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262A - 유체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262A
KR20190114262A KR1020180036693A KR20180036693A KR20190114262A KR 20190114262 A KR20190114262 A KR 20190114262A KR 1020180036693 A KR1020180036693 A KR 1020180036693A KR 20180036693 A KR20180036693 A KR 20180036693A KR 20190114262 A KR20190114262 A KR 2019011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ea
unloading
guid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윤
김정
김현호
전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4262A/ko
Publication of KR2019011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해상 부유물로부터 유체를 육지에 이송할 수 있는 유체 이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체 이송 시스템은, 해저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해수면 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 파일; 상기 해상 부유물의 외측에 형성되어 해상 부유물과 상기 가이드 파일을 연결하는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 해저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해수면 상으로 연장되는 언로딩 파일; 상기 언로딩 파일의 내부에 구비되고, 해수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언로딩 파일의 상단에 형성되는 유공으로부터 상기 언로딩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파일 파이프; 육지에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 유닛; 및 해저에 설치되고, 유체가 상기 파일 파이프와 상기 저장 유닛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일 파이프와 상기 저장 유닛을 유체 연통시키는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이송 시스템{Fluid Transfer System}
본 발명은 유체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부유물로부터 육지의 저장 유닛으로 유체를 이송시키는 유체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natural gas)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고, 소량의 에탄(ethane), 프로판(propane) 등을 포함하는 화석연료로서, 가스 상태로 운반되기도 하고,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되기도 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이하)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그에 따라 해상에서 LNG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로써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도 많이 개발되어 있다. LNG FPSO는,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해상에서 LNG를 생산하여 운반선에 싣고 육상으로 운반하는 종래의 FPSO의 생산된 LNG는 FPSO의 저장탱크에 저장해두고, LNG 캐리어(Carrier)로 옮겨싣고 운송하여 육상의 터미널에서 하역한 후 저장 시설에 저장하게 된다. 또는, 수심이 깊지 않은 천해역에 설치되는 FRSU 등의 부유체는 제티(Jetty)나 돌핀(Dolphin)에 계류하여 위치를 유지한다. 이러한 계류 방법은 부유체의 운동을 크게 구속하지 못하기 대문에 태풍 발생 시, 계류선을 제거하고 부유체는 대피를 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해상에서 부유체의 운동(특히, 수평방향 운동(Surge 등))을 구속하기 위해 파일 무어링(Pile Mooring) 방식이 적용된다.
그러나, 파일 무어링 방식의 경우, 부유체에 저장하고 있는 LNG 등의 가스연료 및 유체를 육상으로 송부하기 위해서 오프로딩(Offloading)의 개념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10-2016-00413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해 지역에서 해상 부유물로부터 육지로의 가스연료 등의 유체 운송이 용이한 유체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aspect)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은 해상 부유물; 해저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해수면 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 파일; 상기 해상 부유물의 외측에 형성되어 해상 부유물과 상기 가이드 파일을 연결하는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 해저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해수면 상으로 연장되는 언로딩 파일; 상기 언로딩 파일의 내부에 구비되고, 해수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언로딩 파일의 상단에 형성되는 유공으로부터 상기 언로딩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파일 파이프; 육지에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 유닛; 및 해저에 설치되고, 유체가 상기 파일 파이프와 상기 저장 유닛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일 파이프와 상기 저장 유닛을 유체 연통시키는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는, 상기 해상 부유물의 수평 방향 운동을 구속하고, 상기 해상 부유물이 상기 가이드 파일을 따라 히브 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파일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파일은, 상기 해상 부유물을 중심으로 상기 언로딩 파일과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해상 부유물에 설치되고, 상기 해상 부유물로부터 상기 파일 파이프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딩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암은, 상기 해상 부유물로부터 기체 상태의 액화가스를 상기 유공을 통해 상기 파일 파이프에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전달되는 기체 상태의 액화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상 부유물의 외측에 형성되어 해상 부유물과 상기 언로딩 파일을 연결하는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에 따르면, 설치된 파일 및 파일 파이프를 통하여 천해 지역에서 해상 부유물로부터 육지로 가스연료 등의 유체를 안전하게 이송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에서 해상 부유물이 정박하기 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에서 언로딩 파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에서 해상 부유물이 정박한 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에서 해상 부유물이 정박한 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에서 해상 부유물이 정박한 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에서 해상 부유물이 정박(mooring)하기 전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은 언로딩 파일(1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언로딩 파일(unloading pile)(10)은 해저면에 하단이 고정(clamp)되어 해수면 상으로 연장(예를 들어, 해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하단은 해저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해수면 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파일(guide pile)(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파일(100)은 해저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해수면 상으로 연장(예를 들어, 해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연장)된다. 즉, 언로딩 파일(10)과 마찬가지로 하단은 해저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해수면 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언로딩 파일(10) 및 가이드 파일(100)은, 각각 하단이 해저면 깊숙히 박히고(ramming down) 고정되어, 언로딩 파일(10) 및 가이드 파일(100)이 이동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 및 지지력을 확보한다. 따라서, 파랑(wave)이나 해류(current)에 따라 작용되는 장기적인 하중에 대하여 증강된 강도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해상 부유물이 안정적으로 언로딩 파일(10) 및 가이드 파일(100)의 주변부에 정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에서 언로딩 파일(1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은 파일 파이프(pile pipe)(20), 매니폴드(manifold)(30) 및 저장 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일 파이프(20)는 언로딩 파일(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언로딩 파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파일 파이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따라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해수면 상에 위치하는 언로딩 파일(10)에는 유공(hollow)(15)이 형성되어 파일 파이프(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유공(15)은 파일 파이프(20)의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수용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예를 들어, 천연가스)가 유공(15)을 통하여 언로딩 파일(10) 및 파일 파이프(20)의 내부를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유공(15)이 언로딩 파일(10)의 측면에 형성되어 파일 파이프(20)와 연결됨에 따라 파일 파이프(20)가 'ㄱ'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공(15)은 언로딩 파일(10)의 상면에 형성되어 파일 파이프(20)와 연결됨에 따라 파일 파이프(20)는 일자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유공(15)에는 커버(cover)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유공(15)이 개폐되도록 하여 유체 이송 시스템(1)(예를 들어, 파일 파이프(20))에서 유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외부 공기의 유입에 따른 유체 희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일 파이프(20)의 하단은 매니폴드(3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의 매니폴드(30)는 파일 파이프(20)와 연결되고 해저면에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매니폴드(30)는 해저면에 매설됨으로써, 해류 등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고, 해저 환경에 의한 매니폴드(30)의 파괴를 방지한다.
또한, 매니폴드(30)는 내부에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배관(pipe) 구조로서 설치되어 파일 파이프(20)에 연결된다. 따라서, 파일 파이프(20)의 내부와 매니폴드(30)의 내부 간에 유체가 이동 및 교환될 수 있다.
또한, 매니폴드(30)의 타단은 저장 유닛(40)과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의 저장 유닛(40)은 육지에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유닛(40)과 매니폴드(30)의 내부 간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즉, 매니폴드(30)는 파일 파이프(20)와 저장 유닛(40)을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시킨다. 따라서, 유공(15)을 통하여 해수면 상에서 저장 유닛(40)까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또한, 그 반대의 경로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서는 저장 유닛(40)이 육지에 매설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장 유닛(40)은 육지 상에 설치되어 매니폴드(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의 저장 유닛(40)은, 매니폴드(30)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예를 들어, 천연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유닛(40)은, 매니폴드(30)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액화된 액체(예를 들어, LNG 등의 액화가스)로서 수용 및 저장함으로써, 기체 상태일 때보다 작은 부피로서 유체를 육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에서 해상 부유물(50)이 정박한 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에서 해상 부유물(50)(예를 들어, FRSU)이 언로딩 파일(10) 및 가이드 파일(100)이 설치된 해역에 부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에서 가이드 파일(100)의 외측에는 한 개 이상의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는 해수면 상에서 해상 부유물과 체결되어 상기 해상 부유물을 가이드 파일(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 부유물(50)의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에 가이드 파일(100)이 관통하여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는 상기 해상 부유물의 수평 방향 운동(예를 들어, 해일(surge)에 따른 스웨이(sway))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언로딩 파일(10)과 가이드 파일(100)이 일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언로딩 파일(10)과 가이드 파일(100)이 해상 부유물(50)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도 3에서는 해상 부유물(50) 상에 3행 2열 형태로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가 해상 부유물(50) 상에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파일(100)의 개수만큼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가 해상 부유물(50)상에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1)의 해상 부유물(50)에 로딩암(loading arm)(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딩암(60)은, 해상 부유물(50)로부터 파일 파이프(20)로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로딩암(60)은 해상 부유물(50)에 수용된 유체를 유공(15)으로 주입시켜 파일 파이프(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로딩암(60)의 주입부(65)가 유공(15)에 접속함으로써, 유체가 주입부(65)로부터 유공(15)에 유입되어 파일 파이프(20)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이동되는 유체의 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주입부(65)의 끝단의 직경과 유공(15)의 직경이 일치하여, 주입부(65)의 끝단이 유공(1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로딩암(60)은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해상 부유물(5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예를 들어, 액화가스)를 기화시키고, 기체 상태의 상기 액화가스를 유공(15)을 통해 파일 파이프(20)에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극저온으로 해상 부유물(50)에 보관되는 액체가스(예를 들어, LNG)가 상온의 파일 파이프(20)로 이동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급속 기화 및 이에 따른 급작스러운 부피 팽창이 방지된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게 해상 부유물(50)에 수용된 유체를 파일 파이프(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로딩암(60)은 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로써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해상 부유물(50)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로딩암(60)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해상 부유물(50)에 수용된 유체가 파일 파이프(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서는 로딩암(60)의 마디가 힌지로써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로딩암(60)은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플랙서블(flexible)한 호스(hose))로서 회동되어 유공(15)에 접속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2)에서 해상 부유물(50)이 정박한 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에서 해상 부유물이 정박한 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4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한 개 이상의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가 해상 부유물(5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가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2)에서 언로딩 파일(10)은 일단이 해상 부유물(50)과 연결되고 타단이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는 해상 부유물(50)의 수평 방향 운동(예를 들어, 해일에 따른 스웨이)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세 개의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가 해상 부유물(50)의 측면에 일렬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개의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가 언로딩 파일(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는 예를 들어 앞서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와 유사한 방식으로 언로딩 파일(10)과 체결될 수 있다. 즉,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에 언로딩 파일(10)이 관통되도록 체결하여, 해상 부유물(50)을 언로딩 파일(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및 도 6에서는 해상 부유물(50)의 측면에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해상 부유물(50)의 상면에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가 설치되어 언로딩 파일(10)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를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해상 부유물(50)을 언로딩 파일(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해상 부유물(50)은 언로딩 파일(10)과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 사이의 결합, 가이드 파일(100)과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 사이의 결합에 의해서 수평 방향 운동이 구속된다.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 및/또는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102)은 해상 부유물(50)의 히브 운동을 가이드한다. 즉, 언로딩 파일(10)은 가이드 파일(100)과 함께, 해상 부유물(50)의 파일 무어링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언로딩 파일(10)은 가이드 파일(100)이 설치되어야 할 영역에, 가이드 파일(100)을 대신해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가이드 파일(10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파일(예를 들어, 도 6에서 해상 부유물(50)의 중심 부근에 위치한 가이드 파일)은, 해상 부유물(50)을 중심으로 언로딩 파일(10)과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위치에서(예를 들어, 도 6에서 해상 부유물(50)의 선수 및/또는 선미의 부근에서는, 해상 부유물(50)을 중심으로 양쪽에 가이드 파일(100)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시스템(2)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7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해상 부유물(50)의 측면에 설치된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11)가 언로딩 파일(10)의 외측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해상 부유물(50)의 움직임(예를 들어, 해일에 따른 수평 운동)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상 부유물(50)의 움직임이 감소함에 따라, 로딩암(60)의 주입부(65)가 유공(15)에 보다 안정되게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 부유물(50)에 수용된 액화가스(예를 들어, LNG)는 로딩암(60)을 통해 기화된 후 주입부(65)를 지나 유공(15)을 통과하게 되고, 파일 파이프(20) 및 매니폴드(30)의 내부를 이동하여 저장 유닛(40)에 도달할 수 있다. 이 때, 저장 유닛(40)에 설치된 액화 설비를 통해 기체 상태의 액화가스는 다시 액체 상태로서 저장 유닛(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서는 유체가 해상 부유물(50)로부터 저장 유닛(40)으로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른 방식의 유체 이송 작업(예를 들어, 저장 유닛(40)에서 해상 부유물(50)로의 유체 이동)이 언로딩 파일(10) 및 파일 파이프(20) 등을 통해 보다 안정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2: 유체 이송 시스템 10: 언로딩 파일
11: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 15: 유공
20: 파일 파이프 30: 매니폴드
40: 저장 유닛 50: 해상 부유물
60: 로딩암 65: 주입부
100: 가이드 파일 102: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

Claims (7)

  1. 해상 부유물;
    해저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해수면 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 파일;
    상기 해상 부유물의 외측에 형성되어 해상 부유물과 상기 가이드 파일을 연결하는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
    해저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해수면 상으로 연장되는 언로딩 파일;
    상기 언로딩 파일의 내부에 구비되고, 해수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언로딩 파일의 상단에 형성되는 유공으로부터 상기 언로딩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파일 파이프;
    육지에 형성되어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 유닛; 및
    해저에 설치되고, 유체가 상기 파일 파이프와 상기 저장 유닛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일 파이프와 상기 저장 유닛을 유체 연통시키는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파일 체결 부재는, 상기 해상 부유물의 수평 방향 운동을 구속하고, 상기 해상 부유물이 상기 가이드 파일을 따라 히브 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 파일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파일은, 상기 해상 부유물을 중심으로 상기 언로딩 파일과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유체 이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부유물에 설치되고, 상기 해상 부유물로부터 상기 파일 파이프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딩암을 더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암은, 상기 해상 부유물로부터 기체 상태의 액화가스를 상기 유공을 통해 상기 파일 파이프에 주입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전달되는 기체 상태의 액화가스를 액화시키는 액화 설비를 더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부유물의 외측에 형성되어 해상 부유물과 상기 언로딩 파일을 연결하는 언로딩 파일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KR1020180036693A 2018-03-29 2018-03-29 유체 이송 시스템 KR20190114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93A KR20190114262A (ko) 2018-03-29 2018-03-29 유체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93A KR20190114262A (ko) 2018-03-29 2018-03-29 유체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62A true KR20190114262A (ko) 2019-10-10

Family

ID=6820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693A KR20190114262A (ko) 2018-03-29 2018-03-29 유체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42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589A (ko) * 2019-10-25 2021-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327A (ko) 2014-10-07 2016-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수용 기능을 갖는 고정식 플랫폼용 지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327A (ko) 2014-10-07 2016-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수용 기능을 갖는 고정식 플랫폼용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589A (ko) * 2019-10-25 2021-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8319B2 (en) Apparatus for cryogenic fluids having floating liquefaction unit and floating regasification unit connected by shuttle vessel, and cryogenic fluid methods
KR100991994B1 (ko) 액화가스 로딩/언로딩 시스템을 가지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KR20100114186A (ko)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KR100827398B1 (ko) 혼합 형태 화물창을 갖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JP2005512883A (ja) 単一点係留の再ガス化塔
TW200827284A (en) Open-sea berth LNG import terminal
JP2014525366A (ja) 外側容器を有する海上プラットフォーム
JP2010509136A5 (ko)
KR100730701B1 (ko) 부유식 액화 가스 저장선과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사이의 액화 천연가스 이송 수단
KR10067661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7350A (ko) 액화 가스 스프레이 장치가 장착된 적재 및/또는 하역 타워
KR20190114262A (ko) 유체 이송 시스템
KR10098625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갖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101246076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KR102473947B1 (ko) Lng 재기화 선박
KR200473638Y1 (ko) 독립형 저장탱크 구조물
KR20150059940A (ko)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KR20180115910A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100701398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터릿에 설치되는 선체 변형 방지용 스프레이 장치 및 상기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한 선체 변형 방지 방법
KR102039699B1 (ko) 선박 시스템
KR20090124554A (ko)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101483463B1 (ko) 선박의 연안 액화공정 시험 방법
KR102262123B1 (ko) 액체화물 수송 시스템
AU2021400933B2 (en) A ship and a method for bringing liquified gas from an onshore terminal across a sea to a subsurface permanent storage reservoir
KR100678842B1 (ko) 터릿에 설치되는 소방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및 상기 소방장치를 이용한 화재 진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