아래로 컨테이너(80)의 아래쪽에 형성될 수 있다. 유지 홈(88)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전면(84)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거리를 두고 있을 수 있다. 유지 홈(88)은 실질적으로 컨테이너의 전체 폭만큼 연장될 수 있다. 유지 홈은 또한, 홈이 관통 슬롯이 되도록 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부(82)에 개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지 홈은 차량(200)의 로딩/언로딩 요소(212)의 두께보다 더 깊고, 이에 따라 상기 로딩/언로딩 요소는, 로딩/언로딩 요소가 수평방향으로 변위될 때 내측을 향해 또는 외측을 향해 컨테이너를 구동시키기 위해 유지 홈 내에 안착한 상태로 유지된다. 컨테이너(80)는 또한 후방을 향하는 벽(86)에 이웃한 제2 홈 또는 제2 슬롯(8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제1 홈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후방을 향한 벽(86)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거리를 두고서, 상기 후방을 향한 벽에 이웃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이웃한 컨테이너(80A, 80B)들을 해제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해제 가능한 커넥터(90)가 제시된다. 커넥터(90)는 원격 저장 위치(57)로부터 내측 저장 위치(55)로 컨테이너들 중 하나를 옮기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해제 가능한 커넥터(90)는 후크 또는 랫치(latch)와 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제 가능한 커넥터(90)는 협동 가능한 한 쌍의 커넥터(92B, 96A)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커넥터(92)는 컨테이너(80)의 전방 단부(84)와 연결될 수 있고, 후방 커넥터(96)는 컨테이너(80)의 후방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컨테이너(80B)의 전방 커넥터(92B)는 제2 컨테이너(80A)의 후방 커넥터(96A)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2개의 컨테이너를 연결시키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커넥터(92)는 대체로 수직으로 하방 연장되는 텅의 형태인 후크이다(도 14에서의 92B 참고). 전방 커넥터(92)는 컨테이너의 전방 단부에 이웃한 리세스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다. 본 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넥터는 L자 형상의 브라켓이다. 상기 L자 형상의 브라켓은, 컨테이너의 바닥과 강건하게 그리고 고정되게 연결되는 본체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커넥터(92)의 본체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커넥터(92)를 통해 컨테이너 내로 연장되는 패스너에 의해 컨테이너에 고정될 수 있다. 전방 커넥터의 텅(94)은 상기 본체 부분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텅은 제2 커넥터(96)와 맞물리는 수직 플랜지 또는 수직 후크를 형성하게 하방을 향해 돌출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커넥터는, 차량의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2)과의 결합에 사용되는 홈(88)의 전방으로 컨테이너에 연결될 수 있다.
후방 커넥터(96)는 제1 후크(92)와 협동하는 제2 후크일 수 있다. 후방 커넥터(96)는 컨테이너(80)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제2 커넥터(96)는, 상방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 또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커넥터(96)는, 제1 커넥터(92)의 텅(9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홈 또는 채널(98)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98)은, 이 채널이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하도록 컨테이너(80)의 후방 단부(8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컨테이너의 바닥과 강건하게 그리고 고정되게 연결되는 본체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커넥터(96)의 본체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평평한 부분일 수 있고, 커넥터(96)를 통해 컨테이너 내로 연장되는 패스너에 의해 컨테이너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테이너(80B)의 전방 커넥터(92B)의 텅(94B)은 제2 컨테이너(80A)의 후방 커넥터(96A)의 슬롯 내로 삽입되어, 제1 컨테이너와 제2 컨테이너가 연결되게 한다. 이하에서 추가로 언급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컨테이너 사이의 연결은,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옮겨질 때 상기 2개의 컨테이너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측 저장 위치로부터 차량 상으로 제1 컨테이너를 잡아당기면, 연결된 컨테이너가 원격 저장 위치로부터 내측 저장 위치를 향해 잡아당겨진다.
트랙
도 1 및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200)을 저장 위치로 조작하도록 저장 위치에 이웃한 트랙이 마련될 수 있다. 트랙(110)은, 트랙 주위에서 차량을 안내하도록 서로 평행한 전방 트랙(115) 및 후방 트랙(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차량은 4개의 휠(220), 즉 2개의 전방 휠 및 2개의 후방 휠을 포함한다. 전방 휠(220)은 전방 트랙에 올라타는 반면, 후방 휠은 후방 트랙에 올라탄다. 트랙에 관한 언급에 있어서, 전방 트랙(115) 및 후방 트랙(120)은, 차량의 전방 휠 및 후방 휠(220)을 지지하는 대향 트랙으로 유사하게 구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에 따르면, 전방 트랙 또는 후방 트랙의 일부에 관한 설명은 대향하는 전방 트랙 또는 후방 트랙에 적용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트랙에 관한 세부사항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시된 트랙은 단지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트랙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정확한 구성은 용례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트랙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트랙(110)은, 외측 벽(152) 그리고 이 외측 벽으로부터 멀리 거리를 두고 상기 외측 벽에 대해 평행한 내측 벽(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은 또한 상기 내측 벽과 상기 외측 벽 사이에 연장되는 이면 벽(1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 벽(152) 및 내측 벽(154)과 이면 벽은 채널을 형성한다. 차량의 휠(220)은 이 채널에 올라탄다.
상기 트랙은 구동면(156) 및 안내면(158)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면은 차량과 확실하게 맞물려, 차량이 트랙을 따라 진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안내면(158)은 차량을 안내하여, 구동면(156)과 작동 가능하게 맞물린 상태로 차량을 유지시킨다. 본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면은 일련의 치형부로 형성되어,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휠과 맞물리는 랙을 형성한다. 안내면(158)은 랙(156)에 이웃하는 대체로 평평한 표면이다. 랙(156)은 트랙을 가로질러 대략 중간만큼 연장되며, 안내면(158)은 트랙의 나머지 절반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56)은 트랙의 내측 벽(15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대향하는 외측 벽(152)은, 내측 벽의 안내면(158)에 대해 평행한 대체로 평평한 표면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트랙(110)은, 수평방향 상위 레일(135)과 하위 레일(140) 사이에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직 레그(vertical leg)를 포함할 수 있다. 교차부(170)가 트랙의 각각의 섹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섹션에서 수직 레그 중 하나는 수평 레그 중 하나와 교차한다. 각각의 교차부는, 곡선형의 내측 지형부(172; branch) 그리고 대체로 똑바른 외측 지형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위 레일과 수직 레그의 교차부는, 교차부가 역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찬가지의 교차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교차부(170)는, 매끈한 곡선형의 내측 레이스 그리고 트랙을 위한 구동면(156)의 치형부에 대응하는 치형부를 갖는 평평한 외측 레이스를 가질 수 있는 피봇 가능한 게이트(18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18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 게이트(180)는 폐쇄되며, 이에 따라 게이트의 똑바른 외측 레이스(184)는 교차부의 똑바른 외측 지형부(176)와 정렬된다. 상기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개방되며, 이에 따라 게이트의 곡선형 내측 레이스(182)는 교차부의 곡선형 지형부(172)와 정렬된다.
이에 따르면,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하방을 향해 피봇되어, 게이트의 외측 레이스(184)가 구동면(156)과 정렬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차량이 곡선형 부분 아래로 턴(turn)하지 못하게 차단하며, 이에 따라 차량은 교차부를 통해 계속 똑바로 진행한다. 대조적으로,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가 개방 위치로 피봇되면, 상기 게이트는 차량이 교차부를 통해 똑바로 진행하지 못하게 차단한다. 대신, 상기 게이트의 곡선형 내측 레이스(182)는 내측 지형부(172)의 곡선형 표면과 정렬되며, 상기 차량은 교차부를 통해 턴(turn)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게이트가 폐쇄될 때, 차량은, 교차부의 위치에 따라, 상위 레일(130) 또는 하위 레일을 따라 교차부를 통해 똑바로 진행한다. 상기 게이트가 개방되면, 상기 게이트는, 교차부의 위치에 따라, 차량을 수직 레일로부터 수평 레일로 혹은 수평 레일로부터 수직 레일로 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차량들 중 하나가 계속 동일한 방향으로(예컨대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는 것 또는 일 방향으로(예컨대, 수직방향으로) 턴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일부 용례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수직 컬럼과 교차하는 2개 초과의 수평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1개 초과의 방향으로 차량이 턴하는 것을 허용하는 다양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컬럼 아래로 진행하면, 상기 게이트는, 차량이 수평 레일 아래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턴하는 것, 혹은 수직 컬럼을 따라 똑바르게 진행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방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시스템(10)이 다수의 차량(200)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위치는, 다양한 차량의 상호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제어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10)은, 각각의 차량(200)의 위치를 추적하고 각각의 차량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트랙을 따르는 차량의 진행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기를 이용한다. 상기 중앙 제어기는 또한 트랙을 따르는 다양한 요소, 예컨대 게이트(18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상기 게이트는 차량(200)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게이트(180)는, 차량의 액추에이터(230)에 응답하는 수동 액추에이터(19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상의 액추에이터가 게이트 액추에이터(190)와 맞물리면, 이때 상기 게이트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는, 차량이 수평 레일(135)을 따라 유지되도록 제1 위치에 존재한다. 차량(200) 상의 게이트 액추에이터(230)가 게이트 상의 액추에이터(190)와 맞물리면, 게이트(180)는, 차량이 수직 레일(130)을 따라 하방을 향해 턴하고 이동하게 되도록 제2 위치로 상?을 향해 피봇하게 된다.
게이트 상의 액추에이터(190)는 링크에 의해 게이트에 연결된 이동 가능한 작용면(192)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용면(192)은 피봇 가능한 아암(19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를 작동시키고 상기 게이트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차량 상의 게이트 액추에이터(230)는 작용면(192)과 접촉한다. 상기 작용면은 경사부(ramp)와 마찬가지로 기울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이 게이트를 향해 전전할 때, 차량 상의 게이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작용면과 맞물리고, 아암(193)을 상방을 향해 점차적으로 변위시킨다. 아암(193)은 링크에 의해 게이트(18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아암(193)이 피봇할 때, 게이트도 역시 피봇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상의 액추에이터(230)는 게이트 상의 액추에이터와 맞물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게이트를 이동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0)이 개방된 게이트를 지난 이후, 상기 게이트는 도 4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상기 게이트는, 예컨대 게이트 및/또는 액추에이터의 중량 또는 편향 요소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송 차량
도 3을 참고하여, 이송 차량(200)의 세부사항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각각의 이송 차량은, 내장 전원을 포함하는 내장 구동 시스템을 가질 수 있는 반자동 차량이다. 각각의 차량은 또한 이송하려는 물품을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차량은 또한, 차량이 선택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게이트(180)를 선택에 따라 작동시키는 게이트 액추에이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200)은, 차량 상에 물품을 로딩하고 차량으로부터 저장통(bin)들 중 하나에 물품을 내리기 위한 임의의 다양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0)은 특정 용례를 위해 구체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0)은, 저장 위치(50)에 저장된 물품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변위 가능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품을 차량 상으로 잡아당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저장 위치(50)에서 컨테이너(80)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변위 가능한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 가능한 요소가 컨테이너(80)와 맞물린 이후, 상기 변위 가능한 요소는 저장 위치(50)로부터 멀리로 변위되어, 컨테이너를 차량(200) 상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본 예에 있어서,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0)은 변위 가능한 로드 또는 바아(2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아(212)는 차량(200)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양 단부는 차량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 체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저장 위치를 향해 또는 저장 위치로부터 멀리 체인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가 체인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80)의 인출을 위해 차량이 저장 위치로 접근할 때, 상기 체인은 저장 위치를 향해 로드(212)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아는 컨테이너(80)의 바닥에 있는 홈 또는 노치에 맞물린다. 상기 체인은 이후 역전되며, 이에 따라 바아(212)는 저장 위치(50)로부터 멀리로 이동한다. 상기 바아가 컨테이너에 있는 노치(88) 내에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바아가 저장 위치로부터 멀리로 이동함에 따라, 바아(212)는 컨테이너를 차량 상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0)은 저장 위치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게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장 위치(50)에 물품을 저장하기 위해,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0)의 체인은, 물품이 저장 위치에 존재하게 될 때까지 저장 위치를 향해 바아(212)를 구동시킨다. 상기 차량은 이후, 컨테이너(80)로부터 바아를 분리시켜 컨테이너를 해제시키기 위해, 하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로딩/언로딩 메커니즘은, 바아(212)가 노치(88)와의 맞물림에서 벗어나 하방을 향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0)은 트랙(110)의 전방측에 이웃하는 저장 위치(50)의 어레이 그리고 트랙의 후방측에 이웃하는 저장 위치의 제2 어레이를 포함하기 때문에,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0)은 전방 어레이 및 후방 어레이에 있는 물품을 인출하도록 그리고 전방 어레이 및 후방 어레이에 물품을 저장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0)은 서로 거리를 두고 있는 2개의 바아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아는 전방 어레이에 있는 컨테이너와 맞물리도록 작동 가능한 반면, 제2 바아는 저장 위치의 후방 어레이에 있는 컨테이너와 맞물리도록 작동 가능하다.
차량(200)은, 트랙(110)을 따라 차량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는 4개의 휠(220)을 포함할 수 있다. 휠(220)은,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있는 2개의 차축(215)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휠들 중 2개는 차량의 전방 에지를 따라 배치되고 휠들 중 2개는 차량의 후방 에지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차량은 휠(220)을 구동시키기 위한 내장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모터는 차축(215)을 회전시키도록 차축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차축은 결국 휠의 기어(222)를 회전시킨다. 상기 차량을 위한 구동 시스템은, 트랙을 따라 차량을 동기식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각각의 기어가 동기식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차량(200)은, 차량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외부 전원, 예컨대 레일을 따른 컨택트(contact)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구동 모터 및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0)을 구동하는 모터 양자 모두를 위해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내장 전원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충전 가능하다. 상기 전력 공급부는 전원, 예컨대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예에서는, 상기 전력 공급부가 하나 이상의 울트라커패시터(ultracapacitor)로 형성된다. 상기 울트라커패시터는, 울트라커패시터의 충전을 위해 매우 높은 암페어를 받아들일 수 있다. 큰 전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울트라커패시터는 매우 짧은 시간, 예컨대 수 초 이하에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컨택트를 포함한다. 본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복수 개의 브러시, 예컨대 브러시가 외측으로 편향되게 스프링 로딩되어 있는 구리 브러시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전원의 충전을 위해 충전용 레일과 협동한다.
각각의 차량은, 물품이 차량 상에 로딩되어 있는지를 탐지하기 위한 로드 센서(load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는, 물품이 적절히 차량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드 센서는, 중량 변화를 탐지하는 힘 센서 또는 물품의 존재를 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시스템의 중앙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차량은, 차량이 트랙을 따라 진행하면서 중앙 프로세서와 연속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되도록 무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일부 용례에서는, 트랙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서 또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센서 신호 및/또는 인디케이터를 감지하기 위한 판독기뿐만 아니라 센서 또는 인디케이터에 응답하여 차량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픽킹 스테이션(picking station) 및 트랙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10)은, 차량(200)이 저장 위치(50)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고 이 물품을 픽킹 스테이션(300)으로 운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픽킹 스테이션(30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한 가지 작동 모드에 있어서, 시스템(10)은 주문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물품을 인출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주문은 내부 주문, 예컨대 다른 부서에서의 제조 과정에 필요한 부품일 수도 있고, 상기 주문은 고객에 대해 실행 및 선적되어야 할 고객 주문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상기 시스템은 저장 영역으로부터 물품을 자동적으로 인출하며, 이 물품을 픽킹 스테이션으로 이송하고, 이에 따라 조작자는 컨테이너로부터 필요한 개수의 물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물품이 컨테이너로부터 꺼내어진 이후에, 상기 차량은 전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주문을 위해 요구되는 다음 물품이 전진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은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되며, 이에 따라 조작자는 주문에 대해 필요한 모든 물품을 꺼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픽킹 스테이션(300)은 저장 위치들의 어레이의 일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트랙(110)을 따라 위치하는 다수의 픽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픽킹 스테이션이 저장 위치들의 어레이의 대향 단부를 따라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수의 픽킹 스테이션이 일 단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픽킹 스테이션은 복도의 일 단부에서 제1 픽킹 스테이션 위에 위치하게 될 수도 있다.
픽킹 스테이션(300)은, 상기 차량이 조작자에게 내용물을 제공하도록 상방을 향해 진행하여 조작자가 컨테이터(80)로부터 물품을 더욱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픽킹 스테이션에서, 상기 트랙은 조작자로부터 멀리로 상방을 향해 구부러진 곡선형 섹션(315)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차량은 상방을 향해 이동하며, 이후 조작자가 컨테이너로부터 물품을 제거하기 용이하게 하는 높이에서 정지한다. 상기 조작자가 컨테이너로부터 물품을 제거한 이후에, 상기 차량은 조작자로부터 멀리 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상위 수평 레일(135)까지 수직으로 이동한다.
상기 시스템은 픽킹 스테이션(300)에서 차량이 틸팅(tilting)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작자가 컨테이너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기 더욱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이 픽킹 스테이션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전방 세트의 휠이 정지한 이후에 후방 세트의 휠이 계속 구동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조작자의 시각으로부터) 차량의 후방 에지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조작자가 컨테이너로부터 물품을 꺼낸 이후에, (조작자에 대해) 전방 세트의 휠이 우선 구동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일단 수평을 유지하게 되면, 4개의 휠이 동기식으로 구동된다.
상기 차량은 차량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틸팅될 수 있지만,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트랙에서의 치형부와 맞물리는 치형 휠(220)과 같이, 차량의 휠이 트랙에서의 구동 요소와 확실하게 맞물리면, 후방 휠이 전방 휠과 다른 속도로 구동되더라도 휠(220)은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트랙 시스템은, 조작자를 향해 컨테이너를 틸팅시키게 트랙이 이동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픽킹 스테이션(300)에서의 상기 트랙 시스템에 관한 세부사항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저장 위치들의 컬럼의 단부에서, 상기 트랙은 시스템의 수직 컬럼으로부터 멀리로 외측을 향해 구부러져 픽킹 스테이션(300)의 곡선형 트랙(315)을 형성한다. 상기 픽킹 스테이션의 트랙 섹션은, 차량(200)의 전방 차축(215)을 지지 및 안내하는 평행한 전방 트랙 섹션들을 포함하고, 차량의 후방 차축(215)을 지지 및 안내하는 평행한 후방 트랙 섹션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트랙 섹션은 수직하게 상방을 향해 연장되며, 이후 저장 위치의 수직 컬럼을 향해 다시 구부러진다. 상기 후방 트랙 섹션은 상기 전방 트랙 섹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상기 전방 트랙 섹션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만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전방 트랙 섹션 및 상기 후방 트랙 섹션은, 상기 차량이 곡선형 트랙(315)을 따라 구동될 때 차량이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차량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후방 트랙 섹션은, 상기 차량이 픽킹 스테이션(300)에 정지되어 있는 동안 차량(200)의 후방 차축이 상승할 수 있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200)의 후방 차축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차량 상의 컨테이너는 틸팅되어, 조작자가 픽킹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컨테이너의 내용물을 제공하게 한다.
픽킹 스테이션(300)은 픽킹 스테이션의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픽킹 스테이션은 조작자에게 도움이 되도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픽킹 스테이션에 접근함에 따라, 시스템(10)은, 예컨대 주문을 위해 얼마나 많은 물품을 컨테이너로부터 꺼내야 하는지와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조작자는 다수의 주문에 대한 물품을 꺼낼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은, 각각의 주문을 위해 얼마나 많은 물품을 꺼내야 하는지 이외에도, 물품을 꺼내야 하는 대상 주문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조작자가 적절한 개수의 물품을 컨테이너로부터 꺼낸 이후에 컨테이너에 얼마나 많은 물품이 남아있어야 하는지와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시스템의 한 가지 특징은, 상기 차량이 (상위 레일 또는 하위 레일을 따르는) 수평방향 진행으로부터 (컬럼들 중 하나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진행하게 이동할 때 상기 차량의 배향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수평방향으로 진행할 때, 2개의 전방 전동 휠(220)은 전방 트랙(115)의 상위의 또는 하위의 수평 레일(135 또는 140)과 협동하며, 2개의 후방 전동 휠(220)은 후방 트랙(120)의 상위의 또는 하위의 레일(135 또는 140)과 협동한다. 상기 차량이 게이트를 통과한 후 컬럼 내로 통과함에 따라, 상기 2개의 전방 전동 휠은 전방 트랙(115)에서 수직 레그(130)의 쌍과 맞물리며, 상기 2개의 후방 전동 휠은 후방 트랙(120)에서 대응하는 수직 레그와 맞물린다. 수평에 대한 상기 차량의 배향이 변하지 않는다고 할 때 이는 트랙 주위에서의 차량의 진행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상기 차량이 픽킹 스테이션에서 수평에 대해 틸팅될 수 있더라도, 상기 차량은, 차량이 트랙(110)을 따라 진행할 때 수평에 대해 대체로 일정한 배향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여전히 간주된다.
상기 차량이 수평 레일로부터 수직 컬럼으로 또는 수직 컬럼으로부터 수평 레일로 진행할 때, 상기 트랙은 4개의 전동 휠 모두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차량이 트랙을 따라 진행할 때, 차량은 수평방향의 이동과 수직방향의 이동 사이에서 변할 때 삐뚤어지거나 틸팅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상기 차량이 단일 차축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앞서 언급한 차량의 대체로 수평인 배향에 반대되게 대체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단일 차축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중량에 의해 차량의 배향이 유지된다. 그러나, 단일 차축 차량을 이용할 때, 저장 위치의 배향은 차량의 수직 배향을 허용하도록 재구성된다.
작동
일단 상기 중앙 제어기가 물품에 대한 적절한 저장 위치(50)를 결정하면, 픽킹 스테이션(300)을 떠나는 차량에 관한 루트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제어기는 차량에 관한 루트를 결정할 수 있으며, 물품이 이송되어야 하는 저장 위치와 관련하여 차량에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기는 이때 필요한 대로 트랙을 따라 게이트를 작동시켜 물품이 이송되어야 하는 저장 위치로 차량을 안내하기 위해, 차량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단 상기 차량이 적절한 저장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차량은 저장 위치(50)에서 정지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적절한 저장 위치로 옮겨진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은 적절한 저장 위치(100)에서 정지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에 대한 내장형 제어기가 차량에 적절한 신호를 보내어 체인(214)을 구동시켜 바아(212)를 전진시킬 수 있다. 바아(212)는 컨테이너 내의 슬롯(88)에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바아는 차량으로부터 떨어지게 그리고 적절한 저장 위치 내로 컨테이너를 구동한다.
물품을 내린 이후에, 차량(200)은 픽킹 스테이션으로 운반되어야 할 다음 물품을 인출하기 위해 제2 저장 위치로 진행할 수 있다. 물품을 인출한 이후에, 차량(200)은 하위 레일(140)에 도달할 때까지 컬럼의 수직 레그(130)를 따라 아래로 진행할 수 있다. 게이트는 하위 레일을 따라 차량을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은 다른 물품의 이송을 위해 상기 하위 레일을 따라 픽킹 스테이션(300)으로 복귀할 수 있다.
차량(200)이 빈 저장 위치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면, 이때 차량의 작동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차량이 다른 컨테이너에 연결되지 않은 컨테이너(80)를 인출하면, 이때 상기 차량의 작동은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은 컨테이너에 이웃하여 정지한다. 로딩/언로딩 메커니즘은 컨테이너와 맞물리도록 전진하고, 이후 상기 로딩/언로딩 메커니즘은 컨테이너를 차량 상으로 잡아당긴다. 이와 반대로, 이미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있는 저장 위치에 배치될 컨테이너를 차량이 나른다면, 상기 차량의 작동은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원격 저장 위치에 있는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컨테이너를 차량이 인출한다면, 상기 차량의 작동은 변경된다.
이제 도 9 및 도 10a 내지 도 10h를 참고하여, “n”배 깊이의 컨테이너를 갖는 저장 위치로부터 컨테이너를 인출함에 있어서 차량이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도 9는 저장 컨테이너(80)의 2개의 랙(35, 40)을 제시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시한 것이다. 랙(35, 40)들은 복도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차량(200)은 랙들 사이의 공간 내에서 진행한다.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랙은 2개의 저장 컨테이너를 저장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갖는 저장 위치를 포함한다. 복도에 이웃한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저장 위치 부분은 본 설명에 있어서 내측 셀(inner cell)이라 부르고 55로 표시한다. 내측 셀(55) 후방의 저장 위치 부분은 원격 셀(remote cell)이라 부르고 57로 표시한다.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전방 커넥터(92) 그리고 컨테이너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후방 커넥터(96)를 포함한다. 원격 셀 내의 컨테이너의 전방 커넥터는 내측 셀 내의 컨테이너의 후방 커넥터와 연결되어, 90으로 표시되는 해제 가능한 연결부를 생성한다.
도 9에 있어서, 저장 컨테이너(80B)는 내측 셀 내에 저장되는 저장 컨테이너(80A) 후방의 원격 셀에 저장된다. 컨테이너(80A, 80B)는 커넥터, 예컨대 커넥터(90)에 의해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테이너(80A, 80B)는 일반적으로 수평 시선으로부터 정렬된다. 차량(200)은 컨테이너(80A)를 수용하는 저장 위치에 이웃한 위치에서 정지된다. 차량(200)은 비어 있다(즉, 어떠한 컨테이너도 차량에 로딩되어 있지 않음). 로딩/언로딩 메커니즘(2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80A)와 맞물린다.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80)의 전방 에지는 트랙[예컨대, 수직 트랙 섹션(130)] 너머의 복도 내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80)의 전달 홈(88)은 복도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로드 바아(212)는, 로드 바아가 전달 홈(88) 내로 삽입될 때까지, 차량의 플랫폼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10a를 참고하면, 로드 메커니즘은 컨테이너(80A)를 차량(200) 상으로 견인한다. 내측 셀 내의 컨테이너(80A)가 차량 상으로 견인될 때, 컨테이너(80A)는 원격 셀 내의 컨테이너(80B)를 내측 셀을 향해 견인한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90)는 내측 컨테이너(80A)와 원격 컨테이너(80B)를 연결하며, 이에 따라 컨테이너들은 수평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도 10b를 참고하면, 차량은, 해당 컨테이너 위로 저장 위치 내의 컨테이너가 없을 때까지, 차량의 플랫폼 상으로 컨테이너(80A)를 계속 옮기게 한다. 컨테이너(80A)를 옮김으로써 원격 컨테이너(80B)가 내측 셀 내로 견인되며, 이에 따라 컨테이너(80B)는, 컨테이너(80A)가 랙 내에서 차지했던 장소를 취하게 된다. 도 10b에서, 컨테이너(80B)를 내측 셀 내로 견인함으로써, 컨테이너(80B) 후방의 원격 셀(57)은 이제 비어있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로딩 메커니즘(210)은 내측 컨테이너(80A)를 차량 상으로 로딩하며, 이에 의해 결국, 원격 컨테이너가 상이한 저장 위치로, 이 경우에는 내측 셀로, 이동하게 될 때까지, 원격 컨테이너(80B)는 수평방향으로 옮겨진다. 2개의 컨테이너는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컨테이너(80A)가 차량 상으로 계속 옮겨지면, 컨테이너(80B)가 복도 내로 그리고 잠재적으로는 차량 상으로 견인된다. 이에 따라, 일단 컨테이너(80B)가 새로운 저장 위치(즉, 내측 셀)로 옮겨지면, 해제 가능한 연결부(90)는 분리되어 2개의 컨테이너(80A, 80B)를 분리시킨다.
컨테이너(80A, 80B)는, 컨테이너를 상호 연결하는 메커니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넥터(92, 96)는, 2개의 컨테이너 사이의 해제 가능한 연결을 제공하는 다양한 커텍터 중 임의의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기계식일 수도 있고 전자-기계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92, 96)는 자기 요소일 수도 있고, 이러한 자기 요소 중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석은, 제2 컨테이너에 대한 제1 컨테이너의 상대 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컨테이너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동력이 차단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92, 96)는 기계식 커넥터, 예컨대 한 쌍의 후크, 또는 텅 및 홈 구성일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컨테이너(80A, 80B)를 분리시키기 위해, 커넥터(92, 96)는 풀리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92, 96)는, 컨테이너들 중 하나를 다른 컨테이너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옮김으로써 풀리게 된다.
도 10c를 참고하면, 일단 제1 컨테이너(80A)가 차량 상에 로딩되어 소정 컬럼에서 해당 컨테이너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아래에 컨테이너가 없게 되면, 컨테이너(80A)는, 컨테이너(80A)를 컨테이너(80B)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옮겨진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92B)의 텅(94B)은 하방으로 커넥터(96A)의 홈(98A) 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커넥터(92B)의 텅(94B)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98A)으로부터 풀릴 때까지 수직방향으로 하방을 향해 컨테이너(80A)를 옮기기 위해 하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200)을 수직방향으로 옮기면, 컨테이너(80A)는 컨테이너(80B)로부터 분리된다. 커넥터(92, 96)는, 차량을 낮추기보다는 상방을 향해 차량을 이동시킴으로써 커넥터들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10d를 참고하면, 제1 컨테이너(80A)가 제2 컨테이너(80B)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컨테이너(80A)는 제2 컨테이너로부터 멀리로 차량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옮겨진다. 제1 컨테이너는, 복도 내에 센터링될 때까지 수평방향으로 옮겨지며, 이에 따라 차량이 컬럼 내에서 상방을 향해 또는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이동할 때, 제1 컨테이너는 랙 내의 차량들 중 임의의 차량과 간섭하거나 또는 연관되지 않는다. 일단 컨테이너(80A)가 차량 상에 완전하게 로딩되면, 차량은 픽킹 스테이션(300) 또는 다른 전달 위치를 향해 또는 다른 저장 위치를 향해 전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하위 수평 레일까지 하방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이후 수평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컨테이너(80A)를 픽킹 스테이션(300)으로 이송하게 된다. 대안으로, 컨테이너(80A)는 다른 저장 위치로 운송될 수도 있고, 저장 위치 내로 언로딩될 수도 있다.
80C로 표시되는 제3 컨테이너가 위치하는 저장 위치로 차량(200) 상에서 컨테이너(80A)를 언로딩하는 단계에 관한 세부사항은 도 10e 내지 도 10h와 함께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차량(200)은, 컨테이너(80C)가 저장되어 있는, 랙(40) 내의 내측 셀에 이웃한 위치로 이동한다. 컨테이너(80A)는 차량으로부터 제3 컨테이너(80C)를 향해 언로딩된다. 컨테이너(80A)가 언로딩됨에 따라, 컨테이너(80A)는 제3 컨테이너(80C)를 랙 내의 저장 위치 내로 더 깊이 밀어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컨테이너(80C)를 수평방향으로 내측 셀로부터 원격 셀(57) 내로 옮기게 된다. 제1 컨테이너(80A)를 언로딩하고 제3 컨테이너(80C)를 옮기는 과정 중에, 제1 컨테이너(80A)는 제3 컨테이너(80C)에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컨테이너의 커넥터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컨테이너들은, 컨테이너들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컨테이너(80A)는, 2개의 컨테이너를 연결하기 위해 제3 컨테이너(80C)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변위된다.
다시 도 10e를 참고하면, 제1 컨테이너(80A)를 언로딩하기 위해, 차량은, 제1 컨테이너(80A)가 제3 컨테이너(80C)보다 수직방향으로 더 높게 배치될 때까지 트랙을 따라 옮겨진다. 특히, 차량은 컨테이너에 이웃한 위치까지 구동되며, 이에 따라 제1 컨테이너의 전방 커넥터는 제3 컨테이너(80C)의 후방 커넥터 위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컨테이너는 이후 제3 컨테이너(80C)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옮겨져,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으로부터 컨테이너를 부분적으로 언로딩시키게 된다. 본 예에 있어서, 제1 컨테이너는, 제1 컨테이너의 전방 커넥터가 제3 컨테이너(80C)의 후방 커넥터와 정렬될 때까지 변위된다. 특히, 차량의 언로딩 메커니즘(210)은, 제1 커넥터(92)의 텅(94)이 제3 컨테이너(80C) 상의 후방 커넥터(96)의 홈(98)과 정렬될 때까지 수평방향으로 컨테이너(80A)를 변위시킨다.
일단 컨테이너(80A 및 80C)의 커넥터들이 정렬되면, 차량은 컨테이너들의 연결을 위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도 10g를 참고하면, 차량은, 컨테이너(80A 및 80C)의 수평방향 정렬을 위해 그리고 2개의 컨테이너의 상호 연결을 위해 하방을 향해 이동한다. 일단 제1 컨테이너(80A)가 저장 위치와 수평방향으로 정렬되면, 제1 컨테이너는 도 10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으로부터 저장 위치 내로 언로딩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의 로딩/언로딩 메커니즘은 차량으로부터 제1 컨테이너(80A)를 떨어뜨리고, 제3 컨테이너(80C)가 위치하였던 내측 셀 내로 향하게 한다. 제1 컨테이너가 내측 셀 내로 강제됨에 따라, 제1 컨테이너(80A)는 제3 컨테이너(80C)를 저장 위치 내로 더 깊게 밀어내고, 이에 따라 제3 컨테이너는 원격 셀(도 10g에서 57로 표시됨) 내로 이동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컨테이너(80A)는 제3 컨테이너(80C)에 이웃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2개의 컨테이너는 이때, 제1 컨테이너를 저장 랙 내로 언로딩하기 전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테이너들은 연결되며, 이에 따라 후속하여 원격 셀 내의 제3 컨테이너는, 제1 컨테이너(80A)가 인출될 때 복도를 향해 견인될 수 있다(도 10a 내지 도 10d 및 이상의 설명 참고). 그러나, 컨테이너들은, 제1 컨테이너의 언로딩을 위해 그리고 원격 셀 내로의 제3 컨테이너의 이동을 위해 연결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컨테이너(80A)가 후방을 향해 후방 셀 내로 제3 컨테이너(80)를 밀어내기 때문에, 컨테이너들은 제1 컨테이너의 언로딩에 앞서 연결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방 커넥터 및 후방 커넥터의 구성에 따라, 제1 컨테이너가 차량으로부터 언로딩된 이후에 컨테이너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멀티 뎁스 저장 위치(multi-depth storage location)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컨테이너들은 공통된 수평방향 저장 위치에서 앞뒤로 저장된다. 공통된 수평방향 저장 위치에 있는 컨테이너들은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통된 저장 위치에 있는 컨테이너들 중 하나를 인출하면, 공통된 저장 위치에 있는 다른 컨테이너가 차량을 항해 전방으로 옮겨진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컨테이너가 이송 차량 상에 로딩되어, 원격 셀로부터 내측 셀로 컨테이너를 견인함으로써 컨테이너가 내측 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설명하였다. 차량은 이때 제1 컨테이너를 다른 저장 위치로 이송할 수 있으며, 이후 내측 셀로 옮겨진 제2 컨테이너의 인출을 위해 복귀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 2개의 컨테이너[예컨대, 도 9에 도시된 컨테이너(80A 및 80B)]를 수용하는 저장 위치는, 2개의 컨테이너와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정렬된 개방된 저장 위치로부터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컨테이너(80A)는 차량 상에 로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을 향해 제2 컨테이너를 견인하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컨테이너를 분리시키기보다, 제1 컨테이너(80A)는 대향하는 랙 내의 저장 위치 내로 컨테이너를 언로딩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추가로 옮겨진다. 제1 컨테이너(80A)가 저장 위치 내로 언로딩되기 때문에, 제2 컨테이너(80B)는 차량 상으로 견인된다. 제2 컨테이너는 이후 제1 컨테이너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은 제2 컨테이너를 픽킹 스테이션 또는 다른 저장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제1 컨테이너로부터 제2 컨테이너를 분리시키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멀티 뎁스 저장 위치에 컨테이너가 저장되는 시스템이 설명되어 있다. 멀티 뎁스 저장 위치의 원격 셀 내의 컨테이너는, 우선 원격 셀 내의 컨테이너의 전방에 있는 컨테이너를 인출하는 차량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인출된 컨테이너는 이후 차량에 의해 멀리 운송된다. 인출된 컨테이너는 이후 다른 위치에서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은 원격 셀 내에 위치하였던 컨테이너의 인출을 위해 복귀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차량이 원격 셀 내의 컨테이너의 전방에 있는 컨테이너를 인출할 수 있고, 제2 차량이 돌아와 원격 셀 내에 위치하였던 컨테이너를 인출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광의의 신규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 설명한 실시예에 대해 변경 또는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0)

  1.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저장 위치를 형성하는,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으로서,
    물품을 이송 및 인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으로서, 각각의 차량은 차량의 구동을 위해 내장형 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차량을 안내하기 위한 트랙;
    트랙이 차량을 저장 위치로 안내하게 구성되도록 트랙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저장 위치로서, 서로 수직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인 복수 개의 저장 위치;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로서, 각각의 저장 위치는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
    를 포함하며,
    저장 컨테이너 중 하나는 제1 단부에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저장 컨테이너 중 제2 저장 컨테이너는 제2 단부에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2 커넥터는 제1 커넥터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저장 위치 중 하나에서 제1 저장 컨테이너와 제2 저장 컨테이너를 해제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각각의 차량은 차량과 하나의 저장 위치 사이에서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제1 저장 컨테이너와 제2 저장 컨테이너 사이의 해제 가능한 연결부는, 전달 메커니즘이 제1 저장 컨테이너를 옮길 때 제2 저장 컨테이너를 옮기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서로 거리를 두고 있으며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평 트랙 섹션;
    서로 거리를 두고 있으며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직 트랙 섹션으로서, 수평 트랙 섹션과 교차하여 루프(loop)를 형성하는 것인 복수 개의 수직 트랙 섹션;
    교차부로서, 교차부에서 수평 트랙 섹션 중 하나가 수직 트랙 섹션 중 하나와 교차하며, 상기 교차부는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제1 경로를 제공하고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제2 경로를 제공하는 것인 교차부
    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연결은 제2 저장 컨테이너에 대한 제1 저장 컨테이너의 수평 변위를 방해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연결은, 수평 변위 중에 제2 저장 컨테이너의 중량을 지지하기에 충분하여,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1 저장 컨테이너를 수평방향으로 옮기면 제2 저장 컨테이너가 수평방향으로 옮겨지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연결은, 제2 저장 컨테이너에 대한 제1 저장 컨테이너의 수직 변위를 허용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제2 커넥터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제1 커넥터를 옮김으로써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는 텅(tongue)을 포함하고, 제2 커넥터는 상기 텅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가 위치하는 저장 위치는, 제1 저장 컨테이너가 제2 저장 컨테이너 앞에 위치하게 되는 수평 정렬 방식으로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차량 중 하나가 제1 저장 컨테이너와 정렬될 때, 제1 저장 컨테이너가 차량으로부터 제2 저장 컨테이너를 분리시키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저장 위치 중 하나는 깊이를 갖고,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 각각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나의 저장 위치의 상기 깊이는 적어도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의 조합된 길이만큼의 길이인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차량은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대체로 평평한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저장 위치는, 제1 랙(rack)과 제2 랙 사이에 복도가 형성되도록 저장 위치의 제2 랙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저장 위치의 제1 랙을 포함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복도의 단부에 픽킹 스테이션(picking station)이 배치되며, 차량은 픽킹 스테이션으로 컨테이너를 이송시켜 조작자가 픽킹 스테이션에서 컨테이너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차량은 복도 내에서 옮겨질 수 있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트랙에 맞물리는 구동 휠을 포함하며, 랙은 컨테이너가 트랙을 넘어 상기 복도 내로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트랙에 대해 위치할 수 있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차량의 전달 메커니즘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17. 복수 개의 물품을 저장 또는 인출하기 위한 재료 취급 시스템으로서,
    물품을 이송 및 인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차량으로서, 각각의 차량은 차량의 구동을 위해 내장형 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저장 위치의 제1 랙(rack);
    제1 랙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저장 위치의 제2 랙으로서, 제1 랙과 제2 랙 사이에 복도가 존재하고, 차량은 복도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옮겨질 수 있는 것인 제2 랙;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로서, 각각의 저장 위치는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복수 개의 저장 컨테이너
    를 포함하며,
    저장 컨테이너 중 제1 저장 컨테이너는 제1 단부에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저장 컨테이너 중 제2 저장 컨테이너는 제2 단부에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1 커넥터는 제2 커넥터와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저장 위치 중 하나에서 제1 저장 컨테이너와 제2 저장 컨테이너를 해제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각각의 차량은 차량과 하나의 저장 위치 사이에서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제1 저장 컨테이너와 제2 저장 컨테이너 사이의 해제 가능한 연결부는, 전달 메커니즘이 제1 저장 컨테이너를 옮길 때 제2 저장 컨테이너를 옮기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차량을 안내하기 위한 트랙
    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은,
    서로 거리를 두고 있으며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평 트랙 섹션;
    서로 거리를 두고 있으며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수직 트랙 섹션으로서, 수평 트랙 섹션과 교차하여 루프를 형성하는 것인 복수 개의 수직 트랙 섹션;
    교차부로서, 교차부에서 수평 트랙 섹션 중 하나가 수직 트랙 섹션 중 하나와 교차하며, 상기 교차부는 대체로 수평 방향으로 제1 경로를 제공하고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제2 경로를 제공하는 것인 교차부
    를 포함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연결은 제2 저장 컨테이너에 대한 제1 저장 컨테이너의 수평 변위를 방해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연결은, 수평 변위 중에 제2 저장 컨테이너의 중량을 지지하기에 충분하여,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1 저장 컨테이너를 수평방향으로 옮기면 제2 저장 컨테이너가 수평방향으로 옮겨지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연결은, 제2 저장 컨테이너에 대한 제1 저장 컨테이너의 수직 변위를 허용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제2 커넥터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제1 커넥터를 변위시킴으로써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는 텅을 포함하고, 제2 커넥터는 상기 텅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가 위치하는 저장 위치는, 제1 저장 컨테이너가 제2 저장 컨테이너 앞에 위치하게 되는 수평 정렬 방식으로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차량 중 하나가 제1 저장 컨테이너와 정렬될 때, 제1 저장 컨테이너가 차량으로부터 제2 저장 컨테이너를 분리시키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저장 위치 중 하나는 깊이를 갖고,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 각각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나의 저장 위치의 상기 깊이는 적어도 제1 저장 컨테이너 및 제2 저장 컨테이너의 조합된 길이만큼의 길이인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7. 제17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차량은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대체로 평평한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8. 제17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복도의 단부에 픽킹 스테이션이 배치되며, 차량은 픽킹 스테이션으로 컨테이너를 이송시켜 조작자가 픽킹 스테이션에서 컨테이너로부터 물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트랙에 맞물리는 구동 휠을 포함하며, 랙은 컨테이너가 트랙을 넘어 상기 복도 내로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트랙에 대해 위치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30. 제1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차량의 전달 메커니즘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재료 취급 시스템.
KR1020197027854A 2017-02-24 2018-02-26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KR102563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63352P 2017-02-24 2017-02-24
US62/463,352 2017-02-24
PCT/US2018/019791 WO2018157095A1 (en) 2017-02-24 2018-02-26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15/905,810 2018-02-26
US15/905,810 US10940998B2 (en) 2017-02-24 2018-02-26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506A true KR20190116506A (ko) 2019-10-14
KR102563655B1 KR102563655B1 (ko) 2023-08-03

Family

ID=6162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854A KR102563655B1 (ko) 2017-02-24 2018-02-26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940998B2 (ko)
JP (2) JP2020508944A (ko)
KR (1) KR102563655B1 (ko)
AU (1) AU2018224297B2 (ko)
CA (1) CA3052302A1 (ko)
MX (3) MX2019010119A (ko)
SG (1) SG11201907621PA (ko)
WO (1) WO2018157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7481T3 (es) * 2007-01-12 2016-01-26 Opex Corporation Método y aparato para clasificar artículos
KR102569785B1 (ko) 2017-02-24 2023-08-22 오펙스 코포레이션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과 방법
KR102563655B1 (ko) 2017-02-24 2023-08-03 오펙스 코포레이션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US10345818B2 (en) 2017-05-12 2019-07-09 Autonomy Squared Llc Robot transport method with transportation container
AT520965B1 (de) * 2018-03-12 2019-12-15 Knapp Ag Regallager zum Lagern von Artikeln in Lagerplätzen von Regalen
GB2590248A (en) 2018-07-12 2021-06-23 Walmart Apollo Llc Automated storage retrieval system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protocol
CN110371600A (zh) 2018-08-30 2019-10-25 天津京东深拓机器人科技有限公司 货物输送系统及货物输送方法
WO2020118227A1 (en) * 2018-12-06 2020-06-11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storage and retrieval
CN112024414B (zh) * 2019-06-03 2023-09-2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分拣机
AU2021325977A1 (en) 2020-08-14 2023-04-13 Opex Corporatio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having separate workstation and method of 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594A (ja) * 2005-04-13 2006-10-26 Nippon Filing Co Ltd コンテナ格納装置
US20150197397A1 (en) * 2014-01-15 2015-07-16 Sergey N. Razumov Transferring containers in storage system
JP2015522492A (ja) * 2012-04-09 2015-08-06 オペ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品目を仕分けまたは取得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16172253A1 (en) * 2015-04-21 2016-10-27 Ope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or retrieving item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7282A (en) 1967-04-24 1970-12-15 Corwn Zellerback Corp Apparatus for transient handling and storing of articles
DE2223561A1 (de) * 1972-05-15 1974-01-17 Aplitec Ltd Automatisches lagersystem
DE3318015A1 (de) 1983-05-18 1984-11-29 Klaus 2070 Ahrensburg Engelking Durchlauf-/einschublager fuer rollpaletten, gitterboxen und dergl.
JPS61150908A (ja) 1984-12-21 1986-07-09 Nippon Filing Co Ltd 物品保管装置
DE3805712A1 (de) 1988-02-24 1989-09-07 Pantzer Gerhard Positioniervorrichtung fuer rollwagen eines rollwagenlagers
IT1318932B1 (it) 2000-09-27 2003-09-19 Fata Handling S P A Magazzino a celle con movimentazione facilitata di unita' di carico.
US7991505B2 (en) * 2003-08-29 2011-08-02 Casepick Systems, Llc Materials-handling system using autonomous transfer and transport vehicles
ITMO20040236A1 (it) 2004-09-17 2004-12-17 System Spa Magazzino automatico.
DE102006049411A1 (de) 2006-10-16 2008-04-17 Psb Intralogistics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Behältern
ES2557481T3 (es) 2007-01-12 2016-01-26 Opex Corporation Método y aparato para clasificar artículos
WO2009057166A1 (en) 2007-10-29 2009-05-07 Hen S.R.L. An automatic warehouse
DE102008010060B4 (de) 2008-02-20 2009-12-31 Accurro Gmbh Transportrahmen zum automatisierten Transport von Behältern (Vials)
DE102008064533A1 (de) 2008-12-19 2010-07-01 Viastore Systems Gmbh Lastaufnahmevorrichtung für ein Regalbediengerät, Förderanlage mit einem Regalbedien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galbediengeräts
DE202010003476U1 (de) 2010-01-28 2011-06-01 Servus Robotics Gmbh Regallager
DE102012107176A1 (de) 2012-08-06 2014-02-06 Dematic Accounting Services Gmbh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Transporteinheiten aus einem Lager
CN110380958A (zh) 2013-05-17 2019-10-25 Fybr有限责任公司 分布式遥感系统网关
JP6233032B2 (ja) 2013-06-05 2017-11-2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活性化合物の製造方法
EP2826730A1 (en) 2013-07-17 2015-01-21 Dematic Accounting Services GmbH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preparing storage units at a picking station
CN107635891B (zh) 2015-06-09 2021-06-04 盖特法布瑞克有限公司 机器人库存处理
US9790001B2 (en) * 2015-12-11 2017-10-17 Amazon Technologies, Inc. Storage totes
US10947036B2 (en) * 2017-01-11 2021-03-16 Biosphere Aerospace, Llc Modular container transport systems
KR102563655B1 (ko) 2017-02-24 2023-08-03 오펙스 코포레이션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KR102569785B1 (ko) 2017-02-24 2023-08-22 오펙스 코포레이션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과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594A (ja) * 2005-04-13 2006-10-26 Nippon Filing Co Ltd コンテナ格納装置
JP2015522492A (ja) * 2012-04-09 2015-08-06 オペ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品目を仕分けまたは取得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50197397A1 (en) * 2014-01-15 2015-07-16 Sergey N. Razumov Transferring containers in storage system
WO2016172253A1 (en) * 2015-04-21 2016-10-27 Ope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or retrieving i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20596B2 (en) 2023-11-21
CA3052302A1 (en) 2018-08-30
AU2018224297A1 (en) 2019-08-22
WO2018157095A1 (en) 2018-08-30
US20180251302A1 (en) 2018-09-06
MX2023003790A (es) 2023-04-26
MX2023003791A (es) 2023-04-26
SG11201907621PA (en) 2019-09-27
US10940998B2 (en) 2021-03-09
JP2020508944A (ja) 2020-03-26
US20210139241A1 (en) 2021-05-13
KR102563655B1 (ko) 2023-08-03
MX2019010119A (es) 2019-10-14
JP2023025242A (ja) 2023-02-21
AU2018224297B2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785B1 (ko)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과 방법
KR102563655B1 (ko) 자동화된 저장 및 인출 시스템
US109470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or retrieving items
CN112262089B (zh) 使用机器人操作员从储存容器收集物品的系统和应用方法
CN112407741A (zh) 自动拣货仓库及其自动拣货方法
CN110325462B (zh) 自动存储和取回系统及用于操作该自动存储和取回系统的方法
CN113911612A (zh) 自动存储和取回系统
CN214166199U (zh) 自动拣货仓库
CN214165174U (zh) 自动拣货车
NO20210849A1 (en) An access station for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a method of presenting a goods holder at the access station
CN112319659A (zh) 自动拣货车
KR102672389B1 (ko) 물품을 보관 또는 회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