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665A -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665A
KR20190108665A KR1020180029866A KR20180029866A KR20190108665A KR 20190108665 A KR20190108665 A KR 20190108665A KR 1020180029866 A KR1020180029866 A KR 1020180029866A KR 20180029866 A KR20180029866 A KR 20180029866A KR 20190108665 A KR20190108665 A KR 20190108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display panel
dispos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079B1 (ko
Inventor
전재환
고성현
박봉춘
이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079B1/ko
Priority to US16/299,388 priority patent/US10718894B2/en
Priority to CN201910188101.9A priority patent/CN110277021B/zh
Publication of KR2019010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02F2001/133322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은 도광판, 도광판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 및 도광판의 가장자리와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고정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벽부, 측벽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도광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바닥부 및 측벽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표시 패널의 일면과 마주하는 천장부를 포함하여, 표시 패널과 도광판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며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판과 표시 패널을 효과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는 티브이, 모니터, 노트북, 및 휴대폰 등 다양한 정보 처리 장치들에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를 응용하여 플랫한 형태의 표시 장치뿐 아니라 휘어진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 패널과 광학 부재들을 결합한 표시 모듈은 플랫한 표시 장치 또는 휘어진 표시 장치용 하우징에 적용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제공되는 하우징 형태를 고려하여 표시 모듈 상태에서 표시 패널과 광학 부재들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들의 형상이 조절되어야 하는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과 광학 부재들의 결합력을 개선하고 다양한 표시장치에 장치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표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제공된 고정부를 갖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 및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도광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과 마주하는 천장부; 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도광판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과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입광면을 포함한 복수의 측면들;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입광면을 제외한 상기 측면들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은 평면상에서 두 개의 장변들과 두 개의 단변들을 갖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장변들 중 어느 하나의 장변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상기 고정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상기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L/2 초과 2L/3 이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변들 중 어느 하나의 장변에 4개 이상의 상기 고정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장부는 서로 평행하며, 상기 바닥부의 연장 방향과 상기 천장부의 연장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장부는 서로 평행하며, 상기 바닥부의 연장 방향과 상기 천장부의 연장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천장부는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상기 천장부는 상기 도광판과 비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홀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과 상기 바닥부 사이, 및 상기 천장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 및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일측에 배치된 광원;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도광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과 마주하는 천장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광판은 입광면을 포함한 복수의 측면들;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입광면을 제외한 상기 측면들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은 평면상에서 두 개의 장변들과 두 개의 단변들을 갖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장변들 중 어느 하나의 장변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상기 고정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상기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광판과 마주하는 하우징 바닥부; 상기 표시 모듈의 측면을 커버하는 하우징 측면부; 및 상기 하우징 측면부에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부를 체결하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홈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측면부와 상기 표시 모듈 사이는 접착 수지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스크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홀은 상기 홈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휘어진 바닥면을 포함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표시 모듈;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표시 모듈의 일측에 배치된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휘어진 바닥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휘어진 바닥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표시 패널; 및 상기 휘어진 도광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휘어진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휘어진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휘어진 도광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휘어진 표시 패널의 일면과 마주하는 천장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과 도광판을 결합하여 평탄한 표시 장치 또는 휘어진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한 표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을 이용하여 결합된 표시 패널과 도광판을 포함한 표시 모듈을 포함하여 양호한 결합력과 다양한 형태가 유지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도광판 및 고정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b 내지 도 5e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고정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I-I'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III-I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도광판 및 고정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b 내지 도 11d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고정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V-V'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VI-V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VII-V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도광판 및 고정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고정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I-I'선에 대응하는 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DD)에서 이미지가 제공되는 방향을 상부 방향으로, 상부 방향의 반대 방향을 하부 방향으로 하여 설명하나, 상부 방향이나 하부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부면)과 배면(또는 하부면)은 제3 방향축(DR3)의 방향에 의해 구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에 대한 법선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및 이를 수납하는 하우징(HS)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HS)은 표시 모듈(DM)에서 이미지를 제공하는 표시면(IS)을 제외한 표시 모듈(DM)의 측면, 및 표시면(IS)과 마주하는 표시 모듈(DM)의 하부면을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HS)은 표시면(IS)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HS)은 표시 모듈(DM)의 일단에 인접한 표시면(IS)의 일부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면(IS)이 일부만 하우징(HS)에 의해 커버되는 것일 수 있으며, 프레임리스(frameless) 또는 3면 프레임리스의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면(IS)의 다른 부분도 하우징(HS)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HS)은 표시 패널(DP)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LU, 도 12)을 수납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휘어진 곡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HS)은 휘어진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HS)에 수납된 표시 모듈(DM)은 하우징(HS)의 휘어진 형상을 따라 휘어진 곡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의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을 따라 휘어진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축(DR1)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DD)의 장변은 제1 방향축(DR1)을 따라 휘어진(curved) 형상을 갖고, 표시 장치(DD)의 단변은 제1 방향축(DR1)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축(DR2)과 나란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이미지가 제공되는 방향인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즉 하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DD)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가 휘어진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플랫한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표시 모듈(DM)은 도광판(LGP), 표시 패널(DP),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을 결합하는 복수 개의 고정부들(BK)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은 도광판(LG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BK)는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을 서로 결합시켜 고정하거나 또는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브래킷(bracket)일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DM)은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된 광학시트(O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LGP)은 후술하는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광원(LU, 도 12)에서 제공되는 광을 표시 패널(DP)로 가이드하는 것일 수 있다. 도광판(LGP)은 유리 또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LGP)은 표시 패널(DP)과 인접한 일면인 상부면(LGP-T), 상부면(LGP-T)과 마주하는 하부면(LGP-B), 및 상부면(LGP-T) 및 하부면(LGP-B) 사이에 배치된 측면들(S1, S2, S3, S4)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광판의 측면들(S1, S2, S3, S4)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광원(LU, 도 12)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는 입광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에서 도광판(LGP)의 입광면은 제4 측면(S4)일 수 있다. 도광판(LGP)의 입광면을 통해 도광판(LGP) 내측으로 입사된 광은 표시 패널(DP) 측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과 인접한 상부면(LGP-T)은 도광판(LGP)에서 가이드된 광이 출광되는 출광면일 수 있다.
도광판(LGP)은 광원(LU, 도 12)에서 제공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표시 패널(DP)로 전달하기 위하여 복수의 도광 패턴들(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 패턴들(미도시)은 도광판(LGP)의 하부면(LGP-B)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광판(LGP)은 평면상에서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도광판(LGP)은 평면상에서 한쌍의 장변과 한쌍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광판(LGP)의 장변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축(DR1) 방향, 단변의 연장 방향을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정의하며, 또한 도광판(LGP)의 두께방향을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장변과 단변의 방향은 상대적인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광판(LGP)의 입광면은 제4 측면(S4)으로 도시되고 있으며, 도광판(LGP)의 제1 내지 제3 측면들(S1, S2, S3)에 고정부들(BK)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도광판(LGP)의 입광면은 제1 측면(S1) 및 제2 측면(S2)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부들(BK)은 제3 측면(S3) 및 제4 측면(S4)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도광판(LGP) 상에는 표시 패널(DP)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액정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은 광원(LU, 도 12)으로부터 출력되어 도광판(LGP)을 통해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DP)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표시 패널(DP)은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표시 패널, 전기영동 표시 패널 및 전기습윤 표시 패널과 같은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DP)은 평면상에서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형상은 도광판(LGP)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의 장변과 단변은 각각 도광판(LGP)의 장변 및 단변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의 장변의 길이와 단변의 길이는 각각 도광판(LGP)의 장변의 길이 및 단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DP)의 장변의 길이와 단변의 길이는 각각 도광판(LGP)의 장변의 길이 및 단변의 길이 보다 긴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은 가요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최초로 제공된 형태가 편평하거나 휘어진 것일 수 있으며, 표시 장치(DD)로서 조립된 최종 상태에서는 최초 제공된 형태에서 변형되어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다양한 방식으로 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질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DP)의 휘어진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DP)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DM)은 제공되는 하우징(HS)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은 최초 형태가 휘어진 것으로 제공되되, 가요성이 없이 단단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로 고정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NDA) 중 일부는 하우징(HS)으로 커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은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을 서로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들(BK)을 포함한다. 고정부들(BK)은 도광판(LGP)의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DP)의 가장자리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들(BK)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것일 수 있다. 고정부들(BK)은 도광판(LGP)의 4개의 측면들(S1, S2, S3, S4)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들(BK)은 도광판(LGP)의 입광면에 해당하는 일측면(S4)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S1, S2, S3)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들(BK)은 도광판(LGP)의 입광면에 해당하는 일측면(S4)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S1, S2, S3) 모두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BK)는 금속 재질 또는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BK)는 스테인레스스틸(SUS), 갈바늄(Galvalume), 또는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에 포함된 도광판(LGP) 및 고정부(BK)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들(BK)은 도광판(LGP)의 3개의 측면(S1, S2, S3)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다만, 고정부들(BK)은 도광판(LGP)의 입광면에는 배치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고정부(BK)는 도광판(LGP)의 한쌍의 장변에 대응한 측면에만 배치되거나, 또는 도광판(LGP)의 한쌍의 단변에 대응한 측면에만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고정부(BK)는 입광면에 해당하는 도광판(LGP)의 일측면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LU, 도 12)이 도광판(LGP)의 단변에 대응하여 배치될 경우 광원에 인접한 도광판의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에 대응하여 고정부들(BK)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원(LU)이 도광판(LGP)의 제1 측면(S1)과 마주하고 배치될 경우 한 쌍의 장변에 대응하는 두 개의 측면들(S3, S4)에 고정부들(BK)이 배치되거나, 또는 한 쌍의 장변에 대응하는 두 개의 측면들(S3, S4) 및 다른 단변에 대응하는 제2 측면(S2)에 대응하여 고정부들(BK)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LU, 도 12)이 도광판(LGP)의 한 쌍의 단변에 대응하여 모두 배치될 경우, 고정부들(BK)은 도광판의 한 쌍의 장변에 대응한 측면들(S3, S4)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들(BK)은 입광면에 해당하는 도광판(LGP)의 제4 측면(S4)을 제외한 3개의 측면들(S1, S2, S3)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광판(LGP)의 장변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도광판(LGP)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L/3 이상 L/2 이하의 거리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BK)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BK)는 제1 측면(S1)에서부터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제2 측면(S2)에서부터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 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에서 도광판(LGP)의 제1 측면(S1)에서부터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 및 L/2 초과 2L/3 이하 사이의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BK)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광판(LGP)의 제1 측면(S1) 및 제2 측면(S2) 각각에 인접한 가장자리에 고정부(BK)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광판의 장변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부들(BK)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적어도 4개의 고정부들(BK)이 도광판(LGP)의 장변에 해당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에서 도광판(LGP)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L/3 이상 L/2 이하의 거리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BK)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의 결합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표시 모듈(DM)이 휘어진 표시 장치 구현을 위하여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휘어지는 경우 도광판(LGP)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L/3 이상 L/2 이하의 거리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BK)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휘어진 표시 장치 구현을 위하여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의 얼라인이 어긋나지 않고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의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의 곡률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LGP)의 장변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적어도 4개 이상의 고정부들(BK)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의 결합력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표시 모듈(DM)에 외력을 가하여 휘어진 표시 모듈(DM)을 구현하는 경우에도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의 얼라인 및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광판(LGP)의 단변의 연장 방향인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고정부들(BK)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LGP)의 단변에 대응하는 측면인 제1 측면(S1) 및 제2 측면(S2)에 각각 3개 이상의 고정부들(BK)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경우 제1 측면(S1)과 제2 측면(S2)에서는 단변 길이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에 하나의 고정부(BK)가 배치되고 제3 측면(S3) 및 제4 측면(S4) 각각에 인접한 가장자리에 고정부(BK)가 각각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고정부들(BK)의 배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도 4 등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모듈(DM)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에 포함된 고정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 내지 도 5e는 고정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고정부(BK, BKa, BKb, BKc)는 측벽부(BK-S), 바닥부(BK-B), 및 천장부(BK-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닥부(BK-B)는 측벽부(BK-S)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천장부(BK-T)는 측벽부(BK-S)의 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것일 수 있다. 고정부(BK, BKa, BKb, BKc)의 측벽부(BK-S), 바닥부(BK-B), 및 천장부(BK-T)는 일체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BK)는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측벽부(BK-S)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된 바닥부(BK-B) 및 천장부(BK-T)는 서로 평행하며, 바닥부(BK-B)의 연장 방향과 천장부(BK-T)의 연장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고정부(BK, BKa, BKb, BKc)의 측벽부(BK-S)는 도광판(LGP)의 측면(S1, S2, S3)과 마주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들(BK, BKa, BKb, BKc)은 도광판(LGP)의 3개의 측면들(S1, S2, S3)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다만, 고정부들(BK, BKa, BKb, BKc)은 도광판(LGP)의 입광면에 해당하는 일측면(S4)에는 배치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BK, BKa, BKb, BKc)는 스크류홀(BK-H, BK-H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홀(BK-H, BM-He)은 하우징(HS)과의 체결을 위한 스크류(SC, 도 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스크류홀(BK- H, BK-He)의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홀(BK-H)은 측벽부(BK-S) 또는 바닥부(BK-B)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II-II'선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고정부(BK)에서 스크류홀(BK-H)은 측벽부(BK-S)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5c 내지 도 5e는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으로 도 5c에 도시된 고정부(BKa)는 바닥부(BK-B)로부터 돌출된 스크류홀(BK-H)을 포함하는 것이고, 도 5d에 도시된 고정부(BKb)는 측벽부(BK-S) 및 바닥부(BK-B)로부터 각각 돌출된 두 개의 스크류홀들(BK-H)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5e에서와 같이 고정부(BKc)에서 스크류홀(BK-He)은 측벽부(BK-S)에 정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e에 도시된 고정부(BKc)의 실시예에서 스크류홀(BK-He)은 측벽부(BK-S)에 형성된 홈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5b 내지 도 5c에서와 유사하게 도 5e에 도시된 고정부(BKc)의 스크류홀(BK-He)은 바닥부(BK-B), 또는 바닥부(BK-B)와 측벽부(BK-S) 모두에 홈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BK)의 형상은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벽부(BK-S)의 높이, 바닥부(BK-B)와 천장부(BK-T)의 넓이 등은 제공되는 도광판(LGP) 및 표시 패널(DP)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BK)의 스크류홀(BK-H)의 위치 및 돌출된 길이 등은 표시 장치 제조 시 제공되는 하우징(HS)의 형상 등에 따라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I-I'선에 대응하는 면에 대한 단면도로, 도 6은 고정부(BK)에 의해 고정된 도광판(LGP) 및 표시 패널(DP)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DM)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은 광학 시트(O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OS)는 도광판(LGP)의 상부면(LGP-T)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광학 시트(OS)는 복수의 적층된 시트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OS)는 프리즘 시트, 확산판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은 접착 부재(AP1, A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AP1, AP2)는 고정부(BK)와 표시 패널(DP) 사이, 및 고정부(BK)와 도광판(LGP)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접착 부재(AP1, AP2)는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을 각각 고정부(BK)에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고정부(BK)와 표시 패널(DP)을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고정부(BK)의 천장부(BK-T)와 표시 패널(DP)을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고정부들(BK)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접착 부재(AP1)는 복수 개이고,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고정부들(BK)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착 부재(AP1)는 표시 패널(DP)의 가장자리 전체에 대응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차광 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AP1)는 차광 테이프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블랙 안료 또는 염료 등을 포함하여 빛샘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는 고정부(BK)와 도광판(LGP)을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는 고정부(BK)의 바닥부(BK-B)와 도광판(LGP)을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는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의 고정부들(BK)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접착 부재(AP2)는 도광판(LGP)의 가장자리 전체에 대응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접착 부재(AP2)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광판(LGP)의 일단은 고정부(BK)의 바닥부(BK-B), 측벽부(BK-S), 및 천장부(BK-T)에 의하여 정의되는 삽입 공간(OH)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삽입 공간(OH)의 높이(tOH)는 도광판의 두께(tGP) 이상일 수 있다. 삽입 공간(OH)의 높이(tOH)는 도광판의 두께(tGP) 및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의 합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 부재(AP2)가 생략되는 경우 삽입 공간(OH)의 높이(tOH)는 도광판의 두께(tGP)와 동일하며, 도광판(LGP)은 고정부(BK)에 의해 정의되는 삽입 공간(OH)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BK)의 천장부(BK-T)는 도광판(LGP) 및 표시 패널(DP)과 중첩하는 것일 수 있다. "ㄷ"자 형상의 고정부(BK)의 천장부(BK-T) 및 바닥부(BK-B)는 모두 도광판(LGP) 또는 표시 패널(DP)과 중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의 일단에서 표시 패널(DP)의 일측면과 도광판(LGP)의 일측면 사이의 간격(G1)은 고정부(BK)의 측벽부(BK-S)의 두께 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표시 모듈 및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d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은 표시 모듈(DM-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III-III'선에 대응하는 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도광판 및 고정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포함된 고정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은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표시 모듈(DM)과 비교하여 고정부(BK-1)의 형상을 달리한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은 도광판(LGP), 도광판(LGP)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DP), 및 도광판(LGP)의 가장자리와 표시 패널(DP)의 가장자리를 결합하는 고정부들(BK-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들(BK-1)은 입광면에 해당하는 도광판(LGP)의 일측면(S4)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S1, S2, S3)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에서 평면상에서의 표시 패널(DP)의 면적은 도광판(LGP)의 면적 이상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장변의 길이(LDP)는 도광판(LGP)의 장변의 길이(L) 보다 긴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의 단변의 길이도 도광판(LGP)의 단변의 길이보다 긴 것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1)의 일단에서의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의 길이 차이(G2)는 도 6 등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에서의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의 길이 차이(G1)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의 일측 단부에서의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의 길이 차이(G2)는 고정부(BK-1)의 천장부(BK-T1)의 길이(WBK)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도 9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의 일측 단부만 나타내었으나, 고정부들(BK-1)이 배치된 표시 모듈(DM-1)의 다른 단부들에서도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의 길이 차이(G2)는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에 포함되는 도광판(LGP) 및 도광판(LGP)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BK-1)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들(BK-1) 각각의 천장부(BK-T1)는 도광판(LGP)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도 고정부들(BK-1)은 입광면에 해당하는 도광판(LGP)의 제4 측면(S4)을 제외한 3개의 측면들(S1, S2, S3)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광판(LGP)의 장변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도광판(LGP)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BK-1)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서의 도광판(LGP)에서의 고정부들(BK-1)의 배치 위치와 배치 개수에 대하여는 상술한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에서 도광판(LGP)의 제1 측면(S1)에서부터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 및 L/2 초과 2L/3 이하 사이의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BK-1)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광판(LGP)의 제1 측면(S1) 및 제2 측면(S2) 각각에 인접한 가장자리에 고정부(BK-1)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적어도 4개의 고정부들(BK-1)이 도광판(LGP)의 장변에 해당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광판(LGP)의 단변에 대응하는 측면인 제1 측면(S1) 및 제2 측면(S2)에 각각 3개 이상의 고정부들(BK-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은 광학 시트(OS)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광학 시트(OS)는 도광판(LGP)의 상부면(LGP-T)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은 고정부(BK-1)와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AP1) 및 고정부(BK-1)와 도광판(LGP)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AP2)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고정부(BK-1)의 천장부(BK-T1)와 표시 패널(DP)을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는 고정부(BK-1)의 바닥부(BK-B1)와 도광판(LGP)을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차광 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AP1)는 차광 테이프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블랙 안료 또는 염료 등을 포함하여 빛샘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에 포함된 제1 접착 부재(AP1) 및 제2 접착 부재(AP2)에 대하여는 상술한 도 6에서 설명한 제1 접착 부재(AP1) 및 제2 접착 부재(AP2)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에서는 도 6에서 설명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과 달리 제2 접착 부재(AP2)가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도 9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BK-1)의 천장부(BK-T1)는 표시 패널(DP)과 중첩하며, 도광판(LGP)과 비중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BK-1)의 천장부(BK-T1)는 표시 패널(DP)에만 중첩하고, 바닥부(BK-B1)는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 모두에 중첩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1)에 포함된 고정부(BK-1)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고정부(BK-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b 내지 도 11d는 고정부(BK-1, BK-1a, Bk-1b)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고정부(BK-1, BK-1a, Bk-1b)는 측벽부(BK-S1), 바닥부(BK-B1), 및 천장부(BK-T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닥부(BK-B1)는 측벽부(BK-S1)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천장부(BK-T1)는 측벽부(BK-S1)의 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것일 수 있다. 고정부(BK-1, BK-1a, Bk-1b)의 측벽부(BK-S1), 바닥부(BK-B1), 및 천장부(BK-T1)는 일체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측벽부(BK-S1)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된 바닥부(BK-B1) 및 천장부(BK-T1)는 서로 평행하며, 바닥부(BK-B1)의 연장 방향과 천장부(BK-T1)의 연장 방향은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 등을 참조하면, 바닥부(BK-B1)는 도광판(LGP)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천장부(BK-T1)는 도광판(LGP)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에서 도시된 고정부(BK-1, BK-1a, Bk-1b)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광판(LGP)에 비하여 큰 면적을 갖는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에서 도시된 고정부(BK-1, BK-1a, Bk-1b)는 스크류홀(BK-H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홀(BK-H1)은 하우징(HS)과의 체결을 위한 스크류(SC, 도 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스크류홀(BK-H1)은 측벽부(BK-S1) 또는 바닥부(BK-B1)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1b는 도 11a의 IV-IV'선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고정부(BK-1)에서 스크류홀(BK-H1)은 측벽부(BK-S1)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스크류홀(BK-H1)은 측벽부(BK-S1)로부터 천장부(BK-T1)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1c 및 도 11d는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으로 도 11c에 도시된 고정부(BK-1a)는 바닥부(BK-B1)로부터 돌출된 스크류홀(BK-H1)을 포함하는 것이고, 도 11d에 도시된 고정부(BK-1b)는 측벽부(BK-S1) 및 바닥부(BK-B1)로부터 각각 돌출된 두 개의 스크류홀들(BK-H1)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고정부(BK-1)의 형상은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벽부(BK-S1)의 높이, 바닥부(BK-B1)와 천장부(BK-T1)의 넓이 등은 제공되는 도광판(LGP) 및 표시 패널(DP)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BK-1)의 스크류홀(BK-H1)의 위치 및 돌출된 길이 등은 표시 장치 제조 시 제공되는 하우징(HS)의 형상 등에 따라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은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을 이용하여 도광판과 표시 패널을 고정함으로써 일체로 제공되는 고정부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도광판과 표시 패널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표시 모듈의 변형이 자유로울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은 도광판, 표시 패널, 및 도광판과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를 결합하는 복수 개의 이격된 고정부들을 포함하여, 도광판과 표시 패널을 효과적으로 서로 결합시키면서 동시에 플랫한 하우징 또는 휘어진 하우징 등 하우징 형상에 관계 없이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d에서 설명한 표시 모듈에 대한 내용은 이하 도 12 내지 도 17에 대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2의 V-V'선에 대응하는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VI-VI'선에 대응하는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는 표시 모듈(DM), 광원(LU), 및 하우징(H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도광판(LGP), 도광판(LGP)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DP), 도광판(LGP)의 가장자리와 표시 패널(DP)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BK)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에서 표시 모듈(DM)은 도 1 내지 도 11d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 DM-1)에 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들(BK)은 각각 도광판(LGP)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벽부(BK-S), 측벽부(BK-S)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도광판(LGP)의 일면과 마주하는 바닥부(BK-B), 및 측벽부(BK-S)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표시 패널(DP)의 일면과 마주하는 천장부(BK-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들(BK)은 광원(LU)에서 제공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광면에 해당하는 일측면(S4)을 제외한 도광판(LGP)의 나머지 측면들(S1, S2, S3)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부들(BK)은 도광판(LGP)의 제1 내지 제3 측면(S1, S2, S3)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고정부들(BK)은 광원(LU)과 마주하는 제4 측면(S4)을 제외한 도광판(LGP)의 나머지 측면들(S1, S2, S3)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LGP)은 평면상에서 두 개의 장변들과 두 개의 단변들을 포함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광판(LGP)의 두 개의 장변들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BK)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LGP)의 두 개의 장변들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 및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L/2 초과 2L/3 이하 사이의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BK)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에서 도광판(LGP)의 장변에 해당하는 일측면에는 4개 이상의 고정부들(BK)이 배치되고, 단변에 해당하는 일측면에는 3개 이상의 고정부들(BK)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도광판(LG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광학 시트(OS)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OS)는 복수 개의 시트들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OS)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의 광학층들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광원(LU)은 표시 모듈(DM)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LU)은 도광판(LGP)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광원(LU)은 도광판(LGP)의 제4 측면(S4)과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원(LU)은 회로기판(FB) 및 회로기판(FB)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LD)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FB)은 발광 소자들(LD)을 실장하여 발광 소자들(LD) 측으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FB)은 실장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LD) 측으로 디밍(Dimming) 신호 및 구동 전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회로기판(FB)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적어도 하나의 회로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FB)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들(LD) 각각은 발광 칩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light emitting diode package)일 수 있다. 발광 소자들(LD)은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HS)은 표시 모듈(DM)과 광원(LU)을 수납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HS)은 하우징 바닥부(HS-B) 및 하우징 측면부(H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HS)은 하우징 천장부(HS-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닥부(HS-B)는 도광판(LGP)과 마주하는 부분일 수 있다. 하우징 측면부(HS-S)는 표시 모듈(DM)의 측면을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 측면부(HS-S)는 하우징 바닥부(HS-B)에서부터 표시 장치(DD-1)의 두께 방향인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HS)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천장부(HS-T)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천장부(HS-T)는 하우징 측면부(HS-S)로부터 연장되어 표시 모듈(DM)의 상부면 중 일부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 천장부(HS-T)는 표시 모듈(DM)의 표시면(IS. 도 1) 일부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에서 하우징(HS)은 표시 모듈(DM)의 하부면을 커버하는 하우징 바닥부(HS-B), 표시 모듈(DM)의 4개의 측면들을 커버하는 하우징 측면부(HS-S), 및 표시 모듈(DM)의 4개의 측면들 중 광원(LU)에 인접한 일측면을 커버하는 하우징 측면부(HS-S)로부터 연장된 하우징 천장부(HS-T)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 천장부(HS-T)는 표시 모듈(DM)을 커버하기 위하여 광원(LU)에 인접한 측면 이외의 다른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표시 모듈(DM)의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바닥부(HS-B), 하우징 측면부(HS-S), 및 하우징 천장부(HS-T)는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 바닥부(HS-B), 하우징 측면부(HS-S), 및 하우징 천장부(HS-T)는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되며 표시 장치(DD) 제조 공정에서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측면부(HS-S)에 홈부(HS-H)가 정의될 수 있다. 홈부(HS-H)는 하우징 측면부(HS-S)에 홀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홈부(HS-H)는 스크류(SC)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홈부(HS-H)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홈부(HS-H)에 삽입된 스크류(SC)를 이용하여 하우징(HS)과 표시 모듈(DM)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스크류(SC)는 홈부(HS-H)에 삽입되어 하우징(HS)과 고정부(BK)를 체결하는 것일 수 있다.
홈부(HS-H)는 고정부(BK)의 스크류홀(BK-H)과 대응하여 하우징 측면부(HS-S)에 정의될 수 있다. 스크류(SC)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고정부(BK)의 스크류홀(BK-H)과 홈부(HS-H)에 삽입되어 표시 모듈(DM)을 하우징(HS)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크류(SC) 체결에 의해 표시 모듈(DM)은 하우징(HS)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표시 모듈(DM)의 고정부들(BK)은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고, 또한 결합된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이 하우징(HS)의 형상에 맞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VII-VII'에 대응하는 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2)는 휘어진(curved)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2)는 휘어진 바닥면을 포함하는 하우징(HS-c), 하우징(HS-c)에 수납된 표시 모듈(DM)과 광원(LU)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HS-c)은 하우징 바닥부(HS-Bc) 및 하우징 측면부(HS-Sc)를 포함하며, 하우징 바닥부(HS-Bc)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휘어진 것일 수 있다. 즉, 하우징 바닥부(HS-Bc)는 휘어진 바닥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 바닥부(HS-Bc)는 제1 방향축(DR1)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하우징 바닥부(HS-Bc)는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의 바닥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HS-c)은 하우징 측면부(HS-Sc)에서 연장되고 표시 모듈(DM)의 표시면(IS, 도 1) 일부를 커버하는 하우징 천장부(HS-T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S-c)에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의 일측에 배치된 광원(LU)이 수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광원(LU)은 도광판(LGP)의 일측면(S4)과 마주하고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천장부(HS-Tc)는 광원(LU)을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DM)은 하우징(HS-c)의 휘어진 바닥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도광판(LGP), 도광판(LGP) 상에 배치되며 휘어진 하우징 바닥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표시 패널(DP)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휘어진 도광판(LGP)의 가장자리와 휘어진 표시 패널(DP)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복수 개의 고정부들(BK)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들(BK) 각각은 휘어진 도광판(LGP)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벽부(BK-S), 측벽부(BK-S)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휘어진 도광판(LGP)의 일면과 마주하는 바닥부(BK-B), 및 측벽부(BK-S)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휘어진 표시 패널(DP)의 일면과 마주하는 천장부(BK-T)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BK)와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AP1-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a)는 표시 패널(DP)을 고정부(BK)에 접착시켜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을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접착 부재(AP1-a)는 표시 패널(DP)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a)는 표시 패널(DP)의 4개의 변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a)는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부분이 뚫린 형태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a)는 차광 테이프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a)는 블랙 안료 또는 염료 등을 포함한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2)는 제2 접착 부재(A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는 도광판(LGP)과 고정부(BK)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는 도광판(LGP)과 고정부(BK)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광판(LGP) 상에는 광학 시트(OS)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OS)는 도광판(LGP) 상에 적층되어 광원(LU)에서 제공되어 표시 패널(DP)로 입사되는 광의 효율을 증가시키거가 표시 패널(DP)의 정면 방향으로 집광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2)는 반사부(R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RP)는 도광판(LGP)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RP)는 하우징(HS-c)에 수납되어 하우징 바닥부(HS-Bc)와 도광판(LG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RP)는 반사시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반사부(RP)는 도광판(LGP)의 하부면에 증착되어 반사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반사부(RP)는 반사부(RP) 측으로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표시 패널(DP) 측으로 가이드 할 수 있어 표시 장치(DD-2)의 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에서도 도광판(LGP) 하부에 반사부(RP)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광원(LU)은 회로기판(FB) 및 회로기판(FB)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L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기판(FB)은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휘어진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FB)은 하우징(HS-c)의 휘어진 바닥면에 대응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휘어진 것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발광 소자들(LD)은 회로기판(FB)의 휘어진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측면부(HS-Sc)에는 홈부(HS-H)가 정의될 수 있다. 홈부(HS-H)에는 스크류(SC)가 삽입될 수 있다. 홈부(HS-H)는 고정부(BK)의 스크류홀(BK-H)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스크류(SC)는 홈부(HS-H) 및 스크류홀(BK-H)에 삽입 및 체결되어 하우징(HS-c)과 표시 모듈(DM)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부들(BK)에 의해 서로 결합된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은 휘어진 상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플랫한 형태로 제공되며 표시 장치(DD-2) 조립 과정에서 하우징(HS-c)의 휘어진 곡률에 대응하여 변형되어 하우징(HS-c)에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DM)과 하우징(HS-c)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BK)에 의해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들(BK)은 스크류홀(BK-H)을 포함하고, 스크류홀(BK-H) 및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하우징(HS-c)의 홈부(HS-H)에 삽입되는 스크류(SC)에 의해 표시 모듈(DM)과 하우징(HS-c)이 고정되어 휘어진 표시 장치(DD-2)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2)의 장변 방향인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적어도 4개 이상의 고정부들(BK)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입광면과 마주하는 도광판(LGP)의 일측면인 제3 측면(S3)에는 4개 이상의 고정부들(BK)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면(S3)에 배치된 고정부들(BK)은 표시 패널(DP)과 도광판(LGP)을 서로 결합시키며, 또한 표시 모듈(DM)이 하우징(HS-c)의 휘어진 바닥면에 대응하여 변형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일측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a, DD-b, DD-c)는 도 12 또는 도 15에서 도시되어 설명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1, DD-2)의 일 부분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 DM-1)은 고정부(BKb, BK-1b)를 포함하여 하우징(HS)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BKb, BK-1b)의 스크류홀(BK-H)에는 하우징(HS) 홈부(HS-H)로 삽입되는 스크류(SC)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a, DD-b, DD-c)는 접착 수지(R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수지(RS)는 하우징 측면부(HS-S)과 표시 모듈(DM) 사이를 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 수지(RS)는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수지(RS)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 등일 수 있다. 접착 수지(RS)는 차광 물질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접착 수지(RS)는 고분자 수지를 베이스로 하고, 고분자 수지에 분산된 블랙 안료 또는 염료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 수지(RS)는 하우징 측면부(HS-S)와 표시 모듈(DM)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충전되어 이격 공간에서의 빛샘 현상을 줄이며, 하우징(HS)과 표시 모듈(DM)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착 수지(RS)는 하우징 측면부(HS-S)와 표시 모듈(DM)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충전되어 표시 장치(DD)의 내충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7a는 상술한 도 5d에서 설명한 고정부(BKb)를 포함한 포함한 표시 장치(DD-a)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일 수 있다. 고정부(BKb)는 측벽부(BK-S), 바닥부(BK-B), 천장부(BK-T), 및 스크류홀(BK-H)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 측면부(HS-S)와 하우징 바닥부(HS-B)에 정의된 홈부(HS-H) 및 스크류홀(BK-H)에 삽입된 스크류(SC)에 의해 표시 모듈(DM)과 하우징(HS)이 결합될 수 있다. 접착 수지(RS)는 표시 패널(DP)과 하우징 측면부(HS-S)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7b는 상술한 도 11d에서 설명한 고정부(BK-1b)를 포함한 표시 장치(DD-b)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일 수 있다. 고정부(BK-1b)는 측벽부(BK-S1), 바닥부(BK-B1), 천장부(BK-T1), 및 스크류홀(BK-H1)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b)에서 접착 수지(RS)는 표시 모듈(DM-1)과 하우징(HS) 사이의 빈 공간을 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b)에서 접착 수지(RS)는 표시 패널(DP)과 하우징 측면부(HS-S) 사이 및 고정부(BK-1b)와 하우징(HS) 사이의 빈 공간을 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7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c)에서 하우징(HS-a)은 하우징 바닥부(HS-B), 하우징 측면부(HS-S), 및 홈부(HS-Ha)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와 비교하여 도 17c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HS-a)의 홈부(HS-Ha)는 하우징 측면부(HS-S) 보다 도광판(LGP) 측으로 삽입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7c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c)에서 하우징(HS-a)의 홈부(HS-Ha)는 표시 패널(DP)과 중첩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c)는 스크류(SC)가 도광판(LGP) 측으로 삽입된 홈부(HS-Ha)에 고정되어 스크류(SC)가 표시 장치(DD-c)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c)에서 접착 수지(RS)는 표시 패널(DP)과 하우징 측면부(HS-S) 사이 및 고정부(BK-1b)와 하우징 측면부(HS-S) 사이에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측벽부, 바닥부, 및 천장부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표시 패널과 도광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부들로 결합된 표시 패널과 도광판을 포함한 표시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 제조 시 하우징 형상에 따라 표시 모듈의 고정부 형상을 달리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고정부들로 결합된 표시 패널과 도광판을 포함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을 플랫한 표시 장치 또는 휘어진 표시 장치의 제조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는 표시 모듈과 하우징의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표시 장치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DD-1, DD-2 : 표시 장치 DM, DM-1 : 표시 모듈
BK, BK-1 : 고정부 LGP : 도광판
DP : 표시 패널

Claims (20)

  1.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 및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도광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과 마주하는 천장부; 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과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입광면을 포함한 복수의 측면들;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입광면을 제외한 상기 측면들에 대응하여 배치된 표시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평면상에서 두 개의 장변들과 두 개의 단변들을 갖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장변들 중 어느 하나의 장변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상기 고정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상기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표시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L/2 초과 2L/3 이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들 중 어느 하나의 장변에 4개 이상의 상기 고정부들이 배치된 표시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장부는 서로 평행하며, 상기 바닥부의 연장 방향과 상기 천장부의 연장 방향은 동일한 표시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장부는 서로 평행하며, 상기 바닥부의 연장 방향과 상기 천장부의 연장 방향은 서로 반대인 표시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는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표시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도광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상기 천장부는 상기 도광판과 비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는 표시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홀을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홀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것인 표시 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바닥부 사이, 및 상기 천장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14.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 및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의 일측에 배치된 광원; 및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도광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과 마주하는 천장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입광면을 포함한 복수의 측면들;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입광면을 제외한 상기 측면들에 대응하여 배치된 표시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평면상에서 두 개의 장변들과 두 개의 단변들을 갖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장변들 중 어느 하나의 장변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상기 고정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상기 장변의 일단으로부터 L/3 이상 L/2 이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 표시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광판과 마주하는 하우징 바닥부;
    상기 표시 모듈의 측면을 커버하는 하우징 측면부; 및
    상기 하우징 측면부에 정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부를 체결하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홈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측면부와 상기 표시 모듈 사이는 접착 수지로 충전된 표시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된 스크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홀은 상기 홈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표시 장치.
  20. 휘어진 바닥면을 포함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 표시 모듈; 및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표시 모듈의 일측에 배치된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휘어진 바닥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휘어진 바닥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표시 패널; 및
    상기 휘어진 도광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휘어진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고정부들;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휘어진 도광판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휘어진 도광판의 일면과 마주하는 바닥부; 및
    상기 측벽부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휘어진 표시 패널의 일면과 마주하는 천장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029866A 2018-03-14 2018-03-14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9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66A KR102493079B1 (ko) 2018-03-14 2018-03-14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6/299,388 US10718894B2 (en) 2018-03-14 2019-03-12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0188101.9A CN110277021B (zh) 2018-03-14 2019-03-13 显示模块和包括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66A KR102493079B1 (ko) 2018-03-14 2018-03-14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665A true KR20190108665A (ko) 2019-09-25
KR102493079B1 KR102493079B1 (ko) 2023-01-31

Family

ID=6790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866A KR102493079B1 (ko) 2018-03-14 2018-03-14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18894B2 (ko)
KR (1) KR102493079B1 (ko)
CN (1) CN1102770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334A (ko)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982992U (zh) * 2019-12-16 2020-07-10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
KR102350240B1 (ko) * 2020-02-21 202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E102020216019A1 (de) * 2020-09-01 2022-03-0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leuchtungseinheit mit einer Zentriereinrichtung für einen Lichtleiter
CN114660700B (zh) * 2022-03-28 2024-01-05 成都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811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3847A (ko) * 2010-06-07 2011-1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30128669A (ko) * 2012-05-17 2013-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52760A (ko) * 2015-11-03 2017-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86169A (ko) * 2016-01-15 2017-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13553A (ko) * 2016-07-29 2018-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475B2 (ja) 1995-09-28 2002-03-18 京セラ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767961B1 (ko) * 2010-08-31 2017-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공급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101816275B1 (ko) * 2010-12-23 2018-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20102174A (ko) * 2011-02-16 2012-09-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822110B1 (ko) * 2011-07-06 2018-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323084B2 (en) * 2012-11-08 2016-04-26 Lg Display Co., Ltd.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20521B1 (ko) 2012-11-08 2014-07-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091834B1 (ko) * 2013-07-25 2020-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EP2891919B1 (en) * 2014-01-06 2021-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display apparatus
JP6291397B2 (ja) * 2014-10-28 2018-03-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1640705B1 (ko) 2015-01-21 2016-07-18 (주)뉴옵틱스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하우징
KR101766810B1 (ko) 2015-10-14 2017-08-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754288B1 (ko) * 2015-12-30 2017-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보더리스 표시장치
KR20170101328A (ko) 2016-02-25 2017-09-06 유학성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 거푸집 조인트 브라켓
KR102538876B1 (ko) * 2016-08-04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811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3847A (ko) * 2010-06-07 2011-1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30128669A (ko) * 2012-05-17 2013-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52760A (ko) * 2015-11-03 2017-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86169A (ko) * 2016-01-15 2017-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13553A (ko) * 2016-07-29 2018-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334A (ko) * 2021-06-28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조립방법
WO2023277366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77021B (zh) 2023-04-28
CN110277021A (zh) 2019-09-24
US10718894B2 (en) 2020-07-21
US20190285793A1 (en) 2019-09-19
KR102493079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079B1 (ko)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649259B2 (en) Display device having display panel fixed relative to optical member solely by elastic fixing member
JP5582677B2 (ja) 液晶表示装置
US7460194B2 (en) Flat display device including stress easing frame bezel
CN105425334B (zh) 显示设备
EP1914574A1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841553B2 (en) Display device having adhesive framing member for optical sheets
US7656470B2 (en) Backlight module with light guide plate having first ear (tab) with structure for holding second ear of optical film localized (locked) by the first ear and LCD for same
CN209880030U (zh) 显示装置、拼接屏
US9671632B2 (en) Display device
KR20170119361A (ko) 표시 장치
US1013653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49987A (ko) 표시 장치
US9810833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folded light guide member
US9503671B2 (en) Display device
EP2837963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EP3279720B1 (en) Backlight unit provided with supporter of light source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ppor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KR20130075369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20170192147A1 (en) Display apparatus
US988035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ower frame having accomodation portion extended from bottom portion
US11105972B2 (en)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50092385A1 (en) Display apparatus
KR102343712B1 (ko) 표시 장치
US10302854B2 (en) Display apparatus
US2007010361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frame stopper blocking liquid crystal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