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757A -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757A
KR20190108757A KR1020180030176A KR20180030176A KR20190108757A KR 20190108757 A KR20190108757 A KR 20190108757A KR 1020180030176 A KR1020180030176 A KR 1020180030176A KR 20180030176 A KR20180030176 A KR 20180030176A KR 20190108757 A KR20190108757 A KR 2019010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network device
inspection
unit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주) 한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한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30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757A/ko
Publication of KR2019010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57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expert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동시에 도킹할 수 있도록 된 펌웨어 라이팅 부; 상기 펌웨어 라이팅부 일측에 형성되며, 홈네트워크 기기와 연동되는 가정용 주변장치들을 한 곳에 모아 통합설치하고, 주변장치들과 홈네워크 기기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선로를 구성하는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 및 상기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 일측에 형성되며, 주변장치들과 내부선로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 패널이 탑재되는 보드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로서,
본 발명은 반제품 상태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에서 펌웨어 라이팅 및 PBA 검사를 일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 유연하게 적응하여(adaptive) 청정 생산이 가능하고, 검사시간을 최대 3배이상 단축하는 한편, 불량률은 1/3이하로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a inspection system of device on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제품을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에서 펌웨어 라이팅 및 PBA 검사를 일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네트워크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가정에서의 홈 네트워크는 스마트 홈으로 진화하면서 더욱 더 다양하고 복잡성을 갖춘 제품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품의 생산에서부터 최종 출하까지 제품 1대를 검사하고 테스트 하는 시간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생산성과 수율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검사를 하기 위한 공정과 검사용 JIG의 설치, 검사 단계를 포함하여 제품 1대를 검사하기 위해 10~15분 가량의 검사 시간이 소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의 검사 공정이 세팅과 검사에 작업자 5~6명이 수동으로 진행하는 단순 반복 검사로 인한 막대한 시간 소비로 생산성 감소라는 큰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는 상황이며 점차 늘어나는 국내 및 해외 주문량에 부응하지 못하고 납기지연 등으로 인한 손실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현재 생산중인 홈네트워크 기기 제품의 생산 공정에서는 완제품 조립 검사에서는 TCP/IP 등록, 장치기 등록, 방법 센서 등록, 로비폰 등록과 같은 환경 설정을 작업자가 일일 수동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 발생으로 인한 문제가 있고, PBA 기능 검사와 완제품 조립 검사를 이중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과 수율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623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반제품 상태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에서 펌웨어 라이팅 및 PBA 검사를 일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동시에 도킹할 수 있도록 된 펌웨어 라이팅 부; 상기 펌웨어 라이팅부 일측에 형성되며, 홈네트워크 기기와 연동되는 가정용 주변장치들을 한 곳에 모아 통합설치하고, 주변장치들과 홈네워크 기기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선로를 구성하는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 및 상기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 일측에 형성되며, 주변장치들과 내부선로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 패널이 탑재되는 보드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웨어 라이팅부는, 제1설치대; 상기 제1설치대 전면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각각 홈네트워크 기기를 도킹 접속하도록 된 라이팅포트; 상기 라이팅포트와 연결하여 홈네트워크 기기의 라이팅 작업을 완료하는 PCB; 상기 PCB별 라이팅 성공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LED점등부; 및 상기 PCB별 전압과 전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는, 제2설치대; 및 상기 제2설치대 전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주변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장치들은 전등 스위치, 가스감지기, 방범센서, 세대폰, 경비인터폰, 로비폰, 욕실폰, 현관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드검사부는, 제3설치대; 상기 제3설치대 전면에 설치되어 주변장치들과 내부선로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변장치들의 기능검사 및 검사시 필요한 전압/전류를 체크하고 네트워크 라인별 전압을 체크하도록 된 콘트롤 패널; 및 상기 제3설치대 상부에 설치되어 기능검사 및 전압/전류 체크 상황을 모니터링 하도록 된 주방T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pcb기판을 자동화장치에 공급해서 반제품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을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반제품상태의 홈네트워 기기 검사장치에서 펌웨어 라이팅 및 PBA 검사를 일괄 수행하는 폼웨어 라이팅단계; 상기 폼웨어 라이팅 공정을 수행한 반제품 상태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생산라인으로 이송해서 완제품으로 조립하는 단계; 완제품 조립이 끝난 홈네트워크 기기의 검사를 수행하는 완제품 조립검사 단계; 및 완제품 조립검사를 마친 제품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펌웨어 라이팅단계는, 펌웨어 라이팅부에 복수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동시에 도킹하는 단계; 홈네트워크 기기를 폼웨어 라이팅하는 단계; 및 보드 검사부를 통해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반제품 상태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에서 펌웨어 라이팅 및 PBA 검사를 일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 유연하게 적응하여(adaptive) 청정 생산이 가능하고, 검사시간을 최대 3배이상 단축하는 한편, 불량률은 1/3이하로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과정에서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보관함으로써, 생산 제품에 대한 개별 이력관리가 가능하며, 이로서 해당 제품의 필드 운영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빠른 시간에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고 제품의 각 부품의 내구성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신제품 개발에 관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우수한 제품 생산에도 기여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신속한 제품개발과 출시를 원하는 국내외 시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철저히 관리하여 효율의 극대화와 생산성 향상을 꾀하여 기업의 매출증대는 물론 지역산업의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항목의 검사장치들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재손실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며 획일화된 검사방법을 통해 불량률을 현저히 줄이게 되어 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웨어 라이팅부를 도시한 실물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펌웨어 라이팅부의 PCB 및 계기판을 도시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라이팅포트를 도시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흐름도.
도 6은 도 5의 펌웨어 라이팅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기기의 검사장치는 크게 펌웨어 라이팅부(110),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130), 보드 검사부(150)로 구성된다.
먼저, 펌웨어 라이팅부(110)에 설명한다.
상기 펌웨어 라이팅부(110)는 복수의 홈네트워크 기기(120)를 동시에 도킹해서 일괄 검사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실물 제작 예가 도 2를 통해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웨어 라이팅부를 도시한 실물사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펌웨어 라이팅부(110)는 제1설치대(111를 구비한다.
상기 제1설치대(111)는 홈네트워크 기기(120) 및 각종 배선과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노출 벽면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검사작업현장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형태와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설계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조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설치대(111) 전면에는 복수개의 라이팅포트(113)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라이팅포트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라이팅포트(113)는 복수의 홈네트워크 기기(120)를 착탈 방식으로 손쉽게 도킹 접속하도록 하는데, 홈네트워크 기기(12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안착시킬 수 있는 가이드 브라켓(113a)을 제공하고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13a)은 홈네트워크 기기(120)의 하부를 감싼 형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테두리면을 형성한다.
특히, 좌우 양측면의 높이를 높게 하고 전, 후면의 일부 구간의 높이를 홈네트워크 기기(120)의 바닥면이 드러나도록 보다 낮게 형성한다.
이는, 홈네트워크 탈거시 작업자가 기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힘을 주어 탈거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양측면의 테두리면은 충분히 높게 형성하여 삽입되는 기기의 흔들림이나 유격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도킹 포지션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13a) 내측 바닥에는 기기와 접속하는 각종 포트들을 형성하는데, 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전원 접속포트(113b), 통신포트(113c), 영상포트(113d)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포트들은 기기의 정확한 도킹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정밀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포트(113)와 연결하여 홈네트워크 기기(120)의 라이팅 작업을 완료하는 PCB(115)가 구비된다.
상기 PCB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이며, 도 2에는 개시되지 않았으나, 라이팅포트(113) 하부의 공간에 내설되는 것이다.
상기 PCB(115)는 라이팅포트(113)를 통해 기기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TCP/IP 등록, 장치기 등록, 방범 센서 등록, 로비폰 등록과 같은 환경 설정을 하게 되며, 이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설정코드를 활성화시켜 자동으로 라이팅 작업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상기 PCB(115)를 통한 펌웨어 라이팅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PCB(115)별 라이팅 성공 유무를 자체 점검하게 되는데, 이때 라이팅작업의 성공여부를 작업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LED점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웨어 라이팅부(110) 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LED(117)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B별 전압과 전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를 작업자가 식별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판(119을 라이팅포트(113) 하단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계기판(119) 일측에는 개별 전원 스위치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변장치 통합설치부(1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주변장치 통합설치부(130)는 상기 펌웨어 라이팅부(110) 일측에 형성되며, 홈네트워크 기기(120)와 연동되는 가정용 주변장치들(133)을 한 곳에 모아 통합설치하고, 주변장치들(133)과 홈네워크 기기(1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선로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130)는, 펌웨어 라이팅부(110)의 제1설치대(111)와 유사한 형태의 제2설치대(131)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제2설치대(131) 전면에는 복수의 주변장치들(133)이 설치되는데, 상기 주변장치들(133)은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등 스위치(133a), 가스감지기(133b), 방범센서(133c), 세대폰(133d), 경비인터폰(133f), 로비폰(133g), 욕실폰(133h), 현관카메라(133i)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적 제어가 가능한 대상으로 오디오, 냉장고, 로봇청소기, 정원조명등, 스피커 등과 같은 보다 확장성을 갖는 장치들이 추가 대상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드 검사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보드 검사부(150)는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130) 일측에 형성되며, 펌웨어 라이팅부(110)의 제1설치대(111)와 유사한 형태의 제3설치대(151)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제3설치대(151) 전면에는 콘트롤 패널(153)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 패널(153)은 주변장치들(133)과 내부선로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홈네트워크 기기(120) 및 주변장치들(133)의 소통상황과 기능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콘트롤 패널(153)은 국선 Telephone Analyzer와 연동 기능, 라디오 채널 Scan 감성 테스트 기능, TV 채널 Scan을 위한 Streamer 연동 기능, USB 모듈 동작 확인기능, 현관, 로비, 경비 통화 테스트를 위한 통화 모듈 설계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콘트롤 패널(153)은 검사시 필요한 전압/전류를 체크하고 네트워크 라인별 전압을 체크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3설치대(151) 상부에는 주방TV(155) 설치되는데, 상기 주방TV(155)는 콘트롤 패널(153)에서 수행하는 기능검사 및 전압/전류 체크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주방TV(155)는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하는 동시에 홈네트워크 기기(120)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연동되는 주변장치들 중에 하나로써, 상호 소통상황에 대한 검사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게되는 검사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반제품 상태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에서 펌웨어 라이팅 및 PBA 검사를 일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 유연하게 적응하여(adaptive) 청정 생산이 가능하고, 검사시간을 최대 3배이상 단축하는 한편, 불량률은 1/3이하로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인건비 절감을 이룰 수 있고, 검사과정에서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보관함으로써, 생산 제품에 대한 개별 이력관리가 가능하며, 이로서 해당 제품의 필드 운영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빠른 시간에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고 제품의 각 부품의 내구성 및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신제품 개발에 관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우수한 제품 생산에도 기여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펌웨어 라이팅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제조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pcb기판을 자동화장치에 공급해서 반제품을 조립하는 단계(s10)를 수행하고, 상기 반제품을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로 이송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제품상태의 홈네트워 기기 검사장치에서 펌웨어 라이팅 및 PBA 검사를 일괄 수행하는 폼웨어 라이팅단계(s30)를 수행한 후, 상기 폼웨어 라이팅 공정을 수행한 반제품 상태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생산라인으로 이송해서 완제품으로 조립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완제품 조립이 끝난 홈네트워크 기기의 검사를 수행하는 완제품 조립검사 단계(s50)와, 완제품 조립검사를 마친 제품을 포장하는 단계(s60)를 차례로 수행하여 제품을 출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웨어 라이팅단계(s30)는, 펌웨어 라이팅부(110)에 복수의 홈네트워크 기기(120)를 동시에 도킹하는 단계(s31)와, 홈네트워크 기기(120)를 폼웨어 라이팅하는 단계(s32) 및 보드 검사부(150)를 통해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단계(s33)를 포함한다.
상기한 방법을 통해 홈네트워크 기기를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신속한 제품개발과 출시를 원하는 국내외 시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철저히 관리하여 효율의 극대화와 생산성 향상을 꾀하여 기업의 매출증대는 물론 지역산업의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개별항목의 검사장치들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재손실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며 획일화된 검사방법을 통해 불량률을 현저히 줄이게 되어 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펌웨어 라이팅부 111: 제1서설치대
113: 라이팅 포트 113a: 가이드 브라켓
113b: 전원접속포트 113c: 통신포트
113d: 영상포트 115: PCB
117: LED 119: 계기판
120: 홈네트워크 기기 130: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
131: 제2설치대 133a: 전등스위치
133b: 가스감지기 133c: 방범센서
133d: 세대폰 133e: 증설 세대폰
133f: 경비 인터폰 133g: 로비폰
133h: 욕실폰 133i: 현관카메라
150: 보드 검사부 151: 제3설치대
153: 콘트롤패널 155: 주방TV

Claims (6)

  1. 복수의 홈네트워크 기기(120)를 동시에 도킹할 수 있도록 된 펌웨어 라이팅부(110);
    상기 펌웨어 라이팅부(110) 일측에 형성되며, 홈네트워크 기기(120)와 연동되는 가정용 주변장치들(133)을 한 곳에 모아 통합설치하고, 주변장치들(133)과 홈네워크 기기(1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부선로를 구성하는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130); 및
    상기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130) 일측에 형성되며, 주변장치들(133)과 내부선로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트롤 패널(153)이 탑재되는 보드 검사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라이팅부(110)는,
    제1설치대(111);
    상기 제1설치대(111) 전면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각각 홈네트워크 기기(120)를 도킹 접속하도록 된 라이팅포트(113);
    상기 라이팅포트(113)와 연결하여 홈네트워크 기기(120)의 라이팅 작업을 완료하는 PCB(115);
    상기 PCB(115)별 라이팅 성공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LED점등부(117); 및
    상기 PCB별 전압과 전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판(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장치 통합 설치부(130)는,
    제2설치대(131); 및 상기 제2설치대(131) 전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주변장치들(133)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장치들(133)은 전등 스위치(133a), 가스감지기(133b), 방범센서(133c), 세대폰(133d), 경비인터폰(133f), 로비폰(133g), 욕실폰(133h), 현관카메라(133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검사부(150)는,
    제3설치대(151);
    상기 제3설치대(151) 전면에 설치되어 주변장치들(133)과 내부선로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변장치들(133)의 기능검사 및 검사시 필요한 전압/전류를 체크하고 네트워크 라인별 전압을 체크하도록 된 콘트롤 패널(153); 및
    상기 제3설치대(151) 상부에 설치되어 기능검사 및 전압/전류 체크 상황을 모니터링 하도록 된 주방TV(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5. pcb기판을 자동화장치에 공급해서 반제품을 조립하는 단계(s10);
    상기 반제품을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로 이송하는 단계(s20);
    상기 반제품상태의 홈네트워 기기 검사장치에서 펌웨어 라이팅 및 PBA 검사를 일괄 수행하는 폼웨어 라이팅단계(s30);
    상기 폼웨어 라이팅 공정을 수행한 반제품 상태의 홈네트워크 기기를 생산라인으로 이송해서 완제품으로 조립하는 단계(s40);
    완제품 조립이 끝난 홈네트워크 기기의 검사를 수행하는 완제품 조립검사 단계(s50); 및
    완제품 조립검사를 마친 제품을 포장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라이팅단계(s30)는,
    펌웨어 라이팅부(110)에 복수의 홈네트워크 기기(120)를 동시에 도킹하는 단계(s31);
    홈네트워크 기기(120)를 폼웨어 라이팅하는 단계(s32); 및
    보드 검사부(150)를 통해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단계(s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
KR1020180030176A 2018-03-15 2018-03-15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 KR20190108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76A KR20190108757A (ko) 2018-03-15 2018-03-15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76A KR20190108757A (ko) 2018-03-15 2018-03-15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757A true KR20190108757A (ko) 2019-09-25

Family

ID=6806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176A KR20190108757A (ko) 2018-03-15 2018-03-15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7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230B1 (ko) 2006-06-21 2007-10-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홈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지능형 온수기기 검사시스템 및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230B1 (ko) 2006-06-21 2007-10-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홈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지능형 온수기기 검사시스템 및검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7889B2 (en) Universal device multi-function test apparatus
US8813610B2 (en) Automatic screw tightening apparatus
CN101710486B (zh) 自动对准系统及方法、显示装置测试系统及方法
CN100474185C (zh) 基板处理装置检查方法
CN105334447A (zh) 一种转盘自动化测试装置和方法
CN106226102A (zh) 一种冰箱商品性能检测装置、系统、方法及冰箱
US20070276965A1 (en) Automated programming system employing smart interfaces
CN100561164C (zh) 摄像头测试系统
US20070276682A1 (en) Automated processing system employing intelligent modules
US8020284B2 (en) Production line
KR102119118B1 (ko) 굴곡부를 구비하는 fpcb용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fpcb 검사방법
KR20190108757A (ko)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 및 홈네트워크 기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조공정
CN109167995B (zh) 一种显示屏缺陷电子限度制备装置
KR20090011694U (ko) 와이어하네스 검사장치
JP2011243989A (ja) 自動実装装置用の実装ヘッド、自動実装装置及び実装法
KR20230078729A (ko) 인쇄 회로 기판 원격 광학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CN107610626A (zh) 一种lcm的id检测治具的检测方法
KR20040076791A (ko) 액정 기판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4355165A (zh) 一种协作机器人伺服驱动系统的硬件模块检测系统
KR102175111B1 (ko) 복합 굴곡부를 구비하는 fpcb용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fpcb 검사방법
CN101046498A (zh) 测试多线电缆的系统
KR102162813B1 (ko) 탄성 지지형 fpcb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fpcb 검사방법
KR20220092794A (ko) Pcb 검사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542866B1 (ko) 검사 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사공정에서의 원격 모니터링 방법
Simpson Machine vision improves productivity in many w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