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087A - 캡슐 내시경 - Google Patents

캡슐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087A
KR20190113087A KR1020180035282A KR20180035282A KR20190113087A KR 20190113087 A KR20190113087 A KR 20190113087A KR 1020180035282 A KR1020180035282 A KR 1020180035282A KR 20180035282 A KR20180035282 A KR 20180035282A KR 20190113087 A KR20190113087 A KR 20190113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ubstrate
connection
photographing
batter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222B1 (ko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18003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222B1/ko
Priority to PCT/KR2019/002044 priority patent/WO2019190057A1/ko
Publication of KR2019011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모듈을 제외시켜 내시경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캡슐 내시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배터리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 배터리 접속기판 및 상기 제1 배터리 접속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 배터리 접속기판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촬영모듈이 연결되는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촬영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안테나기판을 포함한다. 이에, 안테나모듈의 제외로 인해 내시경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내시경 검사에서 피검사자의 거부감 및 고통을 줄이고 보다 원활하게 인체 내부를 순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슐 내시경{CAPSULE ENDOSCOPY}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내부에 대한 병변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캡슐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소화기관은 식도, 위장, 소장 및 대장을 포함하는 기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소화기관의 병변 파악에서는 초음파 검사 및 단층 촬영 검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검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진단 전문가가 소화기관의 내부를 직접 시각적으로 살펴보며 진단하는 내시경 검사방법이 높은 진단율을 보인다는 점에서 선호되고 있다.
특히, 캡슐 내시경은 검사방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피검사자의 거부감 및 고통이 적고, 일반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소장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점차적으로 캡슐 내시경에 대한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캡슐 내시경은 환자가 구강을 통해 삼키면 인체 내부의 식도, 위장, 소장 및 대장을 차례로 순항하며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은 RF통신 및 인체통신 등과 같은 무선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수신기로 전달된다.
따라서 캡슐 내시경에는 외부 수신기로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안테나모듈이 장착된다. 이에, 캡슐 내시경은 안테나 모듈의 구비로 인해 필연적으로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다만, 인체 내부에서 순항하는 캡슐 내시경의 특성 상 캡슐 내시경의 크기가 증가하게 될 경우 피검사자의 거부감 및 고통이 커지고 인체 내부에서의 순항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13918호(다목적 캡슐형 내시경, 2006.02.14.)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모듈을 제외시켜 내시경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캡슐 내시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배터리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 배터리 접속기판 및 상기 제1 배터리 접속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 배터리 접속기판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촬영모듈이 연결되는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촬영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안테나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배터리에 마주하는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RF 안테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과, 상기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 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연결부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상기 배터리를 감싸도록 밴딩될 때에,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자유단은 상호 인접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제2 촬영모듈이 연결되는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촬영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이미지 신호가 상기 안테나기판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되도록 하는 통신모듈이 연결되는 통신모듈 지지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촬영모듈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함께 또는 교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은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며, 배터리의 양단에 각각 접속하는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과 상기 제1 배터리 접속기판에 연결되는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1 촬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일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촬영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안테나기판이 마련된다.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배터리에 마주하는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RF 안테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과, 상기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 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연결부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착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상기 배터리를 감싸도록 밴딩될 때에,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자유단은 상호 인접될 수 있다.
상기 캡슐 내시경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의 후방을 촬영하는 제2 촬영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촬영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이미지 신호를 상기 안테나기판을 통해 상기 안테나 장치로 제공되도록 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배터리 접속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촬영모듈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과,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통신모듈로 제공하는 통신모듈 지지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촬영모듈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함께 또는 교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은 안테나모듈의 제외로 인해 내시경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내시경 검사에서 피검사자의 거부감 및 고통을 줄이고 보다 원활하게 인체 내부를 순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배터리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배터리의 결합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배터리의 결합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100)은 몸체(11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캡슐 내시경(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몸체(110)의 전단부에는 촬영을 위한 투명돔(11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이 배치된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은 유연한 가요성 절연재로 마련된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은 최초 판 형상으로 마련되나 캡슐 내시경(100)의 제조 단계에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접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은 구성요소가 각각 실장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기판(121), 및 복수 개의 기판(121)을 물리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기판(1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이 인쇄된 연결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판(121)은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 제1 조명모듈 지지기판(121b),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 및 인체통신 전극기판(121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은 제1 촬영모듈(2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지지한다. 제1 촬영모듈(200)은 투명돔(111)을 통해 캡슐 내시경(100)의 전방을 촬영한다. 이러한 제1 촬영모듈(20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촬영모듈(200)은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촬영소자(210)와,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 타면에서 제1 촬영소자(210)를 고정하는 제1 고정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에는 제1 조명모듈 지지기판(121b)이 연결된다. 제1 조명모듈 지지기판(121b)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의 일측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 투명돔(111)과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1 조명모듈 지지기판(121b)은 제1 연결부(122a)를 통해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1 조명모듈 지지기판(121b)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마련될 수 있는 제1 조명모듈(3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지지하며, 중앙에 제1 촬영소자(210)가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다. 이에, 제1 조명모듈(300)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1 촬영소자(210)의 주변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에는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에는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은 제2 연결부(122b)를 통해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은 제3 연결부(122c)를 통해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과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의 타측에 연속 배치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는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의 후방에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과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이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과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 사이에는 배터리(10)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배터리(10)로부터의 전력이 복수 개의 기판(121)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의 일면에는 제1 접속부재(121ca)가 배치되고,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의 일면에는 제2 접속부재(121da)가 배치된다. 제1 접속부재(121ca)와 제2 접속부재(121da)는 각각 스프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의 타면에는 제1 제어모듈(400)이 실장된다. 이때, 제1 제어모듈(400)은 회로 형상으로 마련되며 신호선을 통해 캡슐 내시경(100)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제1 촬영모듈(200)로부터 취득된 이미지 신호를 외부장치(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제어모듈(400)은 제1 촬영모듈(200)과 제1 조명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와,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의 하면에는 제1 이격부재(20)가 배치되고,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의 하면에는 제2 이격부재(30)가 배치된다. 제1 이격부재(20)와 제2 이격부재(30)는 각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1 이격부재(20)와 제2 이격부재(30)는 상호 이웃된 기판(121) 사이를 이격시킴과 아울러,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과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가 설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이격부재(20)의 경우 제1 제어모듈(400)과의 관섭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에 마주하는 일면에 수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연결부(122c)에는 안테나기판(500)이 마련된다. 안테나기판(500)은 제3 연결부(122c)와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별도로 마련되어 제3 연결부(122c)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기판(500)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는 배터리(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기판(500)은 배터리(10)가 설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종래의 안테나모듈의 역할을 대체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기판(500)이 제3 연결부(122c)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510)과, 제3 연결부(122c)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52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7과 같이 안테나기판(500) 단일의 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안테나기판(500)에는 RF 안테나 패턴(5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RF 안테나 패턴(511)은 안테나기판(500)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촬영모듈(200)을 통해 취득된 이미지 신호가 제1 제어모듈(400)의 동작에 따라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RF 안테나 패턴(511)은 안테나기판(500)에 프린팅 또는 집적되거나 MID(Molded Interconnect Devices)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 내시경(100)은 종래의 안테나 모듈을 배제한 대신 캡슐 내시경(100) 내부의 잉여공간에 RF 안테나 패턴(511)이 형성됨에 따라 캡슐 내시경(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기판(500)이 캡슐 내시경(100) 내부 공간에서 다른 구성요소와 비교하여 최대 면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바, 보다 통신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에는 인체통신 전극기판(121e)이 연결된다.
인체통신 전극기판(121e)은 제4 연결부(122d)를 통해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에 연결된다. 인체통신 전극기판(121e)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의 타측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인체통신 전극기판(121e)은 제1 전극부재(E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지지한다. 제1 전극부재(E1)는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된 제2 전극부재(E2)와 함께 몸체(110) 표면에 형성될 수 있는 통신전극에 연결되어 이미지 신호가 인체통신을 통해서도 외부장치로 전달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 내시경(100)이 RF 통신과 인체통신을 병행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통신을 위한 구성은 생략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 내시경(100)이 전방 영상을 취득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캡슐 내시경(100)은 복수 개의 촬영모듈을 포함하여 캡슐 내시경(100)의 전방 영상과 후방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캡슐 내시경(100)에 복수 개의 촬영모듈이 장착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배터리의 결합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100)은 몸체(11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캡슐 내시경(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몸체(1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촬영을 위한 투명돔(111)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배치된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은 유연한 가요성 절연재로 마련되며, 최초 판 형상으로 마련되나 캡슐 내시경(100)의 제조 단계에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접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은 복수 개의 기판(121), 및 복수 개의 기판(121)을 연결하는 연결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기판(121)은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 제1 조명모듈 지지기판(121b),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 제2 조명모듈 지지기판(121g) 및 통신모듈 지지기판(121h)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은 제1 촬영모듈(2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지지한다. 제1 촬영모듈(200)은 투명돔(111)을 통해 캡슐 내시경(100)의 전방을 촬영하며, 이미지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촬영모듈(200)은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촬영소자(210)와,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 타면에서 제1 촬영소자(210)를 고정하는 제1 고정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에는 제1 조명모듈 지지기판(121b)이 연결된다. 제1 조명모듈 지지기판(121b)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1 촬영소자(210) 주변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과 제1 조명모듈 지지기판(121b)은 제1 연결부(122a)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에는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이 연결되고,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에는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은 제2 연결부(122b)를 통해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과 연결되고,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은 제3 연결부(122c)를 통해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과 연결된다.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과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질 때에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배터리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의 하부에는 제1 제어모듈(400)이 장착되고,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의 하부에는 제2 제어모듈(600)이 장착된다. 여기서, 제1 제어모듈(400)은 제1 촬영모듈(200)과 제1 조명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캡슐 내시경(100)의 전방영상을 취득하고, 이미지 신호를 통신모듈(9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모듈(600)은 제2 촬영모듈(700) 및 제2 조명모듈(8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캡슐 내시경(100)의 후방영상을 취득하고, 이미지 신호를 통신모듈(9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배터리 접속기판(121c)의 하면에는 제1 이격부재(20)가 배치되고,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의 하면에는 제2 이격부재(30)가 배치된다. 제1 이격부재(20)와 제2 이격부재(30)는 각각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제1 이격부재(20)와 제2 이격부재(30)는 제1 제어모듈(400) 및 제2 제어모듈(600)과의 관섭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연결부(122c)에는 안테나기판(500)이 마련된다.
안테나기판(500)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는 배터리(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기판(500)은 배터리(10)가 설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종래의 안테나모듈의 역할을 대체한다. 안테나기판(500)에는 RF 안테나 패턴(5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RF 안테나 패턴(511)은 안테나기판(500)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통신모듈(900)에 연결되어 통신모듈(900)로부터의 이미지 신호가 외부장치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에는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이 연결된다.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은 제4 연결부(122d)를 통해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과 연결된다.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의 타측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2 배터리 접속기판(121d)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은 제2 촬영모듈(7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지지한다.
제2 촬영모듈(700)은 투명돔(111)을 통해 캡슐 내시경(100)의 후방을 촬영한다. 이러한 제2 촬영모듈(70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촬영모듈(700)은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 일면에 마련되는 제2 촬영소자(710)와,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 타면에서 제2 촬영소자(710)를 고정하는 제2 고정플레이트(7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에는 제2 조명모듈 지지기판(121g)이 연결된다. 제2 조명모듈 지지기판(121g)은 제5 연결부(122e)를 통해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과 연결된다. 제2 조명모듈 지지기판(121g)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의 타측에 배치되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 투명돔(111)과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121f)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조명모듈 지지기판(121g)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마련될 수 있는 제2 조명모듈(8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지지한다. 제2 조명모듈 지지기판(121g)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2 촬영소자(710) 주변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한편, 통신모듈 지지기판(121h)은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에 연결된다. 통신모듈 지지기판(121h)은 제6 연결부(122f)를 통해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에 연결된다. 통신모듈 지지기판(121h)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기판(121)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고,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20)이 접어진 상태에서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121a)과 제1 이격부재(2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통신모듈(900)은 제1 제어모듈(400) 및 제2 제어모듈(600)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RF 안테나 패턴(511)을 통해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900)에는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가 집적되어 있으며, 이미지 신호를 외부장치로 송신하여 외부장치에서 캡슐 내시경(100)의 전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900)은 제1 제어모듈(400)로부터 제공되는 전방 이미지 신호 및 제2 제어모듈(600)로부터 제공되는 후방 이미지 신호를 동시에 외부장치로 송신하거나, 전방 이미지 신호와 후방 이미지 신호를 교차적으로 외부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슐 내시경은 안테나모듈의 제외로 인해 내시경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내시경 검사에서 피검사자의 거부감 및 고통을 줄이고 보다 원활하게 인체 내부를 순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배터리 20 : 제1 이격부재
30 : 제2 이격부재 100 : 캡슐 내시경
110 : 몸체 111 : 투명돔
120 :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121 : 기판
122 : 연결부 200 : 제1 촬영모듈
210 : 제1 촬영소자 220 : 제1 고정플레이트
300 : 제1 조명모듈 400 : 제1 제어모듈
500 : 안테나기판 511 : RF 안테나 패턴
600 : 제2 제어모듈 700 : 제2 촬영모듈
710 : 제2 촬영소자 720 : 제2 고정플레이트
800 : 제2 조명모듈 900 : 통신모듈

Claims (16)

  1. 캡슐 내시경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배터리의 일단에 접속하는 제1 배터리 접속기판;
    상기 제1 배터리 접속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의 타단에 접속하는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촬영모듈이 연결되는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촬영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안테나기판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배터리에 마주하는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RF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과, 상기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 보다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연결부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상기 배터리를 감싸도록 밴딩될 때에,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자유단은 상호 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제2 촬영모듈이 연결되는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촬영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이미지 신호가 상기 안테나기판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제공되도록 하는 통신모듈이 연결되는 통신모듈 지지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촬영모듈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함께 또는 교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9.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며, 배터리의 양단에 각각 접속하는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과 상기 제1 배터리 접속기판에 연결되는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1 촬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일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촬영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안테나기판이 마련되는 캡슐 내시경.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배터리에 마주하는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RF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과, 상기 제1 촬영모듈 지지기판 보다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연결부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착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접속기판의 연결방향에 교차하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상기 배터리를 감싸도록 밴딩될 때에,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자유단은 상호 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몸체의 후방을 촬영하는 제2 촬영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촬영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이미지 신호를 상기 안테나기판을 통해 상기 안테나 장치로 제공되도록 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 배터리 접속기판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촬영모듈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2 촬영모듈 지지기판과,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통신모듈로 제공하는 통신모듈 지지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촬영모듈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함께 또는 교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KR1020180035282A 2018-03-27 2018-03-27 캡슐 내시경 KR10208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82A KR102084222B1 (ko) 2018-03-27 2018-03-27 캡슐 내시경
PCT/KR2019/002044 WO2019190057A1 (ko) 2018-03-27 2019-02-20 캡슐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82A KR102084222B1 (ko) 2018-03-27 2018-03-27 캡슐 내시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87A true KR20190113087A (ko) 2019-10-08
KR102084222B1 KR102084222B1 (ko) 2020-03-03

Family

ID=6806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282A KR102084222B1 (ko) 2018-03-27 2018-03-27 캡슐 내시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4222B1 (ko)
WO (1) WO2019190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4535A (zh) * 2019-09-23 2019-12-24 安翰科技(武汉)股份有限公司 胶囊核及胶囊内窥镜
CN113545729B (zh) * 2020-04-23 2023-08-15 深圳硅基智控科技有限公司 用于胶囊内窥镜的电路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18A (ko) 2004-08-09 2006-02-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목적 캡슐형 내시경
KR20090074085A (ko) * 2006-11-24 2009-07-03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캡슐형 내시경
JP2013005835A (ja) * 2011-06-22 2013-01-10 Olympus Corp 体内情報取得装置
JP2013048827A (ja) * 2011-08-31 2013-03-14 Olympus Corp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2013078439A (ja) * 2011-10-03 2013-05-02 Panasonic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0356B2 (ja) * 2007-03-30 2012-08-1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プセル型医療装置
KR200446281Y1 (ko) * 2009-04-27 2009-10-14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유연한 전자회로기판을 구비한 캡슐 내시경
JP4700756B2 (ja) * 2010-04-19 2011-06-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内視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18A (ko) 2004-08-09 2006-02-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목적 캡슐형 내시경
KR20090074085A (ko) * 2006-11-24 2009-07-03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캡슐형 내시경
JP2013005835A (ja) * 2011-06-22 2013-01-10 Olympus Corp 体内情報取得装置
JP2013048827A (ja) * 2011-08-31 2013-03-14 Olympus Corp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2013078439A (ja) * 2011-10-03 2013-05-02 Panasonic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222B1 (ko) 2020-03-03
WO2019190057A1 (ko)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647B2 (en) Capsule endoscope and a capsule endoscope system
US8063933B2 (en) Battery contacts for an in-vivo imaging device
JP4422679B2 (ja) カプセル内視鏡および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WO2008072420A1 (ja) 被検体内導入装置
US8228369B2 (en) Endoscope apparatus
US20080177141A1 (en) Memory-type two-section endoscopic system
US20080021270A1 (en) Body Insertable Apparatus And Body Insertable Apparatus System
JP2004533879A (ja) 硬質の区域および軟質の区域を有する回路基板を備えた生体内センシング装置
WO2007055330A1 (ja) 生体内画像取得装置、受信装置、および生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KR102084222B1 (ko) 캡슐 내시경
JP4575260B2 (ja) 被検体内導入装置
JP2007081492A (ja) 受信情報転送装置、受信装置及び受信情報転送システム
KR200446281Y1 (ko) 유연한 전자회로기판을 구비한 캡슐 내시경
KR102225352B1 (ko) 캡슐 내시경
KR102084223B1 (ko) 캡슐 내시경
KR100978559B1 (ko) 캡슐 내시경
JP2006288831A (ja) 被検体内導入装置
KR102084221B1 (ko) 캡슐 내시경
KR102221422B1 (ko) 캡슐 내시경
US8419617B2 (en) Apparatus for introduction into test body
KR101245292B1 (ko) 생체 내 정보 센싱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4515100B2 (ja) 内視鏡用撮像装置
EP1949847A1 (en) Memory-type two-section endoscopic system
JP2008301967A (ja) カプセル型内視鏡装置
KR20090084342A (ko) 캡슐형 내시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