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785A - 찢김 방지용 포장재 - Google Patents

찢김 방지용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785A
KR20190110785A KR1020180032661A KR20180032661A KR20190110785A KR 20190110785 A KR20190110785 A KR 20190110785A KR 1020180032661 A KR1020180032661 A KR 1020180032661A KR 20180032661 A KR20180032661 A KR 20180032661A KR 20190110785 A KR20190110785 A KR 20190110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packaging material
tea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156B1 (ko
Inventor
임봉진
최진석
Original Assignee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1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32B2307/5825Tea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찢어짐이 방지되는 복합 포장재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용 포장재는, 제1필름; 상기 제1필름과 다른 재질을 포함하고, 제1필름의 일면에 합지되는 제2필름; 및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사이에 도포되고,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부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찢김 방지용 포장재{TEAR PROOF PACKAGING MATERIAL}
아래의 실시 예는, 찢김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물건의 포장을 위한 포장재의 경우,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복수의 필름을 합지하여 생산된 복합 포장재를 사용한다. 복합 포장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필름은, 역할에 맞추어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음식물을 포장하는 포장재의 경우, 내측을 구성하는 필름은 높은 방수성을 가짐으로써, 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을 구성하는 필름은 높은 강성을 가짐으로써, 물리적 충격에 의해 포장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합 포장재의 경우, 높은 강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복수의 필름이 접합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포장재의 외측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면, 외측을 구성하는 필름과 접착된 내측 필름도 함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서로 상이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복수의 필름을 접합하여 복합 포장재를 제조한 경우, 포장재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서로 다른 인장강도로 인해 포장재의 각 필름이 파단되거나,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포장재의 심미감을 저해하고, 포장재 내부의 물품에도 손상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복수의 필름을 접합하면서도, 높은 찢김 방지성을 가지는 복합 포장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실시 예의 목적은,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복수의 필름을 접합하면서도, 높은 찢김 방지성을 가지는 복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의 목적은,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복수의 필름을 접합하면서도, 각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는 복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용 포장재는, 제1필름; 상기 제1필름과 다른 재질을 포함하고, 제1필름의 일면에 합지되는 제2필름; 및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사이에 도포되고,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부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를 포함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착부는 정다면체 형태의 무늬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착부 각각은 정육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허니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은, 인쇄층; 및 일면에 상기 인쇄층이 적층되고, 타면에 상기 접착층이 도포되는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PP(Poly propylene), PO(polyolefin), 나일론,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및 PPS(Poly phenylene Sulf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VMPET(Vacuum metalized PET), NYLON, OPP(Oriendted 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Aluminium Foil,
EVOH, PVDC, PE(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은,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또는 m-LLDPE(Metalloc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찢김 방지용 포장재는 상기 제2필름 및 접착층 사이에 적층되는 중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PE(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용 포장재 제조방법은, 제1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필름과 다른 재질을 포함하는 제2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필름의 일면에 접착제를 부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에 상기 제2필름을 적층하여,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정다면체 형상의 슬롯이 외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코팅롤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코팅롤의 외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슬롯을 제외한 코팅롤의 외면으로부터 접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롤을 상기 제1필름에 압착하여 상기 제1필름의 외면에 접착제를 부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필름을 상기 제1필름에 압출 코팅하여 합지하거나,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사이에 PE(Polyethylene)을 용융하여 상기 제1필름에 상기 제2필름을 압출 코팅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찢김 방지용 포장재 제조방법은,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한 이후에, 상기 포장재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숙성시키는 단계는, 40도 내지 50도의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LLDPE에 m-LLDPE를 혼합하여 제2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m-LLDPE의 질량비는 전체의 30% 이상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복합 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은,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복수의 필름을 부분 접합 시킴으로써, 높은 찢김 방지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복합 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은, 높은 공간 활용성을 가지는 접착층 구조를 통해 포장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층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층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층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1)를 도시함에 있어서, 각 필름의 두께나 형태 등을 정확한 형상이나 비율로 표시하지 않았으며, 도면에 도시된 포장재(1)의 구조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1)는, 복수의 필름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찢김 방지 포장재(1)는, 서로 다른 종류의 필름을 적층하되, 각 필름을 부분 접착시킴으로써, 높은 찢김 방지성을 가질 수 있다. 찢김 방지 포장재(1)는, 제1필름(100), 제2필름(110) 및 접착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은 서로 다른 재질을 포함하고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름(10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름(100)이 PET를 포함하는 경우, 제1필름(100)은 높은 내열성, 내한성 및 보합성을 가질 수 있다. 제1필름(100)이 포장재(1)의 외측을 구성하는 경우, 제1필름(100)은 넓은 열봉합 온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필름(100)이 PET를 포함하는 경우, 제1필름(100)은 낮은 향투과성을 가지기 때문에, 향기 성분이 많은 음식이나, 휘발제 성분을 가지는 물질, 예를 들어, 향수와 같은 물질의 포장에 적합할 수 있다.
제2필름(110)은 제1필름(100)의 일면에 합지될 수 있다. 제2필름(110)은 제1필름(100)과 다른 재질, 예를 들어,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필름(110)이 LLDPE를 포함하는 경우, 제2필름(110)은 높은 내열 안정성, 가공성, 기계적 물성 및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제2필름(110)은 LLDPE의 밀도 조절을 통해, 투명성과 높은 유연성을 획득할 수 있다.
제1필름(100)이 PET를 포함하고, 제2필름(110)이 LLDPE를 포함하는 경우, 제2필름(110)은 제1필름(100)보다 높은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크기의 인장력이 포장재(1)에 가해지는 경우,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의 신장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접착층(120)은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120)은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 사이에 도포되어,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을 부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120)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접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21)를 통해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복수의 접착부(121)는 서로 이격되도록 접착층(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착층(120)은 접착부(121)를 통해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이 접착되는 부위와, 접착부(121)가 없이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이 직접 맞닿는 부위(122)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은 접착부(121)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을 일체로 접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포장재(1)에 인장력이 가해 졌을 때,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이 동일한 길이만큼 일체로 늘어남으로써, 보다 작은 신축성을 가지는 필름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이 접착부(121)에 의해 부분 접합되면, 접착부(121)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이 서로 다른 길이로 늘어나기 때문에, 포장재(1)의 파단 현상을 최소화하고, 포장재(1) 내부의 물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접착부(121)는 일정한 무늬를 가지도록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부(121)가 형성하는 무늬는 정다면체 형태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층(120)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착층(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접착부(121) 각각은 정육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접착부(121)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일정한 패턴(Pattern)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접착부(121)는 벌집 형태의 허니콤 구조 (honeycomb structure)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허니콤 구조는, 내각의 크기가 120°인 정육각형의 꼭지점이 3개씩 모이는 배치관계를 가지게 된다. 허니콤 구조는, 복수의 정육각기둥이 연속되게 연결되고, 각각의 기둥의 변이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균형적으로 힘을 배분하고, 높은 공간 활용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부(121)가 정육각형의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 포장재(1)의 면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힘의 분산이 6방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파단방지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층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층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접착층(120)을 형성하는 각각의 접착부(121)는 정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121)는 도 3과 같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거나, 도 4와 같이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착부(121)가 도 3과 같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둘레의 길이가 일정할 때 최대의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접착부(121)의 둘레 표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최대의 넓이를 가지기 때문에, 제1필름(100) 또는 제2필름(110)이 손상되는 경우, 접착부(121)의 둘레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접착부(121)가 도 4와 같이,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각각의 접착부(121)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조절하기 용이하게 때문에, 복수의 접착부(121)의 배치 관계를 포장재(1)의 종류에 따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정한 패턴(pattern)을 유지하면서도, 접착부(121)의 크기나 접착부(121)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1)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1)는, 제1필름(100), 제2필름(110) 및 접착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름(100)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필름(100)은 인쇄층(101) 및 배리어층(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101)은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이 인쇄될 수 있다. 인쇄층(101)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PP(Poly propylene), PO(polyolefin), 나일론,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및 PPS(Poly phenylene Sulf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101)이 PET를 포함하는 경우, 제1필름(100)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인쇄층(101)은 10 ㎛ 내지 4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ET의 경우 12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배리어층(102)은 일면에 인쇄층(101)이 적층되고, 타면에 접착층(120)이 도포될 수 있다. 배리어층(102)은 산소, 수증기, 빛 등의 투과를 차단하는 배리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리어층(102)은 Alox, Siox, Aluminium, VMPET(Vacuum metalized PET), NYLON, OPP(Oriendted 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 Aluminium Foil, EVOH, PVDC, PE(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102)이 VMPET를 포함하는 경우, 제1필름(100)은 높은 내열성, 가스 배리어 성, 방습성, 차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배리어층(102) 및 인쇄층(101)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및 증착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합지될 수 있다. 합지방식은, 그라비아, 열압착, 오프셋, 키스바, 메이어바, 코마법, 롤, 캐스팅 성형 또는 스프레이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102) 및 인쇄층(101)은 접착제 코팅을 통한 드라이 라미테이팅 공정을 통해 합지될 수 있다.
배리어층(102)은 5 ㎛ 내지 4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102)이 VMPET로 형성되는 경우 12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필름(110)은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또는 m-LLDPE(Metalloc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필름(110)은 LLDPE에 M-LLDPE를 블렌딩(Blend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제2필름(110)층의 신축성이 높아져서, 포장재(1)의 파단 방지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제2필름(110)은, 30 ㎛ 내지 18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100 ㎛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접착층(120)은,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필름(100) 및 제2필름(110)을 부분 접합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1)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1)는 제1필름(200), 제2필름(210), 접착층(220) 및 중간층(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름(200)은, 인쇄층(201), 알루미늄층(203), 배리어층(202)을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층(203)은, 인쇄층(201) 및 배리어층(202)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알루미늄층(203)은 높은 배리어성, 방습성, 차광성을 가짐으로써, 포장재(1) 내부의 물건의 장기 저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알루미늄층(203)이 인쇄층(101) 및 배리어층(102)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 인쇄층(101)을 통해 알루미늄층(203)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필름(200)은 알루미늄층(203)을 통한 장벽효과를 가짐으로써, 높은 내열성 및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알루미늄층(203)은, 5 ㎛ 내지 1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중간층(212)은 제2필름(211) 및 접착층(220)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중간층(212)은 PE(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12)은, 제1필름(200) 및 제2필름(211)을 압출 라미네이팅 접합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 압출 라미네이트 접합 과정에서, 제2필름(211)에 표면에 PE가 용융되어 도포될 수 있다. 이후, 접착부(221)가 도포된 제1필름(200)이 제2필름(211)에 적층되고, 제1필름(200) 및 제2필름(211)이 압출됨으로써 제1필름(200) 및 제2필름(211)이 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험 데이터를 통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용 포장재의 효과를 설명한다. 다만, 이에 따른 실시 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 예>
제1필름에 제2필름을 부분 접착하여 다층 구조의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제1필름은 각각 12 ㎛ 두께를 가지는 PET층과 VMPET층을 적층하여 제조하였다. 제2필름은 LLDPE로 제조되었다. 제2필름은 우레탄계 2액형 접착제를 통해 제1필름의 VMPET층에 합지되었다. 이 경우, 접착제는 제1필름 및 제2필름 사이에 부분 도포되었으며, 정육각형의 모양으로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부위에 도포되었다.
실험을 위해 LLDPE로 구성된 제2필름의 두께를 95 ㎛, 105 ㎛, 120 ㎛로 변화시켜 다층 구조의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의 제1필름에, LLDPE로 제조되고 120 ㎛ 두께를 가지는 제2필름을 합지하여 포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의 경우, 제1필름 및 제2필름은 실시 예와 달리 전면 접착되었다.
<실험 예1> 찢김 테스트
UTM장비를 통해 포장재가 찢어지는 순간의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UTM장비는 200 mpm (meter per minute)의 속도로 측정 하도록 설정되었다. 부분 접착에 따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 및 비교 예에 따른 포장재에 동일한 조건의 찢김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비교 예
(120 ㎛ LLDPE)
실시 예 1
(95 ㎛ LLDPE)
실시 예 2
(105 ㎛ LLDPE)
실시 예 3
(120 ㎛ LLDPE)
1.63 kgf 1.74 kgf 1.8 kgf 1.95 kgf
<평가 1> 실험결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는 비교 예에 따른 포장재보다 찢김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필름의 두께가 95 ㎛인 부분 접착 포장재의 경우에도, 120 ㎛ 의 두께의 전면 접착 포장재보다 더 큰 인장력에 견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예2> 인장강도 테스트
UTM장비를 통해 포장재의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UTM장비는 200 mpm (meter per minute)의 속도로 측정 하도록 설정되었다. 부분 접착에 따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 및 비교 예에 따른 포장재의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비교 예
(120 ㎛ LLDPE)
실시 예 1
(95 ㎛ LLDPE)
실시 예 2
(105 ㎛ LLDPE)
실시 예 3
(120 ㎛ LLDPE)
20kgf/15㎜ 19kgf/15㎜ 24kgf/15㎜ 28kgf/15㎜
<평가 2> 실험결과, 부분 접착을 통해 제조된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는, 비교 예에 따른 포장재보다 강한 인장력을 가지는 것을 확보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 예와 접착 방식만 상이한 실시 예 3의 포장재 경우, 인장력이 약 40%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찢김 방지 포장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찢김 방지 포장재의 제조방법은, 제1필름을 형성하는 단계(301), 제2필름을 형성하는 단계(302),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303),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하는 단계(304) 및, 포장재를 숙성시키는 단계(3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1 및 302에서는 각각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301 및 302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동시에 수행되거나 반대 순서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단계 301 및 302에서는 서로 다른 재료를 통해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단계 301에서 생성되는 제1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PP(Poly propylene), PO(polyolefin), 나일론,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및 PPS(Poly phenylene Sulf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름은, 예를 들어, PE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름은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름은 PET를 포함하는 인쇄층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알루미늄층 및, VMPET 또는 Nylon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2에서 생성되는 제2필름은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또는 m-LLDPE(Metalloc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필름은 LLDPE나 m-LLDPE만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LLDPE와 m-LLDPE를 혼합(blending) 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체에 대한 m-LLDPE의 질량비는 30% 이상일 수 있다.
단계 303에서는 제1필름의 일면에 접착제를 부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303은, 코팅롤이 제공되는 단계, 코팅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코팅롤의 외면으로부터 접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및 제1필름의 외면에 접착제를 부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롤이 제공되는 단계에서는, 정다면체 형상의 슬롯이 외면에 복수개 형성된 코팅롤이 제공될 수 있다. 슬롯은 코팅롤의 외면에 음각 형태로 조각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정다면체 형태의 일정한 무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슬롯은 정육각형 형상의 무늬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슬롯은 코팅롤의 외면에 일정한 무늬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슬롯은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도록 코팅롤의 외면에 조각될 수 있다. 접착용 코팅롤은 60선 내지 200선의 심도를 가질 수 있다.
코팅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코팅롤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접착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2액형 접착제일 수 있다.
코팅롤의 외면으로부터 접착제를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코팅롤의 외면으로부터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롤의 조각된 슬롯 내부를 제외한 코팅롤의 외면 부위로부터는 접착제가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코팅롤의 슬롯 내부에만 접착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필름의 외면에 접착제를 부분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제1필름의 외면에 코팅롤을 압착하여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롤의 슬롯에 수용된 접착제는 제1필름의 외면에 접착되면서 슬롯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필름의 외면에 일정한 무늬의 접착부가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304에서는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할 수 있다. 제2필름은 접착층을 통해 제1필름에 접착됨으로써, 제1필름에 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필름은 제1필름에 드라이 도포방식으로 합지 될 수 있다. 한편, 단계 304는, 제1필름 및 제2필름 사이에 PE(polyethylene)을 용융하고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압출 코팅하는 압출 라미네이트 방식을 통해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할 수도 있다.
단계 305에서는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한 이후에, 포장재를 숙성시킬 수 있다. 숙성시키는 과정은, 제1필름 및 제2필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305는, 40도 내지 50도의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포장재
100: 제1필름
110: 제2필름
120: 접착층

Claims (13)

  1. 제1필름;
    상기 제1필름과 다른 재질을 포함하고, 제1필름의 일면에 합지되는 제2필름; 및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사이에 도포되고,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부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를 포함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착부는 정다면체 형태의 무늬를 가지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착부 각각은 정육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허니콤 구조로 배치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은,
    인쇄층; 및
    일면에 상기 인쇄층이 적층되고, 타면에 상기 접착층이 도포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PP(Poly propylene), PO(polyolefin), 나일론,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및 PPS(Poly phenylene Sulf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Alox, Siox, Aluminium, VMPET(Vacuum metalized PET), NYLON, OPP(Oriendted 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 Aluminium Foil, EVOH, PVDC, PE(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은, 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또는 m-LLDPE(Metalloc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을 포함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 및 접착층 사이에 적층되는 중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PE(Polyethylene)을 포함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9. 제1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필름과 다른 재료을 포함하는 제2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필름의 일면에 접착제를 부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에 상기 제2필름을 적층하여,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정다면체 형상의 슬롯이 외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코팅롤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코팅롤의 외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슬롯을 제외한 코팅롤의 외면으로부터 접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롤을 상기 제1필름에 압착하여 상기 제1필름의 외면에 접착제를 부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필름을 상기 제1필름에 드라이 도포하여 합지하거나,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 사이에 PE(Polyethylene)을 용융하여 상기 제1필름에 상기 제2필름을 압출 코팅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 및 제2필름을 합지한 이후에, 상기 포장재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숙성시키는 단계는, 40도 내지 50도의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수행되는, 찢김 방지용 포장재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LLDPE에 m-LLDPE를 혼합하여 제2필름을 형성하고, 상기 m-LLDPE의 질량비는 전체의 30% 이상인, 찢김 방지용 포장재 제조방법.
KR1020180032661A 2018-03-21 2018-03-21 찢김 방지용 포장재 KR10215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61A KR102150156B1 (ko) 2018-03-21 2018-03-21 찢김 방지용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661A KR102150156B1 (ko) 2018-03-21 2018-03-21 찢김 방지용 포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85A true KR20190110785A (ko) 2019-10-01
KR102150156B1 KR102150156B1 (ko) 2020-09-01

Family

ID=6820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661A KR102150156B1 (ko) 2018-03-21 2018-03-21 찢김 방지용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1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30B1 (ko) * 2002-11-05 2004-06-23 세다코오퍼레이숀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표면에 홀로그램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
JP2007203527A (ja) * 2006-01-31 2007-08-16 Daio Paper Corp 包装用シート
KR20090043681A (ko) * 2007-10-30 2009-05-07 주식회사 한스물산 농업용 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3319B1 (ko) * 2009-02-02 2010-02-19 주식회사 동서 친환경 식품 포장용 포장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30B1 (ko) * 2002-11-05 2004-06-23 세다코오퍼레이숀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표면에 홀로그램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
JP2007203527A (ja) * 2006-01-31 2007-08-16 Daio Paper Corp 包装用シート
KR20090043681A (ko) * 2007-10-30 2009-05-07 주식회사 한스물산 농업용 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3319B1 (ko) * 2009-02-02 2010-02-19 주식회사 동서 친환경 식품 포장용 포장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156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42026A1 (en) Cold-Workable Laminate for Blister Bottom Parts
KR20080101769A (ko) 내장된 알루미늄층을 가진 튜브용 다중층 적층체, 그의생산 방법 및 그로부터 생산되는 튜브
KR101663497B1 (ko)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복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KR20190110785A (ko) 찢김 방지용 포장재
WO2014084513A1 (ko) 직선형 절취 특성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체
US20180257349A1 (en) Multifunctional paperboard structure
JP2015112778A (ja) 積層体およびボイル・レトルトパウチ
KR101739363B1 (ko) 증착필름이 적층된 포장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0170A (ko) 도용 방지용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다층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도용 방지용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다층 시트
CN106232362A (zh) 用于形成包装材料的方法、包装材料及其用途
KR102305096B1 (ko) 식품 포장지 제조방법
DK162591B (da) Sammensat folie
KR20180047805A (ko) 다층 필름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20240149571A1 (en) High barrier cold seal laminat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322865Y1 (ko) 다층 라미네이트 튜브 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8885A (ko) 다층 라미네이트 튜브 쉬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90255823A1 (en) Film, roll and adhesive tape
KR101374318B1 (ko) 다층 필름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5870587B2 (ja) 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75434B1 (ko) 시간-온도 이력지시계 포장용 다층 복합필름
JP2012066401A (ja) 包装材および製造方法
JPS6218451Y2 (ko)
KR20130029934A (ko) 전자제품 포장용 다층필름
JPS6218450Y2 (ko)
KR200440685Y1 (ko) 저가 종이 코팅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