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379A -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379A
KR20190115379A KR1020180038374A KR20180038374A KR20190115379A KR 20190115379 A KR20190115379 A KR 20190115379A KR 1020180038374 A KR1020180038374 A KR 1020180038374A KR 20180038374 A KR20180038374 A KR 20180038374A KR 20190115379 A KR20190115379 A KR 20190115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line
plating layer
home appliance
base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352B1 (ko
Inventor
이경환
송지영
김광주
황인혜
오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버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버나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352B1/ko
Priority to US17/043,865 priority patent/US20210047746A1/en
Priority to PCT/KR2018/013656 priority patent/WO2019194383A1/ko
Publication of KR2019011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379A/ko
Priority to US18/086,384 priority patent/US2023012429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10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 C25D5/12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at least one layer being of nickel or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C23C30/005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on hard metal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05D7/16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using synthetic lacquers or varni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10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 C25D5/12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at least one layer being of nickel or chromium
    • C25D5/14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at least one layer being of nickel or chromium two or more layers being of nickel or chromium, e.g. duplex or triplex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20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 B05D2202/25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based on 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350/00Pretreatment of the substrate
    • B05D2350/30Change of the surface
    • B05D2350/33Roughening
    • B05D2350/38Roughening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350/00Pretreatment of the substrate
    • B05D2350/60Adding a layer before coating
    • B05D2350/65Adding a layer before coating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05D5/083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involving the use of fluoro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10T428/1275Next to 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06Refractory [Group IVB, VB, or V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26Group V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47Cr-base component
    • Y10T428/12854Next to Co-, Fe-, or Ni-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10T428/1291Next to Co-, Cu-, or Ni-base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실시예의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은 모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을 형성하고, 도금층의 상면에 횡방향의 헤어라인을 헤어라인 가공 휠을 소정 각도로 틸팅하여 가공하고, 헤어라인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횡방향의 헤어라인을 생성하면서, 내식성과 내지문성을 가지는 가전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헤어라인 가공 이후에 별도의 도금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Home Appliance including Hairlin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지문성을 향상시킨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전기기의 고급감, 청결감 등을 나타내기 위해 가전기기의 전면에 크롬 도금을 하고 코팅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가전기기의 표면에 지문이 부착될 수 있다. 특히 헤어라인이 가공된 가전기기의 경우 사용자의 지문이 더욱 부각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가전기기의 고급감이나 청결감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가전기기의 표면 가공에 있어서 1차 크롬(Cr) 도금을 진행하고 헤어라인 가공을 진행하고 2차 크롬도금을 진행한 이후에 코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경우 도금 공정을 2회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고 재료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코팅 이후에 지문 시인성 및 지문 닦임성의 지문 묻히기 전 후의 색차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내식성과 내지문성을 향상시킨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은 모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금층의 상면에 횡방향의 헤어라인을 헤어라인 가공 휠을 소정 각도로 틸팅하여 가공하고, 상기 헤어라인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헤어라인 가공 휠의 틸팅 각도는 4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헤어라인 가공 시 상기 도금층에 가해지는 압력은 1 내지 1.40 A일 수 있다.
상기 도금층의 형성은, 상기 모재 상에 구리(Cu)를 도금하여 구리 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구리 도금층 상에 니켈(Ni)를 도금하여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니켈 도금층 상에 크롬(Cr)을 도금하여 크롬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금층의 형성은, 상기 구리 도금층을 5 내지 30㎛ 도금하고, 상기 구리 도금층의 상면에 상기 니켈 도금층을 5 내지 30㎛ 도금하고, 상기 니켈 도금층의 상면에 상기 크롬 도금층을 0.30 내지 0.80㎛ 도금할 수 있다.
상기 헤어라인 가공 시에 상기 크롬 층을 0.08 내지 0.20㎛ 마모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모재는 알루미늄(Al)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불소계, 실란계 도료 중 하나를 사용하여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헤어라인은 수직선에 대해 87 내지 93°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는 알루미늄(Al) 모재 상에 형성되는 구리(Cu) 도금층, 상기 구리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니켈(Ni) 도금층, 상기 니켈 도금층 상에 형성되며 상면에 횡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되는 크롬(Cr) 도금층을 포함한다.
상기 요철은 수직선에 대해 87 내지 93°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롬 도금층의 두께는 0.15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구리 도금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이며, 상기 니켈 도금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크롬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불소계, 실란계 도료 중 하나일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헤어라인 가공 이후에 별도의 도금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횡방향의 헤어라인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지문 시인성과 지문 닦임성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모재에 도금층이 형성되고 헤어라인이 가공되고 코팅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모재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헤어라인 가공 휠의 축이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헤어라인을 찍은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모재에 도금층이 형성되고 헤어라인이 가공되고 코팅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의 모재(100)의 상면에는 구리(Cu) 도금층(110)이 형성된다. 또한 구리 도금층(110) 상에는 니켈(Ni) 도금층(120)이 형성된다. 니켈 도금층(120) 상에는 크롬(Cr) 도금층(130)이 형성된다. 모재(100)로는 알루미늄(Al)이 사용될 수 있다. 크롬 도금층(130)의 상면에는 횡방향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요철(130a)이 형성된다. 요철(130a)은 헤어라인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은 가로 방향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횡방향은 모재(100)의 단변과 수평하게 헤어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헤어라인의 형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크롬 도금층(130)의 상면에는 코팅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40)은 아크릴계, 불소계, 실란계 도료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모재(100)로부터 순서대로 구리 도금층(110), 니켈 도금층(120), 크롬 도금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크롬 도금층(130)의 상면에는 요철(130a)이 형성되며, 크롬 도금층(130)의 상면에 코팅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모재(100)인 알루미늄의 두께는 10 내지 30mm일 수 있다. 모재(100)는 압출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리 도금층(110)의 두께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니켈 도금층(120)의 두께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크롬 도금층(130)의 두께는 0.15 내지 0.5㎛일 수 있다. 이는 헤어라인 가공된 이후의 크롬 도금층의 두께를 의미하며, 크롬 도금층의 최대 두께를 의미한다. 헤어라인 가공 전의 크롬 도금층의 두께는 0.3 내지 0.8㎛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기기(1)는 모재(1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110, 120, 130)을 형성하고, 도금층(110, 120, 130)의 상면에 횡방향의 요철인 헤어라인(130a)을 가공하고, 헤어라인(130a) 상에 코팅층(140)을 형성하여 형성된다. 코팅층은 실란계, 불소계, 아크릴계 도료를 사용하여 코팅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실란계인 사이클로 알콕시 알킬 실란을 이용하여 코팅될 수 있다. 사이클로 알콕시 알킬 실란은 (R1O)3-(CH)n-COONH-(CH2)2-COO-CR2-CH2이며, 여기서 n은 2 내지 12이며, R1은 알콕시(alkoxy)기, 싸이클로알콕시(cycloalchoxy)기, 알킬(alkyl)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R2는 하이드로젠(hydrogen)기(-H), 메틸(methyl)기(-CH4), 비닐(vinyl)기(-CH=CH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모재(100)의 상면에 구리 도금층(110), 니켈 도금층(120), 크롬 도금층(130)의 순서로 도금을 진행한다. 이후 크롬 도금층(130)의 상면에 헤어라인을 가공하여 요철(130a)을 형성한다. 이후, 코팅을 진행하여 요철(130a)의 상면에 코팅이 되어 코팅층(14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 개시된 실시예의 헤어라인 가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모재에 헤어라인을 가공하는 헤어라인 가공 휠의 축이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의 헤어라인 가공은 헤어라인 가공 휠(2)을 이용하여 진행된다. 헤어라인 가공 휠(2)의 헤어라인을 가공하기 위한 연마 브러쉬(3)는 고순도 알루미나(Al2O3 : 순도 90%이상)를 Nylon6.6 또는 polyester의 실사표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시킨 연마 브러쉬(3)를 사용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헤어라인 가공 휠(2)은 소정 각도로 틸팅된 상태에서 헤어라인을 가공한다. 헤어라인 가공 휠(2)의 회전축(4)은 모재(100)의 단변에 대해 소정각도로 틸팅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헤어라인 가공 휠(2)의 연마 브러쉬(3) 또한 소정 각도로 틸팅된다. 헤어라인 가공 휠(2)의 연마 브러시(3)는 수평면에 대해 4 에서 10°틸팅될 수 있다. 즉, 도 3에 기재된 θ가 4 내지 10°일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와 같이 횡방향의 헤어라인 생성은 모재가 이동함과 동시에 헤어라인의 가공이 진행되기 때문에 모재(100)에 원심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모재(100)에 대해 헤어라인 가공 휠(2)의 원심력이 작용하여 횡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종래에는 헤어라인 가공 휠의 틸팅 없이 헤어라인을 가공하였으며, 이에 따라 헤어라인이 사선 방향으로 생성되었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을 4에서 10° 틸팅하여 헤어라인을 가공하기 때문에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요철(130a)이 수직선에 대해 87 내지 93°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재가(100) 이동하면서 헤어라인을 가공하여도 헤어라인이 횡방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어라인 가공 시 도금층에 가해지는 압력은 1 내지 1.40A 미만일 수 있다. 헤어라인 가공 압력을 조절하여 크롬 도금층의 마모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시 도금층에 가해지는 압력을 1 내지 1.40A로 조절하여 크롬 도금층이 0.08 내지 0.20㎛ 마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전기기가 가지는 광택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 후술한다.
도 4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가전기기는 모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을 형성하고(S310), 도금층의 상면에 횡방향의 헤어라인을 헤어라인 가공 휠을 소정 각도로 틸팅하여 가공하고(S320), 헤어라인 상에 코팅층을 형성(S330)하여 제조된다.
모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을 형성한다(S310). 이 때 모재는 알루미늄(Al) 일 수 있다. 알루미늄은 압출 기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모재는 5 내지 20mm일 수 있다. 모재 상에 형성되는 도금층은 구리 도금층, 니켈 도금층, 크롬 도금층일 수 있다. 이 때, 구리 도금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이며, 니켈 도금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이며, 크롬 도금층의 두께는 0.3 내지 0.8㎛일 수 있다. 크롬 도금층의 도금 시 전류 밀도는 10A/dm2이며, 도금 시간은 180 내지 480초일 수 있다.
도금층의 상면에 횡방향의 헤어라인을 헤어라인 가공 휠을 소정 각도로 틸팅하여 가공한다(S320). 헤어라인 가공은 크롬 도금층의 상면에 대해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헤어라인 가공 휠은 수평면에 대해 4 내지 10°틸팅될 수 있다. 또한, 헤어라인 가공 휠이 도금층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1 내지 1.4A일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헤어라인 가공 전에 헤어라인 가공 휠이 도금층에 가하는 압력은 1.20A이며, 헤어라인 가공후에 헤어라인 가공 휠이 도금층에 가하는 압력은 1.30A일 수 있다. 또한, 연마 브러시의 회전 속도는 4.04Hz일 수 있다. 또한, 모재의 공급 속도는 1000 내지 1750rpm일 수 있다.
헤어라인 상에 코팅층을 형성한다(S330). 이 때 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도료는 불소계, 실란계, 아크릴계일 수 있다. 불소계 도료의 경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lene)계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도료의 경우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Poly(methymethacrylate))계열이 사용될 수 있다. 실란계의 경우 싸이클로 알콕시 알킬 실란이 사용될 수 있다. 싸이클로 알콕시 알킬 실란은 친유, 소수성을 띤 다관능계 아크릴 실란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 크롬 도금층과의 접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코팅층의 코팅은 상온에서 1시간 이내에 스프레이, 디핑, 와이핑, 바코팅(bar coating)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상온 경화 또는 열경화가 진행된다. 아크릴계 도료의 경우 코팅층의 두께가 10㎛이하의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불소계와 실란계 도료의 경우 코팅층의 두께가 500nm이하로 코팅될 수 있다.
이하,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대해 진행한 실험을 통해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내식성 측정을 위해 비교예와 실시예의 모재는 알루미늄이 사용되었으며, 알루미늄 상에 구리 도금층, 니켈 도금층, 크롬 도금층이 위치한다. 모재인 알루미늄의 두께는 20mm이며, 구리 도금층의 두께는 15㎛이며, 니켈 도금층의 두께는 7㎛이다. 크롬 도금층의 두께는 각각의 비교예와 실시예에서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르다. 크롬 도금층의 상부에 헤어라인을 가공한다. 이 때. 헤어라인 가공 시 모재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각각의 비교예와 실시예에서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된 모재에 대해 내식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내식성 테스트는 염화나트륨(NaCl) 5%를 35℃에서 8hr 분무한 후 16hr 휴지하는 단계를 3단계를 진행하고, 상온에서 물로 씻어서 육안으로 보아 발청, 부식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비교예 1-1의 경우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0.12㎛이며, 헤어라인 가공 시 모재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1.40A이다.
비교예 1-2의 경우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0.12㎛이며, 헤어라인 가공 시 모재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1.30A이다.
비교예 1-3의 경우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0.19㎛이며 헤어라인 가공 시 모재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1.40A이다.
비교예 1-4의 경우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0.19㎛이며 헤어라인 가공 시 모재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1.30A이다.
실시예 1-1의 경우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0.33㎛이며, 헤어라인 가공 시 모재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1.30A이다.
실시예 1-2의 경우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0.33㎛이며, 헤어라인 가공 시 모재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1.20A이다.
실시예 1-3의 경우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0.56㎛이며, 헤어라인 가공 시 모재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1.30A이다.
실시예 1-4의 경우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0.56㎛이며, 헤어라인 가공 시 모재에 대해 가해지는 압력은 1.20A이다.
구분 크롬 도금층 두께(um) 헤어라인
가공 압력
(A)
크롬 도금층
마모량(um)
헤어라인후
크롬 도금층 두께
(um)
내식성
(3 cycle)
비교예 1-1 0.12 1.40 0.12 측정불가 NG
비교예 1-2 0.12 1.30 0.11 측정불가 NG
비교예 1-3 0.19 1.40 0.14 측정불가 NG
비교예 1-4 0.19 1.30 0.16 측정불가 NG
실시예 1-1 0.33 1.30 0.18 0.15 PASS
실시예 1-2 0.33 1.20 0.09 0.24 PASS
실시예 1-3 0.56 1.30 0.19 0.37 PASS
실시예 1-4 0.56 1.20 0.08 0.48 PASS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예 1-1, 비교예 1-3의 경우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개시된 실시예보다 얇으며, 헤어라인 가공 압력은 과도하게 크기 때문에 내식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2, 비교예 1-4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압력은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를 만족하나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얇아 내식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이와 달리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의 경우 크롬 도금층과 헤어라인 가공 압력의 범위가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로 내식성 테스트를 통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의 경우 크롬 도금층과 헤어라인 가공 압력의 범위가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로, 헤어라인 가공 이후 크롬 도금층의 두께가 0.15 내지 0.5㎛이내로 높은 내식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는, 내지문성 측정을 위해 광택도, 색차, 관능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이와 함께 내식성 검사를 진행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모재는 알루미늄이 사용되었으며, 알루미늄 상에 구리 도금층, 니켈 도금층, 크롬 도금층이 위치한다. 모재인 알루미늄의 두께는 20mm이며, 구리 도금층의 두께는 15㎛이며, 니켈 도금층의 두께는 7㎛이다. 크롬 도금층의 두께는 0.42㎛이다. 헤어라인 가공 압력은 각각의 비교예와 실시예에서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된 모재에 대해 내지문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내지문성 테스트의 광택도는 BYK-Gardner Gmbh 사의 Cat No. 4447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색차는 아래의 식(1)을 이용하여 계산되며, 색차계 Konica Minolta 사의 Minolta CM 2600D를 이용하여 기본 측정법으로 △E를 5회 측정하고,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거한 후 중간값의 평균을 계산하여 구한다.
Figure pat00001
----식(1)
관능검사는 조명 800lux에서 bare샘플과 비교하여 시인율을 5명이 검사하여 진행된다.
비교예 2-1은 헤어라인 가공 압력이 1.50A이다.
비교예 2-2는 헤어라인 가공 압력이 1.40A이다.
실시예 2-1은 헤어라인 가공 압력이 1.35A이다.
실시예 2-2는 헤어라인 가공 압력이 1.30A이다.
실시예 2-3은 헤어라인 가공 압력이 1.30A이다.
실시예 2-4는 헤어라인 가공 압력이 1.25A이다.
구분 크롬 도금층
두께
(㎛)
헤어라인 가공 압력
(A)
지문시인성 내식성
(3cycle)
광택도 색차
(ΔE)
관능
검사
비교예2-1 0.42 1.50 71 4.02 bad NG
비교예2-2 0.42 1.40 123 3.81 good NG
실시예 2-1 0.42 1.35 159 3.57 good PASS
실시예 2-2 0.42 1.30 203 3.31 good PASS
실시예 2-3 0.42 1.30 226 3.35 good PASS
실시예 2-4 0.42 1.25 248 3.44 good PASS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2-1, 비교예 2-2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압력이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로, 광택도가 150미만으로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예 2-1의 경우 색차가 크며 관능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2-2의 경우에는 헤어라인 가공 압력이 과도하여 내식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의 경우에는 헤어라인 가공 압력이 1.20 내지 1.35로 광택도가 150 내지 250으로 색차가 작고, 관능검사를 통과하였으며, 내식성 테스트 또한 통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는, 헤어라인 가공 휠의 틸팅 각도에 따른 헤어라인의 각도, 헤어라인 두께, 관능검사를 진행한 시험이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모재는 알루미늄이 사용되었으며, 알루미늄 상에 구리 도금층, 니켈 도금층, 크롬 도금층이 위치한다. 모재인 알루미늄의 두께는 20mm이며, 구리 도금층의 두께는 15㎛이며, 니켈 도금층의 두께는 7㎛이다. 크롬 도금층의 두께는 0.42㎛이다. 헤어라인 가공 압력은 1.30A이다.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와 틸팅 각도는 각각의 비교예와 실시예에서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된 모재에 대해 관능검사를 진행하였다. 관능검사는 조명 800lux에서 bare샘플과 비교하여 시인율을 5명이 검사하여 진행된다.
비교예 3-1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는 1000rpm이며, 헤어라인 가공 휠은 틸팅되지 않았다.
비교예 3-2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는 1450rpm이며, 헤어라인 가공 휠은 틸팅되지 않았다.
비교예 3-3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는 1750rpm이며, 헤어라인 가공 휠은 틸팅되지 않았다.
비교예 3-4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는 1000rpm이며, 헤어라인 가공 휠은 z축 방향으로 2°틸팅되었다.
비교예 3-5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는 1000rpm이며, 헤어라인 가공 휠은 z축 방향으로 15°틸팅되었다.
실시예 3-1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는 1000rpm이며, 헤어라인 가공 휠은 z축 방향으로 4°틸팅되었다.
실시예 3-2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는 1000rpm이며, 헤어라인 가공 휠은 z축 방향으로 6°틸팅되었다.
실시예 3-3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는 1000rpm이며, 헤어라인 가공 휠은 z축 방향으로 8°틸팅되었다.
실시예 3-4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는 1000rpm이며, 헤어라인 가공 휠은 z축 방향으로 10°틸팅되었다.
구분 진행방향속도(rpm) 틸팅각도 (o) 헤어라인
각도(o)
헤어라인 두께(μm) 관능
검사
x축 Y축 Z축
비교예 3-1 1000 0 0 0 105 20 Bad
비교예 3-2 1450 0 0 0 108 20 Bad
비교예 3-3 1750 0 0 0 115 20 Bad
비교예 3-4 1000 0 0 2 98 20 Bad
비교예 3-5 1000 0 0 15 80 20 Bad
실시예 3-1 1000 0 0 4 93 20 Good
실시예 3-2 1000 0 0 6 91 20 Good
실시예 3-3 1000 0 0 8 90 20 Good
실시예 3-4 1000 0 0 10 88 20 Good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3-1 내지 3-3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이 틸팅되지 않아 헤어라인 각도가 100°이상으로 헤어라인이 사선으로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관능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3-4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이 틸팅되었으나, 미세하게 틸팅된 경우로 헤어라인 각도가 98°로 헤어라인이 비교예 3-1 내지 비교예 3-3과 마찬가지로 사선에 가깝게 형성되어 관능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3-5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의 틸팅이 15°된 경우로, 헤어라인 가공 휠의 틸팅이 과도하게 된 경우로 헤어라인 각도가 80°로 형성되어 사선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의 경우 헤어라인 가공 휠이 z축 방향으로 4 내지 10°틸팅되어 헤어라인 각도가 87 내지 93°인 경우로 헤어라인이 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능검사를 통과하였다.
이하는, 코팅층의 성분에 따른 지문 시인성 및 지문 닦임성을 검사한 시험이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모재는 알루미늄이 사용되었으며, 알루미늄 상에 구리 도금층, 니켈 도금층, 크롬 도금층이 위치한다. 모재인 알루미늄의 두께는 20mm이며, 구리 도금층의 두께는 15㎛이며, 니켈 도금층의 두께는 7㎛이다. 크롬 도금층의 두께는 0.2㎛이다. 헤어라인 가공 압력은 1.3A이다. 코팅 조건과 코팅층에 사용된 도료는 아래의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르다. 헤어라인 가공 휠의 진행 속도와 틸팅 각도는 각각의 비교예와 실시예에서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된 모재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된 모재에 대해 내지문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내지문성 테스트로 지문시인성 테스트와 지문닦임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지문시인성 테스트의 광택도는 BYK-Gardner Gmbh 사의 Cat No. 4447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색차는 아래의 식(1)을 이용하여 계산되며, 색차계 Konica Minolta 사의 Minolta CM 2600D를 이용하여 기본 측정법으로 △E를 5회 측정하고,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거한 후 중간값의 평균을 계산하여 구한다.
Figure pat00002
---식(1)
지문닦임성 테스트는 내마모 시험기로 500g면포로 3회 닦은 후에 광택도, 색차를 측정한다. 측정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지문닦임성 테스트의 관능검사는 조명 800lux에서 bare샘플과 비교하여 시인율을 5명이 검사하여 진행된다.
실시예 4-1의 경우 실란1 성분을 사용하였으며50nm로 코팅되었다. 또한, 자연경화로 25℃에서 경화되었다. 여기서 실란1 성분은 cyclohexyl methoxy dimethyl silane 1을 의미한다.
실시예 4-2의 경우 불소 1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200nm로 코팅되었다. 또한, UV경화되었다. 여기서 불소 1 성분은 Perfluoro polyether 1을 의미한다.
실시예 4-3의 경우 아크릴계 1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5000nm로 코팅되었다. 또한, 열경화로 60℃에서 경화되었다. 여기서 아크릴계 성분 1은 PMMA-co-PTMSM copolymer를 의미한다.
실시예 4-4의 경우 실란 2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50nm로 코팅되었다. 또한, 자연경화로 25℃에서 경화되었다. 여기서 실란 2 성분은 cyclohexyl methoxy dimethyl silane 2를 의미한다.
실시예 4-5의 경우 불소 2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200nm로 코팅되었다. 또한, UV경화되었다. 여기서, 불소 2 성분은 Perfluoro polyether 2를 의미한다.
실시예 4-6의 경우 아크릴계 2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5000nm로 코팅되었다. 또한, 열경화로 60℃에서 경화되었다. 여기서 아크릴계 성분 2는 PMMA-polysisesquioxane을 의미한다.
실시예 4-7의 경우 실란 3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50nm로 코팅되었다. 또한, 자연경화로 25℃에서 경화되었다. 여기서 실란 3 성분은 cyclohexyl methoxy dimethyl silane 3을 의미한다.
실시예 4-8의 경우 불소 3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200nm로 코팅되었다. 또한 UV경화되었다. 여기서 불소 3 성분은 Perfluoro polyether 3을 의미한다.
실시예 4-9의 경우 아크릴계 3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5000nm로 코팅되었다. 또한 열경화로 60℃에서 경화되었다. 여기서 아크릴계 3 성분은 polyurethane mathacrylate를 의미한다.
구분 내지문코팅 경화
방법
지문시인성 지문닦임성
성분 두께
(nm)
광택도
(60o)
색차
(ΔE)
광택도
(60o)
색차
(ΔE)
관능
검사
실시예 4-1 실란1 50 자연
경화
(25 oC)
180 2.83 155 1.27 PASS
실시예 4-2 불소1 200 UV
경화
180 3.04 141 1.49 PASS
실시예 4-3 아크릴계1 5000 열경화
(60 oC)
180 2.23 170 1.11 PASS
실시예 4-4 실란2 50 자연
경화
(25 oC)
200 3.31 179 1.32 PASS
실시예 4-5 불소2 200 UV
경화
200 3.52 166 1.52 PASS
실시예 4-6 아크릴계2 5000 열경화
(60 oC)
200 2.50 189 1.18 PASS
실시예 4-7 실란3 50 자연
경화
(25 oC)
240 3.44 250 1.53 PASS
실시예 4-8 불소3 200 UV
경화
240 3.74 250 1.85 PASS
실시예 4-9 아크릴계3 5000 열경화
(60 oC)
240 2.88 250 1.24 PASS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불소계, 아크릴계, 실란계 도료를 사용한 경우 지문 시인성의 색차는 2 내지 4이며, 지문 닦임성의 색차는 1 내지 2로 크게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능검사 또한 통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헤어라인을 찍은 사진이다.
도 5의 헤어라인은 모재인 알루미늄 20mm에 구리 도금층 15㎛, 니켈 도금층 7㎛, 크롬 도금층 0.42㎛를 도금하고 헤어라인 가공 시 헤어라인 가공 휠의 틸팅 각도를 z축 방향으로 4°틸팅하고, 1.30A의 압력으로 헤어라인 가공하였다. 또한. 코팅 도료는 cyclohexyl(methoxy)(methyl)(phenyl)silane을 0.1 내지 0.8%포함하고 alcohol을 99.0 내지 99.9% 포함하는 도료를 사용하였다. 코팅은 상술한 코팅 도료를 이용하여 헤어라인 가공된 크롬 도금층에 스프레이 1회 왕복 분무 후 상온에서 1시간 경화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가전기기의 헤어라인을 촬영한 결과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횡방향으로 헤어라인이 가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횡방향으로 헤어라인을 가공함과 동시에 내식성과 내지문성을 함께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가전기기 100: 모재
110: 구리 도금층 120: 니켈 도금층
130: 크롬 도금층 130a: 요철
140: 코팅층

Claims (15)

  1. 모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금층의 상면에 횡방향의 헤어라인을 헤어라인 가공 휠을 소정 각도로 틸팅하여 가공하고;
    상기 헤어라인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 가공 휠의 틸팅 각도는 4 내지 10°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 가공 시 상기 도금층에 가해지는 압력은 1 내지 1.40 A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의 형성은, 상기 모재 상에 구리(Cu)를 도금하여 구리 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구리 도금층 상에 니켈(Ni)를 도금하여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니켈 도금층 상에 크롬(Cr)을 도금하여 크롬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의 형성은, 상기 구리 도금층을 5 내지 30㎛ 도금하고, 상기 구리 도금층의 상면에 상기 니켈 도금층을 5 내지 30㎛ 도금하고, 상기 니켈 도금층의 상면에 상기 크롬 도금층을 0.30 내지 0.80㎛ 도금하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 가공 시에 상기 크롬 층을 0.08 내지 0.20㎛ 마모되도록 가공하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알루미늄(Al) 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불소계, 실란계 도료 중 하나를 사용하여 코팅되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은 수직선에 대해 87 내지 93°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제조방법.
  10. 알루미늄(Al) 모재 상에 형성되는 구리(Cu) 도금층;
    상기 구리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니켈(Ni) 도금층;
    상기 니켈 도금층 상에 형성되며 상면에 횡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되는 크롬(Cr) 도금층;
    을 포함하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수직선에 대해 87 내지 93°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 도금층의 두께는 0.15 내지 0.5㎛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도금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이며, 상기 니켈 도금층의 두께는 5 내지 30㎛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불소계, 실란계 도료 중 하나인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0180038374A 2018-04-02 2018-04-02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374A KR102602352B1 (ko) 2018-04-02 2018-04-02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17/043,865 US20210047746A1 (en) 2018-04-02 2018-11-09 Home appliance including hairl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18/013656 WO2019194383A1 (ko) 2018-04-02 2018-11-09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18/086,384 US20230124298A1 (en) 2018-04-02 2022-12-21 Home appliance including hairl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374A KR102602352B1 (ko) 2018-04-02 2018-04-02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379A true KR20190115379A (ko) 2019-10-11
KR102602352B1 KR102602352B1 (ko) 2023-11-17

Family

ID=6810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374A KR102602352B1 (ko) 2018-04-02 2018-04-02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210047746A1 (ko)
KR (1) KR102602352B1 (ko)
WO (1) WO20191943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347B1 (ko) 2021-09-07 2022-10-31 주식회사 프로맥스 박형 재료의 횡 방향 표면 스크래치 패턴 연속 가공 장치와 연속 가공 방법, 및 이를 통해 횡 방향 표면 스크래치 패턴이 가공된 박형 재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6041A (zh) * 2020-09-09 2020-12-15 郑杰 一种logo标的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880A (ko) * 2008-08-07 2010-02-18 알티전자 주식회사 다이캐스팅 성형품의 표면 처리 방법
JP2013166225A (ja) * 2012-02-16 2013-08-29 Sanko Sangyo Kk 表面処理装置
KR101510555B1 (ko) * 2013-11-18 2015-04-09 주식회사 포스코 선영성이 우수한 금속부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480B1 (ko) * 2013-11-18 2015-11-11 주식회사 포스코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2617A (ko) * 2013-11-29 2015-06-08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워크롤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장치
KR20150134194A (ko) * 2014-05-21 2015-12-01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금속기재의 표면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880A (ko) * 2008-08-07 2010-02-18 알티전자 주식회사 다이캐스팅 성형품의 표면 처리 방법
JP2013166225A (ja) * 2012-02-16 2013-08-29 Sanko Sangyo Kk 表面処理装置
KR101510555B1 (ko) * 2013-11-18 2015-04-09 주식회사 포스코 선영성이 우수한 금속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347B1 (ko) 2021-09-07 2022-10-31 주식회사 프로맥스 박형 재료의 횡 방향 표면 스크래치 패턴 연속 가공 장치와 연속 가공 방법, 및 이를 통해 횡 방향 표면 스크래치 패턴이 가공된 박형 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47746A1 (en) 2021-02-18
WO2019194383A1 (ko) 2019-10-10
KR102602352B1 (ko) 2023-11-17
US20230124298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24298A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hairl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447800B1 (ja) めっき鋼材
JP2018087380A (ja) 金属表面及び金属表面の処理プロセス
US20060198988A1 (en) Coated metal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200105697A (ko) 아연계 전기 도금 강판
BRPI0622080A2 (pt) Método e equipamento para polimento de um revestimento por imersão a quente de uma liga de alumínio-zinco e produto obtido a partir dele
US20070009755A1 (en) Faux stainless steel and method of making
CN1130222A (zh) 有抗磨层的熨斗
KR20190099536A (ko) 아연계 전기 도금 강판
TW201016932A (en) Stainless steel plumbing fixtures with resistant coatings
JP2010089399A (ja) 加飾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750337A (zh) 铝合金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796459B1 (ko) 주방기물의 표면에 음양각 문양이 선명하게 표현되도록 하는 세라믹코팅방법과, 이에 의해 코팅된 주방기물
JP2005001245A (ja) シルバー調クリア塗装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01575B1 (ko) 고내식성을 가지는 표면층 및 이의 형성 방법
US6808802B2 (en) Equipment coating
RU2501899C2 (ru) Утюг, содержащий пластину из нержавеющей стали с покрытием,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1133132B (zh) 被膜层叠体及其制造方法
US20230018563A1 (en) High precision trackpad and methods of manufacture
Guerrero-Vacas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durability of commercial non-stick coatings
KR20210113884A (ko) 스프레이 코팅법을 이용한 조리기구 표면의 코팅막 형성방법.
KR101216686B1 (ko) 전기밥솥용 내솥
JP2015221528A (ja) メッキ樹脂製品
CN104178753A (zh) 一种化学镀膜金属丝筛网的制作方法
Munro et al. Spectr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chemically formed colored layers on titanium covered with clearco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