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623A -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623A
KR20190114623A KR1020180037612A KR20180037612A KR20190114623A KR 20190114623 A KR20190114623 A KR 20190114623A KR 1020180037612 A KR1020180037612 A KR 1020180037612A KR 20180037612 A KR20180037612 A KR 20180037612A KR 20190114623 A KR20190114623 A KR 20190114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motor
unit
latch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644B1 (ko
Inventor
이기천
박종원
이용범
장영규
양청광
최종식
이승용
엄학용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3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6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66D5/34Detent devices having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가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윈치(Winch)에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레치(Latch)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레치구동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치구동부를 수평 운동시키는 실린더부; 및 상기 모터와 상기 실린더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시험 장치를 통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실제 사용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테스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Test equipment of structure attachment type lifting and lowering machine}
본 발명은 조명 기구, 카메라 등의 무대 장치가 부착될 수 있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밖에 없었던 윈치(Winch)를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승하강기의 수명 및 안전성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승하강기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 촬영 또는 뮤지컬, 연극 등의 공연에 있어서 화려한 효과를 구현하거나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조명 또는 카메라 등의 무대 장비가 설치되는 위치를 다양하게 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1과 같이 천장과 같은 높은 위치에 무대 장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조명이나 카메라를 사람의 힘만으로는 상기와 같은 조명, 카메라 등을 높은 위치에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명 및 카메라 등을 벽면이나 수직 구조물의 높은 위치에 설치할 때는 승하강 장치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승하강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 또는 조명 장치가 낙하하거나, 승하강 장치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세트장에서 무방비 상태로 공연하고 있는 배우나 스텝들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무대 장치가 부착될 수 있는 승하강 장치의 내구성 및 수명을 미리 확인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다만, 현재까지는 수동으로 승하강 장치를 구동시키는 방식 외에 승하강 장치의 수명 및 성능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을만한 시험 장치가 존재하지 않아 승하강 장치의 고장을 대비하여 어느 시점에 교체해야 하는지 예측하기 어려웠고,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촬영 중 조명 장치의 낙하 또는 승하강 장치의 파손으로 인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즉, 지금까지는 승하강 장치의 성능 및 수명을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장치가 없으므로, 배우나 스텝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촬영, 공연 등을 할 수 있도록 무대 장치가 부착될 수 있는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 10-2010-0097768)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 및 분석시스템”
종래에는 승하강기의 성능과 수명을 측정할 수 있는 마땅한 장치가 없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현장 사용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모터를 통해 무대 장치가 부착되는 승하강기를 반복적으로 승하강시켜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승하강기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가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윈치(Winch)에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레치(Latch)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레치구동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치구동부를 수평 운동시키는 실린더부; 및 상기 모터와 상기 실린더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부; 및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수평프레임부에는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에 윈치 핸들이 삽입되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부착되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에 부착된 무대 장치의 상승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부착되어 무대 장치의 하강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는 근접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부 또는 제2 센서부에서 무대 장치가 상승 또는 하강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부를 구동시켜 레치를 회전시킴으로써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를 락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가 락킹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실린더부를 구동시켜 레치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대 장치에 부착되어 무대 장치의 승하강에 따른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변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터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의 토크 변화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크 센서에서 상기 모터의 토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 환경에 따라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가 부착되는 프레임부의 높이를 달리 하고, 변위 센서, 토크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토대로 승하강기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현장 사용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승하강기에 부착된 무대 장치를 승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윈치 핸들을 수동으로 회전시켜야 했으나,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된 동력 전달부와 윈치 핸들을 결합함으로써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윈치 핸들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간편하게 승하강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도 1은 공연 무대에서 조명 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카메라 또는 조명 등의 무대 장치가 부착될 수 있는 승하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험 장치를 구성하는 모터 및 실린더부를 중심으로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 (a)는 승하강기의 윈치 핸들과 동력전달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b)는 윈치 핸들이 동력전달부 내부의 종공부에 삽입되어 동력전달부의 회전에 의해 윈치 핸들도 함께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a)는 실린더부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기의 레치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승하강기가 고정(Locking)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b)는 실린더부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기의 레치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승하강기의 고정(Locking)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한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험 장치에 대한 설명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시험 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본다.
도 2는 카메라 또는 조명 등의 무대 장치가 부착될 수 있는 승하강기를 나타난 사시도이다.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는 무빙 실린더(21)의 높이 방향으로 도 2에 도시된 조명 장치 또는 카메라와 같은 무대 장치(1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대 장치(10)는 윈치(Winch, 22)의 와이어(미도시)와 결합되어 윈치 핸들(23)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무대 장치(10)가 승강하고, 윈치 핸들(23)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무대 장치(10)가 하강하는 바, 윈치 핸들(23)을 통해 무대 장치(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는 후술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 장치(10)를 특정 높이에 고정하기 위한 레치(24)를 구비하여, ⅰ) 무대 장치(10)의 높이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레치(24)를 회전시켜(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레치를 회전시킴) 윈치 기어(25)와 레치(24)가 맞물리게 함으로써 무대 장치(10)가 더 이상 승하강하지 않도록 락킹(Locking)할 수 있으며, ⅱ) 반대로 무대 장치(10)의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레치(2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반시계 방향으로 레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윈치 기어(25)와 레치(24) 사이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에 부착된 무대 장치(1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고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윈치 핸들(23) 및 레치(24)를 구동시켜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윈치 핸들(23) 및 레치(24)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의 성능 및 수명을 테스트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를 정비하는 것이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윈치 핸들(23)과 레치(24)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시험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시험 장치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시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시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험 장치를 구성하는 모터 및 실린더부를 중심으로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시험 장치는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가 설치되는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의 하단에 설치되는 모터(200), 상기 모터(200)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윈치(Winch, 22)에 상기 모터(200)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10),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레치(Latch, 24)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레치구동부(300), 상기 프레임부(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치구동부(300)를 수평 운동시키는 실린더부(310) 및 상기 모터(200)와 상기 실린더부(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부(101)와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부(102)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10)의 사용 환경에 따라 수직프레임부(102)의 높이, 수평프레임부(101)의 개수를 조절하여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의 실제 사용과 동일한 환경에서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대 장치(10)를 4m 높이까지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10)의 성능 및 수명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부(100)가 4m 높이의 수직프레임부(102)와 4개의 수평프레임부(101)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무대 장치(10)를 더 높은 위치까지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수직프레임부(102)의 높이를 높이고, 수평프레임부(101)의 개수를 늘려 실제 사용 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테스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평프레임부(101)와 수직프레임부(102)의 개수를 조절하여 한 번에 복수 개의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수평프레임부(101)에는 브라켓부(103)가 구비되어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10)를 프레임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모터(200)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10)에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부(21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 (a)는 승하강기의 윈치 핸들과 동력전달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b)는 윈치 핸들이 동력전달부 내부의 종공부에 삽입되어 동력전달부의 회전에 의해 윈치 핸들도 함께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동력전달부(210)는 상기 모터(200)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모터(200)의 회전에 의해 종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210) 내부에는 윈치 핸들(23)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의 중공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220) 내부에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10)의 윈치 핸들(23)이 삽입되어 동력전달부(210)와 윈치 핸들(23)이 결합될 수 있다.
도 6 (a)와 같이 분리되어 있던 동력전달부(210)와 윈치 핸들(23)이 도 6 (b)와 같이 결합됨에 따라, 모터(200)에서 발생되는 동력(회전)이 동력전달부(210)와 결합된 윈치 핸들(23)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200)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승하강기에 부착된 무대 장치(10)를 자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터(200)와 동력전달부(210)는 승하강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모터(200)와 동력전달부(210)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와 근접한 위치(특히, 윈치 핸들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시험 장치는 무대 장치(10)의 승강 또는 하강을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한 번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ⅰ) 상기 제1 센서부(11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단에 부착되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에 부착된 무대 장치(10)가 프레임부(100)의 상단까지 승강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ⅱ) 상기 제2 센서부(12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하단에 부착되어 무대 장치(10)가 프레임부(100)의 하단까지 하강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무대 장치(10)의 승하강을 감지하는 상기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는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이용하거나,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이용하여 접촉 없이 대상물의 접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또는 무대 장치(10)와의 접촉을 통해 승하강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가 근접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다고 한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무대 장치(10)의 승강 또는 하강을 감지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센서를 사용하더라도 무관하다.
또한, 앞서 상기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가 각각 프레임부(100)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다고 언급하였으나, 이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에 부착된 무대 장치(10)의 승하강을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의 바람직한 위치에 불과하며, 무대 장치(10)의 승하강을 감지할 수 있다면 제1 센서부(110)와 제2 센서부(120)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무관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시험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부(110)와 상기 제2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무대 장치(10)의 승하강 정보를 토대로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의 레치(24)를 구동시킬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의 승하강기의 레치(24)를 구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 (a)는 실린더부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기의 레치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승하강기가 고정(Locking)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b)는 실린더부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기의 레치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승하강기의 고정(Locking)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a)와 같이 레치(24)가 일방향(도 7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레치(24)가 윈치 기어(25)의 이(Tooth)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윈치 기어(25)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어 승하강기에 부착된 무대 장치(10)의 높이가 고정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황을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가 락킹(Locking)되었다고 표현한다.
반대로, 도 7 (b)와 같이 레치(24)가 앞서 회전한 방향과 정반대 방향(도 7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레치(24)가 윈치 기어(25)의 이(tooth)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윈치 기어(25)가 계속해서 회전할 수 있어 무대 장치(10)가 승강하거나 하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의 락킹이 해제되었다고 표현한다.
실제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를 사용하여 무대 장치(10)를 설치할 때, 무대 장치(10)를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승하강기를 락킹하여 무대 장치(10)의 높이를 고정시키고, 무대 장치(10)의 교체 또는 촬영 등이 종료된 경우에는 승하강기의 락킹을 해제한 후 무대 장치(10)를 하강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만, 상기와 과정에서 레치(24) 내지 윈치 기어(25)의 마모가 발생하면 승하강기의 락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무대 장치가(10) 승하강기에 고정되지 않고 낙하될 수 있으므로, 승하강기의 레치(24) 및 윈치 기어(25)에 대한 성능 및 수명을 파악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험 장치는 레치구동부(300)와 실린더부(310)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승하강기를 락킹하고 해제함으로써, 레치(24) 및 윈치 기어(25)의 성능 및 수명을 확인하고자 한다.
레치구동부(300)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승하강기의 레치(24)와 연결되고, 상기 레치구동부(300)의 일단은 실린더부(310)와 결합되어, 상기 레치구동부(300) 는 상기 실린더부(310)의 공압에 의해 수평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승하강기의 레치(24)와 레치구동부(30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치(24)는 상기 실린더부(310)의 구동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센서부(110)에서 무대 장치(10)의 상승이 감지되거나 또는 제2 센서부(120)에서 무대 장치(10)의 하강이 감지되면, 상기 실린더부(310)를 통해 상기 레치구동부(300)와 연결된 레치(24)를 회전시켜 레치(24)가 윈치 기어(25)의 이(tooth)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승하강기의 락킹 과정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승하강기가 락킹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실린더부(310)를 통해 레치(24)를 앞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윈치 기어(25)의 회전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승하강기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10초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부는 승하강기가 락킹된 후 10초가 경과하면 상기 실린더부(310)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켜 레치(24)와 윈치 기어(25)의 결합을 해제하여 승하강기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제1 센서부(110) 또는 제2 센서부(120)에서 무대 장치(10)의 승하강을 감지되면 실린더부(310)를 구동하여 승하강기를 락킹하고, 승하강기가 락킹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실린더부(310)를 앞서와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켜 승하강기의 락킹을 해제함으로써 레치(24) 및 윈치 기어(25)의 성능 및 수명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시 한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험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센서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시험 장치는 무대 장치(10)에 부착되어 무대 장치(10)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변위 센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 센서(400)는 정전용량 변화, 인덕턴스 변화, 저항의 변화, 또는 기전력의 변화를 토대로 무대 장치(1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변위 센서(400)를 통해 무대 장치(10)가 승하강하는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의 노후화 정도를 테스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대 장치(20)를 4m 높이만큼 승하강시키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의 성능 및 수명을 테스트 하는 과정에서 상기 변위 센서(400)를 통해 무대 장치(20)가 4m 높이까지 상승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노후화로 인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험 장치는 상기 모터(200)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200)의 토크 변화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토크 센서(230)에서 상기 모터(200)의 토크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윈치(22)의 와이어가 엉키는 등의 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보아, 승하강기의 성능 또는 수명을 정상적으로 테스트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크 센서(230)에서 상기 모터(200)의 토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와이어의 엉킴 등의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상기 모터(20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시험 장치가 보다 정확하게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10)의 성능 및 수명을 측정할 수 있게끔 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시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20)의 실제 사용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접 센서, 변위 센서 등에서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모터와 실린더부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무대 장치(10)를 승하강시키고, 승하강기를 락킹(Locking)할 수 있어,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무대 장치
20 :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21 : 무빙 실린더
22 : 윈치
23 : 윈치 핸들
24 : 레치
25 : 윈치 기어
100 : 프레임부
110 : 제1 센서부
120 : 제2 센서부
200 : 모터
210 : 동력전달부
220 : 중공부
230 : 토크 센서
300 : 레치구동부
310 : 실린더부
400 : 변위 센서

Claims (9)

  1.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성능 및 수명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가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윈치(Winch)에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레치(Latch)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레치구동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치구동부를 수평 운동시키는 실린더부; 및
    상기 모터와 상기 실린더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부; 및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수평프레임부에는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에 윈치 핸들이 삽입되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시험대상이 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부착되어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에 부착된 무대 장치의 상승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부착되어 무대 장치의 하강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는 근접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 또는 제2 센서부에서 무대 장치가 상승 또는 하강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부를 구동시켜 레치를 회전시킴으로써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를 락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가 락킹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실린더부를 구동시켜 레치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무대 장치에 부착되어 무대 장치의 승하강에 따른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변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의 토크 변화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크 센서에서 상기 모터의 토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KR1020180037612A 2018-03-30 2018-03-30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KR102137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612A KR102137644B1 (ko) 2018-03-30 2018-03-30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612A KR102137644B1 (ko) 2018-03-30 2018-03-30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623A true KR20190114623A (ko) 2019-10-10
KR102137644B1 KR102137644B1 (ko) 2020-07-27

Family

ID=6820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612A KR102137644B1 (ko) 2018-03-30 2018-03-30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6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5572A (zh) * 2020-11-17 2021-03-1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多界面快速安装试验平台
CN113155506A (zh) * 2021-05-11 2021-07-23 成都天仁民防科技有限公司 一种防淹风亭的升降非平稳性检测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102Y1 (ko) * 2002-11-01 2003-01-29 김영훈 조명등 승강장치의 바디 감지구조
KR20050083582A (ko) * 2005-06-09 2005-08-26 주식회사 두륭 무대장치
KR20070021393A (ko) * 2005-08-18 2007-02-23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KR20100097768A (ko) 2009-02-27 2010-09-06 박노억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 및 분석시스템
KR101008425B1 (ko) * 2010-07-23 2011-01-14 월성설비(주) 무대장비 승강기용 승강높이제한 리미트스위치의 검사장치
KR20160148901A (ko) * 2015-06-17 2016-12-27 김경환 설치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부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102Y1 (ko) * 2002-11-01 2003-01-29 김영훈 조명등 승강장치의 바디 감지구조
KR20050083582A (ko) * 2005-06-09 2005-08-26 주식회사 두륭 무대장치
KR20070021393A (ko) * 2005-08-18 2007-02-23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KR20100097768A (ko) 2009-02-27 2010-09-06 박노억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 및 분석시스템
KR101008425B1 (ko) * 2010-07-23 2011-01-14 월성설비(주) 무대장비 승강기용 승강높이제한 리미트스위치의 검사장치
KR20160148901A (ko) * 2015-06-17 2016-12-27 김경환 설치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부 승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명장치 설치용 벽부승강장치 고장 모드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양청광 등,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2017. 2., pp. 15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5572A (zh) * 2020-11-17 2021-03-1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多界面快速安装试验平台
CN113155506A (zh) * 2021-05-11 2021-07-23 成都天仁民防科技有限公司 一种防淹风亭的升降非平稳性检测方法
CN113155506B (zh) * 2021-05-11 2024-03-22 成都天仁民防科技有限公司 一种防淹风亭的升降非平稳性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644B1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101291728B1 (ko)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
KR20190114623A (ko)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BRPI0706609B1 (pt) "sistema de levantamento".
ES2959933T3 (es) Sistemas y métodos de inspección de contrapeso de ascensor automático
KR20180124750A (ko) 자동 엘리베이터 점검 시스템 및 방법들
US6464190B1 (en) Self-winding-type fixture-lifting/lowering device
JP4926613B2 (ja)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JP2013071795A (ja) エレベータの停電灯異常検出装置
JP2001302130A (ja) 昇降機のペイロードレセプタクルを移動させる補助装置および昇降機シャフト内のケージの位置および動作をモニタする装置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8119312A (ja) 点検装置
CN105852892A (zh) 医疗影像系统、驱动装置及驱动故障检测方法
KR20160115182A (ko) 무대장치 사고예측 장치
KR101071363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 자동 검출 및 모터구동 제어장치
BRPI0416526B1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inspecionar operação de um atuador
KR100865942B1 (ko)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JP2006089238A (ja) 昇降装置及び照明装置
KR20160115181A (ko) 무대장치 사고예측 시스템
US20090223434A1 (en) Limit lights
KR102280972B1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8500B1 (ko) 스마트 연기 감지기
KR100867207B1 (ko) 공동주택의 실내조명용 전기구 설치대
KR20230126608A (ko) 스마트 연기 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