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521B1 -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 Google Patents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521B1
KR101843521B1 KR1020150096060A KR20150096060A KR101843521B1 KR 101843521 B1 KR101843521 B1 KR 101843521B1 KR 1020150096060 A KR1020150096060 A KR 1020150096060A KR 20150096060 A KR20150096060 A KR 20150096060A KR 101843521 B1 KR101843521 B1 KR 10184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water
outer container
soi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673A (ko
Inventor
한기연
Original Assignee
한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연 filed Critical 한기연
Priority to KR102015009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5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분 자체에 토양의 수분량이 표시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분의 급수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화분의 외부에 토양의 수분량에 따라 표현되는 내용이 변화되는 표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화분의 급수시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FLOWERPOT FOR REPORTING WATER SUPPLY TIME}
본 발명은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장치 없이 화분 내 토양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고, 급수 시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식물의 미려한 외관 또는 화초에서 발산되는 향기에 의한 실내 분위기의 개선을 위하여 식물의 실내 재배가 이루어졌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 목적 외에 식물에서 방출되는 유익한 물질에 의한 건강증진, 약 또는 향신료로의 사용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식물의 실내 재배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식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해서는 화분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외관이나 특성을 갖는 화분의 수요 또한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식물은 그 종류에 따라 재배에 적합한 온도, 수분, 일조량 등이 상이한데, 식물 재배에 관한 숙련자가 아닐 경우 적절한 수분의 공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1274호에는 계측부에 위치한 5개의 전극과 3개의 수분센서를 조합하여 화분 내 토양에 포함된 수분량을 검출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장치는 전극을 대전시킨 후 센서로 토양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화분 내 토양에 미량이나마 전류가 흐르거나 대전된 상태가 유발되므로 식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고, 작동에 전력이 사용되므로 정기적으로 전지를 교체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며, 비료에 포함된 이온에 의해 임피던스가 변동되어 수분량의 측정이 부정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측정된 결과가 LCD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므로 원거리에서 수분량을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곤란하며, 전극 및 센서를 토양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식물의 뿌리가 손상되거나 장시간 토양에 삽입된 상태의 전극에 부식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별도의 장치 없이 화분 내 토양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고, 급수 시점을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토양에 전류나 부식된 금속 성분 등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1274호(발명의 명칭: 화분의 수분량 검출 장치, 공개일자: 2009년 6월 16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분의 급수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거리에서도 화분의 급수시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분 내 토양에 부가된 비료 성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급수시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용기;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안착되고, 그 내측에는 토양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 중 일부분에는 내측을 향하여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입부의 상측에는 상기 토양이 상기 함입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수성의 커버부가 형성된 내용기; 및 흡수성을 갖는 흡수체가 구비되고 상기 흡수체의 중량 변화에 따라 상기 흡수체의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외용기의 내주면과 상기 함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장치실 내에 배치되는 감지부와, 일부분 이상이 상기 외용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에 연결된 지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변위에 따라 상기 지시부재의 배치 또는 위치가 변경되는 표시부와, 상기 감지부와 지시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변위의 크기 또는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지시부재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갖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달부는 중간부분이 상기 외용기를 관통하고 상기 외용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이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외용기의 외측에 배치된 회전축 및 일단부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된 하나 또는 연쇄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는 상기 지시부재가 결합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분 자체에 토양의 수분량이 표시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분의 급수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분의 외부에 토양의 수분량에 따라 표현되는 내용이 변화되는 표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화분의 급수시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토양과 함께 급수된 흡수체의 무게변화에 따라 급수시기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화분 내 토양에 부가된 비료 성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토양에 오염이나 유해한 환경을 가하지 않으면서 급수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급수시기가 표시되는 표시수단에 다양한 형상이나 캐릭터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식적 효과 및 완구적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 제1 상태일 때의 X-X'선분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 제1 상태일 때의 정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 제2 상태일 때의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 제2 상태일 때의 정면도
도 8은 수적가이드 및 수분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유입량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1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10)에는 외용기(11) 및 내용기(12)가 포함된다.
외용기(11)에는 외용기본체(111)가 포함되고, 외용기본체(111)의 내측에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되며, 내용기(12)에는 내용기본체(121)가 포함된다.
내용기본체(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2) 내에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식물(도 3의 80 참조)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도 3의 90 참조)이 수용되는 공간(122)이 형성된다.
내용기본체(121)의 외주면 중 일부분에는 그 내측, 즉 토양(90)이 수용되는 공간(122)을 향하여 함입된 형상의 함입부(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함입부(124)의 상측에는 커버부(125)가 형성된다.
커버부(125)에는 유입구(126)가 형성되며, 유입구(126)에는 물은 원활히 통과되지만 토양(90)은 통과되지 않는 정도의 필터(127)가 설치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10)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10) 내에 토양(90)이 수용되어 있고, 토양(90)에는 식물(80)이 재배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80)에게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부만 도시된 급수수단(70)에 의해 토양(90)에 물(71)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10)가 제1 상태일 때의 X-X'선분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흡수체(151)가 흡수할 수 있는 최대량의 물(71)이 흡수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제1 상태는 흡수체(151) 중량이 최대일 때를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외용기본체(111)에는 배수구(113)가 형성되어 토양(90)에 필요한 양의 수분에 비하여 과잉 공급된 물(71)이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뿌리(81)가 장시간의 침수 또는 공기의 차단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용기본체(111)의 하측에는 굽(114)이 돌출 형성되어 배수구(113)가 지면 등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내용기본체(121)에도 그 외측 및 그 내측을 관통하는 통공(123)이 형성되도록 하여 과잉 공급된 물(71)이 내용기본체(121)의 내측 공간(122)으로부터 외용기본체(111)의 수용공간(112)으로 원활히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통공(123)은 필요에 따라 그 수가 가감될 수 있는데, 이는 내용기본체(121)의 재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본체(121)가 불투수성의 합성수지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기본체(121)에 다수의 통공(12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토양(90)에 과잉 공급된 물(71)이 그 외부로 원활이 유동되는 동시에 토양(90) 내의 공극과 대기 사이에 환기가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용기본체(121)가 높은 투수성을 갖는 재질 또는 투수성과 통기성을 갖는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경우에는, 내용기본체(121)에 통공(123)이 형성되지 않거나 적절한 수의 통공(12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외용기본체(111) 또한 합성수지, 유리, 도기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기의 경우에도 유약층의 유무에 따라 투수성 및 통기성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토양(90)도 그 입자의 직경 등에 의해 물(71)이 공급되었을 때 토양(90)에 포함될 수 있는 수분의 양 및 통기성 등이 상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80)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성질을 갖는 토양(90)을 선택하고, 외용기본체(111) 및 내용기본체(121)도 적합한 투수성 및 통기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외용기본체(111) 및 내용기본체(121)의 높이나 횡단면적 등은 도시된 형상 외에 식물(80)의 뿌리(81)의 형상이나 본 실시예(10)의 장식적 효과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10)에는 앞에서 설명한 외용기(11)와 내용(12) 외에 표시수단이 포함되며, 표시수단에는 감지부(15), 표시부(16) 및 전달부(17)가 포함된다. 여기서, 감지부(15) 및 전달부(17)는 외용기본체(111)의 내주면, 함입부(124)의 외주면 및 커버부(125)에 의해 형성된 장치실(13) 내에 배치된다.
감지부(15)에는 흡수체(151), 탄성부재(152) 및 승강가이드(153)가 포함되고, 승강가이드(153)에는 지지체(154) 및 승강체(156)가 포함된다.
흡수체(151)는 대표적인 예로써 원예 분야에서 일명 '오아시스'라고 칭해지는 플로랄 폼(floral form), 해면 및 스펀지와 같이 다수의 미세한 공극이 형성된 다공성을 가지며 높은 흡수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흡수체(151)의 표면에 물(71)이 접촉되면 내부로 신속히 흡수되며, 흡수된 물(71)의 양만큼 흡수체(151)의 중량이 증가된다. 그리고 흡수체(151)는 물을 머금어 무게가 증가하는 균등한 재질이나 구조물로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바, 예로써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담는 그릇의 구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지지체(1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용기본체(111)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고, 지지체(154)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155)이 형성된다. 참고로, 도시된 바와 달리, 장치실(13)의 형상이나 공간의 여유 등을 고려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체(154)가 내용기본체(121)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승강체(156)의 일측은 흡수체(151)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봉 형상의 가이드바(157)가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바(157)는 가이드홈(155)에 삽입된 상태로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체(156)는 지지체(154)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152)는 양단부가 지지체(154) 및 승강체(156)에 각각 접하게 배치되어, 승강체(156)가 지지체(154)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즉, 탄성부재(152)는 흡수체(151)가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장치실(13)의 형상이나 공간의 여유 등을 고려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재(152)의 양단부가 흡수체(151)의 상측 및 커버부(125)의 저면에 각각 연결되고, 탄성부재(152)가 흡수체(151)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흡수체(151)가 물(71)을 흡수하여 그 중량이 증가되면 탄성부재(152)가 압축되면서 흡수체(151)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흡수체(151)에 포함되어 있던 물(71)이 증발됨에 따라 그 중량이 감소되면 탄성부재(152)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체(151)가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감지부(15)는 흡수체(151)의 중량 변화에 따라 흡수체(151)의 위치가 변경되는 변위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흡수체(151)의 변위는 지지체(15) 및 승강체(156)를 포함하는 승강가이드(15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상하방향은 중력이 작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하는데, 본 명세서에서의 '나란함'은 수학적이거나 기하학적인 평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흡수체(151)의 중량 변화에 의해 상술한 변위가 일어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흡수체(151)에도 물(71)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토양(90)에 물(71)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커버부(125)를 통하여 물(71)이 통과될 수 있도록 커버부(125)가 투수성을 가져야 한다.
커버부(125)가 투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5)에 유입구(126)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유입구(126)를 통하여 토양(90)이 장치실(13) 내로 유입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감지부(15)의 작동 등에 지장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유입구(126)에는 물(71)은 통과시키되 토양(90)의 통과는 방지하는 필터(127)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127)로는 토양(90)에 포함된 알갱이보다 작은 크기의 눈이 형성된 메시(mesh), 직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터(127) 대신 커버부(125)에 복수의 유입구(126)를 형성하되, 유입구(126)의 직경이 토양(90)에 포함된 알갱이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커버부(125)가 투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커버부(125) 자체가 투수성을 갖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유입구(126)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표시부(16)에는 마크(161) 및 지시부재(165)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부(1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안면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마크(161)에는 코(162) 및 입(163)이 포함되고, 지시부재(165)에는 눈썹(166a, 167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눈(166, 167)이 포함된다.
코(162) 및 입(163)은 외용기본체(11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지시부재(165)인 한 쌍의 눈(166, 167)은 외용기본체(111) 중 코(162) 및 입(163)과 적절히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10)에서 전달부(17)는 감지부(15) 및 지시부재(165)를 연결하며, 감지부(15)에서 발생되는 변위의 크기와 방향을 변경하여 지시부재(165)로 전달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 제1 상태일 때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달부(17)에는 복수의 로드(172, 172a, 174, 174a) 및 한 쌍의 회전축(175, 175a)가 포함된다. 여기서, 복수의 로드(172, 172a, 174, 174a)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로드(172, 172a) 및 제2 로드(174, 174a)라 칭하기로 한다.
한 쌍의 회전축(175, 175a) 중 한 회전축(17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용기본체(111)에 형성된 축공(115)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회전축(175)의 중간 부분은 축공(1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축(175)의 일측은 외용기본체(111)의 내측인 장치실(13) 내에 배치되고 타측은 외용기본체(111)의 외측에 배치된 눈(166)에 연결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회전축(175a) 또한 외용기본체(111)에 형성된 다른 축공(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그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은 장치실(13) 내에 배치되고 타측은 외용기본체(111)의 외측에 배치된 눈(166a)에 연결된다.
제1 로드(172, 172a)의 일단부는 감지부(15)에 연결된다. 즉, 제1 로드(172, 172a)의 일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체(156)에 제1 링크(171, 171a)를 형성하며 각각 연결되거나, 흡수체(15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로드(172, 172a)의 타단부는 제2 로드(174, 174a)의 일단부에 제2 링크(173, 173a)를 형성하며 각각 연결된다. 즉, 제1 로드(172, 172a) 및 제2 로드(174, 174a)는 각각 연쇄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2 로드(174, 174a)의 타단부는 상술한 한 쌍의 회전축(175, 175a)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제1 링크(171, 171a)는 아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할 전달부(17)의 작동 중 승강체(156)에 대한 제1 로드(172, 172a)의 상대적인 운동 태양을 고려하여 힌지 또는 볼조인트 등 다양한 연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링크(173, 173a) 또는 제1 로드(172, 172a)에 대한 제2 로드(174, 174a)의 상대적인 운동 태양을 고려하여 다양한 연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10)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도 3에 도시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 제2 상태일 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3에 도시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 제2 상태일 때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2 상태'는 흡수체(151)가 최대한 건조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앞에서 설명한 제1 상태와 반대로, 제2 상태는 흡수체(151)의 중량이 최소일 때를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90)에 물(71)을 공급할 때 흡수체(151)에도 물(71)이 함께 공급되므로, 제1 상태는 토양(90)에 물(71)이 충분히 공급되어 식물(80)의 생장에 충분한 양의 수분이 토양(90)에 포함된 상태인 것으로 추정한다.
반대로, 제2 상태는 흡수체(151)에 물(71)이 공급된 적이 없거나 이미 공급된 물(71)이 모두 건조된 상태를 의미하므로, 토양(90)에 포함된 수분이 부족하여 토양(90)에 물(71)이 공급되어야 하는 상태인 것으로 추정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실시예(10)가 제1 상태일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에는 본 실시예(10)가 제2 상태일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급수수단(70)에 의하여 토양(90)에 물(71)이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토양(90) 내로 물(71)이 유입되는 동시에, 물(71)은 유입구(126)를 통하여 장치실(13)로 유입되어 흡수체(151)에 흡수된다.
따라서 흡수체(151)의 중량이 증가하다가 최대치에 다다르면 감지부(15)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151)의 변위가 발생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151)의 중량에 의해 탄성부재(152)가 최대로 압축되어 흡수체(151)는 변위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승강체(156) 또한 가장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가이드바(157)는 지지체(154)의 가이드홈(155) 내로 최대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승강체(156)에 연결된 전달부(17)의 제1 로드(172, 172a)의 일단부, 즉 제1 링크(171, 171a)도 가장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로드(172, 172a)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2 로드(174, 174a)의 일단부, 즉 제2 링크(173, 173a)도 가장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로드(174, 174a)가 연결된 회전축(175, 175a)은 축공(115,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제2 로드(174, 174a)는 도 5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각각 회동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175, 175a)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축(175, 175a)의 회전에 의해 지시부재(165)인 눈(166, 167)도 회전축(175, 175a)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되므로, 눈썹(166a, 167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이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토양(90)에 포함된 수분이 식물(80)의 증산작용 등에 의해 뿌리(81)로 흡수되거나 대기 중으로 증발되며, 이때 흡수체(151)에 포함된 수분 또한 증발되어 본 실시예(30)는 점차 제2 상태에 이르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량체(151)에 흡수되어 있던 수분이 모두 증발되어 중량체(151)의 중량이 최소치에 다다르면, 감지부(15)에 흡수체(151)의 변위가 발생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151)의 중량에 의해 탄성부재(152)가 최대로 신장되어 흡수체(151)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흡수체(151)는 변위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승강체(156)도 가장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가이드바(157)는 지지체(154)의 가이드홈(155)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을 향하여 최대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승강체(156)에 연결된 전달부(17)의 제1 로드(172, 172a)의 일단부, 즉 제1 링크(171, 171a)도 가장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로드(172, 172a)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2 로드(174, 174a)의 일단부, 즉 제2 링크(173, 173a)도 가장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로드(174, 174a)가 연결된 회전축(175, 175a)은 축공(115,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제2 로드(174, 174a)는 도 7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각각 회동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175, 175a)도 회전된다.
회전축(175, 175a)의 회전에 의해 지시부재(165)인 눈(166, 167)도 회전축(175, 175a)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되므로, 눈썹(166a, 167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10)가 제2 상태일 경우에는 눈썹(166a, 167a)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안쪽에 비하여 하방향에 배치되므로, 표시부(16)는 눈썹(166a, 167a)이 처진 표정을 한 사람의 안면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본 실시예(10)의 사용자가 표시부(16)에 의해 제2 상태임을 인지하고 급수수단(70)으로 토양(90)에 물(71)을 공급하면 본 실시예(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제1 상태가 된다.
도 4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151)가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달부(17)가 도 5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되므로 지시부재(165)인 눈(166, 167)이 회전축(175, 175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치가 다시 변경된다.
즉, 본 실시예(10)가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눈썹(166a, 167a)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다시 안쪽과 비슷한 높이로 배치되므로, 표시부(16)는 눈썹(166a, 167a)이 처지지 않은 표정을 한 사람의 안면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표시부(16)는 제2 상태인 경우이고, 도 3에 도시된 표시부(16)는 제1 상태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10)는 토양(90)에 급수가 필요한 시점이 자체적으로 표시되므로 식물(80)의 재배 시 편의성이 향상 및 재배의 성공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6)가 도 2 내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안면부 형상으로 형성되고 급수의 필요 여부를 지시부재(165)의 배치 변화에 의해 '표정'으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토양(90)에 포함된 수분량을 직관적으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토양(90)에 포함된 수분량을 흡수체(151)의 중량을 기준으로 판단하게 되므로, 토양(90)에 비료 등의 성분이 포함되었을 때에도 급수시점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외용기본체(111)의 외주면이 갖는 색에 비하여 마크(161) 및 지시부재(165)의 색, 즉 눈(166, 167), 눈썹(166a, 167a), 코(162) 및 입(163)의 색상. 명도 및 채도가 확연하게 대비되도록 하면 표시부(16)의 식별력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거리에서도 본 실시예(10)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8에는 수적가이드(40) 및 수분이동수단(6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키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10)에는 수적가이드(40) 및 수분이동수단(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수적가이드(40)는 급수수단(70)에 의해 토양(90)으로 물(71)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유입구(126)를 통하여 장치실(13) 내로 유입되는 물(71a)이 흡수체(151)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물(71a)이 흡수체(151)로 더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적가이드(40)는 커버부(125) 중 유입구(126)에 근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적가이드(40)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절단된 관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일부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물(71a)이 수적가이드(40)를 따라 유동되다가 하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하측으로 낙하되는데, 이 돌출된 부분이 흡수체(151)의 상면 중간 부분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물(71a)이 최대한 흡수체(151)의 표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적가이드(40)로부터 물(71a)이 낙하되는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수적가이드(40)의 상하방향 길이를 설정하고, 흡수체(151)의 상면에 낙하된 물(71a)이 고일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을 형성하면 장치실(13)로 유입된 물(71a)이 흡수체(151)에 의해 흡수되는 양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수적가이드(40)는 장치실(13) 내로 유입된 물(71a)이 흡수체(151)로 흡수되지 않고 장치실(13)의 하부에 고이는 현상에 의하여 감지부(15)의 작동에 지장이 초래되거나 흡수체(151)의 건조가 지연되는 상황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측용기본체(121)의 함입부(124) 중 장치실(13)의 하측을 형성하는 부분에도 통공(123)이 형성되도록 하면, 장치실(13)의 하측에 고인 물(71a)이 통공(123)을 통하여 토양(90)으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내측용기본체(121)의 저면 외측에 도시되지 않은 지지돌기를 형성하여 내측용기본체(121)의 저면 및 외측용기본체(111)의 저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면, 장치실(13)의 하측에 누적된 물(71a)이 배수구(1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상태 및 제2 상태는 흡수체(151)에 포함된 수분의 양에 따른 중량의 차이에 의해 표시부(16)로 표시되며, 흡수체(151)의 중량을 기준으로 토양(90)에 포함된 수분량을 추정한다.
그러나, 흡수체(151)가 배치된 장치실(13)과 토양(90)은 함입부(124)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흡수체(151)의 중량에 따른 기준과 실제 토양(90)에 포함된 수분량의 상태 사이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수분이동수단(60)은 흡수체(151) 및 토양(90)에 포함된 수분량이 최대한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분이동수단(60)은 가요성을 가지며 모세관현상을 유발하는 부재로 이루어져서 수분이동수단(60)을 통하여 수분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이동수단(60)이 흡수성이 높은 직조물로 이루어지거나, 가요성이 높은 연질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모세관현상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직경을 갖는 관을 형성한 후 이를 다발로 결합시켜 이루어지도록 하면, 수분이동수단(60)의 일단에 물이 접촉되는 경우 이 물은 타단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분이동수단(60)의 일측은 내용기본체(121)의 내측에 배치되어 토양(90)에 직접 접하도록 하고 타측은 흡수체(151)에 연결되도록 하면 토양(90) 및 흡수체(151) 중 수분이 많은 쪽에서 적은 쪽으로 수분이 이동되므로, 토양(90)에 포함된 수분량 및 흡수체(151)에 포함된 수분량이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동수단(60)에 의해 흡수체(151)에 포함된 수분량과 토양(90)에 포함된 수분량의 상대적인 오차가 최소화 될 수 있으므로, 제1 상태 및 제2 상태의 파악이 더 정확해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이동수단(60)의 중간부분에는 흡수체(151)의 변위에 의해 함께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유입량조절수단(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유입량조절수단(20)에는 조절수단본체(21)가 포함되고, 조절수단본체(21)에는 관통된 형상의 개방부(22) 및 폐쇄된 형상의 폐쇄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수단본체(21)의 하측으로는 회전축(24)이 돌출 형성되며, 측방향으로는 조절레버(25)가 돌출 형성된다.
유입량조절수단(20)이 구비되는 내용기(12a)에는 내용기본체(121a)가 포함된다. 여기서, 내용기본체(121a)에 형성된 수용공간(122), 통공(123), 함입부(124) 및 커버부(125)는 앞에서 설명한 내용기본체(12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유입구(126a)는 조절수단본체(21)에 형성된 개방부(22)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부(125)에는 회전축(24)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지지공(128)이 형성된다. 축지지공(128)에 회전축(24)이 삽입됨으로써 내용기본체(121a)에 조절수단본체(21)가 결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절수단본체(21)가 결합된 내용기본체(121a)가 외용기(11) 내에 안착되어 있다. 조절레버(25)는 내용기본체(121a)가 외용기(11) 내에 안착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조절레버(25)를 이용하여 조절수단본체(21)가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회전된 각도에 따라 유입구(126a)의 개방된 정도가 변경된다. 즉, 유입구(126a)와 개방부(22)가 일치할 때에는 유입구(126a)가 최대로 개방되고, 폐쇄부(23)가 유입구(126a)를 커버하면 유입구(126a)가 폐쇄되며, 그 중단 각도에서는 유입구(126a)가 폐쇄부(23)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따라서, 조절레버(25)를 이용하여 유입구(126a)를 개방, 폐쇄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유입구(126a)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71)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내용기(12a)를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10)에 적용하면, 설치실(13)로 유입되는 물(71)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식물(80)이 종류에 따른 토양(90)의 성질에 따라 흡수체(151)에 흡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조절레버(25)를 이용하여 유입구(126a)가 최대한 폐쇄되도록 한 후 물(71)이 공급되도록 하면, 토양(80)에 공급되는 물(71)의 양에 비하여 흡수체(151)에 수분이 흡수되는 속도가 느려지게 할 수 있으며, 물(71)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는 흡수체(151)에 흡수된 수분이 증발되는 속도도 느려진다.
반대로, 조절레버(25)를 이용하여 유입구(126a)가 최대한 개방되도록 한 후 물(71)이 공급되도록 하면, 토양(80)에 공급되는 물(71)의 양에 비하여 흡수체(151)에 수분이 흡수되는 속도가 빨라지게 할 수 있으며, 물(71)의 공급이 완료된 후 흡수체(151)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는 속도도 빨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유입량조절수단(20)을 이용하면 식물(80)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물의 양과 급수의 빈도, 토양(90)의 투수성 등의 특징에 따라 토양(90)과 흡수체(151)에 공급되는 물(71)의 양 및 표시부(16)에 표시되는 급수시기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간헐적으로 소량의 물(71)을 필요로 하며 투수성이 높은 마사토에서 잘 생장하는 선인장과 같은 식물(80)의 경우, 공급된 물(71)은 토양(90)을 신속하게 통과하여 배수구(113)로 배출되며, 다음 급수시기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된다.
이때 물(71)을 공급할 때에는 유입구(126a)가 최대한 개방되도록 하고 물(71) 공급이 완료된 후에는 유입구(126a)가 최대한 폐쇄되도록 하면 흡수체(151)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는 속도가 지연되므로 흡수체(151)의 중량 감소속도가 느려진다. 즉, 표시부(16)에 급수시기가 표시될 때까지의 시간이 연장되므로 물(71)의 공급 주기도 식물(80) 및 토양(90)의 특성에 적합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량조절수단(20)을 이용함으로써 토양(90)에 물(71)이 다시 공급되어야 하는 급수시점과 표시부(16)에 급수가 필요한 것으로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편차가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유입량조절수단(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기(12a)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는 달리 외용기(11)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유입구(126a)의 개폐가 유입량조절수단(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행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30)이 제1 상태일 때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제2 실시예(3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도 11에 도시된 제2 실시예(30)가 제2 상태일 때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에 도시된 제2 실시예(30)가 제2 상태일 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30)에는 외용기(11), 내용기(12) 및 표시수단이 포함된다.
여기서, 외용기(11)에 형성된 축공(315)의 위치가 앞에서 설명한 축공(도 4의 115 참조)과 상이할 뿐 그 외의 외용기(11) 및 내용기(12)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30)의 표시수단에는 감지부(35), 표시부(36) 및 전달부(37)가 포함된다.
감지부(35)에는 흡수체(351), 탄성부재(352) 및 승강가이드(353)가 포함되고, 승강가이드(353)에는 지지체(354), 회동바(355) 및 승강체(356)가 포함된다.
흡수체(351)는 앞에서 설명한 흡수체(도 4의 15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승강체(356)의 일측은 흡수체(351)에 결합되고, 타측은 회동바(355)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체(354)의 일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용기본체(111)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며, 지지체(354)의 타측에는 회동바(355)의 중간부분이 힌지 결합된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장치실(13)의 형상이나 공간의 여유 등을 고려하여, 지지체(154)는 내용기본체(1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352)는 지지체(354)의 타단부와 회동바(355)의 중간부분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지지체(354)에 대하여 회동바(355)의 일측이 상방향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즉, 탄성부재(352)는 승강체(356)에 상방향의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설치되므로, 함수체(351)는 탄성부재(352)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흡수체(351)가 물(71)을 흡수하여 그 중량이 증가되면 흡수체(151)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흡수체(151)에 포함되어 있던 물(71)이 증발됨에 따라 그 중량이 감소되면 탄성부재(352)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체(351)가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감지부(35)는 흡수체(351)의 중량 변화에 따라 흡수체(351)의 위치가 변경되는 변위가 발생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흡수체(351)의 변위가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승강체(356) 또는 흡수체(351)에는 직선운동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36)에는 마크(361) 및 지시부재(365, 365a)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30)에서의 표시부(36)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물의 신체 일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마크(361)는 동물의 안면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지시부재(365)는 동물의 앞다리 형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전달부(37)는 감지부(35) 및 지시부재(365, 365a)를 연결하며, 감지부(35)에서 발생되는 변위의 크기와 방향을 변경하여 지시부재(365, 365a)로 전달한다.
전달부(37)에는 복수의 로드(372, 372a, 374, 374a) 및 한 쌍의 회전축(375, 375a)가 포함된다. 여기서, 복수의 로드(372, 372a, 374, 374a)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로드(372, 372a) 및 제2 로드(374, 374a)라 칭하기로 한다.
한 쌍의 회전축(375, 375a) 중 한 회전축(375)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용기본체(111)에 형성된 축공(315)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회전축(375)의 중간 부분은 축공(3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축(375)의 일측은 외용기본체(111)의 내측인 장치실(13) 내에 배치되고 타측은 외용기본체(111)의 외측에 배치된 표시부재(365)에 연결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회전축(375a) 또한 외용기본체(111)에 형성된 다른 축공(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그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은 장치실(13) 내에 배치되고 타측은 외용기본체(111)의 외측에 배치된 표시부재(365a)에 연결된다.
제1 로드(372, 372a)의 일단부는 감지부(35)에 연결된다.
즉, 제1 로드(372, 372a)의 일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355)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때 회동바(355) 및 승강체(156) 사이에는 제1 링크(371, 371a)를 형성하며 각각 연결되는데, 제1 링크(371, 371a)는 회동바(355)에 대한 제1 링크(371, 371a)의 상대적인 운동 태양을 고려하여 적합한 연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로드(372, 372a)의 타단부에는 제2 로드(374, 374a)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즉, 제1 로드(372, 372a) 및 제2 로드(374, 374a)는 각각 연쇄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2 로드(374, 374a)의 타단부는 상술한 한 쌍의 회전축(375, 375a)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제1 링크(371, 371a)는 가요성을 갖도록 제조되어 제1 링크(371, 371a)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 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원형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351)에 물(71)이 공급되어 흡수체(351)의 중량이 증가되다가 최대치에 다다르면, 감지부(35)에 의해 흡수체(351)의 변위가 발생된다. 즉, 흡수체(351)의 중량에 의해 탄성부재(352)가 최대로 탄성 변형되어 흡수체(351)는 변위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승강체(356) 또한 가장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회동바(355)의 일측이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며, 회동바(355)의 타측에 연결된 전달부(37)의 제1 로드(372, 372a)의 일단부, 즉 제1 링크(371, 371a)가 형성된 부분은 가장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2 로드(374, 374a)의 타단부에 연결된 회전축(375, 375a)은 축공(315, 나머지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제2 로드(374, 374a)는 회전축(375, 375a)에 연결된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만 가능하게 된다.
제2 로드(374, 374a)의 타단부가 이동 가능한 궤적은 제1 로드(372, 372a)의 일단부가 이동되는 궤적과 그 방향이 상이하다.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로드(372, 372a)는 본 실시예(30)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경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탄성변형 된다.
즉, 흡수체(351)의 중량 감소로 인하여 흡수체(351)가 탄성부재(352)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변위가 발생되면, 회동바(355)의 타단부가 하강되어 여기에 연결된 제1 로드(372, 372a)의 일단부도 하강된다.
이에 따라 제2 로드(374, 374a)의 일단부는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도 11 및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형태로 이동된다.
상술한 제2 로드(374, 374a)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375, 375a)가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축(375, 375a)에 연결된 표시부재(365, 365a)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어 그 위치가 변경된다.
즉, 본 실시예(30)가 제1 상태일 때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재(365, 365a)가 마크(361)를 가리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반면, 제2 상태일 때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재(365, 365a)가 마크(361)의 일부분을 가리도록 위치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표시부(36)는 본 실시예(30)가 제1 상태인 경우와 제2 상태인 경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같이, 복수의 로드(372, 372a, 374, 374a) 중 제1 로드(372, 372a)가 가요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달부(37)는 감지부(35)에서 형성된 변위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키고, 이를 표시부재(365, 365a)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로드(372, 372a, 374, 374a)의 수를 가감시키거나 복수의 로드(372, 372a, 374, 374a) 전체가 가요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달부(37)가 감지부(35)의 변위를 다양한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하거나 변위의 크기가 가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표시부(36)의 마크(361) 및 표시부재(365)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 외에도 용이하게 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나 다양한 색상 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널리 알려진 캐릭터를 적용함으로써 본 실시예(30)의 심미적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50)이 제1 상태일 때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제3 실시예(5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도 15에 도시된 제3 실시예(50)가 제2 상태일 때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도 17에 도시된 제3 실시예(50)가 제2 상태일 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50)에는 외용기(11), 내용기(12) 및 표시수단이 포함된다.
여기서, 외용기(11)에 형성된 개구(515)의 위치가 앞에서 설명한 축공(도 4의 115 참조)과 그 수와 위치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는, 외용기(11) 및 내용기(12)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50)의 표시수단에는 감지부(55) 및 표시부(56)가 포함된다.
감지부(55)에는 흡수체(551), 탄성부재(552) 및 승강가이드(553)가 포함되고, 승강가이드(553)에는 지지체(554) 및 승강체(556)가 포함되며, 지지체(554)에는 가이드홈(555)이 형성되고 승강체(556)에는 가이드바(557)가 형성된다.
여기서, 감지부(55)는 앞에서 설명한 감지부(도 4의 15)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흡수체(551), 탄성부재(552), 승강가이드(553), 지지체(554), 가이드홈(555), 승강체(556) 및 가이드바(557)는 앞에서 설명한 흡수체(도 4의 151), 탄성부재(도 4의 153), 지지체(도 4의 154), 가이드홈(도 4의 155), 승강체(도 4의 156) 및 가이드바(도 4의 157)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부(56)에는 마크(561) 및 지시부재(565)가 포함되며, 표시부(56)는 사람의 안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마크(561)에는 한 쌍의 눈(562, 562a)과 코(563)가 포함되고, 지시부재(565)는 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술한 개구(515)는 입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시부재(565)의 일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체(556)에 연결된다. 지시부재(565)는 필요에 따라 흡수체(55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지시부재(565)의 일부분은 외용기본체(111)의 내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그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5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10) 및 제2 실시예(30)와 달리 감지부(55)의 변위가 지시부재(565)로 직접 전달되므로, 앞에서 설명한 전달부(17, 37)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50)가 제1 상태일 때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재(565)의 타단부만이 개구(515)를 통하여 외측용기본체(111) 외측으로 돌출된다.
반면, 본 실시예(50)가 제2 상태일 때에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재(565)의 타측 및 중간부분이 개구(515)를 통하여 외측용기본체(111)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56)가 사람의 안면 형상을 가지며 표시부재(565)가 혀의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상태일 때에는 표시부(56)가 평상시의 사람 표정인 것으로 인식되나, 제2 상태일 때에는 표시부(56)가 입 밖으로 혀를 길게 내밀어서 갈증을 느낄 때의 사람 표정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50)는 급수시기가 도래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앞에서 설명한 마크(161, 361, 461)는 외용기본체(111)를 이루는 재질이나 그 표면의 성질에 따라, 외용기본체(111)의 외주면에 양각이나 음각으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다른 부분과 상이한 색상을 갖는 유약이나 안료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거나, 미리 제조된 도안을 부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50)에서 개구(515)를 형성하는 대신 승강체(556) 또는 함수체(551)에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외용기본체(111)의 외측 중 상기 영구자석에 상응하는 위치에 다른 영구자석이나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표시부재를 배치하여, 승강체(556) 또는 함수체(551)의 변위를 따라 이 표시부재가 외용기본체(111)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마크(561)로는 다수의 눈금이 상하방향으로 새겨지도록 하고, 표시부재는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하면, 제1 상태 내지 제2 상태에 따른 감지부(55)의 변위가 표시부재의 이동에 의해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10, 30, 50)는 식물(80)의 재배뿐만 아니라, 지렁이나 곤충 애벌레와 같이 토양(90) 내에서 서식하는 동물의 사육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기 표기기능을 갖는 화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30, 50 :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11: 외용기 111: 외용기본체
112: 수용공간 113: 배수구
114: 굽 115: 축공
12: 내용기 121: 내용기본체
123: 통공 124: 함입부
125: 커버부 126: 유입구
127: 필터 13: 장치실
15: 감지부 151: 흡수체
152: 탄성부재 153: 승강가이드
154: 지지체 155: 가이드홈
156: 승강체 157: 가이드바
16: 표시부 161: 마크
165: 지시부재 17: 전달부
171, 173: 링크 172, 174: 로드
175: 회전축 20: 유입량조절수단
40: 수적가이드 60: 수분이동수단
70: 급수수단 71, 71a: 물
80: 식물 90: 토양

Claims (11)

  1.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외용기;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안착되고, 그 내측에는 토양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 중 일부분에는 내측을 향하여 함입된 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입부의 상측에는 상기 토양이 상기 함입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수성의 커버부가 형성된 내용기; 및
    흡수성을 갖는 흡수체가 구비되고 상기 흡수체의 중량 변화에 따라 상기 흡수체의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외용기의 내주면과 상기 함입부에 의해 형성되는 장치실 내에 배치되는 감지부와, 일부분 이상이 상기 외용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에 연결된 지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변위에 따라 상기 지시부재의 배치 또는 위치가 변경되는 표시부와, 상기 감지부와 지시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변위의 크기 또는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지시부재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갖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달부는 중간부분이 상기 외용기를 관통하고 상기 외용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이 상기 외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외용기의 외측에 배치된 회전축 및 일단부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된 하나 또는 연쇄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는 상기 지시부재가 결합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흡수체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수적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 또는 상기 내용기에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유입구의 일부분 이상을 개폐하는 유입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및 모세관현상을 유발하는 성질을 가지며, 일측은 상기 내용기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흡수체에 연결된 수분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변위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 및
    상기 흡수체 또는 상기 승강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체가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는
    일단부가 상기 흡수체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봉 형상의 가이드바가 상기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승강체 및
    상기 외용기 또는 상기 내용기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바의 타측이 삽입되어 상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는
    일측이 상기 외용기 또는 상기 내용기에 고정 설치된 지지체,
    중간부분이 상기 지지체의 타측에 힌지 결합된 회동바 및
    일측은 상기 흡수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동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체를 포함하는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가요성을 가져 상기 변위에 따라 탄성변형 되거나 원형으로 복귀되는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96060A 2015-07-06 2015-07-06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KR10184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60A KR101843521B1 (ko) 2015-07-06 2015-07-06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60A KR101843521B1 (ko) 2015-07-06 2015-07-06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673A KR20170005673A (ko) 2017-01-16
KR101843521B1 true KR101843521B1 (ko) 2018-03-30

Family

ID=5799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060A KR101843521B1 (ko) 2015-07-06 2015-07-06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212A (ko) * 2018-04-02 2019-10-11 장현준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KR20210058470A (ko) 2019-11-14 2021-05-24 (주)이지피플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KR20220102827A (ko)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아롬 화분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성장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666A (ko) 2020-01-03 2021-07-13 전민성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066A (ja) 2001-03-05 2002-09-10 Ko Shirai 植木鉢支持台および植木鉢
KR101136612B1 (ko) * 2011-10-06 2012-04-18 이훈재 수분 자동 공급 기능성 식물 재배기
KR101380361B1 (ko) * 2013-09-03 2014-03-31 이지이 토양 수분의 건조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274A (ko) 2007-12-11 2009-06-16 강윤철 화분의 수분량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066A (ja) 2001-03-05 2002-09-10 Ko Shirai 植木鉢支持台および植木鉢
KR101136612B1 (ko) * 2011-10-06 2012-04-18 이훈재 수분 자동 공급 기능성 식물 재배기
KR101380361B1 (ko) * 2013-09-03 2014-03-31 이지이 토양 수분의 건조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212A (ko) * 2018-04-02 2019-10-11 장현준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KR102036134B1 (ko) * 2018-04-02 2019-10-24 장현준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KR20210058470A (ko) 2019-11-14 2021-05-24 (주)이지피플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KR102372672B1 (ko) * 2019-11-14 2022-03-16 (주)이지피플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KR20220102827A (ko)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아롬 화분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성장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673A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521B1 (ko)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US5168664A (en) Hydroculture growing system with improved light/water meter
WO2017161698A1 (zh) 一种植物水培架和植物生长环境保障系统
US9010021B1 (en) Adjustable water retention device for a plant pot
CN205962175U (zh) 植物培育用基质块
US5107621A (en) Hydroculture growing system with improved light/water meter
CN105052593A (zh) 一种多功能盆栽容器
CN109348911A (zh) 便于浇水的植物种植装置
CN201733589U (zh) 密闭型滚筒式烟用育苗漂盘播种器
CN103026892A (zh) 牛樟芝的培养装置
KR20080090617A (ko) 난 재배를 위한 다기능 복합화분
JPH1023835A (ja) 水耕栽培用鉢
KR102231425B1 (ko) 다년생 작물 재배 시스템
CN207201420U (zh) 一种智能洋桔梗种植用花盆
KR20210078062A (ko) 식물 재배 장치
CN209345648U (zh) 一种水分调节花盆
CN204743482U (zh) 一种香水花瓶
KR101804056B1 (ko) 콩나물 재배기
KR20170096325A (ko) 토양수분 확인팻말
KR102224788B1 (ko) 수중 재배 및 토양 재배가 가능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
KR20210036450A (ko) 토양수분감지 물자동공급장치
KR930001602Y1 (ko) 이중화분
KR101405245B1 (ko) 벽걸이용 식물생장용 기구
CN214430853U (zh) 一种种植容器
CN215223370U (zh) 一种耐水植物栽培研究用的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