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849A -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849A
KR20190109849A KR1020180031425A KR20180031425A KR20190109849A KR 20190109849 A KR20190109849 A KR 20190109849A KR 1020180031425 A KR1020180031425 A KR 1020180031425A KR 20180031425 A KR20180031425 A KR 20180031425A KR 20190109849 A KR20190109849 A KR 20190109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traoral
magnetic body
magnetic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251B1 (ko
Inventor
김정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to KR102018003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61B6/1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5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detecto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자성체를 포함하는 구강내 센서와; 상기 구강내 센서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자성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자성체를 포함하는 센서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구성된 X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강내 치아 및 주변조직의 X선 영상을 얻기 위해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의 구강내 센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구강내 센서는 센서홀더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구강내에 삽입되어 X선 촬영이 수행된다.
종래에는, 구강내 센서와 센서홀더는 후크(hook)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센서홀더에는 결합 구조물인 후크가 구비되며, 구강내 센서는 이의 가장자리가 후크에 걸려 센서홀더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후크 방식 결합 구조에서는 돌출된 형태의 후크로 인해 이물감이 발생하게 되어 피촬영자의 편의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벤더블(bendable) 특성의 구강내 센서와 같이 이의 측면을 잡을 수 없는 경우에는 센서홀더의 결합 구조에 상당한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센서홀더와 결합된 상태의 구강내 센서에 대한 이물감을 개선하여 피촬영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결합 구조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에 과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자성체를 포함하는 구강내 센서와; 상기 구강내 센서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자성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자성체를 포함하는 센서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구성된 X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 각각이 자석으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제1자성체는 이의 후방의 자극이 모두 동일하고, 서로 대응되는 제1,2자성체는 자극이 서로 반대이거나, 또는 상기 제1자성체는 이의 후방의 자극이 위치별로 다르며, 서로 대응되는 제1,2자성체는 자극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센서홀더는, 상기 제2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구강내 센서의 후방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구강내 센서의 사이즈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센서는, 센서패널을 포함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자성체는 상기 센서부의 후방면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 각각은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일 수 있다.
상기 구강내 센서에 대향하는 X선 발생기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와 상기 센서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구강내 센서 및 센서홀더에 자석을 배치하고 이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구강내 센서와 센서홀더를 결합하게 된다.
이처럼, 자기력을 이용한 결합 방식를 구현함에 따라, 종래의 기구적 구조물인 후크를 이용한 결합 방식에서의 이물감을 개선하여 피촬영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기력을 이용함으로써 결합 구조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되어, 벤더블(bendable) 특성의 구강내 센서와 같이 이의 측면을 잡을 수 없는 경우에 대한 종래의 결합 구조 제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 및 센서홀더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 및 센서홀더에 각각 구비된 자석들의 자극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가 장착된 X선 촬영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 및 센서홀더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10)은 구강내 센서(100)와 센서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강내 센서(100)는 구강내에 삽입되어 치아 및 주변조직에 대한 X선 검출을 수행하게 된다.
구강내 센서(100)로는 X선을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직접 방식 X선 센서나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한 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방식 X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구강내 센서(100)는 전기적 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전송케이블(170)이 고정적으로 구비되고 이를 통해 전송하는 케이블(cable) 방식이나, 전송케이블(170)이 고정적으로 구비되지 않은 케이블리스(cableless)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리스 방식의 경우에는, 구강내 센서(100)는 독립적인 상태에서 X선 촬영을 수행하게 되고, X선 촬영 후 무선 방식이나 유선 방식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100)를 예로 든다.
도 2를 참조하면, 구강내 센서(100)는 센서부(110)와 센서부(110)를 케이싱(casing)하여 보호하는 외부케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센서부(110)는 X선을 검출하는 센서소자가 형성된 센서패널과 이를 구동하는 센서구동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센서패널은 조사된 X선에 따라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에 해당되는데, 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해당 영상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센서소자인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간접 방식의 경우에는 센서패널의 X선 입사면인 센서패널의 전방면 상에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형광체인 신틸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구동회로는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은 센서패널의 X선 입사면의 반대면인 후방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는 센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IC가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에는 타이밍신호를 생성하고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타이밍컨트롤러가 실장될 수 있고, 또한 센서패널에서 발생된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리드아웃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50)는 내부에 센서부(110)를 수용하게 되는데, 즉 센서부(110)를 둘러싸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외부케이스(150)는 예를 들면 제1케이스(151)와 제2케이스(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케이스(151)는 구강내 센서(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이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케이스(152)는 구강내 센서(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제1케이스(151) 및 제2케이스(152)는 결합하여 내부의 수용공간을 정의하며, 이 수용공간에 센서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강내 센서(100)는 후방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후방에 배치된 제2케이스(152)가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형태의 후방부 즉 돌출부(160)는 구강내 센서(100)에 대한 파지부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100)의 경우에는, 구강내 센서(100)는 외부와의 신호전송 등을 위한 전송케이블(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송케이블(170)은 제2케이스(152)의 돌출부(160)를 관통하여 센서부(110)의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된 전극패드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구강내 센서(100)는 벤더블(bendable) 특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구강내 센서(100)를 구성하는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 또한 벤더블 특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구강내 센서(100)는 센서홀더(210)와의 결합을 위해 자기력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구강내 센서(100)는 다수의 제1자성체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센서홀더(210)는 다수의 제2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자성체가 자석 즉 제1자석(310)으로 구성되고, 제2자성체가 자석 즉 제2자석(320)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든다.
이와 관련하여, 다수의 제1자석(310)은 구강내 센서(100)의 내부 일예로 센서부(110)의 일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1자석(310)은 서로 이격되어(또는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센서부(110) 주변 영역인 가장자리 영역에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자석(310)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든다.
이와 같이 배치된 다수의 제1자석(310)은 모두 N극 및 S극의 자극 배열 방향이 동일하거나, 일부 제1자석(310)과 나머지 일부 제1자석(310)의 자극 배열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두 동일한 자극 배열 방향을 갖는 경우에, 다수의 제1자석(310)은 이의 후방으로서 센서홀더(210)와의 결합 방향에 N극 또는 S극이 위치하고 이의 전방으로서 센서홀더(210)와의 결합 반대 방향에 S극 또는 N극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제1자석(310)과 나머지 일부 제1자석(310)의 자극 배열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경우와 관련하여 도 3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 및 센서홀더에 각각 구비된 자석들의 자극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좌우 방향을 임의로 정의하였는데, 구강내 센서(100)의 2개의 단변은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2개의 장변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강내 센서(100)를 평탄한 형태로 도시하였고, 센서홀더(210)의 안착부(220)를 도시하였다.
이때, 예를 들어 4개의 제1자석(310)이 배치된 경우에, 상측 및 좌측 사이의 모서리 방향에 위치하는 제1자석(310)은 이의 후방이 일예로 N극을 가질 수 있고, 상측 및 우측 사이의 모서리 방향에 위치하는 제1자석(310)은 이의 후방이 일예로 S극을 가질 수 있으며, 하측 및 좌측 사이의 모서리 방향에 위치하는 제1자석(310)은 이의 후방이 일예로 S극을 가질 수 있고, 하측 및 우측 사이의 모서리 방향에 위치하는 제1자석(310)은 이의 후방이 일예로 N극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1자석(310)에 대해 위치에 따라 자극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위치별로 특정 자극이 부여될 수 있게 되어, 구강내 센서(100)와 센서홀더(210)는 위치가 올바르게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제1자석(310)을 구비한 구강내 센서(100)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센서홀더(210)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X선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센서홀더(210)는 구강내 센서(100)가 안착되는 안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착부(220)의 일면인 결합면에 구강내 센서(1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안착부(220)의 일면에는, 구강내 센서(100)의 다수의 제1자석(310)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2자석(3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제2자석(320)은 다수의 제1자석(310)에 대응하여 위치하므로, 전술한 제1자석(310)의 배치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제2자석(320)은 서로 이격되어(또는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안착부(220)의 주변 영역인 가장자리 영역에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자석(320)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든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제2자석(320)은 대응되는 제1자석(310)과는 N극 및 S극의 자극 배열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자석(310)이 결합 방향인 후방에서 N극을 갖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제2자석(320)은 결합 방향인 전방에서 S극을 갖게 되고, 제1자석(310)이 결합 방향인 후방에서 S극을 갖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제2자석(320)은 결합 방향인 전방에서 N극을 갖게 된다.
이처럼, 서로 대응되어 위치하는 제1자석(310) 및 제2자석(320)은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서로 반대 자극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2자석(310,320) 간에 자기적 인력이 발생하게 되어, 이들 각각이 구비된 구강내 센서(100) 및 센서홀더(210)는 자기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든 제1자석(310)이 동일한 자극을 갖는 경우에는, 모든 제2자석(320) 또한 제1자석(310)의 자극과 반대되는 동일한 자극을 갖게 된다.
그리고, 제1자석(310)이 위치별로 일부는 N극을 갖고 다른 일부는 S극을 갖는 경우에, 제2자석(320)은 위치별로 일부는 해당 제1자석(310)과 반대되는 S극을 갖고 다른 일부는 해당 제1자석(310)과 반대되는 N극을 갖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측 및 좌측 사이의 모서리 방향에 위치하는 제2자석(320)은 이의 전방이 일예로 해당 제1자석(310)과 반대되는 S극을 가질 수 있고, 상측 및 우측 사이의 모서리 방향에 위치하는 제2자석(320)은 이의 전방이 일예로 해당 제1자석(310)과 반대되는 N극을 가질 수 있으며, 하측 및 좌측 사이의 모서리 방향에 위치하는 제2자석(320)은 이의 전방이 일예로 해당 제1자석(310)과 반대되는 N극을 가질 수 있고, 하측 및 우측 사이의 모서리 방향에 위치하는 제2자석(320)은 이의 전방이 일예로 해당 제1자석(310)과 반대되는 S극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1,2자석(310,320)에 대해 위치에 따라 자극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강내 센서(100)와 센서홀더(210)는 위치가 올바르게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모든 제1자석(310)이 동일한 자극을 갖고 이에 따라 모든 제2자석(320)이 제1자석(310)과 반대되는 동일한 자극을 갖도록 구성되면, 정상 정렬 위치와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반대되는 오정렬된 상태로 구강내 센서(100) 및 센서홀더(21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에 따라 다른 자극이 부여되도록 제1,2자석(310,320)을 배열하게 되면, 구강내 센서(100)와 센서홀더(210)는 올바르게 정렬되는 장점이 발휘될 수 있다.
한편, 센서홀더(210)의 안착부(220)는 구강내 센서(100)의 안착 시 구강내 센서(100)의 가장자리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구강내 센서(100)와 같거나 작은 사이즈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그 내부가 전후로 개방된 개구(221)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강내 센서(100)가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60)를 갖도록 구성된 경우에, 이 돌출부(160)에 의해 결합이 방해되지 않도록 돌출부(160)에 대응하여 이가 삽입되는 개구(221)가 안착부(2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홀더(210)는 안착부(220)의 일측에 연결되며, 안착부(220)의 전방(즉, 구강내 센서(100)가 장착된 상태의 전방)에 위치하는 바이트(bite)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트부(230)는 예를 들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바이트부(230)는, 구강내 촬영시 피촬영자가 입으로 무는 부분에 해당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센서홀더(210)는 구강내 촬영을 위한 X선 촬영기구인 소위 콘인디케이터(cone indicator)의 일부 구성에 해당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가 장착된 X선 촬영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기구(200)는 구강내 센서(100)와 이에 대향하는 X선 발생기(미도시)를 장착하여 구강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X선 촬영기구(200)는 구강내 센서(100)가 결합된 센서홀더(210)와, 구강내 센서(10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기가 장착되는 장착부(250)와, 센서홀더(210) 및 장착부(250)를 연결하는 연결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60)는 센서홀더(210)의 바이트부(2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X선 촬영기구(200)에 X선 발생기와 구강내 센서(100)를 장착하고, 이 상태에서 구강내 센서(100)를 피촬영자의 구강에 삽입한 후 X선을 조사하여 X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내 센서 및 센서홀더에 자석을 배치하고 이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구강내 센서와 센서홀더를 결합하게 된다.
이처럼, 자기력을 이용한 결합 방식를 구현함에 따라, 종래의 기구적 구조물인 후크를 이용한 결합 방식에서의 이물감을 개선하여 피촬영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기력을 이용함으로써 결합 구조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되어, 벤더블(bendable) 특성의 구강내 센서와 같이 이의 측면을 잡을 수 없는 경우에 대한 종래의 결합 구조 제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0: X선 촬영 시스템 100: 구강내 센서
110: 센서부 150: 외부케이스
151: 제1케이스 152: 제2케이스
160: 돌출부 170: 전송케이블
200: X선 촬영기구 210: 센서홀더
220: 안착부 221: 개구
230: 바이트부 250: 장착부
260: 연결부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제1자성체를 포함하는 구강내 센서와;
    상기 구강내 센서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자성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자성체를 포함하는 센서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구성된
    X선 촬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 각각이 자석으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제1자성체는 이의 후방의 자극이 모두 동일하고, 서로 대응되는 제1,2자성체는 자극이 서로 반대이거나, 또는
    상기 제1자성체는 이의 후방의 자극이 위치별로 다르고, 서로 대응되는 제1,2자성체는 자극이 서로 반대인
    X선 촬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홀더는, 상기 제2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구강내 센서의 후방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구강내 센서의 사이즈보다 같거나 작은
    X선 촬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센서는, 센서패널을 포함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자성체는 상기 센서부의 후방면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X선 촬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 각각은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인
    X선 촬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센서에 대향하는 X선 발생기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와 상기 센서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X선 촬영 시스템.
KR1020180031425A 2018-03-19 2018-03-19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KR102157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425A KR102157251B1 (ko) 2018-03-19 2018-03-19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425A KR102157251B1 (ko) 2018-03-19 2018-03-19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49A true KR20190109849A (ko) 2019-09-27
KR102157251B1 KR102157251B1 (ko) 2020-09-17

Family

ID=6809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425A KR102157251B1 (ko) 2018-03-19 2018-03-19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890A1 (en) * 2020-09-01 2022-03-10 Silly Bite Ab Bitewing hold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810A (ko) * 2013-03-06 2014-09-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장치
KR20170029732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5562A (ko) * 2015-10-19 2017-04-27 (주)바텍이우홀딩스 엑스선 디텍터
KR20170121294A (ko) * 2015-03-10 2017-11-01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KR101819679B1 (ko) * 2017-08-23 2018-01-17 (주)피코팩 인트라 오랄 센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810A (ko) * 2013-03-06 2014-09-1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방사선 촬영 시스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장치
KR20170121294A (ko) * 2015-03-10 2017-11-01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KR20170029732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5562A (ko) * 2015-10-19 2017-04-27 (주)바텍이우홀딩스 엑스선 디텍터
KR101819679B1 (ko) * 2017-08-23 2018-01-17 (주)피코팩 인트라 오랄 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890A1 (en) * 2020-09-01 2022-03-10 Silly Bite Ab Bitewing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51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1166A (en) Dental X-ray image detecting device with an automatic exposure function
JP3836208B2 (ja) 医療用小型x線画像検出装置
FI118249B (fi) Järjestely dentaalikuvausta varten
JP3643745B2 (ja) X線撮影用検出器及びx線撮影装置
KR20060028715A (ko) 엑스선 촬영장치
US5579366A (en) Line detector camera for employment in, particularly, dental x-ray diagnostics installations
US8320525B2 (en) Digital radiography sensors
US20210290188A1 (en) Wireless intra oral sensor holder
KR102157251B1 (ko)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JPH05130990A (ja) 自動露出機能付き医療用x線画像検出装置
US11278249B2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15119466A1 (ko) 엑스선 촬영장치
KR101993179B1 (ko) 구강내 센서
TWI469768B (zh) 牙科用口腔內x射線照相裝置
KR20190032855A (ko)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JP6904687B2 (ja)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6144117A1 (ko)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JP5355653B2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94030B1 (ko) 구강내 센서 및 이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US20060038141A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a standard dental x-ray viewbox into an analog or digital viewing system
KR20240015936A (ko) 구강내 센서와 충전장치 및 이들을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JP5356602B2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JP2679104B2 (ja) 歯牙x線検査装置
JP2004180834A (ja) スキャンルームにおける医療用画像の表示方法
JP3228975B2 (ja) 医療用x線画像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