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470A -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470A
KR20210058470A KR1020190145958A KR20190145958A KR20210058470A KR 20210058470 A KR20210058470 A KR 20210058470A KR 1020190145958 A KR1020190145958 A KR 1020190145958A KR 20190145958 A KR20190145958 A KR 20190145958A KR 20210058470 A KR20210058470 A KR 20210058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hollow tube
flower pot
ro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672B1 (ko
Inventor
엄기항
Original Assignee
(주)이지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피플 filed Critical (주)이지피플
Priority to KR102019014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6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10)의 저수부(15)에 수량이 부족한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단에 인접하여 절개부(21)를 갖춘 중공관(20); 상기 중공관(20)의 내부에 표시봉(31)과 베이스(34)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표시봉(31)에 인장스프링(38)을 연결하여 상승 탄성력을 인가하는 표시수단(30); 및 상기 중공관(20)의 외면에 부력체(41)를 샹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절개부(21) 상의 링크(43)로 표시봉(31)의 상승을 단속하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환경적으로 열악한 도로의 미관을 위해 설치되는 중대형 화분에서 자체의 저수량이 충분하지 않음을 알리는 작동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높여 실질적인 활용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water tank shortage of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수공간을 갖춘 화분에서 물부족에 의한 급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역의 도로를 비롯하여 주요 도로에서 보행자는 물론 대중교통과 자전거 이용이 편리하도록 정비되는 추세이다. 가로등과 더불어 가로수를 일정한 간격으로 재정비하고 대형 화분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물로 장식성을 높이기도 한다. 도로의 화분은 자동차와 자전거 사이의 완충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만 화분이 증가할수록 물을 주는 작업에 상당한 인력이 소요되므로 대형 화분의 경우 자체에 급수용 저수공간을 수용하기도 한다. 물론 저수공간을 갖춘 대형 화분이라도 급수 시기를 판단하기 어려워 제때 급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폐단의 해소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32729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43521호(선행문헌 2) 등의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부구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수량표시붕을 지닌 화분에 있어서, 물공급관내를 수위에 따라 작동하는 수량표시봉의 높이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수단; 감지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 구성되어 능동적인 신호에 의해 물의 소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여 주도록 한 물 보충 표시기능을 실현한다.
선행문헌 2는 감지부, 표시부, 전달부를 갖는 표시수단으로 화분 자체에 토양의 수분량이 표시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분의 급수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화분의 외부에 토양의 수분량에 따라 표현되는 내용이 변화되는 표시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화분의 급수시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전원을 연결해야 하는 복잡성을 보이고 선행문헌2는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이 많아 도로의 풍우 환경에서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곤란하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32729호 "물 보충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공개일자 : 1997.10.1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43521호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공개일자 : 2017.01.16.)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풍우 등의 원인에 의해 환경적으로 열악한 도로에 설치되면서 자체의 저수량이 충분하지 않음을 알리는 작동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분의 저수부에 수량이 부족한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단에 인접하여 절개부를 갖춘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내부에 표시봉과 베이스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표시봉에 인장스프링을 연결하여 상승 탄성력을 인가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중공관의 외면에 부력체를 샹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절개부 상의 링크로 표시봉의 상승을 단속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표시수단은 표시봉 상에 표시시트를 더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중공관과 표시봉은 화분의 조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길이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의 링크는 상단의 내향하는 톱니형 걸림부와 하단의 외향하는 반원형 힌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활주부의 중간에 힌지대를 연결하여 링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힌지대는 걸림부의 내향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적으로 열악한 도로의 미관을 위해 설치되는 중대형 화분에서 자체의 저수량이 충분하지 않음을 알리는 작동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높여 실질적인 활용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치된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길이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분(10)의 저수부(15)에 수량이 부족한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도심지역의 도로를 비롯하여 주요 도로에 설치되는 중대형 화분(10)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처럼 중대형 화분(10)의 경우 하부 공간에 급수를 위한 저수부(15)를 갖추고 있다. 도로 상의 화분(10)에 있어서 저수량 부족을 인지하고 즉시 물을 보충함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관(20)이 하단에 인접하여 절개부(21)를 갖춘 구조로 적용된다. 중공관(20)은 대략 원형 또는 각형의 일정한 단면적을 지닌 관체로 형성한다. 중공관(20)이 원형인 경우 외면에서 수직으로 평면부를 갖출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도 2처럼 절개부(21)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링크(43)를 수용한다. 중공관(20)의 소재는 금속, 합성수지 등에 구애받지 않는다. 중공관(20)의 상단은 화분(10)의 상단과 대략 일치하고 하단은 저수부(15)의 저면에 인접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수단(30)이 상기 중공관(20)의 내부에 표시봉(31)과 베이스(34)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표시봉(31)에 인장스프링(38)을 연결하여 상승 탄성력을 인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에서, 표시수단(30)을 구성하는 표시봉(31), 베이스(34), 인장스프링(38) 등이 나타난다. 표시봉(31)은 평상시 화분(10)에서 노출되지 않고 저수부(15)의 수량 부족시에만 화분(10)의 상측으로 충분히 노출된다. 표시봉(31)은 금속봉을 사용하여 도로의 풍우에 대비한 내구성을 높인다. 중공관(20)의 상단에는 표시봉(31)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개(25)를 장착한다. 베이스(34)는 표시봉(31)의 하단에 결합되고 중공관(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인장스프링(38)은 마개(25)의 하단과 베이스(34)의 상단 사이에 연결된다. 인장스프링(38)에 의하여 표시봉(31)은 화분(10)의 상측으로 항상 설정된 높이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표시수단(30)은 표시봉(31) 상에 표시시트(36)를 더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저수부(15)의 물부족에 의하여 표시봉(31)이 화분(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태이다. 표시봉(31)에 결합되는 표시시트(36)는 유연한 소재로서 특정한 색상, 기호,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처럼 평상시 표시시트(36)는 화분(10)의 토사층 상면에 내려져 있다. 도 1과 같이 표시시트(36)가 표시봉(31)에 연동하여 상승하면 원거리에서도 작업자가 급수 부족을 인지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수단(40)이 상기 중공관(20)의 외면에 부력체(41)를 샹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절개부(21) 상의 링크(43)로 표시봉(31)의 상승을 단속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에서, 구동수단(40)을 구성하는 부력체(41), 링크(43) 등이 나타난다. 부력체(41)는 중공관(20)의 외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링크(43)는 절개부(21)에 장착되고 베이스(34)와 연계하여 표시봉(31)의 상하운동을 중개한다. 즉, 후술하듯이 저수부(15)가 물부족이 아닌 경우 링크(43)는 베이스(34)의 상승을 구속하고, 저수부(15)가 물부족인 경우 링크(43)는 베이스(34)의 구속을 해제한다. 베이스(34)의 구속이 해제되면 인장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하여 표시봉(31)는 설정된 높이로 상승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중공관(20)과 표시봉(31)은 화분(10)의 조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길이조절부(22)(3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공관(20)의 길이조절부(22) 및 표시봉(31)의 길이조절부(32)를 알 수 있다. 중공관(20)의 길이조절부(22)는 2분할 또는 2분할 구조로 형성하여 나선으로 맞물린다. 화분(10)의 종류나 구성이 달라지면 중공관(20)의 전체 길이를 변동시키지만 분할된 하단의 것은 대략 저수부(15)보다 높게 유지한다. 표시봉(31)의 길이조절부(32)도 2분할 또는 3분할의 나선 맞물림을 택한다. 중공관(20)과 표시봉(31)은 대략 동일한 길이 변동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수단(40)의 링크(43)는 상단의 내향하는 톱니형 걸림부(44)와 하단의 외향하는 반원형 힌지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링크(43)의 걸림부(44)와 활주부(45)가 나타난다. 걸림부(44)는 중공관(2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고, 활주부(45)는 걸림부(44)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걸림부(44)는 경사면과 단턱으로 이루어지고 탄턱을 이용하여 베이스(34)의 상단에 맞물림 가능하다. 활주부(45)는 반원형으로 예시하지만 사다리꼴도 무방하다. 부력체(41)가 설정된 높이 아래로 하강하는 동안 링크(43)의 활주부(45)와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걸림부(44)와 상기 활주부(45)의 중간에 힌지대(46)를 연결하여 링크(4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링크(43)가 중공관(20)의 절개부(21)에 힌지대(46)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힌지대(46)는 중공관(20) 상에 힌지축과 함께 고정된다. 힌지대(46)를 중심으로 상하로 이격된 걸림부(44)와 활주부(45)는 상호 반대로 이동한다. 즉, 활주부(45)가 내향하면 걸림부(44)가 외향하고, 활주부(45)가 외향하면 걸림부(44)가 내향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힌지대(46)는 걸림부(44)의 내향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4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힌지대(46)에 동심으로 장착되는 토션스프링(48)은 걸림부(44)를 내향시키고 활주부(45)를 외향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물론 걸림부(44)의 내향 및 활주부(45)의 외향 범위를 스토퍼(도시 생략)를 부가하여 제한하는 것이 좋다. 이는 평상시 풍우의 영향과 무관하게 걸림부(44)와 베이스(34)의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작동의 일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전(도 4a) 및 작동후(도 4b)를 구분하여 나타낸다. 도 4(a)처럼 저수부(15)의 수위가 충분한 경우 베이스(34)가 걸림부(44)에 맞물리고 표시봉(31)은 화분(10)의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반면, 도 4(b)처럼 저수부(15)의 수위가 설정치 이하로 되면 부력체(41)가 노출된 활주부(45)를 밀어 걸림부(44)와 베이스(34)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이 순간 인장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하여 표시봉(31)은 표시시트(36)와 더불어 화분(10)의 상면에서 충분하게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중공관(20) 등을 통하여 급수한 후에 표시봉(31)을 누르면 다시 도 4(a)의 상태로 된다.
만일, 도 4(b)의 상태에서 충분하게 급수하지 않고 표시봉(31)만 누르더라도 외향된 걸림부(44)가 베이스(34)에 맞물리지 않으므로 도 4(a)의 평상시 상태로 임의로 전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화분 15: 저수부
20: 중공관 21: 절개부
22: 길이조절부 25: 마개
30: 표시수단 31: 표시봉
32: 길이조절부 34: 베이스
36: 표시시트 38: 인장스프링
40: 구동수단 41: 부력체
43: 링크 44: 걸림부
45: 활주부 46: 힌지대
48: 토션스프링

Claims (6)

  1. 화분(10)의 저수부(15)에 수량이 부족한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단에 인접하여 절개부(21)를 갖춘 중공관(20);
    상기 중공관(20)의 내부에 표시봉(31)과 베이스(34)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표시봉(31)에 인장스프링(38)을 연결하여 상승 탄성력을 인가하는 표시수단(30); 및
    상기 중공관(20)의 외면에 부력체(41)를 샹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절개부(21) 상의 링크(43)로 표시봉(31)의 상승을 단속하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30)은 표시봉(31) 상에 표시시트(36)를 더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20)과 표시봉(31)은 화분(10)의 조건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길이조절부(22)(3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의 링크(43)는 상단의 내향하는 톱니형 걸림부(44)와 하단의 외향하는 반원형 힌지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4)와 상기 활주부(45)의 중간에 힌지대(46)를 연결하여 링크(4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대(46)는 걸림부(44)의 내향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48)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KR1020190145958A 2019-11-14 2019-11-14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KR10237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58A KR102372672B1 (ko) 2019-11-14 2019-11-14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58A KR102372672B1 (ko) 2019-11-14 2019-11-14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70A true KR20210058470A (ko) 2021-05-24
KR102372672B1 KR102372672B1 (ko) 2022-03-16

Family

ID=7615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958A KR102372672B1 (ko) 2019-11-14 2019-11-14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6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849A (ja) * 1993-10-26 1995-05-09 Sadahiko Nakamura 給水管理装置付植木鉢
KR0132729B1 (ko) 1993-01-29 1998-04-13 고다 시게노리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KR20090112467A (ko) * 2008-04-24 2009-10-28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수위계를 이용한 화분
KR101843521B1 (ko) 2015-07-06 2018-03-30 한기연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729B1 (ko) 1993-01-29 1998-04-13 고다 시게노리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JPH07115849A (ja) * 1993-10-26 1995-05-09 Sadahiko Nakamura 給水管理装置付植木鉢
KR20090112467A (ko) * 2008-04-24 2009-10-28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수위계를 이용한 화분
KR101843521B1 (ko) 2015-07-06 2018-03-30 한기연 급수시기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672B1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40806U (zh) 一种改进的插地指示牌
KR20210058470A (ko) 화분의 저수부족 표시장치
CN203219741U (zh) 自吸式自供水花盆
CN104867409B (zh) 一种翻转式的智能插地指示牌
JP6535945B1 (ja) 自動潅水式立体的植栽装置
CN211853307U (zh) 一种区域气象信息采集用传感器
US20150205009A1 (en) Rain guage with flexible bottom
CN201221969Y (zh) 有盖水池的水位显示装置
US7654407B1 (en) Garbage can holder
CN203912746U (zh) 一种大棚卷帘机
KR20090129724A (ko) 녹화 시공물 급수 시스템
JP5165931B2 (ja) 量水器収納筺
CN207854564U (zh) 一种生态浮床
CN215639679U (zh) 一种市政道路积水监测警示装置
CN205320687U (zh) 储水式花盆
CN107873322A (zh) 一种生态浮床
CN104537853A (zh) 山区用交通信号灯
CN204740811U (zh) 一种翻转式的智能插地指示牌
US10952574B2 (en) Trash anchor device
FR2965703A1 (fr) Tuteur multifonction a deux usages, notamment pour plants de tomate
US7367157B1 (en) Water ease for christmas trees
CN208113438U (zh) 一种新型绿色环保植物墙
KR101976577B1 (ko) 태양광발전부 및 조명수단이 구비된 목각 지주
CN200943610Y (zh) 逆阻式虹吸管引液器
CN212520293U (zh) 一种带有水位测量的园林绿化用浇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