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666A -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 - Google Patents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666A
KR20210087666A KR1020200000666A KR20200000666A KR20210087666A KR 20210087666 A KR20210087666 A KR 20210087666A KR 1020200000666 A KR1020200000666 A KR 1020200000666A KR 20200000666 A KR20200000666 A KR 20200000666A KR 20210087666 A KR20210087666 A KR 20210087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pot
scale
display
inner contain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민성
Original Assignee
전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민성 filed Critical 전민성
Priority to KR102020000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7666A/ko
Publication of KR2021008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을 개시한다.
개시된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은, 화분의 화초에 대한 급수시기를 화분의 토양 수분 변화 에 따른 중량 감소의 표시로 알 수 있게 하여, 급수시기를 빠르고, 정확하게 알려주면서 화분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화초에 대한 급수가 일정 기일 동안 유지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Scales Pot Stand And Flower Pot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에 관 한 것으로, 특히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대한 최적의 급수시기를 토양에 함유된 수분 변화에 따른 화분의 중량 감소 표시로 알 수 있게 하면서 화분의 중량 감소 표시수단은 화분 받침대의 기능을 하게 한 저울형 받침대 및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등의 실내에서 관상용이나 혹은 건강상의 이유로 화초와 같은 식물(이하, '화초'라 한다)을 재배하는데, 이러한 화초는 일정 주기로 물을 공급해 주어야 화초의 성장에도 유리하다. 물론, 화초의 종류에 따라 수시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것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으나, 그래도 일정 시기 마다 물을 주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러나, 화초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또한 화분에 어느 정도의 물을 주어야 하는지에 대한 확인도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 된 것이 하기 특허 문헌들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이라고 하면서, '화분 자체에 토양의 수분량이 표시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분의 급수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화분의 외부에 토양의 수분량에 따라 표현되는 내용이 변화되는 표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화분의 급수시기를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2는 '화분의 토양 내의 수분을 체크하여 수종 및 식생주기에 맞추어 조정된 표시기의 위상에 따라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라고 하면서, '화분의 토양에 존재하는 수분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실리카겔을 포함하는 수분측정부 및 표시장치와; 화분내 수종과 식생주기에 따른 관수의 시기를 조절가능하게 하기위하여 상기 수분측정부 및 표시기의 위상조절을 위한 관통형레일과; 수종과 식생주기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형레일의 측면에 위상의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관수시기 알림부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3은 '물주는 시기 표시화분'이라고 하면서,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수분이 부족시에 경보음을 내거나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물주는 시기 표시화분을 얻기 위한 것인 바, 수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화분에 있어서, 화분 본체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수분감지센서와 건전지부와 수분알림 LED램프를 포함한 제어부로 구성하여 화분내의 수분상태를 알 수 있도록 수분상태 알림수단부를 장착함으로 써,화분관리자 또는 일반 가정에서 여러개의 화분을 관리시에 화분의 내의 수분을 측정하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일반인들이 편리하게 화분을 관리할 수 있는 뛰어난 특징이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은 '화분의 토양 자체의 수분 증발량의 변화가 아닌 외용기의 내부에 별도 설치한 흡수체에 흡수되는 수분의 증발에 의한 흡수체의 중량 변화에 따른 상기 흡수체에 설치된 표시수단의 표시에 의해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것이어서, 흡수체의 변형은 급수시기를 부정확 하게 알려주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고, 또한 화분의 화초 관리와 아울러 흡수체의 정비와 교환 등의 관리를 별도 해야만 하는 불편이 수반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3의 경우에도 화분에 별도 구비되는 '관수시기 알림부' 혹은 '수분상태 알림수단부'에 의하여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것이어서, 특허문헌 2,3의 경우에도 특허문헌1과 같은 문제는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화초에 대한 급수시기를 손쉽게 알려주기 위한 화분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공개번호 제10-2017-0005673호 KR 공개번호 제20-2017-0002193호 KR 등록번호 제 20-024671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화분의 화초에 대한 급수시기를 화분의 토양 수분 변화 에 따른 중량 감소의 표시로 알 수 있게 하여, 급수시기를 빠르고, 정확하게 알려주게 한 편리성과, 그리고 화분의 중량의 감소 표시수단은 화분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게 한 저울형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초에 대한 급수가 일정 기일 동안 유지될 수 있게 한 화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저울형 화분받침대는, 상,하부 케이스가 분리되게 결합되어 상부로는 화초가 식재된 화분을 올려 놓을수 있는 화분 재치부를 제공하고, 또한 내부로는 소정 넓이의 공간을 제공하는 소정 형태의 본체; 상기 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재치부에 올려지는 상기 화분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변화에 따른 상기 화분의 중량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전자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자 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로부터 측정된 상기 화분의 중량 변화를 화분 사용자들이 알 수 있게 표시하여, 화분 사용자들로 하여금 상기 화분의 중량 변화 표시에 따라 화분에 급수 여부를 실행하게 하는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화분 재치부에 설치되어 이 화분 재치부에 재치되는 상기 화분의 유동이 없도록 견실하게 고정 지지하는 화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고정부는 상기 화분 재치부에 상기 화분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화분 수용홈 혹은 상기 재치부와 상기 화분의 저면부에 각각 설치된 벌크로 화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설치된 아날로그식 표시창 혹은 전자식 LCD 표시창이고, 이 표시창에는 화분에 대한 급수 여부를 사용자들이 알수 있도록 문자표시, 그림표시, 색채표시, 숫자표시,눈금표시, 음성표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한 이동륜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화분은, 내외부용기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내부용기 측으로 급수되는 물이 배수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저장될 수 있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화분 본체;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부에 상기 하부용기의 개구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하부용기에 걸리는 상태로 결합되게 하여 상기 저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환형턱부; 상기 내부용기의 중앙에 설치된 흡수공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저부에 돌출 설치된 환형돌출턱의 환형홈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되면서 상기 흡수공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로 돌출 설치됨에 의해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상기 흡수공을 통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위치되게 하는 흡수천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유지구로 이루어진 흡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유지구는 원뿔형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뿔형체가 상기 흡수천에 감싸진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흡수천과 함께 상기 흡수공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용기 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의 화초에 대한 급수시기를 토양의 수분 변화에 따른 화분의 중량 감소 변화로 알 수 있게 하여, 급수시기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효과 부여와 아울러 무게 감소 표시수단을 화분 받침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초에 대한 급수 작용이 일정 기일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울형 화분받침대의 외관을 일부 절결한 상태로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저울형 화분받침대 본체의 저부만을 표시한 사시도이며,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도 1의 화분에 수분 보충을 위한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의 일예를 각각 표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울형 화분받침대에 사용되는 화분의 일 예를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분의 내부용기의 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I-I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화초가 식재된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으며,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울형 화분받침대의 외관을 일부 절결한 상태로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부를 표시한 사시도이며,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도 1의 물 보충을 위한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의 일예를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울형 화분받침대(100)는 상,하부 케이스(112,114)가 서로 분리되는 상태로 이동하게 결합되어 상부로는 화초가 식재된 화분(200)을 올려 놓을수 있는 화분 재치부(116)를 제공하고, 또한 내부로는 소정 넓이의 공간을 제공하는 소정 형태의 본체(11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스(112)의 내부로 상기 하부 케이스(114)가 수용되는 상태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게 하였다. 그 이유는 상,하부 케이스(112,114)에 내장되는 후술하는 저울이 상부케이스(112)로부터 가해지는 중량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화분(200)이 올려지는 상기 화분 재치부(116)에는, 상기 화분 재치부(116)로부터 상기 화분(200)의 유동됨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화분 고정부(118)를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화분 고정부(118)는 상기 화분 재치부(116)에 상기 화분(20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화분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의 형태나 혹은 상기 재치부(116)와 상기 화분(200)의 저면부에 각각 설치하여 탈착되게 결합할 수 있는 벌크로 화스너가 될 수 있다. 벌크로 화스너가 설치되는 화분은 후술하는 내,외부용기로 구성된 화분이 될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0)를 대략 장방형체를 이루게 성형한 것을 일 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사용자(혹은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게 하기 위하여 원형,타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크기 또한 상기 화분 재치부(116)에 재치되는 화분(200)의 크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110)는 경량화 및 생산비 절감을 위해 금속보다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는 전자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120)이 내장될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전자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120)을 설치한 이유는, 상기 본체(110)의 상기 재치부(116)에 올려지는 상기 화분(200)이 상기 화분(200)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변화에 따른 상기 화분(200)의 중량(혹은 무게 )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자 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120)은 일반적인 것이어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자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120)이 내장된 상기 본체(110)의 어느 일측즉, 상부케이스(112)의 도면에서 보아 앞쪽 중앙에는 소정 크기로 절취한 형태로 설치한 개방부(115)에는, 상기 전자 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120)로부터 측정된 상기 화분(200)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변화에 따른 화분(200)의 중량 변화를 화분 사용자들이 알 수 있게 표시하는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14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2)에 설치된 아날로그식 표시창 혹은 전자식 LCD 표시창이 될수 있는데, 아날로그식 표시창 혹은 전자식 LCD 표시창에는 공히 모두 사용자들이 알기 쉽도록 문자표시, 그림표시, 색채표시, 숫자표시,눈금표시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게 할 수 있고, 또한 음성으로 알림 표시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표시에 의하여 사용자들은 화분의 토양에 수분이 건조되는 일이 없도록 필요한 물을 급수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d의 표시에서 적색 구간은 수분이 부족하다는 것을, 청색구간은 수분이 충분하다는 것을 알려 주는 것인데, 상기 표시창의 표시는 상기 표시 방법 이외에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임을 상기 실시예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면 부호 117은, 화분이 올려지는 본체(11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상기 본체(110)의 저부측 즉, 상기 하부케이스(114)에 설치한 볼 형태의 이동륜이다. 상기 이동륜(117)을 볼 형태로 구성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저울형 화분 받침대(100)의 이동을 방향성 없이 자유 자재로 이동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분 받침대(100)는, 상기 화분(200)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변화가 있게 되는 경우, 예컨데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로 토양이 건조하게 되는 경우, 수분의 증발로 인한 상기 화분(200)의 중량 감소가 즉각적으로 상기 전자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120)에 의하여 상기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140)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알수 있게 표시되므로, 이를 확인하게 되는 사용자들은 상기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140)의 알림 표시에 따라 화분의 토양에 물을 신속히 급수할 수 있게 하여, 화초의 생육을 튼튼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울형 화분받침대에 사용되는 화분의 일 예를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분의 내부용기의 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I-I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화초가 식재된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에 사용하는 화분(200)은, 내,외부용기(212,214)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분본체(2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화분본체(210)를 이루는 상기 내,외부용기(212,214)의 하부측 사이에는 상기 내부용기(212)측으로 급수되는 물이 상기 내부용기(212)의 다수개의 배수공(212-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저수공간(21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저수공간(215)은 상기 내부용기(212)의 개구 주연부를 따라서 상기 외부용기(214)의 개구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한 환형턱부(212-2)가 상기 외부용기(214)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걸리는 상태로 결합한 구성에 의해, 상기 내외부용기(212,214)의 하부측 사이에 형성되게 한 것이므로, 상기 저수공간(215)의 넓이는 상기 내외부용기(212,214)의 크기에 따라서 임의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저수공간(215)의 설치 이유는 상기 내부용기(212)측으로 급수되는 물이 상기 내부용기(212)의 다수개의 배수공(212-1)을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다시 상기 내부용기(212)의 토양으로 흡수되게 하여 재사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용기(212)에는, 상기 저수공간(215)으로 저수되는 물을 상기 내부용기(212)측으로 다시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수부(220)는, 상기 내부용기(212)의 중앙에 설치된 흡수공(222)과, 이 흡수공(222)을 통하여 상기 저수공간(215)으로부터 상기 내부용기(212)에 걸쳐서 설치되어 상기 저수공간(215)의 물을 상기 내부용기(212)측으로 빨아올리는 탁월한 흡수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한 흡수천(224)과, 그리고 상기 흡수천(224)을 상기 흡수공(222)으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하고자 하부는 상기 외부용기(214)의 내저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환형돌출턱(218)에 의해 형성된 환형홈(216)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 지지되면서 상부는 상기 흡수천(224)에 의하여 감싸지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흡수천(224)과 같이 상기 흡수공(222)에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흡수천(224)을 고정지지하는 고정 유지구(226)로 구성하였다.
상기 고정 유지구(226)는 상기 흡수공(222)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212)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위치하고자 원뿔형태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흡수천(224)이 원뿔형태의 상기 고정 유지구(226)를 감싸진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흡수공(222)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212)측으로 같이 돌출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저수공간(215)으로부터 상기 흡수천(224)에 의해 흡수되는 수분이 상기 내부용기(212)측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흡수천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분의 흡수력이 우수하면 천외에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저수공간(215)에 저수되는 물에 침지되는 상태로 위치하는 상기 흡수천(222)을 통하여 상기 내부용기(212)에 채워지는 토양으로 재 흡수되게 한 수분에 의하여, 상기 내부용기(212)에 식재된 화초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이익을 준다. 이러한 수분 흡수과정에서 토양에 수분이 없게 되는 경우 상기 화분 받침대(100)에 의한 화분의 무게 변화에 의한 알림 표시로 물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100 : 저울형 화분받침대
110 : 본체
112,114 : 상,하부 케이스
115 : 개방부
116 : 화분 재치부
117 : 이동륜
118 : 화분 고정부
120 : 전자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
140 :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
200 : 화분
210 : 화분본체
212,214 : 내,외부용기
212-1 : 배수공
215 : 저수공간
216 : 환형홈
218 : 환형돌출턱
220 : 흡수부
222 : 흡수공
224 : 흡수천
226 : 원뿔형 고정 유지구

Claims (6)

  1. 상,하부 케이스가 분리되게 결합되어 상부로는 화초가 식재된 화분을 올려 놓을수 있는 화분 재치부를 제공하고, 또한 내부로는 소정 넓이의 공간을 제공하는 소정 형태의 본체;
    상기 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재치부에 올려지는 상기 화분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변화에 따른 상기 화분의 중량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전자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 및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자 저울 혹은 스프링 저울로부터 측정된 상기 화분의 중량 변화를 화분 사용자들이 알 수 있게 표시하여, 화분 사용자들로 하여금 상기 화분의 중량 변화 표시에 따라 화분에 급수 여부를 실행하게 하는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를 포함하는 저울형 화분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재치부에 설치되어 이 화분 재치부에 재치되는 상기 화분의 유동이 없도록 견실하게 고정 지지하는 화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고정부는 상기 화분 재치부에 상기 화분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화분 수용홈 혹은 상기 재치부와 상기 화분의 저면부에 각각 설치된 벌크로 화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형 화분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중량 알림 표시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설치된 아날로그식 표시창 혹은 전자식 LCD 표시창이고, 이 표시창에는 화분에 대한 급수 여부를 사용자들이 알수 있도록 문자표시, 그림표시, 색채표시, 숫자표시,눈금표시, 음성표시 중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형 화분받침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한 이동륜이 더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울형 화분받침대.
  5. 내외부용기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내부용기 측으로 급수되는 물이 배수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저장될 수 있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화분 본체;
    상기 내부용기의 개구부에 상기 하부용기의 개구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하부용기에 걸리는 상태로 결합되게 하여 상기 내외부용기의 하부측 사이에 저수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환형턱부; 및
    상기 내부용기의 중앙에 설치된 흡수공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저부에 돌출 설치된 환형돌출턱의 환형홈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되면서 상기 흡수공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의 내부로 돌출 설치됨에 의해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상기 흡수공을 통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위치되게 하는 흡수천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유지구로 이루어진 흡수부;를 포함하는 화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지구는 원뿔형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뿔형체가 상기 흡수천에 감싸진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흡수천과 함께 상기 흡수공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용기 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1020200000666A 2020-01-03 2020-01-03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 KR20210087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66A KR20210087666A (ko) 2020-01-03 2020-01-03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66A KR20210087666A (ko) 2020-01-03 2020-01-03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66A true KR20210087666A (ko) 2021-07-13

Family

ID=7685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66A KR20210087666A (ko) 2020-01-03 2020-01-03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76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1477A (zh) * 2022-03-07 2022-05-24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智慧城市建设用的多功能园艺展示架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14Y1 (ko) 2001-06-29 2001-10-17 안정오 물주는 시기 표시화분
KR20170005673A (ko) 2015-07-06 2017-01-16 한기연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KR20170002193U (ko) 2015-12-12 2017-06-21 김태한 수종별 식생주기별 조정이 가능한 관수시기 표시장치가 장착된 화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14Y1 (ko) 2001-06-29 2001-10-17 안정오 물주는 시기 표시화분
KR20170005673A (ko) 2015-07-06 2017-01-16 한기연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KR20170002193U (ko) 2015-12-12 2017-06-21 김태한 수종별 식생주기별 조정이 가능한 관수시기 표시장치가 장착된 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1477A (zh) * 2022-03-07 2022-05-24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智慧城市建设用的多功能园艺展示架及其使用方法
CN114521477B (zh) * 2022-03-07 2023-02-21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智慧城市建设用的多功能园艺展示架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350778U (zh) 一种多模式自动浇花装置
US9265374B2 (en) Trunk mounted Christmas tree water level measuring and alarm device
KR101126188B1 (ko) 물받침이 없는 화분
TWI569719B (zh) 植栽容器
US6279265B1 (en) Plant pot with water level control device
JP2011036145A (ja) 家庭用の栽培ユニット
KR20210087666A (ko) 저울형 화분받침대 및 화분
KR20100005168U (ko) 자동 물 공급과 온.습도 조절 화분
US9572309B2 (en) Adjustable planter disk
KR20150133616A (ko) 자동급수 화분
US20010000836A1 (en) Planter water level control device
KR101427814B1 (ko) 화분 내의 수분 높이 측정 장치
KR20150092826A (ko) 관수시기 표시장치
CN201138958Y (zh) 节水免浇花盆
WO1998053668A1 (en) Fluid store and dispenser
JP3167686U (ja) 植物栽培セット
CN207733383U (zh) 虹吸式自动浇水栽培装置
JP2021193928A (ja) 植物栽培装置
US7596905B2 (en) Self watering plant hanger
KR102036134B1 (ko)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화분 세트
CN210959795U (zh) 一种辅助浇花装置
JP2014030377A (ja) 栽培装置
CN202941201U (zh) 自动吸水花盆
CN213306715U (zh) 自动浇灌植物灯花盆
LU102647B1 (en) A Multi-compartment Composable Planting Pot for High-stem Hydroponic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