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990A -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제어 - Google Patents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990A
KR20190109990A KR1020180031759A KR20180031759A KR20190109990A KR 20190109990 A KR20190109990 A KR 20190109990A KR 1020180031759 A KR1020180031759 A KR 1020180031759A KR 20180031759 A KR20180031759 A KR 20180031759A KR 20190109990 A KR20190109990 A KR 20190109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user interface
screen
preview image
interfa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03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9990A/ko
Priority to PCT/KR2018/009698 priority patent/WO2019182205A1/en
Publication of KR2019010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58Sequential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brows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6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for layout preview, e.g. page layo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장치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에 응답하여,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된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고, 동기화에 기초하여,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제어{CONTROLLING DISPLAY OF PREVIEW IMAGE OF DOCUMENT}
프린터, 복사기, 팩스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화상 형성 작업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한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도 상당히 발전하였고,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진화하고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라, 문서에 대해 인쇄 요청이 있는 경우,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고, 인쇄 요청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라,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라,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문서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기 위해, 인쇄 과정에 시간이 소요되는 요인들에 기초하여 시간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라,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것에 동기화되어 문서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라, 복수 장의 문서들에 대해 인쇄 요청이 있는 경우, 문서들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고, 인쇄 요청된 문서들의 프리뷰 이미지들이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각각 사라지는 과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예에 따라,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이 있는 경우, 문서가 스캔되어 문서화되고, 스캔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나타나는 과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예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의 문서 전송이 있는 경우,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고, 전송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나타나는 과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른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한 장치를 통칭하는 명칭이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이거나 모니터를 포함한 장치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호스트 장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 장치 인터페이스(130),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싱 유닛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정보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한 터치 스크린 형태일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130)는 전자 장치(100)와 다른 장치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화상 형성 장치(200)와 장치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장치 인터페이스(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 또는 통신을 위해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20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200)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인쇄용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집적된 형태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렌더링 프로세서(111), 동기화 프로세서(113), 인쇄 프로세서(115), 그래픽 프로세서(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프로세서(110)가 특정 기능마다 각각 분리된 형태의 모듈로서 이루어져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이들 중 일부 모듈들이 하나의 통합된 형태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렌더링 프로세서(111)는 인쇄 요청된 문서에 대하여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인쇄 가능한 형태로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렌더링 프로세서(111)는 GDI(Graphic device interface)와 GRE(Graphic redering engin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더링 프로세서(111)는 프리-렌더링 동작으로, 인쇄 요청된 문서의 상하를 반전(reverse)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인쇄시에 문서의 상단부부터 출력되어 나오므로, 화상 형성 장치(200)로 전송된 문서의 하단부부터 출력될 수 있도록, 인쇄 요청된 문서의 상하를 반전시킨 후 렌더링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렌더링 프로세서(111)에서 렌더링된 문서에 대해, 인쇄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200)로 전송된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할 수 있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두 과정의 동기화를 위해서 인쇄 프로세서의 각 단계별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실측하여 저장하고 있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여 동기화를 위한 시간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메모리(140)로부터 룩업 테이블을 독출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은 화상 형성 장치(200)의 모델, 인쇄 작업에 관한 옵션, 및 인쇄 내용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을 실측하고, 유효한 통계 자료를 반영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다양한 조건에서의 인쇄에 대해 머신 러닝을 활용한 시간 예측을 수행하여 유효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반영할 수도 있다.
인쇄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대한 예를 들면, 프리-렌더링에 소요되는 시간(pre-rendering time), 잔여 스풀링 시간(remained spooling time), 헤드 정렬 및 예열 작업에 필요한 시간(warm up time), 잉크/토너 상태 체크, 헤드 청소, 시운전 등의 준비과정에 소요되는 시간(maintanace time), 최초 인쇄물의 초반 영역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first data transfer time) 등을 포함하는 전처리에 관련된 시간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인쇄 화질에 관한 옵션에 따른 처리 시간, 문서 내 그림과 글자의 비율에 따른 처리 시간, 양면 또는 헤드업 등의 인쇄 옵션에 따른 처리 시간 등과 같이 인쇄 작업의 조건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시간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피니셔(finisher) 등에 의한 지연 시간, 스풀러에 쌓여있는 인쇄 작업에 따른 대기 시간 등을 포함하는 후처리에 관련된 시간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렌더링된 문서 및 인쇄 작업에 관한 옵션을 분석하고,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포트 모니터를 포함하는 인쇄 프로세서(115)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래픽 프로세서(117)가 동기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패킷화된 동기화 데이터를 그래픽 프로세서(117)에 전달할 수 있다.
인쇄 프로세서(115)는 화상 형성 장치(200)로 문서가 전송될 수 있도록, 장치 인터페이스(13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프로세서(115)는 화상 형성 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인쇄 프로세서(115)는 인쇄 프로세스 컨트롤러, 스풀러, 포트 모니터 등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1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제공할 디스플레이를 위한 렌더링을 수행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17)는 동기화 데이터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로 전달함으로써, 그래픽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110)의 동작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에 응답하여, 장치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200)로 전송된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동기화에 기초하여,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문서가 출력된 부분에 대응되는 프리뷰 이미지의 부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리뷰 이미지는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문서가 출력된 만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기 시작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문서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완전히 사라지는 시점까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에 관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동기화 데이터에 따라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속도와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동기화할 수 있다.
도 3의 일 예에 따라, 문서에 대해 인쇄 요청이 있는 경우,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고, 인쇄 요청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일 예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 뒤에 화상 형성 장치(200)가 위치한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서 문서를 확인하여 인쇄를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 뒤의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문서가 출력되도록 하여, 하나의 작업 공간에서 인쇄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20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후면에 위치하고,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문서가 출력되는 배출구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프리뷰 이미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의 최초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대한 화상 형성 장치(200)의 위치를 고려하여, 화상 형성 장치(200)의 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프리뷰 이미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의 최초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문서가 출력되는 배출구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에 따라,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문서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문서 애플리케이션 창에서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을 하면,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문서의 출력이 시작되면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기 시작하고, 문서의 출력이 완료되면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이동하는 경로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문서가 출력되어 나오는 경로가 겹치도록 하고, 프리뷰 이미지의 슬라이딩 방향과 문서의 하단부부터 출력되어 나오는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화면 내의 전자 문서가 실제 문서가 되어 나오는 듯한 효과를 주어, 문서 변환 과정의 상황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라,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200)가 문서를 출력하는데 12초가 소요되고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세로 길이가 800 픽셀에 해당된다는 전제하에, 문서의 1/4이 출력되는 시간이 3초이고,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1/4이 화면 밖으로 사라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3초로 동일하면,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는 66.6 pixel/sec의 이동 속도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초당 프레임 수가 60 fps인 경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1 프레임 당 약 1 픽셀씩 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속도와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동기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서는 프리-렌더링 과정에서 문서의 상하를 반전 후 렌더링이 수행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200)로 가장 먼저 전송되는 렌더링된 문서의 밴드 1에 해당하는 부분은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에서는 하단부에 대응되는 부분이고, 렌더링된 문서의 밴드 4에 해당하는 부분은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에서는 상단부에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렌더링된 문서의 밴드 1에 해당하는 부분이 화상 형성 장치(200)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시점에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 하단부의 1/4만큼의 영역이 화면 밖으로 사라지도록,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1초당 66 픽셀만큼 3초간 아래로 움직이면 200 픽셀이 화면 밖으로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렌더링된 문서의 밴드 2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송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 하단부의 1/4만큼의 영역이 화면 밖으로 사라지도록,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1초당 66 픽셀만큼 3초간 아래로 움직이면 200 픽셀이 또 화면 밖으로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반복함으로써, 렌더링된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완전히 출력될 때,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도 화면 밖으로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라,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문서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기 위해, 인쇄 과정에 시간이 소요되는 요인들에 기초하여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렌더링된 문서에 대해, 인쇄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200)로 전송된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렌더링된 문서 및 인쇄 작업에 관한 옵션을 분석하고,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쇄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소요되는 시간 정보 중 전처리에 관련된 시간 정보가 4초이고, 인쇄 화질에 관한 옵션, 문서 내 그림과 글자의 비율, 인쇄 옵션 등의 인쇄 작업의 조건에 따른 밴드별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 정보가 각각 3초이며, 후처리에 관련된 시간 정보가 1초인 경우이다. 도 5의 프리뷰 이미지의 하단부 쪽이 밴드 1에 대응되는 부분이고,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는 밴드 1에서 밴드 4의 순서로 출력이 진행될 수 있다.
도 5에서 A, B, 및 C는 각각의 지점이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A 지점은 문서가 출력되기 직전의 시점이고, B 지점은 밴드 3에 해당하는 부분이 출력되고 있는 시점이며, C 지점은 밴드 4에 해당하는 부분이 출력되고 있는 시점이다. 화상 형성 장치(200)로 전송된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과정에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기 위해, 각 밴드의 출력에 걸리는 시간이 3초라는 가정하에, A, B, 및 C 지점에 대한 동기화 시점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A 지점은 전처리에 관련된 시간 4초가 경과한 4초, B 지점은 전처리에 관련된 시간 4초와 밴드 1, 및 2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 6초, 그리고 밴드 3이 절반 정도 출력되었으므로 1.5초를 합산하여 11.5초, C 지점은 전처리에 관련된 시간 4초와 밴드 1 내지 3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 9초, 그리고 밴드 4가 2/3 정도 출력되었으므로 2초를 합산하여 15초인 시점에 현재 출력이 되고 있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4초일 때는 프리뷰 이미지를 전부 보이도록 제어하고, 11.5초일 때는 프리뷰 이미지의 B 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화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며, 15초일 때는 프리뷰 이미지의 C 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화면 하단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잉크젯 방식의 경우, 앞서 설명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밴드 별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 정보가 각 밴드에서의 그림과 글자의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그림과 글자의 비중이 가장 적은 밴드 3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2초, 그림과 글자의 비중이 가장 많은 밴드 4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4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5의 A, B, 및 C 지점에 대한 동기화 시점을 각각 계산해보면, A 지점은 4초, B 지점은 11초, C 지점은 14.67초 일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라,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것에 동기화되어 문서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에 기초하여, 도 6을 살펴보면,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에 응답하여, 4초가 지난 시점에서, 프리뷰 이미지의 A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문서는 화상 형성 장치(200)의 배출구에서 출력되기 직전일 수 있다. 11.5초가 지난 시점에서, 프리뷰 이미지의 B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문서의 B지점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출력될 수 있다. 15초가 지난 시점에서, 프리뷰 이미지의 C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문서의 C지점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출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시점에서, 문서의 출력과 프리뷰 이미지의 사라짐이 동기화되어, 문서의 출력된 부분과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된 부분을 합하면 하나의 문서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문서가 출력되는 배출구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의 위치시키면,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전자 문서가 아래로 슬라이딩되면서 실제 문서가 되어 나오는 듯한 효과를 주어, 문서 변환 과정의 상황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예에 따라, 복수 장의 문서들에 대해 인쇄 요청이 있는 경우, 문서들이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고, 인쇄 요청된 문서들의 프리뷰 이미지들이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각각 사라지는 과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문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문서 애플리케이션 창에서 복수 장의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을 하면, 복수 장의 문서 각각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고, 프리뷰 이미지들은 순서에 맞게 화면 내에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프리뷰 이미지들 중 미리 설정된 개수의 프리뷰 이미지들만 화면 내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프리뷰 이미지들은 페이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면에 등장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제일 앞장(1 페이지)의 문서의 출력이 시작되면 제일 앞장(1 페이지)의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기 시작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제일 앞장(1 페이지)의 문서의 출력이 완료되면 제일 앞장(1 페이지)의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두 번째 장(2 페이지)의 인쇄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복수 장의 문서들에 대해 인쇄 요청이 있는 경우, 인쇄 옵션에 따라, 제일 앞장에 위치한 문서 또는 제일 뒷장에 위치한 문서부터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인쇄 순서에 해당하는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인쇄 순서에 해당하는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를 제일 앞으로 배치하기 위해 순서를 바꾸거나 인쇄 순서에 해당하는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만을 다른 프리뷰 이미지들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하나씩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이미지 획득 프로세서(112), 동기화 프로세서(113), 문서화 작업 프로세서(116), 그래픽 프로세서(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프로세서(110)가 특정 기능마다 각각 분리된 형태의 모듈로서 이루어져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이들 중 일부 모듈들이 하나의 통합된 형태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미지 획득 프로세서(112)는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에 응답하여, 문서를 스캔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프로세서(112)는 카메라 컨트롤러, 이미지 캡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프로세서(112)는 전자 장치(10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구비된 광각 카메라를 실행시켜, 전자 장치(10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 앞의 문서를 촬영할 수 있다. 문서를 여러 장 촬영하여 품질을 높이기 위해, 광각 카메라를 여러 번 실행 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프로세서(112)는 스캔된 문서를 획득할 수 있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문서화 작업에서 스캔된 문서 형태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스캔된 문서를 문서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임의로 정할 수도 있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문서화가 완료되는 시점에 프리뷰 이미지가 문서화가 완료된 문서에 대해 문서 작업할 수 있는 문서 애플리케이션 창으로 대체되도록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별도의 모듈로 두지 말고 생략될 수도 있다.
문서화 작업 프로세서(116)는 스캔된 문서를 문서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캔된 문서의 이미지에 대해, 모핑(morphing), OCR 인식, 후처리, 문서 포맷화 등의 문서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문서화 작업 프로세서(116)는 스캔된 문서로부터 문서 작업이 가능한 전자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1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제공할 디스플레이를 위한 렌더링을 수행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서(110)의 동작에 따르면,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에 응답하여,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된 문서를 문서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문서화가 진행되는 동안 스캔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스캔 요청된 문서가 위치한 방향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요청된 문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스캔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문서화가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이미지를 문서화가 완료된 문서에 대해 문서 작업할 수 있는 문서 애플리케이션 창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예에 따라,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이 있는 경우, 문서가 스캔되어 문서화되고, 스캔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나타나는 과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에 따라,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된 문서를 문서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문서화가 진행되는 동안 스캔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스캔 요청된 문서가 위치한 방향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요청된 문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스캔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으로부터 위로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제 문서가 전자 문서가 되어 화면 내로 들어가는 듯한 효과를 주어, 문서 변환 과정의 상황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문서화가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이미지를 문서화가 완료된 문서에 대해 문서 작업할 수 있는 문서 애플리케이션 창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연결 프로세서(114), 동기화 프로세서(113), 문서 공유 프로세서(118), 그래픽 프로세서(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프로세서(110)가 특정 기능마다 각각 분리된 형태의 모듈로서 이루어져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이들 중 일부 모듈들이 하나의 통합된 형태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와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다. 두 장치 간의 문서 공유를 위해, 연결 프로세서(114)는 두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문서 공유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문서를 공유하여 나타내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임의로 정할 수도 있다. 동기화 프로세서(113)는 별도의 모듈로 두지 말고 생략될 수도 있다.
문서 공유 프로세서(118)는 패어링 및 연결, 크리덴셜, 문서 준비, 문서 전송 등을 거쳐 문서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문서 공유 프로세서(118)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문서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1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에 제공할 디스플레이를 위한 렌더링을 수행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프로세서(110)의 동작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외부 장치(300)의 접근에 따른, 외부 장치(300)에서의 문서 전송 시도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 장치(300)에서 문서 공유 기능을 선택한 후, 외부 장치(300)를 전자 장치(100)에 접근시키는 경우, NFC 태깅이 일어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외부 장치(300)의 접근 방향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30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우측 하단으로부터 접근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송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우측 하단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예에 따라, 외부 장치(300)에서의 문서 전송이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와 연결되고, 전송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나타나는 과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에서의 문서 전송 시도를 감지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 장치(300)에서 문서 공유 기능을 선택한 후, 외부 장치(300)를 전자 장치(100)에 접근시키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에서의 문서 전송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장치(300)를 전자 장치(100)에 접근시키는 경우, NFC 태깅이 일어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외부 장치(300)의 접근 방향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30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우측 하단으로부터 접근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송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우측 하단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장치(300)에서 보던 전자 문서가 전자 장치(100)의 화면 내로 옮겨가는 듯한 효과를 주어, 문서 변환 과정의 상황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블록 1210에서, 전자 장치(100)는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12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인쇄 요청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200)로 전송된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할 수 있다.
블록 1230에서, 전자 장치(100)는 동기화에 기초하여,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일단과 화상 형성 장치(200)의 배출구가 소정의 공간에 함께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200)의 배출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에 화상 형성 장치(200)의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200)를 위치시킨 경우, 전자 장치(100)는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으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블록 1310에서, 전자 장치(100)는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블록 1320에서, 전자 장치(100)는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된 문서를 문서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캔된 문서의 이미지에 대해, 모핑(morphing), OCR 인식, 후처리, 문서 포맷화 등의 문서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 1330에서, 전자 장치(100)는 문서화가 진행되는 동안 스캔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스캔 요청된 문서가 위치한 방향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요청된 문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스캔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하단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문서화가 완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프리뷰 이미지를 문서화가 완료된 문서에 대해 문서 작업할 수 있는 문서 애플리케이션 창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블록 141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외부 장치(300)의 접근에 따라, 외부 장치(300)에서의 문서 전송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 장치(300)에서 문서 공유 기능을 선택한 후, 외부 장치(300)를 전자 장치(100)에 접근시키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에서의 문서 전송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블록 1420에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다.
블록 1430에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외부 장치(300)의 접근 방향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30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우측 하단으로부터 접근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송된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 우측 하단으로부터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 각각 설명한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서로 조합된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에 따라, 문서를 스캔한 후 스캔된 문서를 문서화하고, 문서 애플리케이션 창에서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200)로 전송된 문서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고, 동기화에 기초하여,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어느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파일 전송을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장치를 파일을 전송하고자 하는 다른 장치로 접근시켜 태깅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어느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맵 상에서 문서나 파일 아이콘을 파일 전송을 원하는 다른 장치의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목적지를 결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Claims (15)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장치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된 상기 문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고, 상기 동기화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서가 출력된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프리뷰 이미지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기 시작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문서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상기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완전히 사라지는 시점까지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상기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에 관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동기화 데이터에 따라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문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출력 속도와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동기화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 요청된 문서의 상하를 반전시킨 후 렌더링을 수행하고, 렌더링된 문서에 대해, 인쇄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된 상기 문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문서가 출력되는 배출구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프리뷰 이미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의 최초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8.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쇄 요청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된 상기 문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가 출력된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프리뷰 이미지의 부분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기 시작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문서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상기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완전히 사라지는 시점까지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상기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에 관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출력 속도와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요청된 문서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단계;
    상하가 반전된 문서에 대해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된 문서에 대해, 인쇄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소요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된 상기 문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문서가 출력되는 배출구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프리뷰 이미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의 최초 위치가 결정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5. 문서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는 명령어들;
    상기 인쇄 요청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된 상기 문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과정을 동기화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동기화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의 출력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
    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로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80031759A 2018-03-19 2018-03-19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제어 KR20190109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59A KR20190109990A (ko) 2018-03-19 2018-03-19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제어
PCT/KR2018/009698 WO2019182205A1 (en) 2018-03-19 2018-08-23 Controlling display of preview image of doc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59A KR20190109990A (ko) 2018-03-19 2018-03-19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90A true KR20190109990A (ko) 2019-09-27

Family

ID=6798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59A KR20190109990A (ko) 2018-03-19 2018-03-19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제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09990A (ko)
WO (1) WO20191822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5902A (ja) * 2000-01-31 2001-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画面付プリンタ
JP2004262092A (ja) * 2003-02-28 2004-09-24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49108A (ja) * 2009-04-06 2009-07-09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46898B2 (ja) * 2010-07-22 2014-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94221B2 (ja) * 2012-12-19 2015-10-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60119492A1 (en) * 2014-10-27 2016-04-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Deskto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205A1 (en)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848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54931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63175B1 (ko) 모바일 기기 및 인쇄 제어 방법
US20150077772A1 (en) Data generation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data generation method
US897086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displays process sequence, display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5789719B2 (ja) 電子文書の表示モードを確定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5655590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8182672A5 (ko)
US9019565B2 (en)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mpensation
US90872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a failure and showing a handling procedure for eliminating the failure
CN102572187B (zh) 图像形成装置及该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KR20190109990A (ko) 문서의 프리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제어
JP6589302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2020005323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614045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78634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192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document processing devices via a remote device interface
KR20160016458A (ko) 인쇄 제어 단말장치, 인쇄 제어 방법,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0659644B2 (en) Image forming device for executing screen sa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device for executing screen saver
JP603651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201503636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with image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on
JP6801408B2 (ja) 印刷設定装置、印刷設定システム及び印刷設定プログラム
JP6743447B2 (ja) サーバプログラム、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データ生成方法
US8773742B2 (en) Control device for generating a file in a file format includes stored and scanned pages with electronic signature
JP5794685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