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787A -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787A
KR20190110787A KR1020180032663A KR20180032663A KR20190110787A KR 20190110787 A KR20190110787 A KR 20190110787A KR 1020180032663 A KR1020180032663 A KR 1020180032663A KR 20180032663 A KR20180032663 A KR 20180032663A KR 20190110787 A KR20190110787 A KR 2019011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workflow
type
selection sig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541B1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8003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54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61B2034/252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indicating steps of a surgical proced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과 치료를 위한 복수의 진료단계의 진료시작단계부터 각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저장된 복수의 워크플로우 중에서 진료시작단계의 진료타입부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진료타입까지 순차적으로 선택된 모든 진료타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추천 워크플로우 중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lanning of Workflow for Dental Procedure}
본 발명은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과 치료를 위한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을 선택하면, 다른 치과에서 진행된 워크플로우 중 선택된 진료타입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확인하여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며, 특히, 치과에서는 픽스츄어(fixture), 어버트먼트(abutment) 및 크라운(crown)을 포함하는 보철물을 이용하여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실제 치아의 위치에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여 천공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융착되면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결합하는 형태로 시술된다. 이러한 시술 과정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은 치과 치료 중에서도 까다로운 치료로 구분되어 숙련자가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은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서 사용되는 재료가 상이하고, 재료의 종류에 따른 시술 절차 등이 달라진다.
따라서, 시술자가 숙련자가 아닐 경우에 시술자는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시술 절차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치아 상태에 따른 정확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어렵다. 또한, 시술자는 생성한 워크플로우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임플란트 시술에 대해 설명하는데, 워크플로우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환자는 정확하지 않은 워크플로우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치과 치료를 위한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을 선택하면, 다른 치과에서 진행된 워크플로우 중 선택된 진료타입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확인하여 워크플로우를 생성할 수 있는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은, 치과 치료를 위한 복수의 진료단계의 진료시작단계부터 각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저장된 복수의 워크플로우 중에서 상기 진료시작단계의 진료타입부터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진료타입까지 순차적으로 선택된 모든 진료타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천 워크플로우 중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상기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타입이 선택될 때마다 상기 추천 워크플로우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단계 중에서 상위단계에서 선택된 진료타입에 따라 변경되는 하위단계의 진료타입들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진료타입들과 관련된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진료단계 중 진료최종단계의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진료시작단계부터 상기 진료최종단계까지 선택된 모든 진료타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워크플로우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크플로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상기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복수의 진료단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진료단계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진료단계 중 어느 하나의 진료단계에 대한 상세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세정보 확인신호에 따라 상기 진료단계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료단계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단계와 관련된 매뉴얼,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전자장치는, 복수의 워크플로우를 저장한 메모리 및 치과 치료를 위한 복수의 진료단계의 진료시작단계부터 각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워크플로우 중에서 상기 진료시작단계의 진료타입부터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진료타입까지 순차적으로 선택된 모든 진료타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추천 워크플로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상기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일정 영역에 상기 추천 워크플로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는, 치과 치료를 위한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을 선택하면, 다른 치과에서 진행된 워크플로우 중 선택된 진료타입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확인하여 워크플로우를 생성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상태에 가장 적절한 워크플로우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가장 적절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치과 치료를 진행함으로써, 정확하지 않은 워크플로우로 치과 치료를 진행하여 발생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치과 치료에 대한 환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상세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전자장치(100)는 치과에 설치되거나, 치과의사가 사용하는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자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서버(미도시) 등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5G(fif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wifi(wireless fidelity)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로부터 치과 치료에 대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수신하거나,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한 웹 페이지로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110)는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워크플로우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전자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예컨대, 치과 의사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 shuttle), 센서(sensor), 터치 키(touch key) 및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경우, 서버로부터 복수의 워크플로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치과 치료를 위한 복수의 진료단계의 진료시작단계부터 진료최종단계까지 각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복수의 워크플로우 중에서 진료시작단계의 진료타입부터 각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이 순차적으로 선택될 때마다 선택된 모든 진료타입과 관련된 추천 워크플로우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추천 워크플로우에서 선택된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한다. 추천 워크플로우는 각 플로우에서 선택되는 진료타입과 관련된 워크플로우 중에서 다른 시술자들로부터 피드백을 가장 많이 받은 워크플로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신호가 수신되면, 치과 치료 시에 선택이 필요한 진료단계 중 진료시작단계에서 선택해야 하는 진료타입을 우선적으로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한 치과 치료는 임플란트 시술일 수 있고,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진료단계 중 선택이 필요한 진료단계는 총 5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총 5단계는 제1 플로우, 제2 플로우, 제3 플로우, 제4 플로우 및 제5 플로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플로우는 진료시작단계, 제5 플로우는 진료최종단계일 수 있다.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진료단계 중 제1 플로우는 임프레션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단계, 제2 플로우는 제1 플로우에서 선택된 임프레션 타입을 기반으로 구강 상태의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단계, 제3 플로우는 제2 플로우에서 선택된 구강 상태의 타입을 기반으로 분석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단계, 제4 플로우는 제3 플로우에서 선택된 분석 타입을 기반으로 임시 복원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단계, 제5 플로우는 제4 플로우에서 선택된 임시 복원 타입을 기반으로 최종 복원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의해 표시부(130)에 표시된 제1 플로우의 진료타입인 임프레션 생성 타입을 디지털 임프레션 또는 러버 임프레션 중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플로우에서 디지털 임프레션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기저장된 복수의 워크플로우 중에서 디지털 임프레션과 관련된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디지털 임프레션과 관련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고, 추출된 워크플로우 중에서 추천 워크플로부를 다시 추출할 수 있다. 추천 워크플로우는 각 플로우에서 선택되는 진료타입과 관련된 워크플로우 중에서 다른 시술자들에 의해 피드백이 가장 많은 워크플로우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제2 플로우에서 메탈 복원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추천 워크플로우 중에서 메탈 복원과 관련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추천 워크플로우를 갱신한 후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는 다른 전자장치들로부터 워크플로우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는 서버에서 추출된 추천 워크플로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표시된 추천 워크플로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의 상세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진료최종단계에 대한 진료타입의 선택이 완료되면 진료시작단계부터 진료최종단계까지 진료단계별로 선택된 진료타입과 관련된 워크플로우 리스트를 추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워크플로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들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0)에 표시된 진료단계들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시술자가 수행해야 하는 복수의 진료단계를 나타내고, 선택된 진료타입이 반영된 것이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표시된 진료단계들 중에서 특정 진료단계에 대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세정보 확인신호에 따라 진료단계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진료단계에 대한 매뉴얼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매뉴얼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진료단계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이미지를 확대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진료단계에 대한 동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을 표시부(130)에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표시부(130)에 표시된 진료단계들을 포함한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워크플로우에 대한 피드백을 추가적으로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수정하여 워크플로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생성된 워크플로우를 서버에 새로운 워크플로우로 등록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해 치과 치료와 관련된 검색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검색어와 관련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워크플로우 리스트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워크플로우 리스트는 표시부(130)를 일정 크기로 가상 분할하여 복수개의 워크플로우가 카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카드 형태로 표시되는 워크플로우는, 워크플로우의 대표 동영상 또는 대표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워크플로우를 생성한 시술자 정보,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를 간략하게 설명한 텍스트, 해시태그 및 생성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워크플로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워크플로우는 치과 치료를 위해 수행해야 하는 복수의 진료단계를 의미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워크플로우에 대한 생성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01단계의 확인결과, 생성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203단계를 수행하고, 생성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생성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2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치과 치료 시에 선택이 필요한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을 선택받고, 2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선택된 진료타입을 기반으로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고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201단계에서 수신된 생성신호가 임플란트 시술과 관련된 워크플로우 생성신호이면, 제어부(150)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임프레션 타입 선택을 위한 시작진료단계인 제1 플로우, 구강 상태의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플로우, 분석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제3 플로우, 임시 복원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제4 플로우 및 최종 복원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진료최종단계인 제5 플로우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위단계에서 진료타입이 선택되면, 선택된 진료타입에 따라 하위단계의 진료타입을 표시하여 각 플로우에서의 진료타입을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제1 플로우의 진료타입인 임프레션 생성 타입을 디지털 임프레션 또는 러버 임프레션 중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플로우에서 디지털 임프레션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기저장된 복수의 워크플로우 중에서 디지털 임프레션과 관련된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추천 워크플로우 추출 시에 디지털 임프레션과 관련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고, 그 중에서도 다른 시술자들로부터 피드백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확인되는 워크플로우를 추천 워크플로우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제2 플로우에서 메탈 복원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추천 워크플로우 중에서 메탈 복원과 관련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추천 워크플로우를 갱신한 후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워크플로우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서버에 저장된 복수의 워크플로우가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207단계에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표시된 추천 워크플로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215단계를 수행하고,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209단계를 수행한다. 21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수신된 워크플로우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215단계는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209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진료최종단계에 대한 진료타입의 선택이 완료되면 211단계를 진행하고, 진료최종단계에 대한 진료타입의 선택이 완료되지 않으면 203단계로 회귀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제5 플로우까지의 진료타입 선택이 완료되면, 진료최종단계까지의 진료타입 선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21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시작진료단계부터 진료최종단계까지 단계별로 선택된 진료타입과 관련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고, 추출된 워크플로우에 대한 워크플로우 리스트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21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워크플로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215단계를 수행하고,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선택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21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선택신호가 수신된 워크플로우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215단계는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상세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들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0)에 표시된 진료단계들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시술자가 수행해야 하는 복수의 진료단계를 나타내고, 도 2에서 선택된 진료타입이 반영된 것이다. 3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표시된 진료단계들 중에서 특정 진료단계에 대한 상세정보 확인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303단계에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305단계를 수행하고,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307단계를 수행한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상세정보 확인신호에 따라 진료단계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진료단계에 대한 매뉴얼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매뉴얼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진료단계에 대한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이미지를 확대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진료단계에 대한 동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동영상을 표시부(130)에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307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표시부(130)에 표시된 진료단계들을 포함한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307단계의 확인결과,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도 2의 217단계로 리턴한다. 도 2의 217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수정하여 워크플로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생성된 워크플로우를 서버에 새로운 워크플로우로 등록할 수 있다. 307단계의 확인결과,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선택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입력부(120)에서 치과 치료 특히,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진료타입을 선택하여 워크플로우를 검색하기 위한 화면(410)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시술자는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 시에 선택이 필요한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도 4a에서와 같이 워크플로우를 검색하기 위한 화면(410)에서 제1 플로우(420) 내지 제3 플로우(440)에 대한 진료타입을 선택받고, 연속적으로 도 4b에서와 같이 워크플로우를 검색하기 위한 화면(410)에서 제 4플로우(460) 및 제5 플로우(470)에 대한 진료타입을 선택받는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제1 플로우(420)에서 디지털 임프레션(digital impression)과 러버 임프레션(rubber impression) 중 어느 하나의 진료타입을 선택받는다. 도 4a와 같이 제1 플로우(420)에서 디지털 임프레션이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디지털 임프레션에 해당하는 제2 플로우(43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러버 임프레션이 선택되면, 러버 임프레션에 해당하는 제2 플로우(43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러버 임프레션에 해당하는 제2 플로우(430)의 진료타입은 디지털 임프레션에 해당하는 제2 플로우(430)의 진료타입과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플로우(420)에서 디지털 임프레션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었으므로, 디지털 임프레션과 관련된 제2 플로우(43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2 플로우(430)의 진료타입은 구강 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진료타입으로 무치악(edentulous), 부분 무치악(partial edentulous), 메탈 복원(metal restoration), 아크릴 덴쳐(acryl denture) 및 메탈 프레임 덴쳐(metal frame denture)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 4a와 같이 제2 플로우(430)에서 메탈 복원(metal restoration)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메탈 복원에 해당하는 제3 플로우(44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무치악, 부분 무치악, 아크릴 덴쳐 및 메탈 프레임 덴쳐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진료타입에 해당하는 제3 플로우(44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무치악, 부분 무치악, 아크릴 덴쳐 및 메탈 프레임 덴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3 플로우(440)의 진료타입은 메탈 복원에 해당하는 제3 플로우(440)의 진료타입과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플로우(430)에서 메탈 복원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었으므로, 메탈 복원과 관련된 제3 플로우(44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3 플로우(440)의 진료타입은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진료타입으로 일반(normal), 상악동 거상술(sinus lift), 추출(extraction), 무치악(edentulous)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 4a와 같이 제3 플로우(440)에서 상악동 거상술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도 4b와 같이 상악동 거상술에 해당하는 제4 플로우(46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도 4b와 같이 상악동 거상술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수술 옵션을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일반, 추출, 무치악 중 어느 하나가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선택된 진료타입에 해당하는 제4 플로우(46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일반, 추출, 무치악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4 플로우(460)의 진료타입은 상악동 거상술에 해당하는 제4 플로우(460)의 진료타입과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3 플로우(440)에서 상악동 거상술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었으므로, 상악동 거상술과 관련된 제4 플로우(46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4 플로우(460)의 진료타입은 임시 복원을 기반으로 하는 진료타입으로 어버트먼트와 크라운(abutment & crown), 디지털 덴쳐(digital denture),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 및 H-scanbody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 4b와 같이 제4 플로우(460)에서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에 해당하는 제5 플로우(47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디지털 덴쳐, 힐링 어버트먼트 및 H-scanbody 중 어느 하나가 진료타입으로 선택되면, 선택된 진료타입에 해당하는 제5 플로우(47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덴쳐, 힐링 어버트먼트 및 H-scanbody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5 플로우(470)의 진료타입은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에 해당하는 제5 플로우(470)의 진료타입과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4 플로우(460)에서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이 진료타입으로 선택되었으므로, 어버트먼트와 크라운과 관련된 제5 플로우(470)의 진료타입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5 플로우(470)의 진료타입은 최종 복원을 기반으로 하는 진료타입으로 어버트먼트와 크라운(abutment & crown), 오버 덴쳐(over denture) 및 스크류 리테인 크라운(screw retained crown)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 4b와 같이 제5 플로우(470)에서 오버 덴쳐로 진료타입의 선택이 완료되면, 각각의 플로우에서 선택된 진료타입에 검색어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디지털 임프레션, 메탈 복원, 상악동 거상술, 어버트먼트와 크라운 및 오버 덴쳐에 “immediate restoration”를 검색어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플로우(420), 제2 플로우(430), 제3 플로우(440), 제4 플로우(460) 및 제5 플로우(470)에서 진료타입이 선택될 때마다 도 4a와 같이 표시부(130)의 일부에 추천 워크플로우(45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0)의 일부에 표시되는 추천 워크플로우(450)는 각 플로우에서 선택되는 진료타입과 관련된 워크플로우 중에서 다른 시술자들에 의해 피드백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된 워크플로우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4a와 도 4b가 별도의 화면예시도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워크플로우를 검색하기 위한 화면(410)을 도 4a와 도 4b로 분리한 것에 불과하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제1 플로우(420), 제2 플로우(430)에서 진료타입이 선택되면, 디지털 임프레션과 메탈 복원 타입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한 워크플로우 중에서 추천 워크플로우(450)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표시부(130)의 일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워크플로우(450)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3 플로우(440)에서 진료타입이 추가적으로 선택되면, 표시부(130)에 표시된 추천 워크플로우(450) 중에서 상악동 거상술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한 추가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고, 표시된 추천 워크플로우(450)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제1 플로우(420)부터 제5 플로우(470)까지의 진료타입의 선택이 완료되고, 검색 버튼(480)에 입력이 발생되면, 디지털 임프레션, 메탈 복원, 상악동 거상술, 어버트먼트와 크라운 및 오버 덴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추출된 워크플로우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검색 버튼(480)에 입력이 발생되면, 디지털 임프레션, 메탈 복원, 상악동 거상술, 어버트먼트와 크라운 및 오버 덴쳐에 검색어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추출된 워크플로우 리스트에 검색어를 매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지정된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에 매핑된 워크플로우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표시된 추천 워크플로우(450) 중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거나, 제어부(150)는 검색 버튼(480)에 발생된 입력에 의해 추출된 워크플로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들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들에 대한 화면(510)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들에 대한 화면(510)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시술자가 수행해야 하는 복수의 진료단계를 나타내고, 도 4a 및 도 4b에서 선택된 진료타입이 반영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가 각각 별도의 화면예시도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들에 대한 화면(510)을 도 5a 내지 도 5c로 분리한 것에 불과할 뿐, 사용자는 표시부(130)에서 한 번에 확인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들에 대한 화면(510)을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추천 워크플로우(530)를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추천 워크플로우(530)는 도 4a에 표시된 추천 워크플로우(450)와 동일한 워크플로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진료단계(520)를 표시하고, 도 5b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제3 내지 제6 진료단계(540)를 표시하며, 도 5c는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제7 내지 제10 진료단계(550)를 표시한다. 이때, 제1 진료단계는 환자의 구강 내부 영상을 준비하는 단계, 제2 진료단계는 구강 내부 영상의 분석 및 플래닝데이터 설계 단계, 제3 진료단계는 플래닝데이터의 컨펌 단계, 제4 진료단계는 플래닝 데이터의 수정 단계, 제5 진료단계는 최종 컨펌 단계, 제6 진료단계는 플래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지컬 가이드 등의 보철물 제조단계, 제7 진료단계는 수술 준비단계, 제8 진료단계는 수술단계, 제9 진료단계는 임시 복원단계 및 제10 단계는 최종 복원단계를 의미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들 중에서 특정 진료단계에 대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세정보 확인신호에 따라 특정 진료단계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도 5a에서 제1 진료단계의 매뉴얼(520a)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제1 진료단계에 대응되는 매뉴얼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도 5a에서 제1 진료단계의 이미지(520b)를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이미지(520b)를 확대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도 5a에서 제1 진료단계의 동영상(520c)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동영상(520c)을 표시부(130)에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도 5b에서 제4 진료단계의 매뉴얼(540a)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제4 진료단계에 대응되는 매뉴얼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도 5b에서 제4 진료단계의 이미지(540b)를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이미지(540b)를 확대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도 5b에서 제4 진료단계의 동영상(540c)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동영상(540c)을 표시부(130)에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도 5c에서 제8 진료단계의 매뉴얼(550a)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제8 진료단계에 대응되는 매뉴얼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도 5c에서 제8 진료단계의 이미지(550b)를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이미지(550b)를 확대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 의해 도 5c에서 제8 진료단계의 동영상(550c)을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동영상(550c)을 표시부(130)에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워크플로우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검색아이콘(미도시)을 통해, 워크플로우를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검색아이콘에 입력이 발생되면 표시부(130)에 검색어 입력화면(610)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검색어 입력화면(610)에서 검색어 입력창에 “restoration”가 입력되고, 검색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restoration”와 관련된 워크플로우의 리스트(620)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워크플로우 리스트(620)는 워크플로우의 대표 동영상 또는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워크플로우를 생성한 시술자 정보, 워크플로우의 진료단계를 간략하게 설명한 텍스트, 해시태그 및 생성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워크플로우 리스트(620) 중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진료단계들에 대한 화면(510)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치과 치료를 위한 복수의 진료단계의 진료시작단계부터 각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저장된 복수의 워크플로우 중에서 상기 진료시작단계의 진료타입부터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진료타입까지 순차적으로 선택된 모든 진료타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천 워크플로우 중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상기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타입이 선택될 때마다 상기 추천 워크플로우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료단계 중에서 상위단계에서 선택된 진료타입에 따라 변경되는 하위단계의 진료타입들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진료타입들과 관련된 이미지들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진료단계 중 진료최종단계의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진료시작단계부터 상기 진료최종단계까지 선택된 모든 진료타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워크플로우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상기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복수의 진료단계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료단계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복수의 진료단계 중 어느 하나의 진료단계에 대한 상세정보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세정보 확인신호에 따라 상기 진료단계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단계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단계와 관련된 매뉴얼,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9. 복수의 워크플로우를 저장한 메모리; 및
    치과 치료를 위한 복수의 진료단계의 진료시작단계부터 각 진료단계별로 진료타입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워크플로우 중에서 상기 진료시작단계의 진료타입부터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진료타입까지 순차적으로 선택된 모든 진료타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 워크플로우를 추출하여 표시하고, 상기 추천 워크플로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상기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일정 영역에 상기 추천 워크플로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KR1020180032663A 2018-03-21 2018-03-21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16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63A KR102162541B1 (ko) 2018-03-21 2018-03-21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63A KR102162541B1 (ko) 2018-03-21 2018-03-21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87A true KR20190110787A (ko) 2019-10-01
KR102162541B1 KR102162541B1 (ko) 2020-10-07

Family

ID=6820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663A KR102162541B1 (ko) 2018-03-21 2018-03-21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5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004A (ja) * 1998-07-17 2000-02-02 Sanyo Electric Co Ltd 歯科診療支援装置
JP5926496B2 (ja) * 2010-04-23 2016-05-2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臨床医をリアルタイムでガイド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004A (ja) * 1998-07-17 2000-02-02 Sanyo Electric Co Ltd 歯科診療支援装置
JP5926496B2 (ja) * 2010-04-23 2016-05-2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臨床医をリアルタイムでガイド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541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096B1 (ko) 인공 치아 시술용 영상 정합을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위한 이미지 정합 방법
US201402577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 path planning
KR102248604B1 (ko) 최적화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수복 유형 설계를 위한 임플란트 식립 설계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82882A (ko) 구조물 데이터 매칭 방법 및 구강 내 구조물 데이터 매칭 시스템
KR20210056673A (ko) 전자차트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971022B1 (ko) 치아 보철물 결정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956205B1 (ko) 인공 치아의 시술을 보조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KR20190110787A (ko) 치과 치료를 위한 워크플로우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941096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가이드를 제공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19010B1 (ko)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시술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정보 제공 방법
KR102406324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 시뮬레이션 방법
KR102383955B1 (ko) 구강 영상의 결손 치아 검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구강 영상의 크라운 배치 방법
KR102376529B1 (ko) 임플란트 가이드 수술 안내방법 및 그 장치
KR102246530B1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지원 시스템
JP2015126820A (ja) 口腔内表示システム
KR102292874B1 (ko)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영역 미세조정 방법 및 그 가이드 디자인 장치
KR102244787B1 (ko) 국소의치용 프레임 제작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956206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보조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US11476007B2 (en) Information and data logging system for use in a dental environment
KR102197309B1 (ko) 상악동 리프팅을 위한 픽스쳐 침범영역 분할이 가능한 의료영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913810B1 (ko) 피시술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101928985B1 (ko) 인공 치아의 시술 가이드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18327A (ko) 드릴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JP2020098601A (ja) 医療映像別複数の治療計画記録方法および装置
KR102586205B1 (ko) 치아 치료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