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273A - 배관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273A
KR20190111273A KR1020180033193A KR20180033193A KR20190111273A KR 20190111273 A KR20190111273 A KR 20190111273A KR 1020180033193 A KR1020180033193 A KR 1020180033193A KR 20180033193 A KR20180033193 A KR 20180033193A KR 20190111273 A KR20190111273 A KR 20190111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compressed air
blocking member
movemen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화
Original Assignee
김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화 filed Critical 김경화
Priority to KR102018003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1273A/ko
Publication of KR2019011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2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7Arrangement of backflow preven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8Combined units with different devices; Arrangement of different devic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배관 세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는,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의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 배관 및 수도 계량기의 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배관을 세정하는 배관 세정 장치에 있어서, 수도 계량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제1 배관 및 제2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제1 배관으로부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물이동차단부재; 및 물이동차단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연결배관에 결합되며, 연결배관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세정 장치{PIP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관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 내부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배관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배관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관 내부에 녹이나 스케일 등이 발생하여 녹물 발생 또는 수압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배관 내부에 발생하는 녹,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배관을 세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유체를 사용하여 관 내부를 세정하는 경우 유체를 분사하는 압력만으로는 관 내부를 충분히 세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제20-0331889호(공고일자:2003년11월01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 내부의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배관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가 간편하여 다양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배관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관 내부에서 물이 역류하는 경우 물이 소정 범위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물의 역류시 소정 배관을 폐쇄하여 물의 역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의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 배관 및 상기 수도 계량기의 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배관을 세정하는 배관 세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 계량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물이동차단부재; 및 상기 물이동차단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결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배관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세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에 결합되는 압축공기이동관; 및 상기 압축공기이동관에 연결되어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공기이동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이동관은 상기 물이동차단부재와 상기 제2 배관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배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이동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이동차단부재와 상기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물이동차단부재와 상기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물이동차단부재에 의해 차단된 후 차단 해제되어 분사되는 물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이동차단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결배관에 결합되는 역류 방지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물이 유출되는 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유입부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물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본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유입부를 개방하고, 물이 상기 유출부로부터 상기 본체측으로 역류하는 경우 역류하는 상기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유입부를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유입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자성체에 붙을 수 있는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유입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는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유출부측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측정하는 역류측정센서; 및 상기 전자석으로 보내지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는 전자석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류측정센서에 의해 물이 역류하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관을 향해 분사되는 물에 압축 공기가 분사되어 관 내부의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기가 케이스 외부에 배치되어 분리가능하므로, 휴대가 간편하여 다양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배관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역류 방지 밸브에 의해 관 내부에서 물이 역류하는 경우 물이 소정 범위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개폐부재가 본체에 마련되는 자성체에 붙을 수 있으므로 물의 역류시 소정 배관을 폐쇄하여 물의 역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도 계량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에서 착탈가능한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물이동차단부재의 폐쇄된 모습과 개방된 모습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에서 역류 방지 밸브가 개방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에서 역류 방지 밸브가 폐쇄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수도 계량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도 계량기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도 계량기(1)는 배관(7, 8)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7, 8)을 통해 가정이나 공장 등으로 제공되는 수도물의 사용량을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수도 계량기(1)는 수도물이 유입되는 유입부(2)와, 수도물이 유출되는 유출부(3)를 구비하며, 수도 계량기(1)의 유입부(2)는 제1 배관(7)에 연결되고, 유출부(3)는 제2 배관(8)에 연결된다. 즉, 물이 제1 배관(7)으로부터 수도 계량기(1)의 유입부(2)를 통해 수도 계량기(1) 내부로 이동하면, 제공되는 수도물의 양이 수도 계량기(1)의 계측부(미도시)에서 계측되어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며, 수도 계량기(1)의 유출부(3)를 통해 제2 배관(8)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수도물의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관 내부에 녹이나 스케일 등의 다양한 이물질이 발생하므로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수도 계량기(1)를 배관(7, 8)으로부터 분리 후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되며, 수도물이 공급되는 배관, 예를 들어 전술한 제2 배관(8)을 세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에서 착탈가능한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물이동차단부재의 폐쇄된 모습과 개방된 모습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수도 계량기(1)의 유입부(2, 도 1 참조)에 연결되는 제1 배관(7)과, 수도 계량기(1)의 유출부(3, 도 1 참조)에 연결되는 제2 배관(8)에 각각 연결되며, 제1 배관(7)으로부터 제2 배관(8)으로 이동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제2 배관(8)을 세정한다. 이를 위해, 배관 세정 장치(10)는, 케이스(100)와, 연결배관(200)과, 물이동차단부재(300)와, 압축공기분사부재(4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수도 계량기(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수도 계량기(1)의 분리 후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되므로, 수도 계량기(1)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수도 계량기(1)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는 배관 세정 장치(10)를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면 완전히 동일한 크기가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케이스(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0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의 도면 부호 800은 전원 케이블이다.
연결배관(200)은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연결배관(200)은 양측 단부를 가지며, 양측 단부 중 하나의 단부가 제1 배관(7)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제2 배관(8)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배관(200)이 제1 배관(7)과 제2 배관(8)에 연결되면, 수도물이 제1 배관(7)으로부터 연결배관(200)을 거쳐 제2 배관(8)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연결배관(200)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배관(7) 또는 제2 배관(8)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이동차단부재(300)는 역류 방지 밸브(700)로부터 이격되어 연결배관(200)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역류 방지 밸브(700)는 물이동차단부재(300)보다 제1 배관(7)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고, 물이동차단부재(300)는 역류 방지 밸브(700)보다 제2 배관(8)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물이동차단부재(300)는 제1 배관(7)으로부터 연결배관(200)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와 같이 물이동차단부재(300)가 폐쇄되면 연결배관(200)이 막혀 물의 이동이 차단된다. 여기서, 가정이나 공장 등으로 제공되는 물은 펌프 없이도 소정의 수압을 가지므로 물이동차단부재(300)가 폐쇄되면 물이동차단부재(300)에서 수압이 상승하게 되며,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후 물이동차단부재(300)가 개방되면 소정의 수압을 가지는 물이 제2 배관(8)으로 분사되면서 제2 배관(8)에 형성된 녹이나 스케일 등의 다양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되어 배관을 세정하므로, 별도의 펌프의 필요없이 배관 세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물이동차단부재(300)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300a)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300a)는 하우징(310)과, 이동부재(320)와, 코일(330)과, 스프링(34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330)에 전류가 흐르면 이동부재(320)가 하우징(310) 내부에서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류의 흐름이 끊어지면 스프링(34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이동부재(320)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솔레노이드 밸브(300a)는 연결배관(200)으로 유입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할 수 있다.
압축공기분사부재(400)는 물이동차단부재(300)로부터 이격되어 연결배관(200)에 결합되며, 연결배관(200)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한다. 즉, 물이동차단부재(300)에 의해 수압이 상승하여 분사되는 물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며, 이에 의해, 분사되는 물이 더 큰 압력으로 제2 배관(8)을 세정할 수 있다.
압축공기분사부재(400)는 압축공기이동관(410)과, 압축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압축공기이동관(410)은 압축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튜브 등으로 마련되어 압축기(420)와 연결배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압축기(42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가 압축공기이동관(410)을 통해 연결배관(2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공기이동관(410)은 플라스틱, 고무 또는 복합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420)는 압축공기이동관(410)에 연결되며,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이동관(410)을 통해 연결배관(200)으로 압축 공기를 제공한다. 즉, 압축기(420)로부터 압축된 공기가 압축공기이동관(410)을 통해 연결배관(200)의 물로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압축기(420)는 케이스(100) 외부에 배치되어 압축공기이동관(4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만약, 압축기(420)가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면 압축기(420)의 중량에 의해 배관 세정 장치(10)를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하지만, 압축기(420)가 케이스(100) 외부에 배치되고 압축공기이동관(4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면, 배관 세정 장치(10)의 이동시 압축기(420)를 분리하여 배관 세정 장치(10)와 압축기(420)를 별개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배관 세정 장치(10)의 이동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기(420)가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면 케이스(100)가 압축기(420)를 수용해야 하므로, 압축기(420)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 하지만, 압축기(420)가 케이스(100) 외부에 배치되면 케이스(1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축공기이동관(410)은 물이동차단부재(300)와 제2 배관(8)의 사이에서 연결배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물이동차단부재(300)에서 수압이 상승하며, 물이동차단부재(300)로부터 연결배관(200)을 통해 제2 배관(8)으로 물이 분사되는 경우, 연결배관(200)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제2 배관(8)으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배관 세정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500)는 압축공기이동관(410) 사이에 개재(도 3 참조)되어 압축기(420)로부터 연결배관(200)으로 제공되는 압축 공기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할 수 있다. 즉, 물이동차단부재(300)가 물을 차단 후 소정 압력까지 수압이 상승하면 차단을 해제하여 물을 분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500)는 압축 공기를 차단 후 물이 분사될 때 압축 공기의 차단을 해제하여 압축 공기를 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물이동차단부재(300)와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500)에 연결되어 물이동차단부재(300)와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50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물이동차단부재(300)에 의해 차단된 후 차단 해제되어 분사되는 물에 압축 공기가 분사되도록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500)를 제어할 수 있다.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500)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한 설명은 물이동차단부재(300)에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에서 역류 방지 밸브가 개방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에서 역류 방지 밸브가 폐쇄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도 3을 참조하면,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물이동차단부재(300)로부터 이격되어 연결배관(200)에 결합되는 역류 방지 밸브(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700)는, 본체(710)와, 탄성부재(720)와, 개폐부재(730)를 포함한다.
본체(710)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물은 본체(710)의 소정 공간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본체(7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7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710)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711)와, 물이 유출되는 유출부(712)가 형성된다. 본체(710)의 유입부(711)와 유출부(712)는 물이 이동하는 다양한 배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본체(710)의 유입부(711)와 유출부(712)가 연결배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710)에는 후술하는 개폐부재(730)가 붙을 수 있도록 자성체(713), 예를 들어 자석 또는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720)는 유입부(711)측에 결합된다. 탄성부재(720)는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탄성부재(720)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부재(730)는 탄성부재(720)에 결합되어 탄성부재(72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유입부(711)를 개폐한다. 즉, 개폐부재(730)는 물이 유입부(711)로부터 본체(710)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유입부(711)를 개방하고(도 7 참조), 물이 유출부(712)로부터 본체(710)측으로 역류하는 경우 역류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유입부(711)를 폐쇄한다(도 8 참조).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배관(200)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개폐부재(730)가 유입부(7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연결배관(20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본체(710)에는 유입부(711)에 인접한 위치에 자성체(713)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713)는 유입부(711)의 둘레를 따라 본체(710)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730)는 자성체(713)에 붙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물의 역류에 의해 개폐부재(730)가 유입부(711)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개폐부재(730)가 본체(710)에 마련된 자성체(713)에 붙어서 유입부(711)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역류측정센서(740)는 유출부(712)측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측정할 수 있다. 역류측정센서(74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센서, 압력센서 등의 공지된 센서 각각을 사용하거나, 공지된 다양한 센서들을 조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750)는 자성체(713)가 전자석으로 마련되는 경우 전자석으로 보내지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713)가 전자석인 경우, 역류측정센서(740)에 의해 물이 역류하는 것으로 측정되면 제어부(750)는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를 제어하며, 이에 의해 물의 역류시 개폐부재(730)가 유입부(711)측으로 이동하여 개폐부재(730)가 유입부(711)측의 본체(710)에 마련된 전자석에 붙어서 유입부(711)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도 계량기(1)가 분리된 후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배관 세정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해 배관을 분리하거나, 별도로 배관 세정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한 기구 또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배관 세정 장치(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수도 계량기(1)는 이미 배관(7, 8)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이므로 간단하게 수도 계량기(1)를 분리 후 배관 세정 장치(10)를 설치할 수 있어서, 배관 세정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한 노력이 감소되고 비용 또한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연결배관(200)이 제1 배관(7)과 제2 배관(8)에 각각 연결되며, 제1 배관(7)으로부터 연결배관(200)으로 유입된 물은 물이동차단부재(30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다. 여기서, 물이동차단부재(300)에 의해 물의 이동이 차단되면 물이동차단부재(300)에서 수압이 상승하며 물이동차단부재(300)가 개방되면 물이 연결배관(200)을 통해 제2 배관(8)을 분사된다. 이때, 즉, 물이 분사될 때 연결배관(200)에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500)에 의해 압축공기분사부재(40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가 분사될 수 있으며, 제2 배관(8)으로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50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이 더해져 제2 배관(8)의 충분한 세정이 가능해지고, 또한 배관의 세정이 용이해지며, 따라서, 제2 배관(8)에 형성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배관(200)에 결합된 역류 방지 밸브(700)는, 물이 제2 배관(8)으로부터 연결배관(200)을 거쳐 제1 배관(7)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관 세정 장치 100 : 케이스
200 : 연결배관 300 : 물이동차단부재
300a : 솔레노이드 밸브 310 : 하우징
320 : 이동부재 330 : 코일
340 : 스프링 400 : 압축공기분사부재
410 : 압축공기이동관 420 : 압축기
500 :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 600 : 컨트롤러
700 : 역류 방지 밸브 710 : 본체
711 : 유입부 712 : 유출부
713 : 자성체 720 : 탄성부재
730 : 개폐부재 740 : 역류측정센서
750 : 제어부

Claims (12)

  1.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의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 배관 및 상기 수도 계량기의 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배관을 세정하는 배관 세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 계량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물이동차단부재; 및
    상기 물이동차단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결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배관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세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에 결합되는 압축공기이동관; 및
    상기 압축공기이동관에 연결되어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공기이동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이동관은 상기 물이동차단부재와 상기 제2 배관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배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이동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동차단부재와 상기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물이동차단부재와 상기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물이동차단부재에 의해 차단된 후 차단 해제되어 분사되는 물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압축공기이동차단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이동차단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결배관에 결합되는 역류 방지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물이 유출되는 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유입부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물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본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유입부를 개방하고, 물이 상기 유출부로부터 상기 본체측으로 역류하는 경우 역류하는 상기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유입부를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유입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자성체에 붙을 수 있는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유입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상기 유출부측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측정하는 역류측정센서; 및
    상기 전자석으로 보내지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는 전자석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류측정센서에 의해 물이 역류하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세정 장치.
KR1020180033193A 2018-03-22 2018-03-22 배관 세정 장치 KR20190111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93A KR20190111273A (ko) 2018-03-22 2018-03-22 배관 세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93A KR20190111273A (ko) 2018-03-22 2018-03-22 배관 세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73A true KR20190111273A (ko) 2019-10-02

Family

ID=6842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193A KR20190111273A (ko) 2018-03-22 2018-03-22 배관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12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32B1 (ko) * 2021-06-14 2021-12-27 최재현 상수도 도수관 세척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89Y1 (ko) 2003-07-22 2003-11-01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889Y1 (ko) 2003-07-22 2003-11-01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632B1 (ko) * 2021-06-14 2021-12-27 최재현 상수도 도수관 세척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6083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протечки в канале трубопровода текучей среды
US20190359178A1 (en) Vehicle camera and sensor washer manifold assembly
JP5237804B2 (ja) 電子的にモニタされた空気バルブ及びピストンを有する往復ポンプ
KR20170118704A (ko) 센서 작동식 풀-아웃 수도꼭지
JP2009530548A (ja) 成形パッキング要素を備えた制御弁
WO2019168074A1 (ja) 漏水遮断機能を有する逆止弁装置
US9746091B2 (en) Nozzle-type check valve with piston
KR20190111273A (ko) 배관 세정 장치
KR102121613B1 (ko)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JP2017519167A (ja) 流体管路用の高度圧力保護システム(hipps)
EP2990653B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a starting and stopping of an electric motor of a motor-driven pump
US20110272611A1 (en) Water valve body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JP2012097871A (ja) バルブ
RU2634165C1 (ru) Клапан
KR20140001285U (ko) 난방배관청소장치
JP6633132B2 (ja) 負圧湿式予作動スプリンクラー設備における流量制御弁
CA1274357A (en) Swimming pool cleaning device
JP6598547B2 (ja) 電磁弁
EP2436966B1 (en) Reinforcement device for containment tanks of a pressurized gas in industrial filter cleaning system
IT202000019999A1 (it) Sistema filtro per impianti
JP3753589B2 (ja) フロースイッチ
CN213451708U (zh) 一种双阀芯底部排污阀
JP3018846U (ja) 定流量器内蔵ボール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