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468A -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9468A KR20190109468A KR1020197024170A KR20197024170A KR20190109468A KR 20190109468 A KR20190109468 A KR 20190109468A KR 1020197024170 A KR1020197024170 A KR 1020197024170A KR 20197024170 A KR20197024170 A KR 20197024170A KR 20190109468 A KR20190109468 A KR 20190109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ing member
- metal housing
- hole
- housing
- no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를 개시하고 하우징 조립체는 금속 하우징과 절연부재를 포함한다. 금속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끊어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끊어진 부위에 노치가 형성되며, 절연부재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 단부를 연결하고 노치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는 금속 하우징을 끊어 절연부재를 통해 그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여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 상에서 접속해제됨으로써 자기장에 대한 금속 하우징의 유도를 약화시킬 수 있어 온도 상승을 감소시켜 종래의 금속 하우징에 의해 폐루프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판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하여 발열하여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절연부재는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고 노치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여 조리기구의 외관을 확보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7년 3월 9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하는 출원번호가 201710138013.9이고 발명명칭이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인 중국특허출원과, 2017년 3월 9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하는 출원번호가 201720226072.7이고 발명명칭이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인 중국특허출원과, 2017년 3월 9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하는 출원번호가 201720226804.2이고 발명명칭이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인 중국특허출원과, 2017년 3월 9일에 중국특허청에 제출하는 출원번호가 201710138784.8이고 발명명칭이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의 전부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주방용 전기기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우징 조립체 및 이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IH 전기밥솥 등 전자기 유도 가열에 의한 조리기구에 있어서, 그의 금속 하유징은 일반적으로 끝부분 리벳 이음 방식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금속 하유징에 폐루프 회로가 형성되어 전자기 코일판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열을 발생하기 용이하여 온도가 과도하게 높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기술에 존재하는 기술과제중의 최소한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다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측면의 기술방안에 의해전자기 유도 가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에 적용되고 상기 조리기구의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끊어진부를 구비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끊어진부의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형성되는 금속 하우징과, 상기 금속 하우징의 하나의 끊어진부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끊어진부의 형성되는 노치를 덮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본 발명의 제1측면의 기술방안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는, 금속 하우징을 끊어 절연부재를 통해 그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여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 상에서 접속해제됨으로써 자기장에 대한 금속 하우징의 유도를 약화시킬 수 있어 온도 상승을 감소시켜 종래의 금속 하우징에 의해 폐루프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판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하여 발열하여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절연부재는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고 노치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여 조리기구의 외관을 확보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기술방안중의 하우징 조립체는 진일보로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걸림홀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클램핑 피스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피스가 상기 걸림홀에 맞춰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가 서로 걸리도록 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에 상기 노치에 맞추는 위치결정 리브가 설치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리브는 개수가 다수이고 다수의 상기 위치결정 리브가 상기 금속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는, 상기 금속 하우징은 삽입물이고, 상기 절연부재는 플라스틱 피이스이고, 상기 절연부재 및 상기 금속 하우징은 사출성형된 일체형 구조이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절연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관통구멍에 내장되고 및/또는, 상기 금속 하우징에 스토퍼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절연부재에 내장된다.
본 발명의 일부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개수가 상기 노치의 개수와 같고 일일이 대응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걸림홀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클램핑 피스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피스가 상기 걸림홀에 맞춰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서로 걸리도록 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는, 상기 클램핑 피스가 L형 걸림돌기이고,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홀을 관통하여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의 하나에 닿는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L형 걸림돌기는 개수가 다수이고 두 조로 나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각각 상기 노치의 양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혹은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절연부재에 위치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모두 상기 노치를 향하고, 혹은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상기 금속 하우징에 위치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모두 상기 노치를 등지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각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L형 걸림돌기의 테일부에 바브가 설치되며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의 하나에 볼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브가 상기 볼록체에 걸리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는, 상기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탄성 걸림돌기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되고, 혹은 상기 클램핑 피스는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가지는 연결 기둥과, 반경방향 관통구멍에 맞추는 스프링 코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걸림홀을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 코터는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기둥에 걸린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은 에지에 원주방향으로 상기 클램핑 피스를 보호하기 위한 플랜징이 설치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기둥이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돌출된 상기 연결 기둥의 일부분은 단면 크기가 상기 관통구멍크기보다 큰 스토퍼 돌기로 병형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의 상기 하나에 닿아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금속 하우징에 설치될 경우, 상기 연결 기둥은 중공인 연결 기둥이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에 모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체결부재는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과통하여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톱니 형상의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연결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구멍에 제한되어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에 폴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부재에 상기 폴딩 플레이트에 맞추는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절연부재를 덮어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에는 보스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연결홀의 에지에 위치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먼저 굴절되어 상기 보스를 가압하고 더 굴절되어 상기 절연부재를 가압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금속 하우징의 에지는 개구가 서로 등지는 두개의 제1트랙요홈이 굴절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의 양단부는 개구가 서로 등지는 두개의 제2트랙요홈이 굴절하게 형성되고, 두개의 상기 제1트랙요홈과 두개의 상기 제2트랙요홈은 서로 걸려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두개의 상기 제1트랙요홈의 개구가 상기 노치를 등지고 두개의 상기 제2트랙요홈의 개구가 상기 노치를 향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랙요홈과 상기 제2트랙요홈 중 하나의 자유단에 에지폴드가 설치되고 상기 에지폴드는 상기 제1트랙요홈과 상기 제2트랙요홈 중 다른 하나에 닿는 것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부 다른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개수가 다수이고, 개개의 상기 절연부재는 제1절연부재와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재와 제2절연부재는 임의의 하나의 상기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부의 양단을 연결하고 해당 끊어진부의 형성되는 상기노치를 덮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는,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의 서로 다른 측에 위치하고, 혹은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같은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피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제2절연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제1걸림홀과 적어도 하나의 제2걸림홀가 각각 설치되고 개개의 상기 플라스틱 피이스가 대응하는 하나의 상기 제1걸림홀과 상기 하나의 제2걸림홀에 맞춰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가 상기 금속 하우징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피이스는 L형 걸림돌기이고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홀과 상기 제2걸림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절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중 하나를 덮는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L형 걸림돌기는 개수가 다수이고 두 조로 나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각각 상기 노치의 양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혹은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모두 상기 노치를 향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각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L형 걸림돌기의 테일부에 바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절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중 하나에 넥 또는 볼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브가 상기 넥 내에 걸리거나 상기 볼록체에 걸린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탄성 걸림돌기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되고, 혹은 상기 클램핑 피스는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가지는 연결 기둥과, 상기 반경방향 관통구멍에 맞추는 스프링 코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제1걸림홀과 상기 제2걸림홀을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 코터는 상기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기둥에 걸린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제1관통구멍과 제2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제2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돌출된 상기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제2관통구멍의 일부분은 단면 크기가 상기 제1절연부재로보터 멀어지는 상기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제2관통구멍중의 하나의 크기보다 큰 스토퍼 돌기로 병형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1절연부재로보터 멀어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중의 하나에 닿아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제2절연부재,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금속 하우징,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제1연결홀, 제2연결홀, 제3연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상기 제1연결홀, 상기 제2연결홀, 상기 제3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제2절연부재 및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제2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접착제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에 위치결정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제1위치결정 홀과 제2위치결정 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기둥이 상기 제1위치결정 홀과 상기 제2위치결정 홀을 관통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연부재는 상기 제2절연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측면의 기술방안에 의해 하우징 조립체를 개시하여, 전자기 유도 가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에 적용되고 상기 조리기구의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위쪽에 위치하는 하우징 커버와,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에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끊어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끊어진 부위에 노치가 형성는 금속 하우징과,절연부재이고 상기 노치를 덮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차폐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의 기술방안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는, 금속 하우징을 끊어 절연한 차폐 시트를 통해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 부위를 차폐하여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 상에서 접속해제됨으로써 자기장에 대한 금속 하우징의 유도를 약화시킬 수 있어 온도 상승을 감소시켜 종래의 금속 하우징에 의해 폐루프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판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하여 발열하여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금속 하우징은 베이스와 하우징 커버에 연결되고 즉, 금속 하우징은 베이스와 하우징 커버 사이에서 위치가 한정되어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폐 시트가 금속 하우징의 노치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여 조리기구의 외관을 확보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기술방안중의 하우징 조립체는 진일보로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차폐 시트와 상기 베이스는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차폐 시트와 베이스는 일체형 구조이고, 혹은 상기 차폐 시트와 상기 하우징 커버는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차폐 시트와 상기 하우징 커버는 일체형 구조이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차폐 시트는 상기 금속 하우징에 접착되고, 혹은 상기 차폐 시트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금속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사이에 클램핑되고 상기 베이스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금속 하우징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금속 하우징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차폐 시트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내측 위치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차폐 시트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외측 위치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금속 하우징이 상기 노치 양측에 위치한 부분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의 크기에 맞추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의 외표면은 상기 금속 하우징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하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은 2mm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의 테일부 꼭대기단에 장착홈이 설치되며, 상기 노치의 개수는 하나이고 상기 노치가 상기 장착홈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홈과 연통된다.
상기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사각형이다.
본 발명의 제3측면의 기술방안에 의해 조리기구를 개시하여,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와, 상기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의 자력선이 관통할 수 있어 유도하여 발열하는 내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며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의 기술방안에 따른 조리기구는, 제1측면의 기술방안과 제2측면의 기술방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기술 방안 중 어느 하나의 모든 유익한 효과를 가지고 여기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기술방안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IH 전기밥솥 또는 IH 전기압력 솥이다.
본 발명의 기타 측면 및 장점은 하기 설명을 통하여 명확해지거나 혹은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하여 이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혹은 기타 측면 및 장점은 하기 도면을 결합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명확해지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금속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C-C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D-D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E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금속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F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G-G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H-H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15에서의 참조 부호와 부품 명칭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 하우징, 11 노치, 12 관통구멍, 13 스토퍼 돌기, 14 걸림홀, 15 단차부, 16 볼록체, 17 장착홈, 20 절연부재, 21 걸림돌기, 211 바브, 22 위치결정 리브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금속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C'-C'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D'-D'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E'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F'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G'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0는 도 2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H'-H'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I'-I'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J'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K'-K'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L'-L'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M'-M'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N'-N'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부분 구성도이다.
도 43는 도 4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O'-O'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P'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8은 도 4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49은 도 48의 Q'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R'-R'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S'-S'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5는 도 54의 T'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6은 도 5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57은 도 56의 U'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16 내지 도 57에서의 참조 부호와 부품 명칭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 하우징, 11' 노치, 12' 걸림홀, 121' 플랜징, 13' 볼록체, 14' 폴딩 플레이트, 15' 제1 트랙요홈, 16' 에지폴드, 17' 장착홈, 18' 단차부, 20' 절연부재, 21' 보스, 22' 제2 트랙요홈, 23' 위치결정 리브, 30' L형 걸림돌기, 31' 바브, 40' 탄성 걸림돌기, 50' 연결 기둥, 51' 반경방향 관통구멍, 52' 스토퍼 돌기, 60' 스프링 코터, 70' 관통구멍, 80' 리벳, 90' 연결홀
도 58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9는 도 5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60는 도 5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A''- 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1은 도 6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B''- B''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2는 도 61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4는 도 63의 D''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5는 도 63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66은 도 65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E''- E''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7은 도 6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F''- F''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9는 도 6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70은 도 6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G''- G''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1은 도 7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H''- H''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2는 도 6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73은 도 72의 I''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4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5는 도 7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76은 도 75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J''- J''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7은 도 7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K''- K''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8은 도 7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79은 도 78의 L''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0은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1은 도 8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82는 도 8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M''- M''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3은 도 8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N''- N''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4는 도 8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85는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6은 도 85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87은 도 8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O''- O''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8은 도 87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P''- P''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9는 도 87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Q''- Q''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58 내지 도 89에서의 참조 부호와 부품 명칭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 하우징, 11'' 노치, 12'' 제1걸림홀, 13'' 제2연결홀, 14'' 제1 위치결정 홀, 15''단차부, 16'' 장착홈, 17'' 제1 관통구멍, 20'' 절연부재, 21'' L형 걸림돌기, 211'' 바브, 22'' 탄성 걸림돌기, 23'' 연결 기둥, 231'' 반경방향 관통구멍, 232'' 스토퍼 돌기, 24'' 스프링 코터, 25'' 제1 연결홀, 26'' 접착제 탱크, 27'' 위치결정 기둥, 30'' 제2절연부재, 31'' 제2걸림홀, 32'' 넥, 33'' 제3연결홀, 34'' 제2 위치결정 홀, 35'' 제2 관통구멍, 40'' 리벳
도 90은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1은 도 9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92는 도 9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3은 도 9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4은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5는 도 9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96은 도 95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90 내지 도 96에서의 참조 부호와 부품 명칭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 하우징, 11''' 노치, 12''' 장착홈, 13''' 단차부, 14''' 롤 림, 20''' 차폐 시트, 30''' 베이스, 31''' 제1 스토퍼 홈, 40''' 하우징 커버, 41''' 제2 스토퍼 홈, 50''' 리벳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금속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C-C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D-D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E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금속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F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G-G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H-H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15에서의 참조 부호와 부품 명칭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 하우징, 11 노치, 12 관통구멍, 13 스토퍼 돌기, 14 걸림홀, 15 단차부, 16 볼록체, 17 장착홈, 20 절연부재, 21 걸림돌기, 211 바브, 22 위치결정 리브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금속 하우징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C'-C'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D'-D'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E'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F'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G'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0는 도 2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H'-H'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I'-I'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J'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K'-K'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L'-L'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M'-M'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N'-N'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부분 구성도이다.
도 43는 도 4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O'-O'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P'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8은 도 4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49은 도 48의 Q'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R'-R'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S'-S'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5는 도 54의 T'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6은 도 5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구성도이다.
도 57은 도 56의 U'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16 내지 도 57에서의 참조 부호와 부품 명칭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 하우징, 11' 노치, 12' 걸림홀, 121' 플랜징, 13' 볼록체, 14' 폴딩 플레이트, 15' 제1 트랙요홈, 16' 에지폴드, 17' 장착홈, 18' 단차부, 20' 절연부재, 21' 보스, 22' 제2 트랙요홈, 23' 위치결정 리브, 30' L형 걸림돌기, 31' 바브, 40' 탄성 걸림돌기, 50' 연결 기둥, 51' 반경방향 관통구멍, 52' 스토퍼 돌기, 60' 스프링 코터, 70' 관통구멍, 80' 리벳, 90' 연결홀
도 58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9는 도 5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60는 도 5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A''- 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1은 도 6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B''- B''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2는 도 61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4는 도 63의 D''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5는 도 63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66은 도 65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E''- E''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7은 도 6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F''- F''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9는 도 6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70은 도 69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G''- G''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1은 도 7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H''- H''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2는 도 68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73은 도 72의 I''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4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5는 도 7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76은 도 75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J''- J''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7은 도 7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K''- K''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8은 도 7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79은 도 78의 L''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0은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1은 도 8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82는 도 81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M''- M''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3은 도 82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N''- N''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4는 도 8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85는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6은 도 85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87은 도 86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O''- O''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8은 도 87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P''- P''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9는 도 87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를 Q''- Q'' 방향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58 내지 도 89에서의 참조 부호와 부품 명칭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 하우징, 11'' 노치, 12'' 제1걸림홀, 13'' 제2연결홀, 14'' 제1 위치결정 홀, 15''단차부, 16'' 장착홈, 17'' 제1 관통구멍, 20'' 절연부재, 21'' L형 걸림돌기, 211'' 바브, 22'' 탄성 걸림돌기, 23'' 연결 기둥, 231'' 반경방향 관통구멍, 232'' 스토퍼 돌기, 24'' 스프링 코터, 25'' 제1 연결홀, 26'' 접착제 탱크, 27'' 위치결정 기둥, 30'' 제2절연부재, 31'' 제2걸림홀, 32'' 넥, 33'' 제3연결홀, 34'' 제2 위치결정 홀, 35'' 제2 관통구멍, 40'' 리벳
도 90은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1은 도 90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92는 도 9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3은 도 9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4은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하우징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5는 도 94에 도시된 하우징 조립체가 조립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96은 도 95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90 내지 도 96에서의 참조 부호와 부품 명칭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 하우징, 11''' 노치, 12''' 장착홈, 13''' 단차부, 14''' 롤 림, 20''' 차폐 시트, 30''' 베이스, 31''' 제1 스토퍼 홈, 40''' 하우징 커버, 41''' 제2 스토퍼 홈, 50''' 리벳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 도면과 구체 실시형태를 결합시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충돌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중의 특징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 설명에 있어서 많은 세부적인 부분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 설명과 다른 기타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는 전자기 유도 가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에 적용되고 조리기구의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끊어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끊어진 부위에 노치(11)가 형성되며, 절연부재(20)는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와 연결되고 노치(11)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는, 금속 하우징(10)을 끊어 절연부재(20)를 통해 그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여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 상에서 접속해제됨으로써 자기장에 대한 금속 하우징(10)의 유도를 약화시킬 수 있어 온도 상승을 감소시켜 종래의 금속 하우징(10)에 의해 폐루프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판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하여 발열하여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절연부재(20)는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고 노치(11)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여 조리기구의 외관을 확보한다.
하나의 노치(11)가 두 개의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와 대응되기 때문에 하나의 노치(11) 측에 위치한 절연부재(20)가 이 노치(11) 측의 두 개의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조립체가 완전한 링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확보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하나의 노치(11) 측에 위치한 절연부재(20)의 개수는 하나일 수도 있고 두개(예를 들어, 금속 하우징(10)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하나의 절연부재(20)가 설치됨) 또는 두개 이상일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 도 3, 도 4,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a)은 2mm보다 크거나 같다.
도 1, 도 3, 도 4, 도 7, 도 10, 도 12,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 꼭대기단에 장착홈(17)이 설치되며, 노치(11)의 개수는 하나이고 노치(11)가 장착홈(17)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장착홈(17)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3,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는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은 2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은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작은 간격으로인해 끊어진 부위에서 스파크, 발열 등이 발생하는 상황이 방지되어 제품의 안전성과 사용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하나의 노치(11)를 통해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의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노치(11)를 설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노치(11)가 설치되면 절연부재(20)의 개수는 최소로 감소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면서도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에 설치되는 것은 한편으로는 노치(11)와 절연부재(20)가 조리기구의 흔하지 않는 부위에 설치되어 조리기구의 전체적인 미관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편으로는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에 일반적으로 힌지를 장착하거나 조리기구의 다른 구조에 적합하도록 사용되는 장착홈(17)을 구비하고, 노치(11)가 여기에 설치되면 노치(11)의 크기를 비교적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노치(11)의 실제적인 높이(b)(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을 따름)와 실제적인 폭이(a)(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라, 2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함)는 제품의 구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물론, 노치(11)의 개수는 다수일 수도 있고, 다수의 노치(11) 측을 모두 절연부재(20)로 연결하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노치(11)의 개수가 하나일 결우 금속 하우징(10)의 다른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이들 실시예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노치(11)가 사각형(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면 가공 성형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절연부재(20)와 조립하기에 편리하며 형상이 규칙하고 비교적 보기 좋다. 물론, 노치(11)는 상기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향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일일이 열거하지 않지만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절연부재(20) 및 금속 하우징(10)의 조립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도 4, 도 5,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는 하나에 걸림돌기(21)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걸림홀(14)이 설치되고, 걸림돌기(21)가 걸림홀(14)에 맞춰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가 서로 걸리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돌기(21)와 걸림홀(14)을 통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가 서로 걸리도록 하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하고 조립과정이 더 쉽고 신속하여 조립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절연부재(20)가 금속 하우징(10)의 두개의 끊어진 단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걸림돌기(21)와 걸림홀(14)은 모두 두 조인 것이 바람지하고, 도 1,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노치(11)의 양측에 위치하여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간의 연결의 신뢰성을 구현한다. 각 조의 걸림돌기(21) 중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21)의 테일부에 바브(211)가 설치되며 금속 하우징(10) 또는 절연부재(20)에 대응하게 볼록체(16)가 설치되고, 걸림돌기(21)가 걸림홀을 통과하여 바브(211)가 볼록체(16)에 걸리어 걸림돌기(21)가 걸림홀로부터 걸림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1)가 절연부재(20)에 설치되고 걸림홀(14)이 금속 하우징(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걸림돌기(21)와 걸림홀(14)의 구체적인 매칭구조는 하우징 조립체의 내부에 숨겨질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하우징 조립체의 외관이 더욱 원활하여 조리기구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키며, 한편, 절연부재(20)에 걸림홀(14)이 설치되는 방안에 비해 절연부재(20)에 클램핑 피스가 설치되면 절연부재(2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절연부재(2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물론,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는 다른 방식, 예를 들어, 체결부재(나사, 리벳 등), 접착 등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여기서 일일이 열거하지 않으며, 모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설계 사상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 1, 도 4,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20)에 노치(11)에 맞추는 위치결정 리브(22)가 설치된다.
도 1,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리브(22)는 개수가 다수이고 다수의 위치결정 리브(22)가 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절연부재(20)에 노치(11)에 맞추는 위치결정 리브(22)가 설치되는 것은 조립 시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는, 조립 시 위치결정 리브(22)가 노치(11)에 삽입되면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결정하여 위치결정의 역할을 할 수 있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예를 들어, 걸림돌기(21)와 걸림홀(14))를 신속히 맞춰 하우징 조립체의 조립 효휼을 향상시킨다.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을 관통하여 일정한 높이를 갖게 되기 때문에 다수의 위치결정 리브(22)가 설치되어 그가 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노치(11)의 다수의 부위에 맞춰 위치결정을 더 정확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위치결정 리브(22)의 높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인접한 위치결정 리브(22)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은 삽입물이고, 절연부재(20)는 플라스틱 피이스이고, 절연부재(20) 및 금속 하우징(10)은 사출성형된 일체형 구조이다.
절연부재(20)는 플라스틱 피이스이고, 플라스틱 피이스는 훌륭한 절연체로,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 상에서 접속해제되고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지 않으며, 플라스틱 피이스의 성형 공정은 간단하고 다양한 요구되는 형상들이 사출성형을 통해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기 때문에 노치(11)의 형상에 대한 요구가 낮고 제품의 구체적인 구조에 따라 다양한 합리적인 설계가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하우징(10)을 삽입물로 금형에 넣고 금형으로 액체 플라스틱을 주입하고 액체 플라스틱이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를 채워 노치(11)를 덮도록 하여 금속 하우징(10)에 점착되어 양자를 연결시키며 2차 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하면 금형에서 완전한 하우징 조립체를 성형할 수 있고 경화된 금속 하우징(10)에서의 플라스틱 부분은 절연체이다.
또한, 금속 하우징(10)에 관통구멍(12)이 설치되고, 도 10, 도 11,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20)의 일부분이 관통구멍(12)에 내장된다.
또한, 금속 하우징(10)에 스토퍼 돌기(13)가 설치되고, 도 10, 도 11,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돌기(13)가 절연부재(20)에 내장된다.
금속 하우징(10)에 관통구멍(12)이 설치되면, 성형 과정에서 액체 플라스틱이 금속 하우징(10)에 설치된 관통구멍(12)을 채울 수 있고, 액체 플라스틱이 경화된 후 액체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 절연부재(20)는 일부분의 구조가 금속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서로 내장되도록 하여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사이의 점착력을 향상시켜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일정하게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여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사이의 상대 안정성이 확보되어 하우징 조립체의 사용 신뢰성을 더 향상시킨다.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20)가 노치(11) 양측의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와 모두 연결될 수 있도록 노치(11)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12)이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 양측에 설치된 관통구멍(12)이 대칭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의 응력은 균일하며, 또한,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 양측에 모두 다수의 관통구멍(12)이 설티된 경우, 동일한 측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12)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금속 하우징(10)에 스토퍼 돌기(13)이 설치되면, 액체 플라스틱이 경화된 후 스토퍼 돌기(13)는 절연부재(20)에 내장되고 즉, 금속 하우징(10)의 일부분도 절연부재(20)에 내장되어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서로 내장되도록 하여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사이의 점착력을 향상시켜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일정하게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여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사이의 상대 안정성이 확보되어 하우징 조립체의 사용 신뢰성을 더 향상시킨다.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20)가 노치(11) 양측의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와 모두 연결될 수 있도록 노치(11)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돌기(13)가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노치(11) 양측에 설치된 스토퍼 돌기(13)가 대칭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의 응력은 균일하며, 스토퍼 돌기(13)는 관통구멍(12)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도 2,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이 노치(11) 양측에 위치한 부분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절연부재(20)의 크기에 맞추는 단차부(15)가 형성되며, 도 5, 도 8, 도 12,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20)의 외표면은 금속 하우징(10)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한다.
금속 하우징(10)에 단차부(15)가 설치되면 절연부재(20)의 외표면은 금속 하우징(10)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할 수 있어 하우징 조립체의 미관을 향상시켜 조리기구의 품격를 향상시킨다.
도 16 내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20)의 개수는 상기 노치의 개수와 같고 일일이 대응한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하우징(10')을 끊어 절연부재(20')를 통해 그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여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 상에서 접속해제됨으로써 자기장에 대한 금속 하우징(10)'의 유도를 약화시킬 수 있어 온도 상승을 감소시켜 종래의 금속 하우징(10')에 의해 폐루프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판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하여 발열하여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절연부재(20')는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고 노치(11')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여 조리기구의 외관을 확보하며, 또한, 절연부재(20')의 개수는 노치(11')의 개수와 같고 일일이 대응하고, 즉 하나의 노치(11')에 하나의 절연부재(20')가 설치됨으로써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면서 절연부재(20')의 개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원가가 절감되면서도 조립 효율이 향상된다.
하나의 노치(11')가 두 개의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와 대응되기 때문에 하나의 노치(11') 측에 위치한 절연부재(20')가 이 노치(11') 측의 두 개의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조립체가 완전한 링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확보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절연부재(20')의 개수가 노치의 개수와 같고 일일이 대응하는 경우에 절연부재(20')및 금속 하우징(10')의 조립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3(도 16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는 하나에 걸림홀(12')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클램핑 피스가 설치되고, 클램핑 피스가 걸림홀(12')에 맞춰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서로 걸리도록 한다.
여기서, 클램핑 피스는 L형 걸림돌기(30')이고, L형 걸림돌기(30')는 걸림홀(12')을 관통하여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중의 하나에 닿는다.
클램핑 피스와 걸림홀(12')을 통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가 서로 걸리도록 하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하고 조립과정이 더 쉽고 신속하여 조립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절연부재(20')가 금속 하우징(10')의 두개의 끊어진 단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클램핑 피스와 걸림홀(12')은 모두 두 조이고, 각각 노치(11')의 양측에 위치하여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간의 연결의 신뢰성을 구현한다.
여기서, 클램핑 피스는 L형 걸림돌기(30')이고, 즉 클램핑 피스가 단방향 후크 형사으로 되고 장착 시, 먼저 L형 걸림돌기(30')가 걸림홀(12')을 과통하고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된 후, L형 걸림돌기(30')의 절곡 방향으로 L형 걸림돌기(30')를 걸림돌기의 일단이 걸림홀(12')의 홀 벽에 닿을 때까지 밀어주며, 이때, 걸림돌기의 타단은 금속 하우징(10') 또는 절연부재(20')에 닿아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사이에서 걸려 연결을 구현한다.
L형 걸림돌기(30')는 개수가 다수이고 두 조로 나뉘고, 두 조의 L형 걸림돌기(30')가 각각 노치(11')의 양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두 조의 L형 걸림돌기(30')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혹은 L형 걸림돌기(30')가 절연부재(20')에 위치하고 두 조의 L형 걸림돌기(30')가 모두 노치(11')를 향하고, 혹은 L형 걸림돌기(30')가 금속 하우징(10')에 위치하고 두 조의 L형 걸림돌기(30')가 모두 노치(11')를 등진다.
L형 걸림돌기(30')는 개수가 다수이고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사이의 연결이 더욱 확보될 수 있으며, 두 조의 L형 걸림돌기(30')가 동일한 방향(예를 들어, 모두 상향, 하향, 좌향, 우향 등)을 향하여 L형 걸림돌기(30')가 같이 조립되기 편리하여 한꺼번에 장착되도록 한다. L형 걸림돌기(30')가 절연부재(20')에 위치한 경우 두 조의 L형 걸림돌기(30')가 모두 노치(11')를 향하고, 즉 두 조의 L형 걸림돌기(30')가 서로 대향하면 조립 시 금속 하우징(10')의 두개의 끊어진 단부는 양측으로 벌어진 추세를 가지고 L형 걸림돌기(30')의 이탈 방향과 반대 (두개의 끊어진 단부가 서로 접근한 경우에만 L형 걸림돌기(30')는 이탈된다)되기 때문에 L형 걸림돌기(30')가 걸림홀(12')에서 이탈되기 어려워 연결이 더욱 튼튼하며, 마찬가지로, L형 걸림돌기(30')가 금속 하우징(10')에 위치한 경우, 두 조의 L형 걸림돌기(30')가 모두 노치(11')을 등지고 즉, 두 조의 L형 걸림돌기(30')가 반대 방향을 향하면 조립 시 금속 하우징(10')의 두개의 끊어진 단부는 양측으로 벌어진 추세를 가지고 L형 걸림돌기(30')의 이탈 방향과 반대 (두개의 끊어진 단부가 서로 접근한 경우에만 L형 걸림돌기(30')는 이탈된다)되기 때문에 L형 걸림돌기(30')가 걸림홀(12')에서 이탈되기 어려워 안정적인 연결을 구현한다.
각 조의 L형 걸림돌기(30') 중 적어도 하나의 L형 걸림돌기(30')의 테일부에 바브(31')가 설치되며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중의 하나에 볼록체(13')가 설치되고, 바브(31')가 볼록체(13')에 걸린다.
바브(31')는 볼록체(13')에 맞춰 L형 걸림돌기(30')에 대해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여 L형 걸림돌기(30')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절연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의 안정적인 연결이 확보된다.
실시예 4(도 25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비해, 걸림홀(12')은 에지에 원주방향으로 클램핑 피스를 보호하기 위한 플랜징(121')이 설치된다.
걸림홀(12')이 금속 하우징(10')에 설치되는 실시예는, 걸림홀(12')의 에지에 원주방향으로 플랜징(121')이 설치되어 걸림홀(12')의 깊이를 증가시켜 걸림홀(12') 측이 얇아서 날카로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하락과정에서 금속 하우징(10')이 절연부재(20')의 클램핑 피스를 베는 것을 방지하여 클램핑 피스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예 5(도 27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비해,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40')를 포함하고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40')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된다.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40')를 포함하고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40')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되면 장착시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40')가 걸림홀(12')의 측벽에 의해 압축하여 서로 접근하여 탄성 컬럼 돌기의 직경이 작아지며,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될 때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40')의 탄부가 걸림홀(12')에 돌출되고 변형을 복원하여 탄성 컬럼 돌기의 직경이 걸림홀(12')보다 크고 금속 하우징(10')에 걸려 금속 하우징(10')이 긴밀히 결려 절연부재(20')와의 결합을 구현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신속하다.
실시예 6(도 32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비해, 클램핑 피스는 반경방향 관통구멍(51')을 가지는 연결 기둥(50')과, 반경방향 관통구멍(51')에 맞추는 스프링 코터(60')를 포함하고, 여기서, 연결 기둥(50')은 걸림홀(12')을 관통하고 스프링 코터(60')는 반경방향 관통구멍(51')을 관통하여 연결 기둥(50')에 걸린다.
클램핑 피스는 연결 기둥(50')과 스프링 코터(60')를 포함하고, 연결 기둥(50')에 반경방향 관통구멍(51')이 설치되고, 장착 시 먼저 연결 기둥(50')이 관통구멍(70')을 관통시키고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된 후, 스프링 코터(60')가 반경방향 관통구멍(51')을 관통시키면 스프링 코터(60')가 연결 기둥(50')에 걸려 연결 기둥(50')이 관통구멍(7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이 결합된 것을 구현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신속하다.
상기 4 개의 실시예(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에 있어서, 클램핑 피스가 절연부재(20')에 설치되고 걸림홀(12')이 금속 하우징(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클램핑 피스와 걸림홀(12')의 구체적인 매칭구조는 하우징 조립체의 내부에 숨겨질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하우징 조립체의 외관이 더욱 원활하여 조리기구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키며, 한편, 절연부재(20')에 걸림홀(12')이 설치되는 방안에 비해 절연부재(20')에 클램핑 피스가 설치되면 절연부재(2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절연부재(2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실시예 7(도 37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에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절연부재(20')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기둥(50')이 설치되고, 여기서, 연결 기둥(50')이 관통구멍(70')을 관통하고 관통구멍(70')에 돌출된 연결 기둥(50')의 일부분은 단면 크기가 관통구멍(70') 크기보다 큰 스토퍼 돌기(52')로 병형되고 스토퍼 돌기(52')가 금속 하우징(10')에 닿아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고정되어 연결된다.
금속 하우징(10')에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절연부재(20')에 연결 기둥(50')이 설치되고, 장착 시 먼저 연결 기둥(50')이 관통구멍(70')을 관통하고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된 후 열용접 공정 또는 초음파 용접 공정 등으로 관통구멍(70')에 도출된 연결 기둥(50')의 일부분이 금속 하우징(10')에 접근하도록 평평하게 용접되며, 냉각된 후 관통구멍(70')에 도출된 연결 기둥(50')의 일부분이 스토퍼 돌기(52')로 형성되고 스토퍼 돌기(52')의 크기가 관통구멍(70')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금속 하우징(10')이 긴밀히 결려 금속 하우징(10')에 닿을 수 있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한다.
실시예 8(도 41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20')에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금속 하우징(10')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기둥(50')이 설치되고, 여기서, 연결 기둥(50')이 관통구멍(70')을 관통하고 관통구멍(70')에 돌출된 연결 기둥(50')의 일부분은 단면 크기가 관통구멍(70') 크기보다 큰 스토퍼 돌기(52')로 병형되고 스토퍼 돌기(52')가 절연부재(20')에 닿아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고정되어 연결된다.
연결 기둥(50')은 중공인 연결 기둥(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부재(20')에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금속 하우징(10')에 연결 기둥(50')이 설치되고, 장착 시 먼저 연결 기둥(50')이 관통구멍(70')을 관통하고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된 후 프레스 또는 기타 수단으로 관통구멍(70')에 도출된 연결 기둥(50')의 일부분이 평평하게 압축되거나 스탬핑 변형되어 관통구멍(70')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스토퍼 돌기(52')로 형성되면 스토퍼 돌기(52')는 절연부재(20')가 긴밀히 결리도록 절연부재(20')에 닿아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가 안정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 기둥(50')이 금속 하우징(10')에 설치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기둥(50')이 중공으로 설치되는 것은 중공의 금속 연결 기둥(50')이 실심의 금속 연결 기둥(50')보다 소성 변형이 발생하기 더 용이하기 때문이고 따라서 가공 난이도를 낮추고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9(도 44 내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에 모두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구멍(70')을 관통하여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 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한다.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에 모두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관통구멍(70')을 관통하여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하나로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신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결부재는 나사, 리벳 등의 단일 부품일 수도 있고 나사 및 암나사, 샛기둥 및 암나사 등의 조합 부품일 수도 있고, 여기서 일일이 열거하지 않다.
실시예 10(도 46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는 하나에 톱니 형상의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연결 기둥(50')이 설치되고, 연결 기둥(50')은 관통구멍(70')을 관통하여 관통구멍(70')에 제한되어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금속 하우징(10')에 톱니 형상의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절연부재(20')에 연결 기둥(50')(중공이나 실심)이 설치되고, 먼저 연결 기둥(50')이 관통구멍(70')을 관통하고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된 후 톱니 형상의 판금의 예리한 에지와 절연부재(20')에 형성된 연결 기둥(50')의 억지 끼워맞춤 및/또는 톱니 형상의 판금과 연결 기둥(50')(중공)의 탄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예비하중을 이용하여 절연부재(20')가 긴밀히 결리고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가 서로 맞춰 안정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혹은, 금속 하우징(10')에 연결 기둥(50')이 설치되고, 절연부재(20')에 톱니 형상의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먼저 연결 기둥(50')이 관통구멍(70')을 관통하고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된 후 연결 기둥(50')과 관통구멍(70')의 억지 끼워맞춤 및/또는 절연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70')의 탄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예비하중을 이용하여 절연부재(20')가 긴밀히 결리고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가 서로 맞춰 안정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금속 하우징(10')에 톱니 형상의 관통구멍(70')이 설치되고, 절연부재(20')에 연결 기둥(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연결 기둥(50')과 관통구멍(70')의 구체적인 매칭구조는 하우징 조립체의 내부에 숨겨질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하우징 조립체의 외관이 더욱 원활하여 조리기구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키며, 한편, 절연부재(20')에 관통구멍(70')이 설치되는 방안에 비해 절연부재(20')에 연결 기둥(50')이 설치되면 절연부재(2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절연부재(2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실시예 11(도 50 내지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에 폴딩 플레이트 (14')가 설치되고 절연부재(20')에 폴딩 플레이트 (14')에 맞추는 연결홀(90')이 설치되고 폴딩 플레이트 (14')는 연결홀(90')을 관통하여 절연부재(20')를 덮어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절연부재(20')에는 보스(21')가 더 설치되고 보스(21')는 연결홀(90')의 에지에 위치하고 폴딩 플레이트(14')는 먼저 굴절되어 보스(21')를 가압하고 더 굴절되어 절연부재(20') 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하우징(10')에 폴딩 플레이트(14')가 설치되고 절연부재(20')에 연결홀(90')이 설치되고, 먼저 폴딩 플레이트(14')가 연결홀(90')을 관통하고 폴딩 플레이트(14')가 굴절되어 절연부재(20')를 덮으면 폴딩 플레이트(14')가 L형 걸림돌기(30')로 형성되어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한다.
연결홀(90')의 에지에 보스(21')가 설치되고 폴딩 플레이트(14')가 먼저 굴절되어 보스(21')를 덮고 더 굴절되어 절연부재(20')를 덮으면 L형 폴딩 플레이트(14')가 절연부재(20')에서 내부로 커버되는 구조를 형성하며, 한편으로는 폴딩 플레이트(14')가 사용자를 베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스(21')가 폴딩 플레이트(14')에 대해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며, 폴딩 플레이트(14')가 이동하는 확률을 낮춰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하는 것을 더 확보한다.
실시예 12(도 54 내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의 양측에 위치한 금속 하우징(10')의 에지는 개구가 서로 등지는 두개의 제1트랙요홈(15')을 굴절하게 형성하고 절연부재(20')의 양단부는 개구가 서로 등지는 두개의 제2트랙요홈(22')을 굴절하게 형성하고, 두개의 제1트랙요홈(15')과 두개의 제2트랙요홈(22')은 서로 걸려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두개의 제1트랙요홈(15')의 개구가 노치(11')를 등지고 두개의 제2트랙요홈(22')의 개구가 노치(11')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트랙요홈(15')과 제2트랙요홈(22') 중 하나의 자유단에 에지폴드(16')가 설치되고 에지폴드(16')는 제1트랙요홈(15')과 제2트랙요홈(22') 중 다른 하나에 닿는다.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는 두개의 제1트랙요홈(15')이 굴절하게 형성되고, 절연부재(20')의 양단은 두개의 제2트랙요홈(22')이 굴절하게 형성되고, 제1트랙요홈(15')과 제2트랙요홈(22')의 횡단면은 모두 대략 n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걸리고, 즉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가 안정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부재(20')가 금속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금속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트랙요홈(15')의 개구가 노치(11')를 등지고 제2트랙요홈(22')의 개구가 노치(11')를 향하면 구조는 더 간단하고 두개의 제2트랙요홈(22')은 마주하여 마주하는 두개의 L형 걸림돌기(30')의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에 대해 모으는 역할을 일정하게 수행하여 연결의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트랙요홈(15')과 제2트랙요홈(22') 중 하나의 자유단에 에지폴드(16')가 더 설치되면 에지폴드(16')는 다른 랙요홈의 내측 벽면에 닿아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여 제1트랙요홈(15')과 제2트랙요홈(22')의 이탈을 방지하여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의 연결 신뢰성을 더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2에 있어서, 도 16, 도 18,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a')은 2mm보다 크거나 같다.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a')은 2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은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작은 간격으로 인해 끊어진 부위에서 스파크, 발열 등이 발생하는 상황이 방지되어 제품의 안전성과 사용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2에 있어서, 도 16 내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 꼭대기단에 장착홈(17')이 설치되며, 노치(11')의 개수는 하나이고 노치(11')가 장착홈(17')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장착홈(17')과 연통된다.
하나의 노치(11')를 통해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의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노치(11')를 설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노치(11')가 설치되면 절연부재(20')의 개수는 최소로 감소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면서도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에 설치되는 것은 한편으로는 노치(11')와 절연부재(20')가 조리기구의 흔하지 않는 부위에 설치되어 조리기구의 전체적인 미관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편으로는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에 일반적으로 힌지를 장착하거나 조리기구의 다른 구조에 적합하도록 사용되는 장착홈(17')을 구비하고, 노치(11')가 여기에 설치되면 노치(11')의 크기를 비교적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노치(11')의 실제적인 높이(b')(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을 따름)와 실제적인 폭이(a')(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라, 2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함)는 제품의 구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물론, 노치(11')의 개수는 다수일 수도 있고, 다수의 노치(11') 측을 모두 절연부재(20')로 연결하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노치(11')의 개수가 하나일 결우 금속 하우징(10')의 다른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이들 실시예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2에 있어서, 도 16 내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노치(11')가 사각형(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면 가공 성형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절연부재(20')와의 조립이 편리하며 형상이 규칙하고 비교적 보기 좋다. 물론, 노치(11')는 상기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향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일일이 열거하지 않지만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2에 있어서, 도 16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20')에 노치(11')에 맞추는 위치결정 리브(23')가 설치된다.
절연부재(20')에 노치(11')에 맞추는 위치결정 리브(23')가 설치되는 것은 조립 시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는, 조립 시 위치결정 리브(23')가 노치(11')에 삽입되면 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결정하여 위치결정의 역할을 할 수 있어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20')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예를 들어, 걸림돌기와 걸림홀(12'))를 신속히 맞춰 하우징 조립체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킨다.
위치결정 리브(23')는 개수가 다수이고 다수의 위치결정 리브(23')는 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분포한다.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을 관통하여 일정한 높이를 갖게 되기 때문에 다수의 위치결정 리브(23')가 설치되어 그가 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노치(11')의 다수의 부위에 맞춰 위치결정을 더 정확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위치결정 리브(23')의 높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인접한 위치결정 리브(23')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0에 있어서, 도 16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이 노치(11') 양측에 위치한 부분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절연부재(20')의 크기에 맞추는 단차부(18')가 형성되며, 절연부재(20')의 외표면은 금속 하우징(10')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한다.
금속 하우징(10')에 단차부(18')가 설치되면 절연부재(20')의 외표면과 금속 하우징(10')의 외표면이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할 수 있어 하우징 조립체의 미관을 향상시켜 조리기구의 품위를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2에 있어서, 절연부재(20')를 두개 또는 두개 이상으로 나누고 금속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즉 하나의 절연부재(20')는 금속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서브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이 기술 방안은 본 발명의 설계 사상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58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개수는 다수이며 다수의 상기 절연부재는 제1절연부재와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재와 제2절연부재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노치를 덮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하우징(10'')을 끊어 절연부재(20)를 통해 그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여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 상에서 접속해제됨으로써 자기장에 대한 금속 하우징(10'')의 유도를 약화시킬 수 있어 온도 상승을 감소시켜 종래의 금속 하우징(10'')에 의해 폐루프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판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하여 발열하여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두개의 절연부재는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고 노치(11'')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여 조리기구의 외관을 확보하며, 또한, 하나의 노치(11'') 측에 두개의 절연부재가 장착하고 두개의 절연부재는 노치(11'')에 대해 더블 커버리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며 금속 하우징(10'')과의 더블 연결을 구현하여 하우징 조립체의 강도를 확보한다.
하나의 노치(11'')가 두 개의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와 대응되기 때문에 하나의 노치(11'') 측에 위치한 절연부재가 이 노치(11'') 측의 두 개의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조립체가 완전한 링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확보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도 58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부재(20'')와 제2절연부재(30'')는 금속 하우징(10'')의 내측과 외측의 서로 다른 측에 선택적으로 위치한다.
선택적으로는, 제1절연부재(20'')와 제2절연부재(30'')는 금속 하우징(10'')의 같은 측에 위치하고 제2절연부재(30'')는 제1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사이에 위치한다.
제1절연부재(20'')와 제2절연부재(30'')는 금속 하우징(10'')의 내측과 외측의 서로 다른 측에 위치하고, 즉 두개의 절연부재는 금속 하우징(1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구체적으로는, 제1절연부재(20'')는 내측에, 제2절연부재(30'')는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1절연부재(20'')는 외측에, 제2절연부재(30'')는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두개의 절연부재는 내측과 외측으로부터 노치(11'')를 각각 덮고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에 연결되어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과 강도를 더욱 확보하며 두개의 절연부재가 노치(11'')의 같은 측에 위치하여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두개의 절연부재는 금속 하우징(10'')의 같은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즉 모두 금속 하우징(10'')의 내측에, 혹은 모두 금속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개의 절연부재가 모두 금속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할 경우, 제1절연부재(20'')가 가장 내측에 위치하여 제2절연부재(30'')가 제1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보하며, 두개의 절연부재가 모두 금속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제1절연부재(20'')가 가장 외측에 위치하여 제2절연부재(30'')가 제1절연부재(20'')와 금속 하우징(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보한다.
이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금속 하우징(10''), 제1절연부재(20'') 및 제2절연부재(30'')의 조립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3(도 58 내지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부재(20'')에 플라스틱 피이스가 설치되고 금속 하우징(10'')과 제2절연부재(30'')에 제1걸림홀(12'')과 제2걸림홀(31'')가 각각 설치되고 플라스틱 피이스가 제1걸림홀(12'')과 제2걸림홀(31'')에 맞춰 제1절연부재(20'')와 제2절연부재(30'')가 금속 하우징(10'')에 걸리도록 한다.
여기서, 플라스틱 피이스는 L형 걸림돌기(21'')이고 L형 걸림돌기(21'')가 제1걸림홀(12'')과 제2걸림홀(31'')을 관통하여 제1절연부재(20'')로부터 멀어지는 금속 하우징(10'')과 제2절연부재(30'') 중 하나를 덮는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피이스가 제1걸림홀(12'')과 제2걸림홀(31'')에 맞춰 금속 하우징(10'')이 두 개의 절연부재에 걸리도록하면 금속 하우징(10'')과 두 개의 절연부재 사이의 고정연결을 확보하면서도 조립과정이 더 쉽고 신속하여 조립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두개의 끊어진 단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클램핑 피스와 걸림홀은 모두 두 조이고, 각각 노치(11'')의 양측에 위치하여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 간의 연결의 신뢰성을 구현한다.
구채적으로는, 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같은 측에 위치하는 실시예는, 클램핑 피스가 먼저 제2절연부재(30'')에 형성된 제2걸림홀(31'')을 관통하고 금속 하우징(10'')에 형성된 제1걸림홀(12'')을 관통하며, 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하는 실시예는, 클램핑 피스가 먼저 금속 하우징(10'')에 형성된 제1걸림홀(12'')을 관통하고 제2절연부재(30'')에 형성된 제1걸림홀(12'')을 관통한다.
클램핑 피스는 L형 걸림돌기(21'')이고, 즉 클램핑 피스가 단방향 후크 형사으로 되고 장착 시, 먼저 L형 걸림돌기(21'')가 제1걸림홀(12'')과 제2걸림홀(31'')을 과통하고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된 후, L형 걸림돌기(21'')의 절곡 방향으로 L형 걸림돌기(21'')를 L형 걸림돌기(21'')의 일단이 걸림홀의 홀 벽에 닿을 때까지 밀어주며, 이때, L형 걸림돌기(21'')의 타단은 금속 하우징(10'')(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같은 측에 위치할 경우) 또는 제2절연부재(30'')(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할 경우)에 닿아 금속 하우징(10'')과 두개의 절연부재 사이에서 걸려 연결을 구현한다.
또한, L형 걸림돌기(21'')는 개수가 다수이고 두 조로 나뉘고, 두 조의 L형 걸림돌기(21'')가 각각 노치(11')의 양측에 위치하며, 도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두 조의 L형 걸림돌기(21'')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혹은 두 조의 L형 걸림돌기(21'')가 모두 노치(11')를 향한다.
L형 걸림돌기(21'')는 개수가 다수이고 금속 하우징(10'')과 두개의 절연부재 사이의 연결이 더욱 확보될 수 있으며, 두 조의 L형 걸림돌기(21'')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예를 들어, 모두 상향, 하향, 좌향, 우향 등과 같이 모든 L형 걸림돌기(21'')가 같이 조립되기 편리하여 한꺼번에 장착되도록 한다. 두 조의 L형 걸림돌기(21'')가 모두 노치(11'')를 향하고, 즉 두 조의 L형 걸림돌기(21'')가 서로 대향하면 조립 시 금속 하우징(10'')의 두개의 끊어진 단부는 양측으로 벌어진 추세를 가지고 L형 걸림돌기(21'')의 이탈 방향과 반대 (두개의 끊어진 단부가 서로 접근한 경우에만 L형 걸림돌기(21'')는 이탈된다)되기 때문에 L형 걸림돌기(21'')가 걸림홀에서 이탈되기 어려워 연결이 더욱 튼튼하다.
각 조의 L형 걸림돌기(21'') 중 적어도 하나의 L형 걸림돌기(21'')의 테일부에 바브(211'')가 설치되며 제1절연부재(20'')로부터 멀어지는 금속 하우징(10'')과 제2절연부재(30'') 중 하나에 넥(32'')(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볼록체가 설치되고 바브(21'')가 넥(32'') 내에 걸리거나 볼록체(13')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브(211'')는 넥(32'') 또는 볼록체에 맞춰 L형 걸림돌기(21'')에 대해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여 L형 걸림돌기(21'')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절연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 하우징(10'')과 절연부재의 안정적인 연결이 확보된다.
실시예 14(도 63 내지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 비해,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22'')를 포함하고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22'')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된다.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22'')를 포함하고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22'')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되면 장착시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22'')가 두개의 걸림홀의 측벽에 의해 압축하여 서로 접근하여 탄성 컬럼 돌기의 직경이 작아지며,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될 때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22'')의 탄부가 두개의 걸림홀에 돌출되고 변형을 복원하여 탄성 컬럼 돌기의 직경이 두개의 걸림홀보다 크고 금속 하우징(10'')(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같은 측에 위치할 경우) 또는 제2절연부재(30'')(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할 경우)에 걸려 금속 하우징(10'')이 긴밀히 결려 두개의 절연부재와의 결합을 구현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신속하다.
실시예 15(도 68 내지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 비해,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피스는 반경방향 관통구멍(231'')을 가지는 연결 기둥(23'')과, 반경방향 관통구멍(231'')에 맞추는 스프링 코터(24'')를 포함하고, 여기서, 도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기둥(23'')은 제1걸림홀(12'')과 제2걸림홀(31'')을 관통하고 스프링 코터(24'')는 반경방향 관통구멍(231'')을 관통하여 연결 기둥(23'')에 걸린다.
클램핑 피스는 연결 기둥(23'')과 스프링 코터(24'')를 포함하고, 연결 기둥(23'')에 반경방향 관통구멍(231'')이 설치되고, 장착 시 먼저 연결 기둥(23'')이 제1걸림홀(12'')과 제2걸림홀(31'')을 관통시키고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된 후, 스프링 코터(24'')가 반경방향 관통구멍(231'')을 관통시키면 스프링 코터(24'')가 연결 기둥(23'')에 걸려 연결 기둥(23'')이 두개의 걸림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 하우징(10'')과 두개의 절연부재이 결합된 것을 구현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신속하다.
실시예 16(도 74 내지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부재(20'')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기둥(23'')이 설치되고, 금속 하우징(10'')과 제2절연부재(30'')에 제1관통구멍(17'')과 제2관통구멍(35'')이 각각 설치되고 여기서, 연결 기둥(23'')이 제1관통구멍(17'')과 제2관통구멍(35'')을 관통하고 관통구멍(23'')에 돌출된 제1관통구멍(17'')과 제2관통구멍(35'')의 일부분은 단면 크기가 제1절연부재(20'')로보터 멀어지는 제1관통구멍(17'')과 제2관통구멍(35'')중의 하나의 크기보다 큰 스토퍼 돌기(232'')로 병형되고 도 78과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돌기(232'')가 제1절연부재(20'')로보터 멀어지는 금속 하우징(10'')과 제2절연부재(30'') 중의 하나에 닿아 제1절연부재(20''), 제2절연부재(30''),금속 하우징(10'')이 고정되어 연결된다.
제1절연부재(20'')에 연결 기둥(23'')이 설치되고, 금속 하우징(10'')과 제2절연부재(30'')에 제1관통구멍(17'')과 제2관통구멍(35'')이 각각 설치되고 장착 시, 먼저 연결 기둥(23'')이 제1관통구멍(17'')과 제2관통구멍(35'')을 관통하고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이 결합된 후 열용접 공정 또는 초음파 용접 공정 등으로 두개의 관통구멍에 도출된 연결 기둥(23'')의 일부분이 금속 하우징(10'') 또는 제2절연부재에 접근하도록 평평하게 용접되며, 냉각된 후 두개의 관통구멍에 도출된 연결 기둥(23'')의 일부분이 스토퍼 돌기(232'')로 형성되고 스토퍼 돌기(232'')의 크기가 관통구멍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금속 하우징(10'') 또는 제2절연부재에 닿을 수 있어 금속 하우징(10'')이 긴밀히 결려 금속 하우징(10'')과 두개의 절연부재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는, 두개의 관통구멍이 금속 하우징(10'')의 같은 측에 위치할 경우, 연결 기둥(23'')이 먼저 제2절연부재(30'')에 형성된 제2관통구멍(35'')을 관통하고 금속 하우징(10'')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17'')을 관통하고 최종으로 형성된 스토퍼 돌기(232'')의 크기가 제1관통구멍(17'')의 크기보다 커서 스토퍼 돌기(232'')가 금속 하우징(10'')에 닿도록 하여 금속 하우징(10'')과 두개의 절연부재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하며, 두개의 관통구멍이 금속 하우징(10'')의 다른 측에 위치할 경우, 연결 기둥(23'')이 먼저 금속 하우징(10'')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17'')을 관통하고 제2절연부재(30'')에 형성된 제2관통구멍(35'')을 관통하고 최종으로 형성된 스토퍼 돌기(232'')의 크기가 제2관통구멍(35'')의 크기보다 커서 스토퍼 돌기(232'')가 제2절연부재(30'')에 닿도록 하여 금속 하우징(10'')과 두개의 절연부재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한다.
실시예 17(도 80 내지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0, 도 83, 도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부재(20''), 금속 하우징(10''), 제2절연부재(30'')에 제1연결홀(25''), 제2연결홀(13''), 제3연결홀(33'')이 각각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제1연결홀(25''), 제2연결홀(13''), 제3연결홀(33'')을 관통하여 제1절연부재(20''), 제2절연부재(30'')와 금속 하우징(10'')이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에 모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이 하나로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신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결부재는 나사, 리벳(40'') 등의 단일 부품일 수도 있고 나사 및 암나사, 샛기둥 및 암나사 등의 조합 부품일 수도 있고, 여기서 일일이 열거하지 않다.
실시예 18(도 85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5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부재(20'')와 제2절연부재(30'')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 탱크(26'')가 설치되고 제1절연부재(20''), 제2절연부재(30'')와 금속 하우징(10'')이 접착제를 통해 연결된다.
제1절연부재(20'')에 위치결정 기둥(2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85와 도 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과 제2절연부재(30'')에 제1위치결정 홀(14'')과 제2위치결정 홀(34'')가 각각 설치되고 위치결정 기둥(27'')이 제1위치결정 홀(14'')과 제2위치결정 홀(34'')을 관통한다.
접착 방식을 통해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간의 고정연결을 구현할 수 있고, 가격이 낮고 조립이 편리하며, 접착제 탱크(26'')가 설치됨으로써 접착강도를 확보하도록 접착제가 총분히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확보하면서도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을 하나로 긴밀히 접착하기 편리하여 틈이 생기거나 접착제가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같은 측에 위치할 경우, 두개의 절연부재는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고 제2절연부재(30'')와 금속 하우징(10'')도 접착제를 통해 하나로 접착되며, 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다른 측에 위치할 경우, 접착제 탱크(26'')는 노치(11'')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하나의 절연부재에만 접착제 탱크(26'')가 설치될 수 있어 접착제를 통해 3개의 부품이 하나로 접착되는 것을 확보한다.
제1절연부재(20'')에 형성된 위치결정 기둥(27'')이 제1위치결정 홀(14'')과 제2위치결정 홀(34'')을 관통한후 한편으로는 3개의 부품에 대해 위치결정의 역할을 수행하여 3개의 부품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보하고 조립 시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3개의 부품이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하는 상대적 운동을 제한하여 하우징 조립체의 연결 강도와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8에 있어서, 도 58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1절연부재(20'')는 제2절연부재(3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하우징(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1절연부재(20'')는 제2절연부재(30'')의 외측에 위치하고 즉, 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같은 측에 위치하고 제2절연부재(30'')가 금속 하우징(10'')과 제1절연부재(20'') 사이에 위치하는 실시예는, 두개의 절연부재가 모두 금속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하며, 두개의 절연부재가 금속 하우징(10'')의 다른 측에 위치하는 실시예는, 제1절연부재(20'')가 금속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절연부재(30'')가 금속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절연부재(20'')가 금속 하우징(10'')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모두 확보하기 때문에 두개의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10'')의 구체적인 매칭구조는 하우징 조립체의 내부에 숨겨질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하우징 조립체의 외관이 더욱 원활하여 조리기구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8에 있어서,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은 2mm보다 크거나 같다.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은 2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은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작은 간격으로 인해 끊어진 부위에서 스파크, 발열 등이 발생하는 상황이 방지되어 제품의 안전성과 사용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상기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8에 있어서, 도 58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 꼭대기단에 장착홈(16'')이 설치되며, 노치(11'')의 개수는 하나이고 노치(11'')가 장착홈(16'')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장착홈(16'')과 연통된다.
하나의 노치(11'')를 통해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의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노치(11'')를 설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노치(11'')가 설치되면 절연부재의 개수는 최소로 감소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면서도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에 설치되는 것은 한편으로는 노치(11'')와 절연부재가 조리기구의 흔하지 않는 부위에 설치되어 조리기구의 전체적인 미관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편으로는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에 일반적으로 힌지를 장착하거나 조리기구의 다른 구조에 적합하도록 사용되는 장착홈(16'')을 구비하고, 노치(11'')가 여기에 설치되면 노치(11'')의 크기를 비교적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노치(11'')의 실제적인 높이(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을 따름)와 실제적인 폭이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라, 2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함)는 제품의 구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물론, 노치(11'')의 개수는 다수일 수도 있고, 다수의 노치(11'') 측을 모두 절연부재로 연결하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노치(11'')의 개수가 하나일 결우 금속 하우징(10'')의 다른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이들 실시예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8에 있어서, 도 58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노치(11'')가 사각형(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면 가공 성형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절연부재와의 조립이 편리하며 형상이 규칙하고 비교적 보기 좋다. 물론, 노치(11'')는 상기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향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일일이 열거하지 않지만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58 내지 도 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이 노치(11'') 양측에 위치한 부분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절연부재(20'') 및/또는 제2절연부재(30'')의 크기에 맞추는 단차부(15'')가 형성되며, 제1절연부재(20'') 또는 제2절연부재(30'')의 외표면은 금속 하우징(10'')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한다.
금속 하우징(10'')에 단차부(15'')가 설치되면 제1절연부재(20'')(제1절연부재(20'')가 가장 외측에 위치할 경우) 또는 제2절연부재(30'') (제2절연부재(30'')가 가장 외측에 위치할 경우)의 외표면은 금속 하우징(10)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할 수 있어 하우징 조립체의 미관을 향상시켜 조리기구의 품격를 향상시킨다.
도 90 내지 도 9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는, 전자기 유도 가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에 적용되고 조리기구의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베이스(30'''), 하우징 커버(40'''), 금속 하우징(10''') 및 차폐 시트(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커버(40''')는 베이스(30''')의 위쪽에 위치하며, 금속 하우징(10''')은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 사이에 설치되고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에 연결되고 금속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끊어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끊어진 부위에 노치(11''')가 형성되며, 차폐 시트(20''')는 절연부재이고 노치(11''')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10''')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는, 금속 하우징(10''')을 끊어 절연한 차폐 시트(20''')를 통해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를 차폐하여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 상에서 접속해제됨으로써 자기장에 대한 금속 하우징(10''')의 유도를 약화시킬 수 있어 온도 상승을 감소시켜 종래의 금속 하우징(10''')에 의해 폐루프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판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하여 발열하여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금속 하우징(10''')은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에 연결되고 즉, 금속 하우징(10''')은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 사이에서 위치가 한정되어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폐 시트(20''')가 금속 하우징(10''')의 노치(11''')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여 조리기구의 외관을 확보한다.
또한, 금속 하우징(10''')은 상단과 하단에 롤 림(14''')이 설치되고 하우징 커버(40''')와 베이스(30''')에 제1스토퍼 홈(31''')과 제2스토퍼 홈(41''')이 각각 설치되고 롤 림(14''')은 제1스토퍼 홈(31''')과 제2스토퍼 홈(41''') 사이에 내장되어 금속 하우징(10''')이 하우징 커버(40''')와 베이스(30''') 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금속 하우징(1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롤 림(14''')이 하우징 커버(40''')에 형성된 제1스토퍼 홈(31''')과 베이스(30''')에 형성된 제2스토퍼 홈(41''')에 내장되고 즉 금속 하우징(10''')이 하우징 커버(40''')와 베이스(30''') 사이에서 클램핑되어 고정될 수 있어 베이스(30'''), 금속 하우징(10''') 및 하우징 커버(40''')가 안정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조립과정이 매우 편리하며, 베이스(30'''), 금속 하우징(10''') 및 하우징 커버(40''')에서 가능한 한 적게 펀칭할 수 있어 조리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삼자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도 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a''')은 2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른 폭(a''')은 2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은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작은 간격으로 인해 끊어진 부위에서 스파크, 발열 등이 발생하는 상황이 방지되어 제품의 안전성과 사용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도 90 내지 도 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 꼭대기단에 장착홈(12''')이 설치되며, 노치(11''')의 개수는 하나이고 노치(11''')가 장착홈(12''')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장착홈(12''')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노치(11''')를 통해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의 폐루프 회로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노치(11''')를 설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노치(11''')가 설치되면 차폐 시트(20''')의 개수는 최소로 감소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면서도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노치(11''')가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에 설치되는 것은 한편으로는 노치(11''')와 차폐 시트(20''')가 조리기구의 흔하지 않는 부위에 설치되어 조리기구의 전체적인 미관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편으로는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에 일반적으로 힌지를 장착하거나 조리기구의 다른 구조에 적합하도록 사용되는 장착홈(12''')을 구비하고, 노치(11''')가 여기에 설치되면 노치(11''')의 크기를 비교적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노치(11''')의 실제적인 높이(금속 하우징(10''')의 축 방향을 따름)와 실제적인 폭이 (금속 하우징(10''')의 원주방향을 따라, 2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함)는 제품의 구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물론, 노치(11''')의 개수는 다수일 수도 있고, 다수의 노치(11''') 측을 모두 차폐 시트(20''')로 연결하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며, 노치(11''')의 개수가 하나일 결우 금속 하우징(10''')의 다른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이들 실시예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90 내지 도 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가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11''')가 사각형(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면 가공 성형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차폐 시트(20''')와의 조립이 편리하며 형상이 규칙하고 비교적 보기 좋다. 물론, 노치(11''')는 상기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향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일일이 열거하지 않지만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상기 제2측면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는 차폐 시트(20''')는 베이스(3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90, 도 91, 도 93, 도 94, 도 95, 도 9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는, 차폐 시트(20''')와 베이스(30''')는 일체형 구조이다.
선택적으로는, 차폐 시트(20''')는 하우징 커버(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는, 차폐 시트(20''')와 하우징 커버(40''')는 일체형 구조이다.
차폐 시트(20''')와 베이스(30''')는 고정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나사, 리벳(50''')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됨)되거나 일체형 구조(예를 들어, 사출성형)로 형성되고, 즉, 차폐 시트(20''')가 베이스(30''')에 형성되고 아래에서 위로 신장되면 조립시 베이스(30'''), 금속 하우징(10'''), 하우징 커버(40''')를 바로 결합하며 금속 하우징(10''')이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보하고 이 때 상향으로 돌출된 차폐 시트(20''')는 금속 하우징(10''')의 노치(11''') 측에 위치하고 노치(11''')를 차폐하여 매우 간편하며, 동시에 차폐 시트(20''')는 베이스(30''')에서 신장되고 이탈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차폐 시트(20''')와 금속 하우징(10''')을 따로 고정할 필요없이 차폐 시트(20''')와 금속 하우징(10''')의 맞춤이 안정하게 구현되는 것을 확보하여 조립효율을 향상시키며, 또한, 차폐 시트(20''')와 베이스(30''')는 일체로 형성하면 차폐 시트(20''')와 베이스(30''')의 조립 공정을 제거하여 조립효율을 향상시킨다.
마찬가지로는, 차폐 시트(20''')와 하우징 커버(40''')는 고정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됨)되거나 일체형 구조(예를 들어, 사출성형)로 형성되고, 즉, 차폐 시트(20''')가 베이스(30''')에 형성되고 아래에서 위로 신장되면 조립시 베이스(30'''), 금속 하우징(10'''), 하우징 커버(40''')를 바로 결합하며 금속 하우징(10''')이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보하고 이 때 상향으로 돌출된 차폐 시트(20''')는 금속 하우징(10''')의 노치(11''') 측에 위치하고 노치(11''')를 차폐하여 매우 간편하며, 동시에 차폐 시트(20''')는 베이스(30''')에서 신장되고 이탈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차폐 시트(20''')와 금속 하우징(10''')을 따로 고정할 필요없이 차폐 시트(20''')와 금속 하우징(10''')의 맞춤이 안정하게 구현되는 것을 확보하여 조립효율을 향상시키며, 또한, 차폐 시트(20''')와 하우징 커버(40''')는 일체로 형성하면 차폐 시트(20''')와 하우징 커버(40''')의 조립 공정을 제거하여 조립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2측면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는 차폐 시트(20''')는 금속 하우징(10''')에 접착된다.
도 94 내지 도 9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는, 차폐 시트(20''')는 체결부재를 통해 금속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이름판과 같은 포장물을 이용하여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부위에 접착하면 노치(11''')를 차폐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며, 이름판과 같은 포장물을 차폐 시트(20''')로 하고 이 포장물의 원가가 낮고 더 미관한 포장물로 많이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미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나사, 리벳(50''')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차폐 시트(20''')를 금속 하우징(10''')에 고정할 수도 있어 차폐 시트(20''')가 금속 하우징(10''')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보하고 차폐 시트(20''')가 이탈되어 금속 하우징(10''')의 노치(11''')가 노출되는 것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보하여 제품의 사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차폐 시트(20''')는 금속 하우징(10''')에 접착되거나 체결부재를 통해 금속 하우징(10''')에 고정되거나 차폐 시트(20''')와 베이스(30''') 또는 하우징 사이의 연결 관계는 상관이 없고 즉, 두 종 방안에 있어서, 차폐 시트(20''')는 베이스(30''') 또는 하우징 커버(40''')와 고정적으로 연결/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차폐 시트(20''')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90 내지 도 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측면의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하우징(10''')이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사이에 클램핑되고 베이스(30''')는 체결부재를 통해 하우징 커버(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도 94 내지 도 9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금속 하우징(10''')은 체결부재를 통해 베이스(3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금속 하우징(10''')은 체결부재를 통해 하우징 커버(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금속 하우징(10''')의 고정구조는, 금속 하우징(10''')이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사이에 클램핑될 수도 있고 체결부재를 통해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이와 같이 삼자의 관계를 이용하여 금속 하우징(10''')이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사이에 고정되어 삼자의 상대적 안정을 확보하며, 동시에, 체결부재(리벳(50'''), 나사 등의 체결부재 또는 체결조합과 같이)를 통해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가 연결되는 것은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 하우징(10''')을 유효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더욱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먼저 체결부재를 통해 금속 하우징(10''')이 베이스(30''')에 고정되고 하우징 커버(40'''), 금속 하우징(10''') 및 베이스(30''') 삼자를 조립할 수도 있고, 혹은 먼저 체결부재를 통해 금속 하우징(10''')이 하우징 커버(40''')에 고정되고 삼자를 조립할 수도 있고 모두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금속 하우징(10''')을 유효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차폐 시트(20''')가 베이스(30''') 또는 하우징 커버(40''')에 형성되는 실시예는, 체결부재의 구체적인 고정부위가 차폐 시트(20''')와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에 설치될 수 있고, 즉,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와 차폐 시트(20''')에 각각 연결홀이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금속 하우징(10''')과 차폐 시트(20''')에 형성된 연결홀을 관통하여 금속 하우징(10''')은 베이스(30''') 또는 하우징 커버(4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한편으로는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가 직접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가장 견고하고 동시에 금속 하우징(10''')이 차폐 시트(2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이와 같이 체결부재를 아껴서 원가를 낮추고 조립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2측면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는 차폐 시트(20''')가 금속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측면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90, 도 91, 도 92, 도 94, 도 95 및 도 9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는 차폐 시트(20''')가 금속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차폐 시트(20''')가 금속 하우징(10''')의 내측이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은 모두 노치(11''')를 차폐할 수 있어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도 90 및 도 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이 노치(11''') 양측에 위치한 부분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차폐 시트(20''')의 크기에 맞추는 단차부(13''')가 형성되며, 차폐 시트(20''')의 외표면은 금속 하우징(10''')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 시트(20''')가 금속 하우징(10''')의 외측에 위하는 실시예는, 금속 하우징(10''')에 단차부(13''')가 설치되면 차폐 시트(20''')가 단차부(13''')에 내장되어 차폐 시트(20''')의 외표면은 금속 하우징(10''')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할 수 있어 하우징 조립체의 미관을 향상시켜 조리기구의 품격를 향상시킨다.
아하 두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제2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9(도 90 내지 도 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하우징(10''')은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사이에 클램핑되고 베이스(30''')와 하우징 커버(40''')은 나사를 통해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 꼭대기단에 장착홈(12''')이 설치되고 노치(11''')의 개수는 하나이고 장착홈(1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노치(11''')는 사각형이며, 차폐 시트(20''')와 베이스(30''')는 일체로 형성되고 차폐 시트(20''')는 금속 하우징(10''')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고 금속 하우징(10''')의 테일부의 끊어진 부분을 차폐하며, 금속 하우징(10''')의 끊어진 단부에 단차부(13''')가 설치되고 차폐 시트(20''')가 단차부(13''')에 내장되어 차폐 시트(20''')의 외표면은 금속 하우징(10''')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한다.
실시예 20(도시되지 않음)
실시예 19에 비해, 차폐 시트(20''')와 하우징 커버(40''')는 일체로 형성된다.
실시예 21(도 94 내지 도 9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9에 비해, 금속 하우징(10''')과 베이스(30''')의 차폐 시트(20''')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리벳(50''')을 통해 금속 하우징(10''')과 베이스(30''')를 연결하여 최종 하우징 커버(40'''), 금속 하우징(10''') 및 베이스(30''')가 일체로 조립된다.
실시예 22(도시되지 않음)
실시예 21에 비해, 차폐 시트(20''')와 하우징 커버(40''')는 일체로 형성되고 금속 하우징(10''')과 하우징 커버(40''')의 차폐 시트(20''')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리벳(50''')을 통해 금속 하우징(10''')과 하우징 커버(40''')를 연결하여 최종 하우징 커버(40'''), 금속 하우징(10''') 및 베이스(30''')가 일체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도시되지 않음)는,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 내부용기 및 제1측면과 제2측면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의 자력선이 내부용기를 관통하여 내부용기를 유도하여 발열하며, 하우징 조립체는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는, 제1측면과 제2측면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모든 유익한 효과을 가지고 있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조리기구는 IH 전기밥솥 또는 IH 전기압력 솥이다. 물론, IH 전기밥솥 또는 IH 전기압력 솥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기 유도 가열에 이한 다른 조리기구일 수도 있다.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는 금속 하우징을 끊어 절연부재를 통해 그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여 하우징 조립체가 회로 상에서 접속해제됨으로써 자기장에 대한 금속 하우징의 유도를 약화시킬 수 있어 온도 상승을 감소시켜 종래의 금속 하우징에 의해 폐루프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코일판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유도하여 발열하여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절연부재는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 부위를 연결하고 노치를 덮어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조립체의 완전성을 확보하여 조리기구의 외관을 확보한다.
첨부된 청구항이 구비되지만,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항에 의해 정의된다.
1. 전자기 유도 가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에 적용되는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끊어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끊어진 부위에 노치가 형성되는 금속 하우징과, 개수가 상기 노치의 개수 일일이 대응하고, 상기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 단부를 연결하고 노치를 덮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걸림홀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클램핑 피스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피스가 상기 걸림홀에 맞춰 절연부재와 금속 하우징이 서로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피스가 L형 걸림돌기이고,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홀을 관통하여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의 하나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형 걸림돌기는 개수가 다수이고 두 조로 나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각각 상기 노치의 양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혹은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절연부재에 위치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모두 상기 노치를 향하고, 혹은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상기 금속 하우징에 위치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모두 상기 노치를 등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각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L형 걸림돌기의 테일부에 바브가 설치되며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중의 하나에 볼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브가 상기 볼록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탄성 걸림돌기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피스는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가지는 연결 기둥과, 반경방향 관통구멍에 맞추는 스프링 코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걸림홀을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 코터는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기둥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은 에지에 원주방향으로 상기 클램핑 피스를 보호하기 위한 플랜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기둥이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돌출된 상기 연결 기둥의 일부분은 단면 크기가 상기 관통구멍크기보다 큰 스토퍼 돌기로 병형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의 상기 하나에 닿아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금속 하우징에 설치될 경우, 상기 연결 기둥은 중공인 연결 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에 모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체결부재는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과통하여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톱니 형상의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연결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구멍에 제한되어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에 폴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부재에 상기 폴딩 플레이트에 맞추는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절연부재를 덮어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에는 보스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연결홀의 에지에 위치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먼저 굴절되어 상기 보스를 가압하고 더 굴절되어 상기 절연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금속 하우징의 에지는 개구가 서로 등지는 두개의 제1트랙요홈이 굴절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의 양단부는 개구가 서로 등지는 두개의 제2트랙요홈이 굴절하게 형성되고, 두개의 상기 제1트랙요홈과 두개의 상기 제2트랙요홈은 서로 걸려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두개의 상기 제1트랙요홈의 개구가 상기 노치를 등지고 두개의 상기 제2트랙요홈의 개구가 상기 노치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랙요홈과 상기 제2트랙요홈 중 하나의 자유단에 에지폴드가 설치되고 상기 에지폴드는 상기 제1트랙요홈과 상기 제2트랙요홈 중 다른 하나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18.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와, 상기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의 자력선이 관통할 수 있어 유도하여 발열하는 내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며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IH 전기밥솥 또는 IH 전기압력 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20. 전자기 유도 가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에 적용되는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끊어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끊어진 부위에 노치가 형성되는 금속 하우징과, 상기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 단부를 연결하고 노치를 덮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의 서로 다른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같은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에 플라스틱 피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제2절연부재에 제1걸림홀과 제2걸림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플라스틱 피이스가 상기 제1걸림홀과 상기 제2걸림홀에 맞춰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가 상기 금속 하우징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피이스는 L형 걸림돌기이고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홀과 상기 제2걸림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절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중 하나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L형 걸림돌기는 개수가 다수이고 두 조로 나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각각 상기 노치의 양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혹은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모두 상기 노치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각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L형 걸림돌기의 테일부에 바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절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중 하나에 넥 또는 볼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브가 상기 넥 내에 걸리거나 상기 볼록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탄성 걸림돌기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피스는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가지는 연결 기둥과, 상기 반경방향 관통구멍에 맞추는 스프링 코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제1걸림홀과 상기 제2걸림홀을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 코터는 상기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기둥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29.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제1관통구멍과 제2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제2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돌출된 상기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제2관통구멍의 일부분은 단면 크기가 상기 제1절연부재로보터 멀어지는 상기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제2관통구멍중의 하나의 크기보다 큰 스토퍼 돌기로 병형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1절연부재로보터 멀어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중의 하나에 닿아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제2절연부재,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30.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금속 하우징,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제1연결홀, 제2연결홀, 제3연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상기 제1연결홀, 상기 제2연결홀, 상기 제3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제2절연부재및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31.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제2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접착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에 위치결정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제1위치결정 홀과 제2위치결정 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기둥이 상기 제1위치결정 홀과 상기 제2위치결정 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3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연부재는 상기 제2절연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조립체.
34.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와, 상기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의 자력선이 관통할 수 있어 유도하여 발열하는 내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며 제2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IH 전기밥솥 또는 IH 전기압력 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제1”, “제2”, “제3”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구체적으로 진술되거나 한정되지 않는 한 상대적인 중요성을 명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용어 “다수”는 명확하게 한정한 한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으로 해석된다. 용어 “설치”, “접속“, “연결”, ”고정”등은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고, 예컨대, “연결”은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식 연결 또는 일체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정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용어의 특정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명에 있어서, 용어”상”, “하”, “좌”, “우”, “전”, “후” 등에 의해 지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고 설명이 단순화되기 위하는 것으로, 지정된 장치 또는 유닛이 특정한 방향을 가지거나 특정한 방위로 구성 및 작동되는 것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구체 실시예” 등은 그 실시예 혹은 예시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혹은 특징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한 실시예 혹은 예시된 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용어의 예시적 설명은 동일한 실시예 혹은 실제예를 나타내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혹은 특징은 적합한 방식으로 임의의 하나 혹은 다수의 실시예 혹은 예시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여러가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행하는 모든 수정, 동등교체, 개량 등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38)
- 전자기 유도 가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에 적용되고 상기 조리기구의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끊어진부를 구비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끊어진부의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형성되는 금속 하우징과,
상기 금속 하우징의 하나의 끊어진부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끊어진부의 형성되는 노치를 덮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걸림홀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클램핑 피스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피스가 상기 걸림홀에 맞춰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가 서로 걸리도록 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에 상기 노치에 맞추는 위치결정 리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리브는 개수가 다수이고 다수의 상기 위치결정 리브가 상기 금속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은 삽입물이고, 상기 절연부재는 플라스틱 피이스이고, 상기 절연부재 및 상기 금속 하우징은 사출성형된 일체형 구조인, 하우징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절연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관통구멍에 내장되고 및/또는, 상기 금속 하우징에 스토퍼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절연부재에 내장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개수가 상기 노치의 개수와 같고 일일이 대응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걸림홀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클램핑 피스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피스가 상기 걸림홀에 맞춰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서로 걸리도록 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피스가 L형 걸림돌기이고,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홀을 관통하여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의 하나에 닿는, 하우징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형 걸림돌기는 개수가 다수이고 두 조로 나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각각 상기 노치의 양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혹은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절연부재에 위치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모두 상기 노치를 향하고, 혹은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상기 금속 하우징에 위치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모두 상기 노치를 등지는, 하우징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각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L형 걸림돌기의 테일부에 바브가 설치되며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의 하나에 볼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브가 상기 볼록체에 걸리는, 하우징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탄성 걸림돌기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되고, 혹은 상기 클램핑 피스는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가지는 연결 기둥과, 반경방향 관통구멍에 맞추는 스프링 코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걸림홀을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 코터는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기둥에 걸리는, 하우징 조립체. -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은 에지에 원주방향으로 상기 클램핑 피스를 보호하기 위한 플랜징이 설치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기둥이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돌출된 상기 연결 기둥의 일부분은 단면 크기가 상기 관통구멍크기보다 큰 스토퍼 돌기로 병형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의 상기 하나에 닿아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금속 하우징에 설치될 경우, 상기 연결 기둥은 중공인 연결 기둥인, 하우징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에 모두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체결부재는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과통하여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절연부재 중 하나에 톱니 형상의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 연결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구멍에 제한되어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에 폴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부재에 상기 폴딩 플레이트에 맞추는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절연부재를 덮어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에는 보스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연결홀의 에지에 위치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먼저 굴절되어 상기 보스를 가압하고 더 굴절되어 상기 절연부재를 가압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금속 하우징의 에지는 개구가 서로 등지는 두개의 제1트랙요홈이 굴절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의 양단부는 개구가 서로 등지는 두개의 제2트랙요홈이 굴절하게 형성되고, 두개의 상기 제1트랙요홈과 두개의 상기 제2트랙요홈은 서로 걸려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9항에 있어서,
두개의 상기 제1트랙요홈의 개구가 상기 노치를 등지고 두개의 상기 제2트랙요홈의 개구가 상기 노치를 향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랙요홈과 상기 제2트랙요홈 중 하나의 자유단에 에지폴드가 설치되고 상기 에지폴드는 상기 제1트랙요홈과 상기 제2트랙요홈 중 다른 하나에 닿는, 하우징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개수가 다수이고, 개개의 상기 절연부재는 제1절연부재와 제2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재와 제2절연부재는 임의의 하나의 상기 금속 하우징의 끊어진부의 양단을 연결하고 해당 끊어진부의 형성되는 상기노치를 덮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의 서로 다른 측에 위치하고, 혹은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금속 하우징의 같은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절연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피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제1걸림홀과 적어도 하나의 제2걸림홀가 각각 설치되고 개개의 상기 플라스틱 피이스가 대응하는 하나의 상기 제1걸림홀과 상기 하나의 제2걸림홀에 맞춰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가 상기 금속 하우징에 걸리도록 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피이스는 L형 걸림돌기이고 상기 L형 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홀과 상기 제2걸림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절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중 하나를 덮는, 하우징 조립체.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L형 걸림돌기는 개수가 다수이고 두 조로 나뉘고,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각각 상기 노치의 양측에 위치하며, 여기서,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혹은 두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가 모두 상기 노치를 향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26항에 있어서,
각 조의 상기 L형 걸림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L형 걸림돌기의 테일부에 바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1절연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중 하나에 넥 또는 볼록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브가 상기 넥 내에 걸리거나 상기 볼록체에 걸리는, 하우징 조립체.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피스는 다수의 탄성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탄성 걸림돌기는 서로 등져 설치되어 탄성 컬럼 돌기로 둘러싸여 설치되고, 혹은 상기 클램핑 피스는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가지는 연결 기둥과, 상기 반경방향 관통구멍에 맞추는 스프링 코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기 제1걸림홀과 상기 제2걸림홀을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 코터는 상기 반경방향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기둥에 걸리는, 하우징 조립체. -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에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연결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제1관통구멍과 제2관통구멍이 각각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연결 기둥이 상기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제2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돌출된 상기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제2관통구멍의 일부분은 단면 크기가 상기 제1절연부재로보터 멀어지는 상기 제1관통구멍과 상기 제2관통구멍중의 하나의 크기보다 큰 스토퍼 돌기로 병형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1절연부재로보터 멀어지는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중의 하나에 닿아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제2절연부재,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금속 하우징,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제1연결홀, 제2연결홀, 제3연결홀이 각각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상기 제1연결홀, 상기 제2연결홀, 상기 제3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제2절연부재 및 상기 금속 하우징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와 상기 제2절연부재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 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1절연부재, 상기 제2절연부재와 상기 금속 하우징이 접착제를 통해 연결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재에 위치결정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2절연부재에 제1위치결정 홀과 제2위치결정 홀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기둥이 상기 제1위치결정 홀과 상기 제2위치결정 홀을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전자기 유도 가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에 적용되고 상기 조리기구의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위쪽에 위치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에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끊어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끊어진 부위에 노치가 형성는 금속 하우징과,
절연부재이고 상기 노치를 덮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와 폐루프인 단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차폐 시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시트와 상기 베이스는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차폐 시트와 베이스는 일체형 구조이고, 혹은 상기 차폐 시트와 상기 하우징 커버는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차폐 시트와 상기 하우징 커버는 일체형 구조인, 하우징 조립체.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시트는 상기 금속 하우징에 접착되고, 혹은 상기 차폐 시트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금속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사이에 클램핑되고 상기 베이스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금속 하우징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혹은 상기 금속 하우징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커버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6항 및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에 있어서,
상기금속 하우징이 상기 노치 양측에 위치한 부분은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의 크기에 맞추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연부재의 외표면은 상기 금속 하우징의 외표면과 서로 평평하게 되도록 하는, 하우징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의 테일부 꼭대기단에 장착홈이 설치되며, 상기 노치의 개수는 하나이고 상기 노치가 상기 장착홈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홈과 연통되는, 하우징 조립체. -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와,
상기 전자기 유도 가열 장치의 자력선이 관통할 수 있어 유도하여 발열하는 내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며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710138784.8A CN108567341B (zh) | 2017-03-09 | 2017-03-09 | 外壳组件及烹饪器具 |
CN201710138784.8 | 2017-03-09 | ||
CN201720226072.7U CN206979371U (zh) | 2017-03-09 | 2017-03-09 | 外壳组件及烹饪器具 |
CN201720226804.2 | 2017-03-09 | ||
CN201720226072.7 | 2017-03-09 | ||
CN201720226804.2U CN207012101U (zh) | 2017-03-09 | 2017-03-09 | 外壳组件及烹饪器具 |
CN201710138013.9A CN108567340A (zh) | 2017-03-09 | 2017-03-09 | 外壳组件及烹饪器具 |
CN201710138013.9 | 2017-03-09 | ||
PCT/CN2017/114776 WO2018161660A1 (zh) | 2017-03-09 | 2017-12-06 | 外壳组件及烹饪器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9468A true KR20190109468A (ko) | 2019-09-25 |
KR102227929B1 KR102227929B1 (ko) | 2021-03-12 |
Family
ID=6344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24170A KR102227929B1 (ko) | 2017-03-09 | 2017-12-06 |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141018B2 (ko) |
EP (1) | EP3581072A4 (ko) |
JP (1) | JP6739663B2 (ko) |
KR (1) | KR102227929B1 (ko) |
WO (1) | WO2018161660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43127A1 (en) * | 2006-10-13 | 2008-04-17 | Breville Pty Limited | Chrome grill |
KR100875308B1 (ko) * | 2008-05-02 | 2008-12-23 |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 고주파 유도가열 전기밥솥의 금속 제관 및 구조 및구성방법 |
KR20100102314A (ko) * | 2009-03-11 | 2010-09-24 | 쿠쿠전자주식회사 | 고주파 유도가열 조리기 |
CN202386472U (zh) * | 2011-12-15 | 2012-08-22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一种电磁加热电饭煲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82213A (ja) * | 1989-12-08 | 1991-08-08 | Sanyo Electric Co Ltd | 蒸気凝縮装置 |
JP2004319345A (ja) * | 2003-04-18 | 2004-11-11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電磁調理器 |
CN1714722A (zh) * | 2004-06-14 | 2006-01-04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电饭煲的防蓄电加热装置 |
CN201243972Y (zh) * | 2008-08-11 | 2009-05-27 | 佛山市顺德区爱德电器有限公司 | 一种电加热电器的外壳结构 |
CN202515459U (zh) * | 2012-02-29 | 2012-11-07 | 美的集团有限公司 | 一种内胆连接固定结构 |
CN202723607U (zh) * | 2012-06-07 | 2013-02-13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烹饪器具的金属外壳加强结构 |
JP5890766B2 (ja) * | 2012-11-16 | 2016-03-22 |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 誘導加熱式調理器 |
US9220277B1 (en) * | 2014-07-18 | 2015-12-29 | Michelle E. Allen | Form insert for use with a springform pan to make a uniform thickness crust |
CN206755256U (zh) * | 2017-04-12 | 2017-12-15 | 上海纯米电子科技有限公司 | 具有防水结构的电磁炉 |
-
2017
- 2017-12-06 EP EP17900198.7A patent/EP3581072A4/en active Pending
- 2017-12-06 JP JP2019548983A patent/JP6739663B2/ja active Active
- 2017-12-06 KR KR1020197024170A patent/KR102227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2-06 US US16/492,169 patent/US11141018B2/en active Active
- 2017-12-06 WO PCT/CN2017/114776 patent/WO2018161660A1/zh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43127A1 (en) * | 2006-10-13 | 2008-04-17 | Breville Pty Limited | Chrome grill |
KR100875308B1 (ko) * | 2008-05-02 | 2008-12-23 |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 고주파 유도가열 전기밥솥의 금속 제관 및 구조 및구성방법 |
KR20100102314A (ko) * | 2009-03-11 | 2010-09-24 | 쿠쿠전자주식회사 | 고주파 유도가열 조리기 |
CN202386472U (zh) * | 2011-12-15 | 2012-08-22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一种电磁加热电饭煲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81072A1 (en) | 2019-12-18 |
US11141018B2 (en) | 2021-10-12 |
US20200037805A1 (en) | 2020-02-06 |
KR102227929B1 (ko) | 2021-03-12 |
JP6739663B2 (ja) | 2020-08-12 |
EP3581072A4 (en) | 2020-12-23 |
JP2020508819A (ja) | 2020-03-26 |
WO2018161660A1 (zh) | 2018-09-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4642B1 (ko) | 센서 지지부를 포함하는 요리 용기 | |
KR20170142943A (ko) | 주방 용기용 핸들 및 주방 용기를 위한 관련 시스템 | |
KR101279879B1 (ko) | 요리 그릇 손잡이에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디바이스 | |
CN206354913U (zh) | 蒸汽阀及烹饪器具 | |
CN112535412A (zh) | 配备有辅助盖的烹饪锅盖 | |
KR20190109468A (ko) |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리기구 | |
KR20170002761U (ko) | 음식물 보관용 실리콘 용기 | |
EP2628961B1 (en) | Clip and fastening arrangement with a clip | |
BR112019003106B1 (pt) | Entidade de pressionamento e fogão de indução | |
JP5320598B2 (ja) | デスクトップパネル | |
CN212912787U (zh) |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CN208447206U (zh) | 一种烹饪器具 | |
CN215604923U (zh) | 烹饪器具及其内锅组件 | |
CN213248323U (zh) | 烹饪器具 | |
CN208941717U (zh) | 烹饪器具 | |
CN210077416U (zh) | 烹饪器具 | |
CN205101558U (zh) | 烹饪器具 | |
CN210014405U (zh) | 一种快速装配结构及分体式炉灶 | |
CN108567341B (zh) | 外壳组件及烹饪器具 | |
CN109452879A (zh) | 蒸汽阀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CN211632795U (zh) | 烹饪器具及其锅盖 | |
CN214510742U (zh) | 烹饪器具及其锅盖 | |
CN211704254U (zh) | 适用于蒸汽锅具的密封圈组件、蒸汽锅具 | |
JP3243229U7 (ja) | マイクロ波鍋 | |
CN218588832U (zh) | 一种蒸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