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104A - 마운트장치 - Google Patents

마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104A
KR20190114104A KR1020180036279A KR20180036279A KR20190114104A KR 20190114104 A KR20190114104 A KR 20190114104A KR 1020180036279 A KR1020180036279 A KR 1020180036279A KR 20180036279 A KR20180036279 A KR 20180036279A KR 20190114104 A KR20190114104 A KR 20190114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upport
outdoor unit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민보
송형식
최경순
Original Assignee
송형식
심민보
최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형식, 심민보, 최경순 filed Critical 송형식
Priority to KR102018003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4104A/ko
Publication of KR20190114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03Dampers characterised by having pressure absorbing means other than gas, e.g. spong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트장치에대한 발명으로서, 에어컨 등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지지하며, 실외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외기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지지부 및 진동흡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운트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형성되며, 실외기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며, 실외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재(30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마운트장치{Mount device}
본 발명은 마운트장치에대한 발명으로서, 에어컨 등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지지하며, 실외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외기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지지부 및 진동흡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운트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실외기의 하우징 저면에 부착되어 그 외측단의 수직면이 하우징 외면의 연장선을 돌출하지 않게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브라켓; 및 바닥에 안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에 각각 삽입되는 고무재질로 된 다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공은 상기 헤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결합공 선단부의 폭은 상기 헤드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상기 결합공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받침구조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2는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이 에어컨의 실외기(1) 바닥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실외기(1)를 고정시키도록 고정수단이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측면이 소정 높이를 형성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설치되고, 실외기(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이 지면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방진구; 및 상기 프레임(10)과 방진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이 지면으로부터 수평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진구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3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저면에 설치되어 실외기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 다수개가 고정되는 고무 재질의 방진부재와, 각각의 방진부재를 상기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와, 상기 방진부재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방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다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대향되도록 상기 지지패널의 저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바퀴와, 상기 바퀴의 회전축과 설치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지지구조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4는 실외기를 지지토록 제공되는 베이스부재; 및 외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드로잉부를 제공하는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잉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형상비드; 및 상기 베이스부재를 외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에삽입단이 형성된 긴홀 형상의 볼트결합홀;을 제공하는 실외기 지지구조에 대한 것이다.
KR 10-0431591 B1 (등록일자 2004년05월04일) KR 20-0358678 Y1 (등록일자 2004년08월03일) KR 10-0437023 B1 (등록일자 2004년06월11일) KR 10-1417503 B1 (등록일자 2014년07월01일)
본 발명은 마운트장치에대한 발명으로서, 에어컨 등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지지하며, 실외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외기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지지부 및 진동흡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운트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운트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형성되며, 실외기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며, 실외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지지부는 복수로 구성되는 프레임(400);, 상기 프레임 단부에 끼움 결합되며,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프레임 측면에 결합되는 몸체(510);, 상기 몸체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내측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돌기(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진동흡수재를 형성하여 제진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지면지지체를 조절하여 실외기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는 베이스부 및 지지부의 고유 진동수를 변화시켜 베이스부 및 지지부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뛰어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프레임 전체 구조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에 실외기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흡수재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마운트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형성되며, 실외기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며, 실외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에어컨 등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지지하며, 실외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외기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지지부 및 진동흡수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종래에는 실외기 하부에 복수의 브라켓을 용접으로 결합하며, 상기 브라켓에 복수의 지지대를 각각 나사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는 제작비용 증가는 물론 조립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외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진동흡수재를 형성하여 제진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목적을 가진다. 앞에서 제시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베이스부, 지지부 및 진동흡수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부 상부에 형성되며, 실외기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진동흡수재는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복수로 형성되어 실외기의 진동을 흡수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일측에 나사 체결되는 지면지지체(600);를 포함한다.
실외기가 설치될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 실외기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 하부에 지면지지체가 나사 체결되며, 상기 지면지지체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지면지지체를 조절하여 실외기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지면지지체는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블록(610);, 상기 받침블록 일측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볼트(620);를 포함한다.
조절볼트 회전에 의해 실외기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지지부의 수평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블록 일측에 조절볼트가 형성된다. 상기 지면지지체는 실외기의 설치 지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수평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실외기 지지에 대한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상기 받침블록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볼트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2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지면지지체 일측에 고정되는 안전바(700);를 포함한다.
지지부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급격한 처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진동흡수재를 손상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 및 베이스부 사이에 금속재질의 안전바를 삽입한다. 상기 안전바는 지지부의 변위한계를 부여한다. 따라서 지지부의 지나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1, 1-4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는 상기 조절볼트에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는 고정부(710);, 상기 고정부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간격유지부(720);, 상기 간격유지부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며,상기 지지부와 베이스부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처짐제한부(730);를 포함한다.
안전바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안전바는 베이스부 외측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며, 지면지지체의 조절볼트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안전바는 알루미늄 압출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알루미늄 자체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며, 관리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조진동흡수재(8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 및 지지부에 가해지는 진동주파수와 고유진동수가 서로 가까워지면 진동이 커진다. 따라서 베이스부 및 지지부의 고유진동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보조진동흡수재가 추가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진동흡수재는 위치가 고정된 진동흡수재와 달리 자유롭게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조진동흡수재를 이동시켜 고유진동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베이스부 및 지지부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91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에는 평행한 한쌍의 요홈(92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6, 1-7에 있어서, 상기 보조진동흡수재는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안착되는 가이드(810);, 상기 가이드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 안내 삽입되는 고정돌기(820);를 포함한다.
수동으로 가이드를 이동시켜 보조진동흡수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는 실외기 설치 이후에도 이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홈 및 요홈은 베이스부와 지지부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요홈에 고정돌기가 걸리면서 위치가 고정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지지부는 복수로 구성되는 프레임(400);, 상기 프레임 단부에 끼움 결합되며,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5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 및 지지부는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체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한다. 이는 조립이 간단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레임은 금속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되며, 프레임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체의 결합구조에 의해 사각 틀 형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 및 지지부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조립성이 뛰어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프레임 전체 구조가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복수 형성되며, 진동흡수재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410);을 포함한다.
복수의 진동흡수재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에는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는 진동흡수재가 끼움 결합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연결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설치가 용이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 및 연결체는 폴리염화비닐수지(PVC), ABS수지등의 플라스틱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재질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프레임 측면에 결합되는 몸체(510);, 상기 몸체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내측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돌기(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프레임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프레임들을 사각 틀 형태로 연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프레임 내측에 연결체의 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는 복수의 몸체 외측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가 프레임 내측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을 사각 틀 형태로 연결시킨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진동 흡수를 위해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로부터 충격과 진동이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면, 상기 진동흡수재가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탄성에 의해 충격과 진동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진동흡수재가 베이스부와 지지부를 접촉하는 상태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흔들림을 최소화시킨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재의 고무경도는 45~65인 것을 포함한다.
진동흡수재는 낮은 경도로 이루어질수록 진동에너지를 많이 흡수한다. 또한, 지나치게 경도가 낮은 경우에는 진동흡수재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흡수재는 일정한 중량을 지지하면서 일정한 제진성능을 발휘하도록 고무경도가 45~65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1-1, 4-1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재는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안착되는 방진부(310);, 상기 방진부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320);, 상기 삽입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돌기(330);를 포함한다.
진동흡수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흡수재는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부가 끼움 결합된다. 이때, 삽입부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는 결합공에 걸리면서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걸림돌기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부(340);를 포함한다.
고무의 시효경화 및 고무가 접히면서 변형이 되는 경우에는 변형이 반복적으로 지속되면서 삽입부 외면에 크랙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삽입부가 찢어지게 되므로 진동흡수재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삽입부에는 원형의 홈부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는 진동흡수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진동흡수재가 금형으로 제작되는 특성을 고려한 점도 있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 외측에 형성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변형유도홈(350);을 포함한다.
방진부가 비틀어지면서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변형유도홈에 의해 방진부가 비틀림에 의한 변형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변형유도홈 형성으로 방진부 변형이 일정한 형태로 발생되며, 이는 방진부가 안정적으로 진동을 흡수하게 한다. 또한, 진동에 의해 방진부가 변형하더라도 방진부가 접히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방진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는 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방진부의 비틀림 특성을 비선형거동으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는 과도한 진동에도 방진부 형상을 유지하여 안정성을 높인다. 이를 위해, 상기 방진부는 다이아몬드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측면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단면구조의 경우 반력이 작용하는 면이 많으므로 같은 크기에서 더 큰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마운트장치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는 복수의 고무패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방진부 강도를 유지하며, 진동크기에 관계없이 진동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방진부는 경도가 다른 복수의 고무패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부 고무패드는 경도 45~55이며, 중간 고무패드는 경도 80~90이며, 하부 고무패드는 경도 45~55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 : 베이스부 200 : 지지부
300 : 진동흡수재 310 : 방진부
320 : 삽입부 330 : 걸림돌기
340 : 홈부 350 : 변형유도홈
400 : 프레임 410 : 결합공
500 : 연결체 510 : 몸체
520 : 결합돌기 600 : 지면지지체
610 : 받침블록 620 : 조절볼트
700 : 안전바 710 : 고정부
720 : 간격유지부 730 : 처짐제한부
800 : 보조진동흡수재 810 : 가이드
820 : 고정돌기 910 : 가이드홈
920 : 요홈

Claims (4)

  1. 마운트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형성되며, 실외기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며, 실외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재(300);를 포함하는 마운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지지부는 복수로 구성되는 프레임(400);,
    상기 프레임 단부에 끼움 결합되며,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체(500);를 포함하는 마운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상기 프레임 측면에 결합되는 몸체(510);,
    상기 몸체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내측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돌기(520);를 포함하는 마운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마운트장치.
KR1020180036279A 2018-03-29 2018-03-29 마운트장치 KR20190114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79A KR20190114104A (ko) 2018-03-29 2018-03-29 마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79A KR20190114104A (ko) 2018-03-29 2018-03-29 마운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04A true KR20190114104A (ko) 2019-10-10

Family

ID=6820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79A KR20190114104A (ko) 2018-03-29 2018-03-29 마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41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8980A (zh) * 2019-10-31 2020-02-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外机安装平台、控制方法及装置
KR102298257B1 (ko) * 2021-02-15 2021-09-03 박준희 시스템 에어컨 설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91B1 (ko) 1999-03-09 2004-05-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받침구조
KR100437023B1 (ko) 2001-10-05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지지구조
KR200358678Y1 (ko) 2004-05-06 2004-08-11 주식회사 삼일플랜트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
KR101417503B1 (ko) 2012-12-21 2014-07-08 주식회사 포스코 실외기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91B1 (ko) 1999-03-09 2004-05-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받침구조
KR100437023B1 (ko) 2001-10-05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지지구조
KR200358678Y1 (ko) 2004-05-06 2004-08-11 주식회사 삼일플랜트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
KR101417503B1 (ko) 2012-12-21 2014-07-08 주식회사 포스코 실외기 지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8980A (zh) * 2019-10-31 2020-02-0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空调外机安装平台、控制方法及装置
KR102298257B1 (ko) * 2021-02-15 2021-09-03 박준희 시스템 에어컨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4063C (zh) 发动机安装件
KR20190114104A (ko) 마운트장치
KR20110093429A (ko) 전단형 마찰댐퍼
US5240222A (en) Secondary vibration isolation system
CN109578246B (zh) 压缩机减振装置、房车空调和房车
EP2917053B1 (en) Mounting device for vehicle
JP4648248B2 (ja) 振動低減装置
CN216665943U (zh) 一种直联泵底座及直联泵
CN207790312U (zh) 悬置组件及冷却模块安装总成
CN209862908U (zh) 一种密集架防震导轨装置
CN218966629U (zh) 一种压缩机减振结构及驻车空调器
CN110778644A (zh) 一种用于车载仪器减震平台的减震器
CN220923950U (zh) 空调风机用支撑装置
CN217282525U (zh) 一种机电工程用电机减震底座
CN219360951U (zh) 一种交通运输车辆安全监测装置
CN205059171U (zh) 一种电动汽车驱动装置
CN219056144U (zh) 一种汽车安装用支撑角铁
CN217804307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发动机减震支架
CN214499859U (zh) 弹簧减振器
CN212277681U (zh) 一种防灾害安全配电柜
CN210831316U (zh) 一种用于机电设备的减振支架
CN218574241U (zh) 一种振动筛
CN220452572U (zh) 汽车减震钢板安装结构
CN216742570U (zh) 防滑高性能橡胶减震器
CN217692935U (zh) 一种减震型电机外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