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44117A1 -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44117A1
WO2016144117A1 PCT/KR2016/002404 KR2016002404W WO2016144117A1 WO 2016144117 A1 WO2016144117 A1 WO 2016144117A1 KR 2016002404 W KR2016002404 W KR 2016002404W WO 2016144117 A1 WO2016144117 A1 WO 20161441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traoral
sensor
sensor device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4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균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to US15/557,07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070896A1/en
Priority to KR1020177028301A priority patent/KR20170121294A/ko
Publication of WO20161441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441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5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61B5/061Determining position of a probe within the body employing means separate from the probe, e.g. sensing internal probe position employing impedance electrodes on the surfac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33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matrix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sensor device and an intraoral X-ray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intraoral sensor device and the intraoral X using the same can easily and intuitiv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sensor devic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It relates to a line photographing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viding a method for easily grasping the posi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module including a sensor panel; It is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and provides an intraoral sensor device includ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front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mounted directly on the sensor module.
  •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cover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ensor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intraoral sensor device is mounted; A second mounting part mounted with an X-ray generator opposite the intraoral sensor device;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arts;
  • a sensor mounting device which is configured 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 the first mounting part includes a first member for fixing the intraoral sensor device, and a second member connec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wherei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one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t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raoral sensor device;
  • a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the intraoral sensor device, a cover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or a sensor mounting device to which the intraoral sensor device is mounted and emitting infrared light; It is located outside the oral cavity, and provides an intraoral imaging system including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infra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raoral sensor device;
  • a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in the intraoral sensor device or on a cover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and emitting infrared light;
  •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infrared rays and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a projection module for projecting a sample image toward the intraoral sensor device in response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an X-ray radiator
  • an intraoral imaging system including an imaging device.
  •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visible or infrared light is coupled to the intraoral sensor device or mounted on the sensor mounting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that detects a position of an intraoral sensor device and projects and displays a sample image on an outer surface of the ski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 1 to 3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n intra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raoral sensor device and the infrared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are a plan view showing an intra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ra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 intra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ra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intraoral sensor device and the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moun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n intra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to 3 are each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ra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shows an anterior surface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that is, an X-ray incident surface.
  •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may include a sensor module 110 and a light emitting device 190.
  • the sensor module 110 may include a sensor panel that detects X-rays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a cas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sensor panel.
  • the sensor panel includes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that detects light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n each pixel arranged in a matrix.
  • a sensor panel may use a CMOS substrate or a TFT subst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nsor panel of the direct conversion method or indirect conversion method may be used as the sensor panel.
  •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uses a photoconductor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the incident X-rays.
  • the sensor panel is provided with a phosphor for converting X-rays into visible light
  •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the visible light generated by the phosphor.
  • the case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above-described sensor panel, and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ntire exterior of the sensor panel.
  •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emit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 the visible light or the infrared ray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wavelength or intensity enough to transmit the human tissue such as the skin.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outputs visible light, it may be immediately checked through the naked eye.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outputs infrared rays, as shown in Figure 4, it can be confirmed through a separate infrared detection device, such as the infrared sensor 180 outside the mouth.
  • a separate infrared detection device such as the infrared sensor 180 outside the mouth.
  • Such an infrared sensor 180 may form an intraoral X-ray imaging system together with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 the infrared sensor 180 may be mounted or attached to an X-ray imaging apparatus for radiating X-rays from the outside of the mouth toward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for intraoral X-ray imaging.
  • An oral X-ray system is discussed in more detail in the section.
  • the posi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can be easily determined throug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preferably used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more,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emit at least one different wavelength band, an emission pattern having at least one different on / off period, at least one different shape of visible light or infrared rays, and an optical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May detect the wavelength, the emission pattern, or the shape of the detected visible or infrared light.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intraoral sensor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by the visible or infrared detection result of some light emitting devices 19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transmission side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surface (ie, X-ray incident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110. .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using infrared rays,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configur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110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X-ray incident surface).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configured to emit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from a part or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110.
  • 2 and 3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disposed over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arranged in the form.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configured on the side of the sensor module 110.
  • 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disposed along the side of the sensor module 110
  • FIG. 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disposed at the side edge of the sensor module 11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disposed in various forms on at leas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110.
  • FIG.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ra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may include a sensor module 110 and a cover 200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nsor module 11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on the cover 200. 190 may be configured.
  • the cover 200 has a soft characteristic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sensor module 110.
  • the cover 200 surrounds at least one outside of the sensor module 110 and includes a sensor module (
  • the opening 201 expos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110 to the outside may be configured in a defined form.
  • the cover 200 surrounds a part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ensor module 110, and a case in which one side is formed in an edge shape open to the outside when viewed in plan view is illustrated.
  • the cover 200 has a shape in which one side toward the opening 201 is recessed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cover a corresponding outer portion of the sensor module 100. )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inside of the cover 200 to be combined with the cover 20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moun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200.
  • the cover 2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light transmission property that transmits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may emit light having an infrared light transmittance.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provided in the cover 200, when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while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110,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provided. Visible light or infrared rays generated from the through the human tissue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 the cover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cover not only the outer edge of the sensor module 110 but als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at is, the cover 200 of FIG. 8 covers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pening 201 of the cover 200 of FIG. 7, and one side into which the sensor module 110 is inserted has a pocket shape having an inlet.
  • the cover 200 may be defined as an accommodation space 202 for accommodating the sensor module 11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configured at least in part.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preferably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or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FIG. 8, similar to FIG. 7,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as an example.
  • the cover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9, not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110 but also the upper surface (that is, X-ray incident surface) covering the upper surface (that is, X-ray It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edg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incident surface). Accordingly, the cover 200 is defined an accommodation space 202 for receiving the sensor module 11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configured at least in part.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preferably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or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similarly to FIG. 8.
  • 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raoral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an intraoral sensor device and an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 an intraoral sensor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device (see 190 of FIGS. 2 to 9) for outputting infrared rays may be used.
  • the X-ray imaging apparatus 400 is provided with an X-ray irradiator 410 for generating an X-ray and irradiating it to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 the X-ray irradiator 41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400.
  • the X-ray imaging apparatus 40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180 for detecting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 the infrared sensor 18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400, for example, the X-ray irradiator 4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X-ray imaging apparatus 400 projects the projection module 420 for projecting a sample image (SI), which is an image for visual confirmation, to easily and accurately visually check the posi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 May be provided.
  • the projection module 420 is preferably located in front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400, for example, the X-ray irradiator 410 such that the image projection direc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X-ray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X-ray irradiator 410. Do.
  • the infrared sensor 180 detects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 a separate operation processor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nfrared sensor 180 and calculat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is preferably Infrared rays of at least one different wavelength band, emission pattern or shape may be emitted, and the operation processor may detec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intraoral sensor 100 for each light emitting device 190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nfrared sensor 180. By comparison, even mor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can be calculated even with infrared rays of some light emitting devices 190.
  •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rared sensor 180 is transmitted to the projection module 420, an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rojection module 420 projects the sample image SI toward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 the sample image SI is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kin in the projection direction.
  • the approximate position of the intraoral tissue to be photographed such as anterior teeth, posterior teeth, and occlus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and / 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400.
  • a separate operation processor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processor selects a sample image (SI) corresponding to a location in the oral cavity to be currently photographed from among the pre-stored sample images (SI) for each projection position. It can also be projected through.
  •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posi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located in the oral cavity through the sample image SI projected on the skin surface. Accordingly, the operator accurately positions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at a desired position while checking the sample image SI, and then operates the X-ray imaging apparatus 400 to complete X-ray imaging.
  • the posi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inserted in the oral cavity with the naked eye It can be confirmed, and thus X-ray imaging of the desired intraoral par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or mounting apparatus equipped with an intra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ensor mounting apparatus may be included in the intraoral X-ra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nsor mounting apparatus 300 assists intraoral imaging by allowing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and the X-ray imaging apparatus (see 400 in FIG. 10) to b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 This is called a tool, which is also called a cone indicator or extension cone paralleling (XCP).
  • the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es an X-ray irradiator (see 410 of FIG. 10), and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180 and / or a projection module 420 similarly to the tenth embodiment.
  • the sensor mounting apparatus 300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first mounting portion 310, in which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is mounted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and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irradiate X-rays.
  •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20 is mounted to the X-ray imaging apparatus, and the connecting portion 330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310, 320).
  • the first mounting portion 310 to which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is mounted is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311 and the one side of the first member 311 to grip and fix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It may include a second member 312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to connect the first member 31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30.
  • the second member may be a bite portion blown by the photographed person.
  • a light emitting device 190 that emits visible light or infrared light may be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first and / or second members 311 and 312. That is,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not covered by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and may be located at a closer distance from the X-ray generator than the intraoral sensor device 100.
  • visible light or infrared rays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visibl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human tissue.
  •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visible or infrared light is coupled to the intraoral sensor device or mounted on the sensor mounting device.
  • the light emitting device 190 may be singular or plural, and may represent a shape or arrangement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such as a triangle, a quadrangle, and a cross, unlike the draw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grasp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intraoral sensor device located in the oral cavity outside the oral cavity, but also the angle.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패널을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며,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구강내 센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X선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내에 삽입된 센서장치의 위치를 손쉽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X선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강 내 치아 및 주변조직의 X선 영상을 얻기 위한 구강내 X선 촬영에서 기존에는 필름을 이용한 방식이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기존의 필름 방식 대신에 디지털 방식의 센서장치를 사용하여 구강내 X선 촬영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구강내 센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센서장치의 구강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어 그 위치를 파악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로 인해, 구강내 센서장치를 수진자의 구강내 올바른 위치에 두기 위해 작업자가 계속해서 센서장치의 위치를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수진자는 입을 벌린 상태로 장시간 고통을 참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구강내에 삽입된 구강내 센서장치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센서패널을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며,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구강내 센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센서모듈의 전방면과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센서모듈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센서모듈에 탈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장치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에 대향하는 X선 발생기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와; 상기 제1 및 2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장착부에 구성되며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센서장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를 고정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장착부를 연결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장치와;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에 구비되거나,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가 장착되는 센서장착장치에 구비되며,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와; 구강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구강내 촬영 시스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장치와;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에 구비되며,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와; 상기 적외선을 검출하여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 방향으로 샘플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모듈과, X선 조사기를 구비한 X선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구강내 촬영 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내 센서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구강내 센서장치에 결합시키기거나 센서장착장치에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구강내 센서장치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에 해당되는 피부 외부 표면으로 샘플영상을 투사 및 표시하는 X선 촬영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강내 촬영시 구강 외부에서도 구강내에 위치하는 구강내 센서장치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강내 촬영시 작업자나 수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와 적외선 센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와 X선 촬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가 장착된 센서장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2는 구강내 센서장치의 전방면 즉, X선 입사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100)는, 센서모듈(110)과 발광장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모듈(110)은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과, 센서패널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패널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 각각에 광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광전변환소자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센서패널은 CMOS 기판이나 TFT 기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센서패널로서 직접변환방식이나 간접변환방식의 센서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직접변환방식의 경우에, 광전변환소자는 입사된 X선에 직접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광도전체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간접변환방식의 경우에, 센서패널에는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형광체가 구비되며, 광전변환소자는 형광체에 의해 발생된 가시광선에 반응하여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케이스는 전술한 센서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센서패널 외부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센서모듈(11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190)가 장착될 수 있다.
발광장치(190)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출사할 수 있다. 특히,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은, 피부와 같은 인체조직을 투과할 수 있을 정도의 파장이나 강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인체조직을 투과하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사용하게 되면, 구강내 센서장치(100)가 구강내에 삽입된 경우에, 발광장치(190)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은 인체조직을 투과하여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광장치(190)가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육안을 통해 즉각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발광장치(190)가 적외선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 외부의 적외선 센서(180)와 같은 별도의 적외선 검출 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적외선 센서(180)는 구강내 센서장치(100)와 함께 구강내 X선 촬영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적외선 센서(180)는 구강 내 X선 촬영을 위해 구강 외부에서 구강내 센서장치(100)를 향해 X선을 조사하는 X선 촬영장치에 장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구강내 X선 촬영 시스템에 대해서는 해당부분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그리고 비록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발광장치(190)가 가시광선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구강 외부의 광센서 등으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위와 같이, 발광장치(190)에서 방출된 광을 통해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광장치(190)로서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 나아가 발광장치(190)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파장대,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온/오프 주기로 이루어진 출사패턴,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형상의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출사할 수 있고, 광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는 감지된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의 파장, 출사패턴 또는 형상을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일부 발광장치(190)의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감지결과로도 보다 정확히 구강내 센서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광장치(190)의 배치에 있어, 구강 외부로의 광투과 측면을 감안하여, 센서모듈(110)의 전방면(즉, X선 입사면)과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적외선을 사용하는 발광장치(190)의 경우에는, 센서모듈(110)의 후방면(즉, X선 입사면의 반대면)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110)의 전방면 일부 또는 전면에서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발광하도록 발광장치(19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3에서는 발광장치(190)가 센서모듈(110)의 전방면 전체에 걸쳐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센서모듈(110) 전방면의 일부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제2실시예로서,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110)의 측면에 발광장치(19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발광장치(190)가 센서모듈(110)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에서는 센서모듈(110)의 측면 모서리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발광장치(190)는 센서모듈(11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100)는 센서모듈(110)과, 센서모듈(110)에 탈부착되는 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200)에 발광장치(190)가 구성될 수 있다.
커버(200)는 연질의 특성을 가지며 센서모듈(11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110)의 적어도 하나의 외곽을 감싸며 센서모듈(110)의 상면 및 하면을 외부로 노출하는 개구(201)가 정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서는 커버(200)가 센서모듈(110)의 외곽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서, 평면적으로 볼 때 일측이 외부로 개방된 테두리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버(20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센서모듈(100)의 대응되는 외곽을 감쌀 수 있도록 개구(201)를 향한 일 측면이 외측 방향으로 요입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센서모듈(110)은 커버(200)의 요입된 내부로 삽입되어 커버(200)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커버(200)의 적어도 일부에는 발광장치(19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커버(200)는 발광장치(190)가 발생시키는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발광장치(190)가 가시광선을 출사할 경우 가시광선 투과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외선을 출사할 경우 적외선 투과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커버(200)에 발광장치(190)가 구비됨에 따라, 커버(200)를 센서모듈(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구강내 센서장치(100)를 구강내에 삽입하게 되면, 발광장치(190)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은 인체조직을 투과하여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커버(200)의 다른 예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110)의 외곽 뿐만 아니라 상면 및 하면을 모두 덮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의 커버(200)는 도 7의 커버(200)의 개구(201)의 상부 및 하부를 모두 덮는 형태로서, 센서모듈(110)이 삽입되는 일측이 입구를 갖는 포켓(pocke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200)에는 센서모듈(11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02)이 정의된다.
이와 같은 도 8의 커버(200)에 대해서도, 적어도 일부에 발광장치(19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장치(190)는 센서패널(110)의 전방이나 측방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8에서는, 도 7과 유사하게, 센세패널(110)의 측방에 발광장치(190)가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커버(200)의 또 다른 예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110)의 외곽 뿐만 아니라 하면(즉, X선 입사면)을 모두 덮고 상면(즉, X선 입사면의 반대면)의 가장자리를 덮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0)에는 센서모듈(11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02)이 정의된다.
이와 같은 도 9의 커버(200)에 대해서도, 적어도 일부에 발광장치(19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장치(190)는 센서패널(110)의 전방이나 측방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서는, 도 8과 유사하게 센세패널(110)의 측방에 발광장치(190)가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와 X선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구강내 X선 촬영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X선 촬영을 수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강내 센서장치(100)로서, 앞선 실시예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발광장치(도 2 내지 9의 190 참조)가 구비된 구강내 센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X선 촬영장치(400)는 X선을 발생시켜 이를 구강내 센서장치(100)에 조사하는 X선 조사기(410)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X선 조사기(410)는 X선 촬영장치(40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더욱이, X선 촬영장치(400)는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발광장치에서 발광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18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적외선 센서(180)는 X선 촬영장치(400)의 전방, 일례로 X선 조사기(410)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나아가, X선 촬영장치(400)는 구강내에 삽입된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육안 확인용 영상인 샘플 영상(SI)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모듈(4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프로젝션 모듈(420)은 영상 투사 방향이 X선 조사기(410)의 X선 조사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X선 촬영장치(400)의 전방, 일례로 X선 조사기(41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X선 촬영장치(400)를 사용한 X선 촬영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적외선 센서(180)는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발광장치에서 발광된 적외선을 검출하여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센서(180)의 감지결과를 검출하여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별도의 연산처리부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발광장치(190)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파장대, 출사패턴 또는 형상의 적외선을 출사할 수 있고, 연산처리부는 미리 저장된 발광장치(190) 별 구강내 센서(100)의 상대적 위치관계와 적외선 센서(180)의 감지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일부 발광장치(190)의 적외선으로도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180)에 의해 발생된 위치 정보는 프로젝션 모듈(420)에 전달되고 이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프로젝션 모듈(420)은 구강내 센서장치(100) 방향으로 샘플 영상(SI)을 투사하게 되며, 이에 따라 투사 방향 상의 피부 외부 표면에 샘플 영상(SI)이 표시된다. 여기서, 샘플 영상(SI)으로서는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영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위치 및/또는 X선 촬영장치(400)의 기울임 각도 등을 근거로 전치, 구치, 교합 등 현재 촬영하고자 하는 구강내조직의 대략적인 위치를 산출하는 별도의 연산처리부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산처리부는 미리 저장된 위치별 샘플 영상(SI) 중에서 현재 촬영하고자 하는 구강 내 위치에 해당하는 샘플 영상(SI)을 선택하여 프로젝션 모듈(420)을 통해 투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작업자는 피부 표면에 투사된 샘플 영상(SI)을 통해 구강내에 위치하는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위치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샘플 영상(SI)을 확인하면서 구강내 센서장치(100)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하게 되고, 그 후에 X선 촬영장치(400)를 작동시켜 X선 촬영을 완료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을 통해 검출된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피부 부위 표면에 샘플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구강내에 삽입된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원하는 구강내 부분에 대한 X선 촬영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장치가 장착된 센서장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센서장착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X선 촬영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장치(300)는 구강내 센서장치(100)와 X선 촬영장치(도 10의 400 참조)가 일직선상에 대향 배치되도록 하여 구강내 촬영을 보조하는 도구에 해당되는데, 이는 소위 콘인디케이터(cone indicator) 또는 XCP(extension cone paralleling)라고도 불리워진다. 여기서, X선 촬영장치는 X선 조사기(도 10의 410 참조)를 구비하며, 경우에 따라 제10실시예와 유사하게 적외선 센서(180) 및/또는 프로젝션 모듈(4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장착장치(300)는 구강내 센서장치(100)가 장착되며 발광장치(190)가 구성된 제1장착부(310)와, 구강내 센서장치(10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X선을 조사하는 X선 촬영장치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320)와, 제1 및 2장착부(310, 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강내 센서장치(100)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310)는, 구강내 센서장치(100)를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제1부재(311)와, 제1부재(311)의 일측에 연결되며 구강내 센서장치(10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부재(311)와 연결부(330)를 연결하는 판 형태의 제2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는 피촬영자가 입으로 부는 바이트(bite) 부 일 수 있다.
이때, 제1 및/또는 2부재(311,312)의 일측에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190)가 구성될 수 있다. 즉, 발광장치(190)는 구강내 센서장치(10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장착 가능하고, 일례로 구강내 센서장치(100)에 비해 X선 발생기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장착장치(300)에 발광장치(190)가 구비됨에 따라, 발광장치(190)에서 발생된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은 인체조직을 투과하여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내 센서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구강내 센서장치에 결합시키기거나 센서장착장치에 장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강내 촬영시 구강 외부에서도 구강내에 위치하는 구강내 센서장치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강내 촬영시 작업자나 수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발광장치(190)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도면과 달리 삼각형, 사각형, 십자 등 상하좌우의 구분이 가능한 형태 또는 배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구강 외부에서 구강내에 위치하는 구강내 센서장치의 위치 뿐만 아니라 각도 등을 더욱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센서패널을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에 결합되며,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
    를 포함하는 구강내 센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센서모듈의 전방면과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배치된 구강내 센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센서모듈에 직접 장착되는 구강내 센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센서모듈에 탈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강내 센서장치.
  5. 구강내 센서장치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에 대향하는 X선 발생기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와;
    상기 제1 및 2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장착부에 구성되며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
    를 포함하는 센서장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를 고정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장착부를 연결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센서장착장치.
  7. 구강내 센서장치와;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에 구비되거나,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가 장착되는 센서장착장치에 구비되며,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와;
    구강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를 포함하는 구강내 촬영 시스템.
  8. 구강내 센서장치와;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에 구비되며,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장치와;
    상기 적외선을 검출하여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구강내 센서장치 방향으로 샘플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 모듈과, X선 조사기를 구비한 X선 촬영장치
    를 포함하는 구강내 촬영 시스템.
PCT/KR2016/002404 2015-03-10 2016-03-10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WO201614411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57,077 US20180070896A1 (en) 2015-03-10 2016-03-10 Intraoral sensor device and intraoral x-ray imaging system using same
KR1020177028301A KR20170121294A (ko) 2015-03-10 2016-03-10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3001 2015-03-10
KR10-2015-0033001 2015-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4117A1 true WO2016144117A1 (ko) 2016-09-15

Family

ID=5688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404 WO2016144117A1 (ko) 2015-03-10 2016-03-10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070896A1 (ko)
KR (1) KR20170121294A (ko)
WO (1) WO2016144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1799B2 (en) * 2016-12-07 2020-04-28 Harris Corporation Dental image collection device providing optical alignment features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s
KR102157251B1 (ko) * 2018-03-19 2020-09-17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를 포함한 x선 촬영 시스템
EP3888532A1 (en) * 2020-04-02 2021-10-06 Koninklijke Philips N.V. Sensor positioning with removable placement track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25B1 (ko) * 2007-11-23 2010-02-10 (주)덱스코윈 휴대용 구강 촬영 장치
JP2010518974A (ja) * 2007-02-22 2010-06-03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色分けされた歯科x線位置決め装置
US20130051528A1 (en) * 2010-05-12 2013-02-28 Jean-Marc Inglese Alignment apparatus for dental intraoral radiology
US20130182829A1 (en) * 2012-01-17 2013-07-18 Aribex, Inc. Alignment systems
JP5507415B2 (ja) * 2009-12-04 2014-05-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228A (en) * 1979-06-21 1980-09-16 Indianapolis Center For Advanced Research Dental x-ray aligning system
US8908162B2 (en) * 2011-02-24 2014-12-09 Idi Dental, Inc. System for aligning a collimator and an alignment ring
US10631799B2 (en) * 2016-12-07 2020-04-28 Harris Corporation Dental image collection device providing optical alignment features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8974A (ja) * 2007-02-22 2010-06-03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色分けされた歯科x線位置決め装置
KR100941125B1 (ko) * 2007-11-23 2010-02-10 (주)덱스코윈 휴대용 구강 촬영 장치
JP5507415B2 (ja) * 2009-12-04 2014-05-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
US20130051528A1 (en) * 2010-05-12 2013-02-28 Jean-Marc Inglese Alignment apparatus for dental intraoral radiology
US20130182829A1 (en) * 2012-01-17 2013-07-18 Aribex, Inc. Alignment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294A (ko) 2017-11-01
US20180070896A1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2245A1 (ko) 3차원 구강 스캐너
JP3161866U (ja) 舌圧子装置
JP6788658B2 (ja) 着脱式放射線シールドを備えるハイブリッド型x線システム
WO2012153990A9 (ko) 엑스선 촬영장치
JP3644932B2 (ja) 歯科用カメラ
WO2016144117A1 (ko) 구강내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촬영시스템
WO2021201355A1 (ko) 치과용 포터블 엑스선 촬영장치
WO2018230800A1 (ko) 근적외선 기반 치아 진단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WO2012115372A2 (ko) 카메라가 구비된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BR112020026800A2 (pt) Dispositivo de imagiologia intraoral
WO2016064257A1 (ko) 구강 내 엑스선 촬영용 엑스선 발생장치, 가이드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엑스선 촬영 시스템
WO2017047933A1 (ko) X선 촬영장치
US20130022175A1 (en) Sealed sensor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CN102711588A (zh) 具有附加功能的用于医疗设备的辅助部件
WO2021230612A1 (ko)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KR101115408B1 (ko)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JP2507282Y2 (ja) 医療用x線画像検出装置
WO2019022361A1 (ko)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JP3650515B2 (ja) パノラマx線撮影装置用デジタルセンサカセット
WO2023013807A1 (ko)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
WO2012115370A2 (ko) 엑스선을 구강 외부에서 검출하는 구강 내 엑스선 촬영장치
WO2017090994A1 (ko) 삼차원 안면 광학 영상과 세팔로 x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세팔로 x선 영상 획득 장치
WO2016064072A1 (ko) X선 촬영장치
KR101701921B1 (ko) 구강 촬영장치
WO2015030562A1 (ko) 가시광 광학영상 및 비가시광 형광영상의 동시구현이 가능한 광대역 영상 획득투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620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57077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028301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620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