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272A -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272A
KR20190111272A KR1020180033192A KR20180033192A KR20190111272A KR 20190111272 A KR20190111272 A KR 20190111272A KR 1020180033192 A KR1020180033192 A KR 1020180033192A KR 20180033192 A KR20180033192 A KR 20180033192A KR 20190111272 A KR20190111272 A KR 20190111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return valve
fl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613B1 (ko
Inventor
김경화
Original Assignee
김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화 filed Critical 김경화
Priority to KR102018003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61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16K15/02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 F16K15/028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the valve member being a movable body around which the medium flows when the valve is open the valve member consisting only of a predominantly disc-shaped flat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28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stationary measuring chambers having constant volume during measurement
    • G01F11/288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stationary measuring chambers having constant volume during measurement squeezing of the supply vessel causing filling of the measuring chamber and backflow from the measuring chamber to the supply vessel being prevented by a check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ck Valv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역류 방지 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부가 형성된 본체; 유입부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입부로부터 본체로 이동하는 경우 유체의 유압에 의해 유입부를 개방하고, 유체가 유출부로부터 본체측으로 역류하는 경우 역류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유입부를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BACKFLOW PREVENTING VALVE AND PIPE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배관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관 내부에 녹이나 스케일 등이 발생하여 녹물 발생 또는 수압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배관 내부에 발생하는 녹,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배관을 세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관을 세정하는 경우 관을 세정한 물과 같은 유체가 일시적으로 역류할 수 있으며, 이때 역류하는 유체 내부에는 녹과 스케일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측 배관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제20-0331889호(공고일자:2003년11월01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 내부에서 유체가 역류하는 경우 유체가 소정 범위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체의 역류시 소정 배관을 폐쇄하여 유체의 역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유입부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유체가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본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유입부를 개방하고, 유체가 상기 유출부로부터 상기 본체측으로 역류하는 경우 역류하는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유입부를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자성체에 붙을 수 있는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유입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본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측에 설치되어 유체의 역류를 측정하는 역류측정센서; 및 상기 전자석으로 보내지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는 전자석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류측정센서에 의해 유체가 역류하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의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 배관 및 상기 수도 계량기의 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배관을 세정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 계량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전술한 역류 방지 밸브; 및 상기 역류 방지 밸브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물이동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이동차단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의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 배관 및 상기 수도 계량기의 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배관을 세정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 계량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 및 상기 역류 방지 밸브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물이동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역류 방지 밸브에 의해 관 내부에서 유체가 역류하는 경우 유체가 소정 범위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개폐부재가 본체에 마련되는 자성체에 붙을 수 있으므로 유체의 역류시 소정 배관을 폐쇄하여 유체의 역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도 계량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물이동차단부재의 폐쇄된 모습과 개방된 모습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가 개방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가 폐쇄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 및 배관 세정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수도 계량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도 계량기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도 계량기(1)는 배관(7, 8)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7, 8)을 통해 가정이나 공장 등으로 제공되는 수도물의 사용량을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수도 계량기(1)는 수도물이 유입되는 유입부(2)와, 수도물이 유출되는 유출부(3)를 구비하며, 수도 계량기(1)의 유입부(2)는 제1 배관(7)에 연결되고, 유출부(3)는 제2 배관(8)에 연결된다. 즉, 물이 제1 배관(7)으로부터 수도 계량기(1)의 유입부(2)를 통해 수도 계량기(1) 내부로 이동하면, 제공되는 수도물의 양이 수도 계량기(1)의 계측부(미도시)에서 계측되어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며, 수도 계량기(1)의 유출부(3)를 통해 제2 배관(8)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수도물의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관 내부에 녹이나 스케일 등의 다양한 이물질이 발생하므로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수도 계량기(1)를 배관(7, 8)으로부터 분리 후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되며, 수도물이 공급되는 배관, 예를 들어 전술한 제2 배관(8)을 세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물이동차단부재의 폐쇄된 모습과 개방된 모습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수도 계량기(1)의 유입부(2, 도 1 참조)에 연결되는 제1 배관(7)과, 수도 계량기(1)의 유출부(3, 도 1 참조)에 연결되는 제2 배관(8)에 각각 연결되며, 제1 배관(7)으로부터 제2 배관(8)으로 이동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제2 배관(8)을 세정한다. 이를 위해, 배관 세정 장치(10)는, 케이스(100)와, 연결배관(200)과, 역류 방지 밸브(300)와, 물이동차단부재(4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수도 계량기(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수도 계량기(1)의 분리 후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되므로, 수도 계량기(1)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수도 계량기(1)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는 배관 세정 장치(10)를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면 완전히 동일한 크기가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케이스(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0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배관(200)은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연결배관(200)은 양측 단부를 가지며, 양측 단부 중 하나의 단부가 제1 배관(7)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제2 배관(8)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배관(200)이 제1 배관(7)과 제2 배관(8)에 연결되면, 수도물이 제1 배관(7)으로부터 연결배관(200)을 거쳐 제2 배관(8)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연결배관(200)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배관(7) 또는 제2 배관(8)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역류 방지 밸브(300)는 연결배관(200)에 설치되며, 물이 제1 배관(7)으로부터 연결배관(200)을 거쳐 제2 배관(8)으로만 흐르도록 하고, 물이 역류하는 것, 즉, 물이 제2 배관(8)으로부터 연결배관(200)을 거쳐 제1 배관(7)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역류 방지 밸브(300)는 다양한 종류의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역류 방지 밸브(300)는 연결배관(200)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면 형상이나 구조,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이동차단부재(400)는 역류 방지 밸브(300)로부터 이격되어 연결배관(200)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역류 방지 밸브(300)는 물이동차단부재(400)보다 제1 배관(7)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고, 물이동차단부재(400)는 역류 방지 밸브(300)보다 제2 배관(8)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물이동차단부재(400)는 제1 배관(7)으로부터 연결배관(200)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3(a)에서와 같이 물이동차단부재(400)가 폐쇄되면 연결배관(200)이 막혀 물의 이동이 차단된다. 여기서, 가정이나 공장 등으로 제공되는 물은 펌프 없이도 소정의 수압을 가지므로 물이동차단부재(400)가 폐쇄되면 물이동차단부재(400)에서 수압이 상승하게 되며,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후 물이동차단부재(400)가 개방되면 소정의 수압을 가지는 물이 제2 배관(8)으로 분사되면서 제2 배관(8)에 형성된 녹이나 스케일 등의 다양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는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되어 배관을 세정하므로, 별도의 펌프의 필요없이 배관 세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물이동차단부재(400)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400a)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400a)는 하우징(410)과, 이동부재(420)와, 코일(430)과, 스프링(44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430)에 전류가 흐르면 이동부재(420)가 하우징(410) 내부에서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류의 흐름이 끊어지면 스프링(44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이동부재(420)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솔레노이드 밸브(400a)는 연결배관(200)으로 유입되는 물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도 계량기(1)가 분리된 후 수도 계량기(1)가 설치되었던 위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세정 장치(10)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배관 세정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해 배관을 분리하거나, 별도로 배관 세정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한 기구 또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배관 세정 장치(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수도 계량기(1)는 이미 배관(7, 8)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이므로 간단하게 수도 계량기(1)를 분리 후 배관 세정 장치(10)를 설치할 수 있어서, 배관 세정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한 노력이 감소되고 비용 또한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연결배관(200)이 제1 배관(7)과 제2 배관(8)에 각각 연결되며, 제1 배관(7)으로부터 연결배관(200)으로 유입된 물은 물이동차단부재(40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다. 여기서, 물이동차단부재(400)에 의해 물의 이동이 차단되면 물이동차단부재(400)에서 수압이 상승하며, 물이동차단부재(400)가 개방되면 물이 분사되면서 제2 배관(8)에 형성된 각종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배관(200)에 결합된 역류 방지 밸브(300)는, 물이 제2 배관(8)으로부터 연결배관(200)을 거쳐 제1 배관(7)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300)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300)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300)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시, 케이스(100)와, 연결배관(200)과, 물이동차단부재(400)에 관한 내용은 공통되고, 또한, 물이동차단부재(400)가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400a)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밸브로 마련될 수 있는 구성 역시 공통되며, 다만, 역류 방지 밸브(300)의 구체적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역류 방지 밸브(3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배관 세정 장치(10)는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배관 세정 장치(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역류 방지 밸브(300)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가 개방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가 폐쇄된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 밸브(300)는, 본체(310)와, 탄성부재(320)와, 개폐부재(330)를 포함한다.
본체(310)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물은 본체(310)의 소정 공간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본체(3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3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310)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311)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부(312)가 형성된다. 본체(310)의 유입부(311)와 유출부(312)는 유체가 이동하는 다양한 배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술한 배관 세정 장치(10)의 경우 도 2를 참조하면, 본체(310)의 유입부(311)와 유출부(312)가 연결배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310)에는 후술하는 개폐부재(330)가 붙을 수 있도록 자성체(313), 예를 들어 자석 또는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320)는 유입부(311)측에 결합된다. 탄성부재(320)는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320)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부재(330)는 탄성부재(320)에 결합되어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유입부(311)를 개폐한다. 즉, 개폐부재(330)는 유체가 유입부(311)로부터 본체(310)로 이동하는 경우 유체의 유압에 의해 유입부(311)를 개방하고(도 4 참조), 유체가 유출부(312)로부터 본체(310)측으로 역류하는 경우 역류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유입부(311)를 폐쇄한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전술한 배관 세정 장치(10)의 경우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배관(200)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개폐부재(330)가 유입부(3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연결배관(20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본체(310)에는 유입부(311)에 인접한 위치에 자성체(313)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313)는 유입부(311)의 둘레를 따라 본체(310)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330)는 자성체(313)에 붙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유체의 역류에 의해 개폐부재(330)가 유입부(311)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개폐부재(330)가 본체(310)에 마련된 자성체(313)에 붙어서 유입부(311)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역류측정센서(340)는 유출부(312)측에 설치되어 유체의 역류를 측정할 수 있다. 역류측정센서(340)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센서, 압력센서 등의 공지된 센서 각각을 사용하거나, 공지된 다양한 센서들을 조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350)는 자성체(313)가 전자석으로 마련되는 경우 전자석으로 보내지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313)가 전자석인 경우, 역류측정센서(340)에 의해 유체가 역류하는 것으로 측정되면 제어부(350)는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를 제어하며, 이에 의해 유체의 역류시 개폐부재(330)가 유입부(311)측으로 이동하여 개폐부재(330)가 유입부(311)측의 본체(310)에 마련된 전자석에 붙어서 유입부(311)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관 세정 장치 100 : 케이스
200 : 연결배관 300 : 역류 방지 밸브
310 : 본체 311 : 유입부
312 : 유출부 313 : 자성체
320 : 탄성부재 330 : 개폐부재
340 : 역류측정센서 350 : 제어부
400 : 물이동차단부재 400a : 솔레노이드 밸브
410 : 하우징 420 : 이동부재
430 : 코일 440 : 스프링

Claims (10)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유입부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며, 유체가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본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유입부를 개방하고, 유체가 상기 유출부로부터 상기 본체측으로 역류하는 경우 역류하는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유입부를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자성체에 붙을 수 있는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유입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측에 설치되어 유체의 역류를 측정하는 역류측정센서; 및
    상기 전자석으로 보내지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는 전자석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류측정센서에 의해 유체가 역류하는 것으로 측정된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
  7.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의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 배관 및 상기 수도 계량기의 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배관을 세정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 계량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역류 방지 밸브; 및
    상기 역류 방지 밸브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물이동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동차단부재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9. 배관을 통해 제공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의 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 배관 및 상기 수도 계량기의 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배관을 세정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도 계량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에 연결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 및
    상기 역류 방지 밸브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기 연결배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물이동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KR1020180033192A 2018-03-22 2018-03-22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KR102121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92A KR102121613B1 (ko) 2018-03-22 2018-03-22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92A KR102121613B1 (ko) 2018-03-22 2018-03-22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272A true KR20190111272A (ko) 2019-10-02
KR102121613B1 KR102121613B1 (ko) 2020-06-10

Family

ID=6842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192A KR102121613B1 (ko) 2018-03-22 2018-03-22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915U (ko) * 2020-02-14 2021-08-24 안영진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1403A (ja) * 2000-08-31 2002-03-08 Mitsubishi Rayon Co Ltd 流体検出器及びこれを用いた浄水器並びに浄水シャワー
JP2002530602A (ja) * 1998-11-13 2002-09-17 エフ・エー・フアウ・モトーレンテヒニック・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制御可能なリード弁
KR200331889Y1 (ko) 2003-07-22 2003-11-01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0602A (ja) * 1998-11-13 2002-09-17 エフ・エー・フアウ・モトーレンテヒニック・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制御可能なリード弁
JP2002071403A (ja) * 2000-08-31 2002-03-08 Mitsubishi Rayon Co Ltd 流体検出器及びこれを用いた浄水器並びに浄水シャワー
KR200331889Y1 (ko) 2003-07-22 2003-11-01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915U (ko) * 2020-02-14 2021-08-24 안영진 수도 계량기용 역류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613B1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0420C (en) Fluid flow controller
CA2645644C (en) Control valve with profiled packing element
JP2018003912A (ja) センサ付き流体制御弁
CN109196267A (zh) 喷嘴式蒸汽疏水阀
KR20190111272A (ko)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배관 세정 장치
US6293298B1 (en) Water softener valve
JP5614717B2 (ja) バルブ
JP3203739U (ja) 浄水器
EP2990653B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a starting and stopping of an electric motor of a motor-driven pump
US20110272611A1 (en) Water valve body
KR20190111273A (ko) 배관 세정 장치
US8596293B2 (en) Water appliance having a flow control unit and a filter assembly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100919816B1 (ko)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RU2634165C1 (ru) Клапан
JP6118762B2 (ja) 浴槽用残り湯取出装置および残り湯取出アダプタ
JP4651584B2 (ja) パイロット式電磁弁
EP1640513A1 (en) Connection device for hydraulic circuits
CN208182629U (zh) 水路检测机构以及水路系统
JP6260171B2 (ja) 元止め式電気温水器
JP3018846U (ja) 定流量器内蔵ボール弁
KR20100101038A (ko)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출시킬수 있는 밸브
US10884439B2 (en) Liquid metering device for metering pumps
CN204610941U (zh) 一种多功能过滤球阀
CN109911954A (zh) 水路检测机构以及水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