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136A -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 Google Patents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136A
KR20190115136A KR1020180036679A KR20180036679A KR20190115136A KR 20190115136 A KR20190115136 A KR 20190115136A KR 1020180036679 A KR1020180036679 A KR 1020180036679A KR 20180036679 A KR20180036679 A KR 20180036679A KR 20190115136 A KR20190115136 A KR 20190115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yer
soil
slope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보석
Original Assignee
윤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보석 filed Critical 윤보석
Priority to KR102018003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136A/ko
Publication of KR2019011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9Geotextiles with multi-lay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법면의 붕괴가 방지되게 법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법면이 친환경적으로 녹화되도록 하는 녹생토 매트에 있어서, 법면의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부에 구비된 하부 부직포 층; 상기 하부 부직포 층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상부 부직포 층; 및, 상기 하부 부직포 층과 상기 상부 부직포 층의 사이에 구비되어 법면에서 새어나오는 수분이 법면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수분 배출유도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법면에서 물이 새어나오더라도 녹생토 토양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법면의 구조가 보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녹생토 토양에는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녹화식물 종자의 발아 및 생육이 촉진되어 녹화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greening mat having water controlling function}
본 발명은 녹생토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개설, 택지 개발 등의 토목공사로 인해 발생 되는 비탈면인 법면의 붕괴가 방지되게 법면을 덮어 보강하도록 마련되며, 법면이 친환경적으로 녹화되도록 하고, 법면에서 새어나오는 물의 배출과 발아를 위해 관수되는 물의 흡수가 용이한 수(水)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비탈면 녹화공사는 아직까지 우리 실정에 적합한 설계 및 시공에 관한 기준이 없어 조기녹화에만 급급하고 외래초종(양잔디류) 위주로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훼손된 비탈면의 생태환경에 대한 분석 없이 무분별하게 녹화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녹화식물이 대부분 2 ~ 3년 이내에 고사 되어 비탈면이 재 황폐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비탈면 녹화용 외래초종은 주변 생태계로 확산 될 가능성이 있고, 너무 우점하면 주변 식생의 자연 침입을 방해하며, 우리나라 기후에 맞지 않으면 수년 내에 자연 도태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기존의 일반적인 비탈면 녹화공법 중 하나인 건식공법의 주자재는 산업 폐기물을 가공한 하수, 펄프 오니 등을 사용하여 식생기반재를 에어로 살포하는 공법으로, 상기 자재는 식물이 생육한 후에는 식물의 성장을 오히려 저해시키는 경우가 있고, 시공 후에 건식공법이 가진 여러 문제점과 인공토의 두께가 지닌 자중으로 인한 탈락현상, 2 ~ 3년 내에 나타나는 식물고사와 그로 인한 인공토 흘러내림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토양 절개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해주는 녹화 시공법으로서 녹생토 공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녹생토 공법은 보습력이 양호하고 양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도록 제조되는 녹생토를 1 ~ 10 cm 두께로 토양 절개면에 살포함으로써 식물이 자연스럽게 생육할 수 있는 인위적인 조건을 만들어 주는 시공법이다. 따라서, 녹생토 공법의 적용에 있어서 앞으로 자연환경을 고려한 복원목표에 적합하도록 외래초종 위주의 녹화방법에서 과감히 탈피하고, 공사로 인해 훼손된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주변 자연환경을 고려하고, 미관과 경관을 향상시키며, 지속적으로 안정된 식생을 조성하고, 이산화탄소 저감에 유리한 식생구조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녹생토 조성물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05390호(2017년11월30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녹생토 조성물은 법면에 살포하기 전에 법면에 낙석 방지망(능형망)을 미리 설치하고나서 그 뒤에 토양 안정제 등을 혼합하여 낙석 방지망을 완전히 덮도록 취부 호스를 통해 분사되고 양생 되는데, 이때 법면에서는 물이 새어나와 녹생토 조성물이 제대로 양생 되지 못하고 흘러내려 유실되거나 또는 녹생토 시공 후 수분 부족 등으로 녹화식물 종자의 발아가 저조해지고 이미 발아된 경우에도 고사 되는 현상 등이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05390호(2017년11월30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법면에서 물이 새어나오더라도 녹생토 토양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하여 법면의 구조가 보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녹생토 토양에는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여 녹화식물 종자의 발아 및 생육이 촉진되어 녹화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법면에서 새어나오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별도의 수발 공정 작업이 생략되도록 하여 시공성이 개선되고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법면의 붕괴가 방지되게 법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법면이 친환경적으로 녹화되도록 하는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에 있어서, 법면의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부에 구비된 하부 부직포 층; 상기 하부 부직포 층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상부 부직포 층; 및, 상기 하부 부직포 층과 상기 상부 부직포 층의 사이에 구비되어 법면에서 새어나오는 수분이 법면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수분 배출유도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분 배출유도 층은 비닐 재질의 차광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는 상기 하부 부직포 층과 상기 상부 부직포 층의 사이에 다수의 종자들이 배열되어 마련된 종자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법면에서 물이 새어나오더라도 녹생토 토양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법면의 구조가 보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녹생토 토양에는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녹화식물 종자의 발아 및 생육이 촉진되어 녹화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법면에서 새어나오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별도의 수발 공정 작업이 생략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개선되고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로 법면의 상부를 덮은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의 상부에 능형망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의 측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水)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능형망(20)을 설치하기 전에 법면(10)의 붕괴가 방지되게 법면(10)을 덮어 보강하도록 마련되며 법면(10)이 친환경적으로 녹화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면(10)의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부에 구비된 하부 부직포 층(110)와, 하부 부직포 층(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상부 부직포 층(120)과, 하부 부직포 층(110) 및 상부 부직포 층(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법면(10)에서 새어나오는 수분이 법면(1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수분 배출유도 층(13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법면(10)에서 물이 새어나오더라도 하부 부직포 층(110)에서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고 수분 배출유도 층(130)에 의해 물이 법면(1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녹생토 매트(100)가 물을 과도하게 머금어 터지게 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물이 능형망(20)의 상부로 새어나오고 녹생토 토양에 스미는 것을 막아 토양 취부 단계(S50) 이후에 녹생토 토양이 탈락 및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법면(10)의 구조가 보강되도록 할 수 있고, 후술할 관수 처리 단계에서 상부 부직포 층(120)으로 수분이 흡수되어 녹생토 토양에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녹화식물 종자의 발아 및 생육이 촉진되어 녹화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분 배출유도 층(130)에 의해 법면(10)에서 새어나오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별도의 수발 공정 작업이 생략되도록 함으로써, 녹생토 매트(100)의 시공성이 개선되고 공사 비용도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부직포 층(110) 및 상부 부직포 층(120)에서 흡수되어 머금은 수분이 오래 유지되어 가물 때에는 녹생토 토양 속에 함유된 종자들 또는 후술할 종자 층(140)으로 수분이 꾸준히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타 공법과 비교해 발아율이 높아지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100)에 의한 친환경적인 녹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부직포 층(110) 및 상부 부직포 층(120)은 섬유가 서로 얽히도록 니들 펀칭하여 높은 내구성과 경량 시공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지만, 옥수수로부터 추출된 폴리 유산과 같은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적인 섬유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100)에 의해 여과기능이 달성되도록 할 수 있고, 녹생토 매트(100)의 시공이 친환경적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수분 배출유도 층(130)은 친환경적인 비닐 재질의 차광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녹생토 매트(100)의 내부로 과도하게 흡수된 수분이 수분 배출유도 층(130)에 맺히게 되면 수분 배출유도 층(130)의 표면을 타고 법면(10)의 경사를 따라서 법면(10)의 하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수맥 차단 기능이 충실히 발휘되도록 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녹생토 매트(100)의 시공이 더욱 친환경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직포 층(110)과 상부 부직포 층(120)의 사이에 다수의 종자들이 배열되어 마련된 종자 층(1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종자 층(140)은 상부 부직포 층(120) 및 수분 배출유도 층(130)의 사이 또는 하부 부직포 층(110) 및 수분 배출유도 층(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종자 층(140)은 하부 부직포 층(110) 및 수분 배출유도 층(13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배출유도 층(130)에는 다수의 발아공(131)들이 형성되어 종자 층(140)의 종자들이 발아될 때에 싹 또는 줄기들이 올라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분 배출유도 층(130)은 앞서 언급한 수맥 차단 기능 외에도 종자 층(140)의 종자들을 보호하는 종자 보호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100)에 종자 층(140)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녹화 식생이 자체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녹생토 매트(100)가 하나의 제품으로 마련되도록 할 수 있고, 녹화식물의 발아율이 더욱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종자 층(140)의 종자들은 상부 부직포 층(120) 및 하부 부직포 층(110)에 제봉 등의 방식으로 마련되는 씨앗 주머니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 층(140)에는 은행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등과 같은 천연 성분의 영양재가 함께 포함되도록 하여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녹생토 매트(100)에서 녹화식물의 발아 및 생육이 촉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자 층(140)의 영양재는 천연완전분해 산물이 고농축 함유되도록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세포막을 자가침투에 의해 자가흡수되고 자기동화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종자 층(140)의 영양재에는 필수 아미노산(약 6% 이상)을 비롯한 유기산, 수용성 미네랄 등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종자 층(140)의 영양재에 의해 녹화식물의 냉해, 열상, 병충해 등에 대한 빠른 조직 회복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고, 양이온 치환용량(CEC)이 높아지게 되어 각종 생장물질의 담체 역할을 통해 녹화식물로 영양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배출유도 층(130)은 단면상 지그재그 요철 형태의 쐐기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의 배출유도 주름부(135)를 포함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출유도 주름부(135)에 의해 수분 배출유도 층(130)의 단면에는 다수의 골과 산이 형성되어 수분 배출유도 층(130)의 표면에 수분이 맺히게 되면 법면(10)의 하부로 수분의 배출이 더욱 원활히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법면(10)에서 새어나오는 물이 녹생토 매트(100)의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수맥 차단 기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100)의 시공방법은, 법면(10)의 상태가 균일해지도록 다지고 고르는 단계와, 상기 법면 고르기 단계 이후에 법면(10)을 녹생토 매트(100)로 덮어 녹생토 매트(100)를 법면(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녹생토 매트 설치 단계 이후에 녹생토 매트(100)를 능형망(20)으로 덮어 능형망(20)을 녹생토 매트(10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능형망 설치 단계 이후에 녹생토 매트(100)로 물을 뿌려 수분을 공급해주는 관수 처리 단계와, 상기 관수 처리 단계 이후에 능형망(20)의 상부로 토양과 종자를 포함하는 식생기반 녹생토를 분사하는 토양 취부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면(10)이 능형망(20)으로 덮이기 전에 녹생토 매트(100)로 먼저 덮이고 능형망(20)이 녹생토 매트(100)를 덮은 상태에서 녹생토 매트(100)가 물로 충분히 적셔지도록 관수 처리되도록 한 뒤에 식생기반 녹생토 토양이 능형망(20)으로 분사 살포되어 능형망(20)을 완전히 덮도록 취부 되게 함으로써, 법면(10)의 붕괴가 방지되도록 효과적으로 보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식생기반 녹생토 토양이 유실됨이 없이 양생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생토 매트(100)의 시공방법은 상기 법면 고르기 단계와 상기 녹생토 매트 설치 단계의 사이에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100)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100)를 마련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면(10)의 수분을 흡수하는 하부 부직포 층(110)을 하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관수 처리 단계에서 녹생토 매트(100)의 상부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을 흡수하도록 상부 부직포 층(120)을 하부 부직포 층(110)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법면(10)에서 새어나오는 수분이 법면(10)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법면(10)의 하부(예컨대, 도로상의 지면)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수분 배출유도 층(130)을 하부 부직포 층(110)과 상부 부직포 층(120)의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 부직포 층(120), 하부 부직포 층(110) 및 수분 배출유도 층(130)은 면상 군데군데 제봉 등의 방식으로 접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능형망(20)을 설치하는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에 PVC를 비롯한 합성수지로 코팅을 한 낙석 방지 망인 능형망(20)을 본 발명에 따른 녹생토 매트(10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단계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능형망(20)을 설치 단계는 능형망(20)의 고정 지점에 해머 드릴 등을 이용하여 녹생토 매트(100)에 천공을 먼저 실시한 후, 앵커 핀 및 착지 핀을 이용하여 능형망(20)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토양 취부 단계에서 취부 되는 녹생토 토양을 능형망(20)으로 잡아주게 되어 녹생토 토양이 탈락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수 처리 단계는 관수 차량의 관수 호스 등을 이용해 녹생토 매트(100)의 상부 부직포 층(120)으로 물을 분사하여 수분을 공급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 취부 단계는 능형망(20)의 상부로 토양과 종자를 포함하는 식생기반 녹생토를 취부 호스 등을 이용해 분사하여 대략 5 ~ 10 cm 정도의 두께로 능형망(20)을 완전히 덮도록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법면 20 : 능형망
100 : 녹생토 매트 110 : 하부 부직포 층
120 : 상부 부직포 층 130 : 수분 배출유도 층
140 : 종자 층

Claims (3)

  1. 법면의 붕괴가 방지되게 법면을 덮도록 마련되며, 법면이 친환경적으로 녹화되도록 하는 녹생토 매트에 있어서,
    법면의 수분이 흡수되도록 하부에 구비된 하부 부직포 층;
    상기 하부 부직포 층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을 흡수하는 상부 부직포 층; 및
    상기 하부 부직포 층과 상기 상부 부직포 층의 사이에 구비되어 법면에서 새어나오는 수분이 법면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수분 배출유도 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유도 층은 비닐 재질의 차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직포 층과 상기 상부 부직포 층의 사이에 다수의 종자들이 배열되어 마련된 종자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KR1020180036679A 2018-03-29 2018-03-29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KR20190115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79A KR20190115136A (ko) 2018-03-29 2018-03-29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79A KR20190115136A (ko) 2018-03-29 2018-03-29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136A true KR20190115136A (ko) 2019-10-11

Family

ID=6821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679A KR20190115136A (ko) 2018-03-29 2018-03-29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1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390B1 (ko) 2017-04-18 2017-12-07 지문규 절개지의 생태 복원을 위한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복원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390B1 (ko) 2017-04-18 2017-12-07 지문규 절개지의 생태 복원을 위한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 복원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380B1 (ko) 가로수 보호 및 생장촉진 구조를 갖는 식생매트
JP5083507B2 (ja) 浅床栽培槽による蓮根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KR101644630B1 (ko) 농사용 공기주입장치
KR100946730B1 (ko) 환경 친화적인 식생매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환경친화적인 녹화방법
CN107646606A (zh) 盐碱地乔木移栽方法
EA029578B1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дерн смешанного типа
JP2007291748A (ja) 植生型枠およびこれを有する緑化構造体並びに緑化工法
CA2789513C (en) Vegetation element for greening artificial or natural surfaces having low and/or high pla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vegetation element
JP2009155964A (ja) 斜面の緑化方法
CN103548639B (zh) 适用于盐碱地的景观树栽培方法
KR100850200B1 (ko) 가로수 주변의 잡초 억제방법 및 구조
KR20160045281A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RU2594517C2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многолетними сорными растениями
KR20190115136A (ko)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
KR100621174B1 (ko) 녹지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네트
KR20190115137A (ko) 수 제어기능을 갖는 녹생토 매트의 시공방법
CN212983901U (zh) 一种岩石创面生态修复植生装置
KR20150097247A (ko)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JP2008131914A (ja) 緑化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表土採取装置並びに緑化構造体
CN103420638B (zh) 一种模压的透气防渗毯及其应用
JP2018064474A (ja) 遮水シートを用いた人工池の水難事故防止緑化
KR20100015267A (ko)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8092942A (ja) 植栽ブロックおよび植栽構造体
KR101670009B1 (ko)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