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212A -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 Google Patents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5212A KR20190115212A KR1020180037953A KR20180037953A KR20190115212A KR 20190115212 A KR20190115212 A KR 20190115212A KR 1020180037953 A KR1020180037953 A KR 1020180037953A KR 20180037953 A KR20180037953 A KR 20180037953A KR 20190115212 A KR20190115212 A KR 201901152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ot body
- pot
- reservoir
- vege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는 흙이 담겨지는 식생부를 구비하는 화분 본체와, 상기 식생부에 흡수되고 남은 물이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홀을 통과하여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화분 본체의 바닥면이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식생부에 흡수된 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화분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식생부에 흡수된 물이 증발하여 상기 화분 본체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에게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알림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식물의 급수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의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마당이 있는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인구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인구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단독주택의 경우 마당이 있기 때문에 마당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나,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화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게 된다.
실내에서 화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목적은 관상용, 공기정화용, 실내 습도조절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재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때 식물이 정상적으로 자라게 하기 위해서는 자주 화분에 물을 부어 주어야 한다. 특히 수분을 많이 요구하는 식물은 며칠 정도 물을 공급하지 않으면 식물이 말라 죽게 되기 때문에 화분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일은 식물의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난(亂)과 같이 재배하기 힘든 식물의 경우에는 물을 주는 시기를 잘 맞추어야 한다. 특히, 환경조건, 통풍, 계절, 식재 종류, 화분의 크기, 재질, 촉수, 날씨와 난의 상태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난의 뿌리가 건조되는 시기가 달라 경험이 많은 소비자들도 난에 알맞은 물 주기를 하기란 매우 어렵다. 초보자의 경우 꽃, 작은 묘목, 난 등에 물 주기를 할 시에 물을 주는 주기가 매우 곤란함에 따라 꽃, 작은 묘목, 난 등을 제대로 키우지 못하고 죽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분의 하부에는 화분에 담긴 흙에 흡수되고 남은 물의 일부를 저장하는 화분 받침대가 구비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화분에 물을 너무 많이 공급하게 되면 화분 받침대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초과되어 물이 넘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식물에 물주는 시기를 알려줌으로써 식물을 죽이지 않고 손쉽게 키울 수 있는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식물에 준 물을 재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식물에 물주는 시기를 늘릴 수 있는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식물에 충분한 물을 공급하더라도 여분의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는 흙이 담겨지는 식생부를 구비하는 화분 본체와, 상기 식생부에 흡수되고 남은 물이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홀을 통과하여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화분 본체의 바닥면이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식생부에 흡수된 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화분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식생부에 흡수된 물이 증발하여 상기 화분 본체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에게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알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 본체에 구비된 식생부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식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은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저수조에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화분 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탄성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는 제 1자석과, 상기 화분 본체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 1자석과 대향되는 곳에서 상기 제 1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져 척력을 발휘하는 제 2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화분 본체에 표시되는 표시선이고, 상기 표시선은 상기 식생부가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 본체가 하강하면 상기 저수조에 가려 표시되지 않고, 상기 식생부에서 흡수한 물이 증발하여 상기 화분 본체가 상승하면 상기 저수조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화분 본체와 상기 저수조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화분 본체와 상기 저수조 중 어느 타측에 설치되어 상시 센서가 대응하는 위치에 왔을 때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센서를 감지했을 때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식물의 급수시기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식물을 죽이지 않고 손쉽게 키울 수 있다.
또한, 저면관수를 이용하여 식물에 준 물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물주는 시기를 늘릴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식물에 충분한 물을 공급하더라도 여분의 물이 흘러 넘쳐서 화분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세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는 흙이 담겨지는 식생부(110)를 구비하는 화분 본체(100)와, 식생부(110)에 흡수되고 남은 물이 화분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홀(120)을 통과하여 저장되는 저수조(200)와,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이 저수조(200)의 바닥면(201)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식생부(110)에 흡수된 물의 무게에 따라 화분 본체(1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00)와, 식생부(110)에 흡수된 물이 증발하여 화분 본체(1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에게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알림부(500)를 구비한다.
화분 본체(100)는 식물의 뿌리가 심겨져 자랄 수 있도록 흙이 담긴 식생부(110)를 구비한다. 화분 본체(100)의 형상은 원통형,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 재질은 플라스틱, 도기, 토기, 유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에는 식생부(110)에 흡수되고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배수홀(120)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홀(120)을 통해 물이 배수되지 않으면 식생부(110)에 심겨지는 식물의 뿌리가 썩을 수 있기 때문이다.
화분 본체(100)의 외부에는 화분 본체(100)의 일부가 수용되는 저수조(200)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화분 본체(100)는 받침대에 의해 받쳐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화분 본체(100)의 일부가 저수조(200)에 수용되도록 하였다. 이때, 저수조(200) 바닥면(201)의 폭은 화분 본체(100) 바닥면(101)의 폭보다 약간 크도록 하였다. 따라서, 화분 본체(100)의 일부가 저수조(200)에 수용될 때 화분 본체(100)의 측면(102)이 저수조(200)의 측면(202)에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저수조(200)의 바닥면(201)에는 복수개의 지지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200)의 바닥면(201)에 복수개의 지지부재(400)가 구비됨으로써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이 저수조(200)의 바닥면(20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저수조(200)에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저수조(200)에 저장된 물이 화분 본체(100) 내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측은 지지부재(400)에 지지되고, 타측은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에 지지되는 이동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400)가 4개로 구비되고, 각 지지부재(400)에 이동부재(30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보였다.
이때, 이동부재(300)는 식생부(110)에 흡수된 물의 무게에 따라 화분 본체(10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300)로 탄성스프링(310)이 사용된 것을 보였다.
사용자가 화분 본체(100)의 식생부(110)로 물을 공급하게 되면, 식생부(110)의 흙은 물을 흡수하게 되고 흙에 흡수되지 않은 물은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에 형성된 배수홀(120)을 통과하여 저수조(200)에 저장된다. 이때, 식생부(110)의 흙에 물이 흡수되면 화분 본체(100)의 무게가 늘어나기 때문에 탄성스프링(310)은 압축된다. 반면 식생부(110)의 흙에 흡수된 물이 증발되면 화분 본체(100)의 무게가 줄어들기 때문에 탄성스프링(310)은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식생부(110)에 흡수된 물의 무게에 따라 화분 본체(1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식생부(110)에 흡수된 물이 증발하여 화분 본체(1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에게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알림부(50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림부(500)가 화분 본체(100)에 표시되는 표시선(510)인 것을 보였다. 표시선(510)은 식생부(110)가 물을 흡수하여 화분 본체(100)가 하강하면 저수조(200)에 가려 표시되지 않고, 식생부(110)에서 흡수한 물이 증발하여 화분 본체(100)가 상승하면 저수조(200)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하여 표시된다. 이와 같이 식생부(110)에 물이 부족하여 급수시기가 되면 표시선(510)이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급수시기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수조(200)에 저장된 물을 화분 본체(100)에 구비된 식생부(110)로 상승시킴으로써 식생부(110)에 물을 공급하는 심지(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심지(600)의 일단부는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에 형성된 배수홀(120)을 통해 식생부(110)와 연결되어 있고, 심지(600)의 타단부는 저수조(200)의 바닥면과 접해 있다.
사용자가 식물에 물을 공급하게 되면 식생부(110)의 흙은 물을 흡수하게 되고, 식생부(110)의 흙에 흡수되지 않은 물은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에 형성된 배수홀(120)을 통과하여 저수조(200)에 저장된다. 시간이 흘러 식생부(110)에 흡수된 물이 증발되면, 저수조(200)에 저장된 물은 심지(600)를 따라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식생부(110)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시기를 늘릴 수 있어, 식물을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사용자가 화분 본체(100)의 식생부(110)로 물을 공급하게 되면, 식생부(110)의 흙은 물을 충분히 흡수하게 되고 흙에 흡수되지 않은 물은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에 형성된 배수홀(120)을 통과하여 저수조(200)에 저장된다. 식생부(110)의 흙에 물이 흡수되면 화분 본체(100)의 무게가 늘어나기 때문에 탄성스프링(310)은 압축된다. 따라서 4A와 같이 화분 본체(100)에 구비된 표시선(510)은 저수조(200)의 측면(202)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시간이 흘러 식생부(110)에 흡수된 물이 증발하게 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저수조(200)에 저장된 물이 심지(600)를 통해 식생부(110)로 공급된다. 저수조(200)에 저장된 물이 고갈되면 더 이상 식생부(110)로 물이 공급되지 못한다. 따라서 화분 본체(100)의 무게나 줄어들기 때문에 탄성스프링(310)은 인장된다. 따라서 4B와 같이 화분 본체(100)에 구비된 표시선(510)은 저수조(200)의 측면(202) 상단 위로 돌출하게 되어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표시선(510)이 돌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식물에 물을 줘야하는 시기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는 이동부재(300)로 탄성스프링 대신에 자석(321,322)이 사용된 것을 보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에서 이동부재(300)는 지지부재(400)에 부착되는 제 1자석(321)과,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에서 제 1자석(321)과 대향되는 곳에서 제 1자석(321)과 같은 극성을 가져 척력을 발휘하는 제 2자석(322)을 포함한다.
지지부재(400)의 상단에 부착되는 제 1자석(321)과 화분 본체(100)의 바닥면(101)에 부착되는 제 2자석(322)은 서로 밀어내는 척력을 발휘하게 된다.
식생부(110)의 흙에 물이 흡수되면 화분 본체(100)의 무게가 늘어나기 때문에 제 1자석(321)과 제 2자석(322) 사이의 척력이 있더라도 화분 본체(100) 바닥면(101)과 지지부재(400)의 거리는 줄어들게 된다. 반면 식생부(110)의 흙에 흡수된 물이 증발되면 화분 본체(100)의 무게가 줄어들기 때문에 제 1자석(321)과 제 2자석(322) 사이의 척력에 의해 화분 본체(100) 바닥면(101)과 지지부재(400)의 거리는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식생부(110)에 흡수된 물의 무게에 따라 화분 본체(1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에서 알림부(500)가 센서 등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세트의 알림부(500)는 화분 본체(100)와 저수조(200)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521)와, 화분 본체(100)와 저수조(200) 중 어느 타측에 설치되어 센서(521)가 대응하는 위치에 왔을 때 감지하는 감지부(522)와, 감지부(522)가 센서(521)를 감지했을 때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표시부(523)와, 알림부(500)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524)를 구비한다.
식생부(110)의 흙에 물이 흡수되면 화분 본체(100)의 무게가 늘어나기 때문에 이동부재(300)에 의해 센서(521)와 감지부(522)는 서로 어긋나는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부(523)는 어떠한 알림도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식생부(110)의 흙에 흡수된 물이 증발되면 화분 본체(100)의 무게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동부재(300)에 의해 센서(521)와 감지부(522)는 서로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지부(522)가 센서(521)를 감지하였을 때 표시부(523)는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켜 알림을 제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식물에 물을 줘야하는 시기가 왔음을 쉽게 인지하게 되므로,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분은 일반적으로 베란다와 같이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비치한다. 따라서, 상술한 화분 세트를 베란다에 비치하면 태양광 패널(524)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므로, 외부에서 별도의 전기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표시부(523)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화분 본체
110: 식생부
120: 배수홀 200: 저수조
300: 이동부재 400: 지지부재
500: 표시부 600: 심지
120: 배수홀 200: 저수조
300: 이동부재 400: 지지부재
500: 표시부 600: 심지
Claims (7)
- 흙이 담겨지는 식생부를 구비하는 화분 본체와,
상기 식생부에 흡수되고 남은 물이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홀을 통과하여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화분 본체의 바닥면이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식생부에 흡수된 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화분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식생부에 흡수된 물이 증발하여 상기 화분 본체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사용자에게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알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세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 본체에 구비된 식생부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식생부에 물을 공급하는 심지를 더 포함하는 화분 세트. -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저수조에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분 세트.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일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화분 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탄성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세트.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는 제 1자석과, 상기 화분 본체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 1자석과 대향되는 곳에서 상기 제 1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져 척력을 발휘하는 제 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세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화분 본체에 표시되는 표시선이고,
상기 표시선은 상기 식생부가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 본체가 하강하면 상기 저수조에 가려 표시되지 않고, 상기 식생부에서 흡수한 물이 증발하여 상기 화분 본체가 상승하면 상기 저수조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세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화분 본체와 상기 저수조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와,
상기 화분 본체와 상기 저수조 중 어느 타측에 설치되어 상시 센서가 대응하는 위치에 왔을 때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센서를 감지했을 때 소리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7953A KR102036134B1 (ko) | 2018-04-02 | 2018-04-02 |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7953A KR102036134B1 (ko) | 2018-04-02 | 2018-04-02 |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5212A true KR20190115212A (ko) | 2019-10-11 |
KR102036134B1 KR102036134B1 (ko) | 2019-10-24 |
Family
ID=6821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7953A KR102036134B1 (ko) | 2018-04-02 | 2018-04-02 |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613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2259U (ko) * | 1996-10-26 | 1998-07-15 | 조영운 | 화분과 함께 이동가능한 화분용 급수장치 |
KR20030041118A (ko) * | 2003-04-22 | 2003-05-23 | 김영문 |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와 그 제어방법 |
KR101555218B1 (ko) | 2013-10-10 | 2015-09-23 | 이마이주식회사 |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오뚜기 타입 화분 |
KR101843521B1 (ko) * | 2015-07-06 | 2018-03-30 | 한기연 |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
-
2018
- 2018-04-02 KR KR1020180037953A patent/KR1020361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2259U (ko) * | 1996-10-26 | 1998-07-15 | 조영운 | 화분과 함께 이동가능한 화분용 급수장치 |
KR20030041118A (ko) * | 2003-04-22 | 2003-05-23 | 김영문 | 자동 급수/배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와 그 제어방법 |
KR101555218B1 (ko) | 2013-10-10 | 2015-09-23 | 이마이주식회사 |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오뚜기 타입 화분 |
KR101843521B1 (ko) * | 2015-07-06 | 2018-03-30 | 한기연 |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6134B1 (ko) | 2019-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07175A1 (en) | Flowerpot | |
US20130031834A1 (en) | Vertical planter system for orchids and epiphytic plants | |
JP2016093120A (ja) | 植物栽培装置 | |
KR200390580Y1 (ko) | 액자형 화분 | |
KR102036134B1 (ko) |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 |
KR100997306B1 (ko) |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 |
JP6296515B2 (ja) | 一般家庭向け簡易水耕栽培装置 | |
JPH06343349A (ja) | 底面灌水式プランター | |
KR101885752B1 (ko) | 부유식 식물 재배 장치 | |
JP7074971B2 (ja) | 植物栽培装置 | |
KR20210087666A (ko) |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 | |
JPH1156136A (ja) | ペットボトル等を活用した植木鉢等への給水装置 | |
KR200281182Y1 (ko) |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 |
JPH06178625A (ja) | 陸生植物の水上園芸施設 | |
KR102538925B1 (ko) | 저면급수 화분 | |
KR200455928Y1 (ko) | 화분의 수위 표시 장치 | |
KR20120055025A (ko) | 텃밭용 화분 | |
KR200427180Y1 (ko) | 원예작물의 실외 분화재배기 | |
KR100795932B1 (ko) | 원예작물의 실외 분화재배기 | |
KR20100000729U (ko) | 수경식재형 플랜터 | |
KR20170066191A (ko) | 다단식 텃밭 재배기 | |
KR20230000748U (ko) | 급수시기를 알 수 있는 화분 | |
JP3354512B2 (ja) | 植木鉢を利用するプランター | |
JPH0928196A (ja) | プランター | |
KR200180103Y1 (ko) | 담 설치용화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