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480B1 -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480B1
KR101568480B1 KR1020130140220A KR20130140220A KR101568480B1 KR 101568480 B1 KR101568480 B1 KR 101568480B1 KR 1020130140220 A KR1020130140220 A KR 1020130140220A KR 20130140220 A KR20130140220 A KR 20130140220A KR 101568480 B1 KR101568480 B1 KR 101568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layer
steel sheet
hairline pattern
glossiness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197A (ko
Inventor
조재동
서우락
박윤필
김일영
육해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엔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엔케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4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4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6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other surfaces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는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되고, 표층에 헤어라인 무늬를 갖는 도금층을 포함하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가 250 이상이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와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직각 방향의 광택도(G60RD)의 비율(G60PD/G60RD)이 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METAL MEMBER HAVING HIGH GLO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재나 가전재 등의 사용에 적합한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은 본질적으로 은백색의 광택을 가지나, 공기 중에 노출되면 금속 표면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산화층이 형성되는 등으로 인하여 금속 고유의 광택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금속의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금속 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하거나 도장을 하거나 필름을 붙여 금속 표면을 보호하고 있으나, 이 경우 금속 자체의 광택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강판의 광택을 향상시키고 미려한 외관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면 마무리가 행해지는데, 상기 표면 마무리의 대표적인 예로 강재 표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헤어라인 마무리는 강재의 표면을 연마재로 연속적으로 연마하여 연마자국이 남도록 마무리한 것으로서, 연마표면이 머리카락처럼 연속적으로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표면 마무리 방법을 의미한다.
통상의 헤어라인 마무리는 컨택트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콘택트 휠과 아이들롤에 겹쳐 감겨 있는 연마벨트를 고속 회전시켜 언코일러부로부터 리코일러부로 이동하는 강재의 표면을 연마벨트로 연마하는 가공 방법인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통상의 방법에 의해 도금강판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할 경우, 연마벨트 상에 부착된 연마 입자의 형태가 고르지 않기 때문에 헤어라인 무늬가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금층 일부가 훼손되어 소지강판 표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헤어라인 무늬는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보는 각도에 따라 광택이 달라지게 되어 소재의 미려함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식성 및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되고, 표층에 헤어라인 무늬를 갖는 도금층을 포함하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가 250 이상이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와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직각 방향의 광택도(G60RD)의 비율(G60PD/G60RD)이 2.5 이하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샌드페이퍼(Sand Paper)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샌드페이퍼 상에 형성된 연마입자의 원상당 직경은 110~130㎛이고, 장축과 단축의 비율이 1~1.7이며, 최대단차는 70~100㎛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 및 효과는 하기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부재는, 연마 후에도 도금층이 훼손되지 않아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헤어라인 단면의 형태 및 헤어라인 폭이 적절히 제어되어 광택도 및 광택도의 이방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부재에 코팅층을 추가로 형성시킬 경우, 도금층과 코팅층간 밀착력이 우수하여, 내식성 및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난다.
도 1은 헤어라인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코일-투-코일 방식의(Coil-to-Coil) 습식연마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는 입도번호 #120인 샌드페이퍼의 표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입도번호 #120인 샌드페이퍼의 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부재의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상기 도면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부재의 내식성과 광택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하여 소지강판에 도금층을 형성하고, 표면 마무리로서 헤어라인 처리를 실시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의 표면에 헤어라인 처리를 하는 경우, 도금층 일부가 훼손되어 소지강판이 노출되거나, 광택도의 이방성으로 인하여 표면의 미려함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깊이 연구한 결과, 도금층 표층의 헤어라인 단면의 형태 및 헤어라인의 폭을 적절하게 제어할 경우 광택도가 우수하고 광택도의 이방성이 최소화된 금속부재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나아가, 위와 같이 헤어라인의 형태를 제어하는 한가지 방법으로서, 도금층의 표면 마무리시 연마재인 샌드페이퍼의 조건을 적절히 제어하여 연마를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추가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는,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되고, 표층에 헤어라인 무늬를 갖는 도금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부재는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가 25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330 이상)이고, 상기 헤어라인과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와 상기 헤어라인과 직각 방향의 광택도(G60RD)의 비율(G60PD/G60RD)이 2.5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의 값을 나타낸다.
상기 비율(G60PD/G60RD)이 1 에 가까울수록 광택도의 이방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는 각도에 관계 없이 광택이 일정하게 되어 표면의 미려함이 우수하게 된다. 그러나, 헤어라인 무늬는 방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상기 비율은 1을 초과하는 값을 나타내게 되며, 다만, 그 값이 2.5 를 초과할 경우 헤어라인 평행 방향의 광택과 헤어라인 직각 방향의 광택의 차이가 외관으로 쉽게 식별될 수 있을 정도로 구별이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2.5 이하로 제어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하로 제어한다.
한편, 상기의 광택도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헤어라인 단면의 면적(A)과 동일한 면적을 나타내는 반원의 반경 R과 상기 헤어라인 단면 둘레의 길이 l의 비율(l/R)의 평균값이 π~2π이고, 상기 헤어라인의 폭(w)의 평균값이 70~85㎛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상기 헤어라인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비율(l/R)의 평균값이 π에 가까울수록, 단면의 형태가 반원에 가까워짐을 의미하며, 상기 비율(l/R)의 평균값이 π 미만일 경우, 제한된 방향으로만 반사가 일어나 광택도의 이방성이 열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2π를 초과할 경우, 난반사가 일어나 광택도 및 광택도의 이방성이 열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폭(w)이 70㎛ 미만일 경우, 제한된 방향으로만 반사가 일어나게 되어 광택도의 이방성이 열위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면, 85㎛를 초과할 경우, 난반사가 일어나 광택도 및 광택도의 이방성이 열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헤어라인 무늬 폭(w)의 평균값이 85㎛ 이하인 경우, 도금층 상부에 코팅층 형성시, 도금층과 코팅층간 밀착력이 우수하여, 내식성 및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부재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금층의 도금 부착량은 10 g/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40g/m2을 초과할 경우, 공정시간 및 공정비용의 상승으로 생산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도금층의 도금 부착량은 10~40g/m2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도금층 상부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금속 부재에 요구되는 색상과 무늬를 구현하고, 광택도의 이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술한 헤어라인 무늬가 투영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의 것이라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금층 상부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코팅층을 형성시킬 경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가 11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고, 헤어라인과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와 헤어라인과 직각 방향의 광택도(G60RD)의 비율(G60PD/G60RD)이 2.0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값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은,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샌드페이퍼(Sand Paper)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샌드페이퍼 상에 형성된 연마입자의 원상당 직경은 110~130㎛이고, 장축과 단축의 비율이 1~1.7이며, 최대단차는 7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지강판으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냉간압연이 완료된 냉연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연마하기 전,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의 도금부착량은 편면을 기준으로 40 g/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40g/m2 미만일 경우, 연마시 도금층이 훼손되어 도금강판 본래의 특성인 내식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도금부착량이 80g/m2를 초과하는 경우, 연마시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는 바, 상기 도금부착량은 40~80 g/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도금층은 Zn 도금층, Zn-Ni 합금도금층, Zn-Al 합금도금층, Zn-Al-Mg 합금도금층 또는 Al-Si 합금도금층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도금층이 Zn-Ni 합금도금층인 경우, 그 조성은 니켈(Ni): 10~15 중량%, 잔부 아연(Zn)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니켈(Ni)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도금층의 경도가 낮아 연마시 도금층이 훼손될 우려가 있으며, 반면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도금층의 경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가공시 도금층의 박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도금층이 Zn-Al 합금도금층인 경우, 그 조성은 Al: 50 중량% 이상,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Zn-Al-Mg 합금도금층인 경우, 그 조성은 Al: 3~15 중량%, Mg: 1-4 중량, 잔부 Zn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Al-Si 합금도금층인 경우, 그 조성은 Si: 3~5 중량%, 잔부 Al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연마입자의 원상당 직경이 110~130㎛이고, 장축과 단축의 비율이 1~1.7이며, 최대단차는 70~100㎛인 샌드페이퍼(Sand Paper)를 이용하여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연마한다. 상기 샌드페이퍼의 원상당 직경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헤어라인 무늬가 단속적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헤어라인 무늬의 폭의 평균값(w)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범위를 벗어나 결과적으로 도장 후 선영성 및 표면의 미려함이 열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장축과 단축의 비율이 1에 가까울수록 연마입자의 단면이 원에 가까워짐을 의미하는데, 상기 비율이 1.7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두께의 헤어라인 무늬의 형성이 어려운 바, 상기 비율이 1.7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대단차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광택도의 이방성이 열위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최대단차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금층 일부가 훼손되어 소지강판이 노출될 염려가 있는 바, 상기 최대단차는 70~100㎛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샌드페이퍼를 확보하는 한가지 방법으로서, 입도번호 #120인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피연마재인 스테인리스 판재를 3000~4000m 연마한 이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연마거리가 3000m 미만일 경우, 샌드페이퍼의 입자의 형태 및 크기가 불균일하여 연속패턴의 일정한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샌드페이퍼의 표면이 거칠어 도금층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 4000m를 초과하는 경우, 샌드페이퍼가 지나치게 연마되어 헤어라인 형성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스테인리스 판재의 연마는 상기 샌드페이퍼가 부착된 연마 벨트를 포함하는 코일-투-코일(Coil-to-Coil) 방식의 습식연마장치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습식연마장치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습식연마장치는, 코일형태로 감겨 있는 금속부재를 풀어주기 위해 설치된 언코일러부(2); 상기 언코일러부(2)에 의해 풀어진 금속부재를 다시 감아주기 위해 설치된 리코일러부(4); 상기 언코일러부(2)와 상기 리코일러부(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금속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 벨트 이송부(6); 및 상기 언코일러부(2)와 상기 리코일러부(4)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금속부재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해 설치된 연마 벨트(8)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 벨트(8)의 외주면에 상기 샌드페이퍼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습식연마장치에 의해 스테인리스 판재를 연마할 경우, 연마 벨트의 회전속도는 2000~2200rpm, 스테인리스 판재의 이동속도는 6~10m/min의 조건으로 연마할 수 있다.
도 3는 입도번호 #120인 샌드페이퍼의 표면을 관찰한 사진으로, 도 3(a)는 피연마재인 스테인리스 판재의 연마 전 샌드페이퍼의 표면을 관찰한 사진이며, 도 3(b)는 피연마재인 스테인리스 판재를 3500m 연마한 이후의 샌드페이퍼의 표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한편, 도 4는 입도번호 #120인 샌드페이퍼의 단면을 관찰한 사진으로, 도 4(a)는 피연마재인 스테인리스 판재의 연마 전 샌드페이퍼의 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며, 도 4(b)는 피연마재인 스테인리스 판재를 3500m 연마한 이후의 샌드페이퍼의 단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때, 피연마재인 스테인리스 판재의 연마 전 샌드페이퍼는 표면이 거칠뿐만 아니라, 연마입자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상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샌드페이퍼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샌드페이퍼의 가격 및 샌드페이퍼의 수명과 더불어 최종 제품 품질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재질의 샌드페이퍼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카바이드(SiC),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재질의 샌드페이퍼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의 연마 단계 역시 코일-투-코일 방식의 습식연마장치에 의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광택도 및 광택도의 이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마 벨트의 회전 속도, 금속부재의 이동속도 등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마 벨트의 회전 속도는 2000~3000rpm이고, 금속부재의 이동속도는 2~20m/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 벨트의 회전속도가 2000rpm 미만이거나, 상기 금속부재의 이동속도가 20m/min을 초과할 경우, 샌드페이퍼 상의 각각의 입자가 담당하는 연마구역이 상이하여 미연마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면 상기 연마 벨트의 회전속도가 3000rpm을 초과하거나, 상기 금속부재의 이동속도가 2m/min 미만일 경우, 샌드페이퍼 상의 각각의 입자가 담당하는 연마구역의 일부가 중첩되어 과연마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연마 벨트의 회전속도는 2000~3000rpm로 제어하고, 상기 금속부재의 이동속도는 2~20m/min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부재에 요구되는 색상과 무늬를 구현하고, 광택도의 이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도금층 상부에 코팅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코팅층의 종류 및 형성방법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 실시예 1)
냉연강판에 Ni을 12중량% 함유하는 Zn-Ni 합금 도금층을 형성한 후, 습식연마장치로 연마하여 최종적으로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를 제조하였다.
각각 연마입자의 원상당직경의 평균값이 상이한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상기 Zn-Ni 합금도금층 표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시켰으며, 연마 벨트의 회전속도는 2100rpm, 금속부재의 이동속도는 5m/min으로 일정하게 하였다.
한편, 상기 샌드페이퍼는 발명예 1을 제외하고, 스테인리스 판재를 피연마재로 하여 3500m 연마된 이후의 것(발명예 1은 3000m 연마함)을 사용하였으며, 연마 벨트의 회전속도는 2100 rpm, 금속부재의 이동속도는 9m/min으로 일정하게 하였다.
상기에 따라 제조된 헤어라인 외관을 갖는 각각의 금속부재와 기존의 헤어라인이 인쇄된 필름이 부착된 강판의 광택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광택도는 헤어라인 방향과 평행 방향 및 직각 방향 각각에 대하여 JIS Z 8741 에 준거하여 광원 입사각 60˚로 측정하였다.
구분 연마입자
원상당직경(㎛)
장축/단축의 비 최대단차
(㎛)
l/R w(㎛) G60PD G60PD/G60RD
비교예 1 188 1.5 135 1.12π 125 105 6.77
발명예 1 115 1.2 70 1.14π 77 335 2.19
발명예 2 120 1.7 100 1.15π 81 405 1.86
비교예 2 95 2.0 100 1.13π 67 176 5.10
비교예 3 80 1.5 60 1.16π 53 236 4.59
비교예 4 46 2.5 180 1.23π 32 229 4.38
l/R: 헤어라인 단면의 면적(A)과 동일한 면적을 나타내는 반원의 반경 R과 헤어라인 단면의 둘레(l)의 비율의 평균값.
w: 헤어라인 폭의 평균값.
G60PD: 헤어라인과 평행 방향의 광택도
G60PD/G60RD: 헤어라인과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와 헤어라인과 직각 방향의 광택도(G60RD)의 비율
구분 종류 G60PD G60PD/G60RD
종래예 1 Platinium Silver PCM 강판 127 1.01
종래예 2 STS VCM 강판 184 1.21
종래예 3 ACM 강판 210 1.59
종래예 4 White PCM 강판 112 0.99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예 1 및 2는 l/R 과 w가 본 발명이 제어하는 범위를 만족하여, G60PD 값이 330 이상으로 광택도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고, G60PD/G60RD 값이 2.2 이하가 되어 광택도의 이방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한편, 표 2의 종래예와 비교하더라도, 광택도의 이방성은 다소 열위하였으나, 전체적인 광택도는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4는 l/R 값은 본 발명이 제어하는 범위를 만족하였으나, w가 본 발명이 제어하는 범위를 벗어나, 광택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G60PD/G60RD 값이 모두 4를 초과하는 값을 가져 광택도의 이방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부재의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사진으로, 도 4의 (a) 내지 (e)는 각각 비교예 1, 발명예 2, 비교예 2,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따른 금속부재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 실시예 2)
금속부재의 코팅후 내식성 및 가공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금속부재 상부에 건조도막두께 17.8㎛의 폴리에스테르 코팅층을 형성시켰다.
이후, 상기 금속부재의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해, 염수분무시험(KS-C-0223에 준하는 염수분무 규격시험)으로 부식촉진시험을 수행한 후, 금속부재의 표면에 백청 발생면적이 5%가 될 때까지 경과한 시간을 측정하였다. 500시간을 초과한 경우 "Good", 500시간 이하인 경우 "NG"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금속부재의 가공성을 평가하기 위해, 1mm 간격으로 가로, 세로 각 10칸씩 총 100개의 눈금을 형성한 후, 에릭슨 돔을 8mm 형성 후, 도막의 밀착성을 평가하는 CET test(Cross cut-Erichsen-Tape peel test)를 실시하였다. 100개 중 박리되는 부분의 개수가 5개 이내인 경우 "Good", 5개 이상인 경우 "NG"로 나타내었다.
구분 w(㎛) G60PD G60PD/G60RD 내식성 가공성
비교예 1 125 40 5.0 NG NG
발명예 1 77 132 1.38 Good Good
비교예 2 67 80 3.8 Good Good
비교예 3 53 100 3.4 Good Good
비교예 4 32 60 3.2 Good Good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명예 1은 코팅층 형성 후에도 광택도 및 광택도의 이방성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금속부재의 내식성 및 가공성과 관련하여, 헤어라인 무늬 폭(w)의 평균값이 85㎛ 이하인 발명예 1 및 비교예 2 내지 4의 경우, 도금층과 코팅층간 밀착력이 우수하여, 금속부재의 내식성 및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헤어라인 무늬 폭(w)의 평균값이 85㎛를 초과하는 비교예 1의 경우, 금속부재의 내식성 및 가공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2: 언코일러부
4: 리코일러부
6: 벨트 이송부
8: 연마 벨트
10: 연마 윤활유 분사장치

Claims (15)

  1.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되고, 표층에 헤어라인 무늬를 갖는 도금층을 포함하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 단면의 면적(A)과 동일한 면적을 나타내는 반원의 반경(R)과 상기 헤어라인 무늬 단면의 둘레의 길이(l)의 비율(l/R)의 평균값이 π~2π이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의 폭(w)의 평균값이 70~85㎛이며,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가 250 이상이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와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직각 방향의 광택도(G60RD)의 비율(G60PD/G60RD)이 2.5 이하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2.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되고, 표층에 헤어라인 무늬를 갖는 도금층; 및
    상기 도금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가 투영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 단면의 면적(A)과 동일한 면적을 나타내는 반원의 반경(R)과 상기 헤어라인 무늬 단면의 둘레의 길이(l)의 비율(l/R)의 평균값이 π~2π이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의 폭(w)의 평균값이 70~85㎛이며,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가 110 이상이고,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평행 방향의 광택도(G60PD)와 상기 헤어라인 무늬와 직각 방향의 광택도(G60RD)의 비율(G60PD/G60RD)이 2.0 이하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강판은 냉연강판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의 도금 부착량은 10~40g/m2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Zn 도금층, Zn-Ni 합금도금층, Zn-Al 합금도금층, Zn-Al-Mg 합금도금층 및 Al-Si 합금도금층 중 어느 하나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Zn-Ni 합금도금층의 조성은, 니켈(Ni): 10~15 중량%, 잔부 아연(Zn)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9.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샌드페이퍼(Sand Paper)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샌드페이퍼 상에 형성된 연마입자의 원상당 직경은 110~130㎛이고, 장축과 단축의 비율이 1~1.7이며, 최대단차는 70~100㎛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후, 상기 도금층 상부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강판은 냉연강판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Zn 도금층, Zn-Ni 합금도금층, Zn-Al 합금도금층, Zn-Al-Mg 합금도금층 및 Al-Si 합금도금층 중 어느 하나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연마하기 전, 도금 부착량은 40g/m2 이상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
  1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강판의 연마는, 코일-투-코일(Coil to Coil) 방식의 습식연마장치에 의해 행해지며, 상기 습식연마장치는 상기 샌드페이퍼가 부착된 연마 벨트를 포함하는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의 연마시, 상기 연마 벨트의 회전속도는 2000~3000rpm이고, 상기 소지강판의 이동속도(line speed)는 2~20m/min인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의 제조방법.
KR1020130140220A 2013-11-18 2013-11-18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8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220A KR101568480B1 (ko) 2013-11-18 2013-11-18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220A KR101568480B1 (ko) 2013-11-18 2013-11-18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97A KR20150057197A (ko) 2015-05-28
KR101568480B1 true KR101568480B1 (ko) 2015-11-11

Family

ID=5339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220A KR101568480B1 (ko) 2013-11-18 2013-11-18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4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383A1 (ko) * 2018-04-02 2019-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19256A1 (ko) * 2022-07-21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외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41B1 (ko) * 2018-11-21 2019-11-04 주식회사 다임스틸 신용카드 전사용 스틸판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516404B1 (ko) * 2020-12-23 2023-04-03 (주)엘엑스하우시스 장식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383A1 (ko) * 2018-04-02 2019-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헤어라인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19256A1 (ko) * 2022-07-21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용 외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197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480B1 (ko) 광택도가 우수한 금속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0555B1 (ko) 선영성이 우수한 금속부재
CN109715301B (zh) 用于成型不锈钢部件的方法
JP5522318B2 (ja) ヘアライン外観を有するAl系合金めっき鋼材
CN103741090A (zh) 沉没辊和稳定辊表面涂层的喷涂方法
US20100081006A1 (en) Faux stainless steel finish on bare carbon steel substrate and method of making
CN2829927Y (zh) 一种冷轧带钢用毛化辊
CA2614206A1 (en) Faux stainless steel and method of making
KR20120050732A (ko) 헤어라인 외관을 갖는 전기도금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5330734B2 (ja) 金属ローラ
KR101459035B1 (ko) 헤어라인 외관을 갖는 용융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93301A (zh) 一种整卷不锈钢彩色镜面抗指纹膜层加工方法
JP3317237B2 (ja) 防眩性に優れたチタン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に用いるワークロール
US6884205B2 (en) Non-marking web conveyance roller
EP3978458A1 (en) Artificial marble
JP3233056B2 (ja) ダル仕上げ用ワークロールとその表面加工方法、ならびにつや消し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S62137111A (ja) 塗装鮮映性の優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000157110A (ja) 管状体
JP3218420B2 (ja) 耐パンチング性に優れたガードフィルムフリー型黒色プレコート鋼板
JPS6213413B2 (ko)
JP3075953B2 (ja) 耐パンチング性及び耐プレッシャーマーク性に優れたガードフィルムフリー型プレコート鋼板
KR101695551B1 (ko) 세라믹 입자 분사를 통해 가공성이 향상된 표면처리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042163A1 (en) Plated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glossiness and surface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70000970A (ko) 세라믹 입자 분사를 통해 가공성이 향상된 표면처리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070874A (zh) 一种用于平整辊的耐磨层的制备方法及使用其的平整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