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454A - 이미시온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시온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454A
KR20190108454A KR1020180052119A KR20180052119A KR20190108454A KR 20190108454 A KR20190108454 A KR 20190108454A KR 1020180052119 A KR1020180052119 A KR 1020180052119A KR 20180052119 A KR20180052119 A KR 20180052119A KR 20190108454 A KR20190108454 A KR 20190108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layer
disposed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420B1 (ko
Inventor
유르겐 피치
Original Assignee
유르겐 피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8105849.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8105849B3/de
Priority claimed from DE202018101418.8U external-priority patent/DE202018101418U1/de
Application filed by 유르겐 피치 filed Critical 유르겐 피치
Publication of KR2019010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6Nitroge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1Solid phase processes
    • B01D53/83Solid phase processes with mov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91Construction elements containing cleaning material, e.g.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F24F2003/16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Ventil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미립자를 바인딩(binding)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고, 가능한 최소한의 지출 및 허용 가능한 비용으로 효과적인 공기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립자를 바인딩(binding)하되, 복수의 판형 서포트(3)가 배치되는 수직의 홀딩 디바이스(2)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판형 서포트(3) 각각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판형 서포트(3)는 선태층(moss layer)(5)이 배치되는 상측 서포트면(4)과, 상기 상측 서포트면(4)의 반대면인 하측면(6)을 가지고, 상기 상측 서포트면(4)은,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최대 45°가 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판형 서포트(3)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판형 서포트(3)의 상기 선태층(5)과 상기 판형 서포트(3)의 상기 하측면 사이에 클리어갭(7)을 유지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장치(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미시온 저감장치{DEVICE FOR IMMISSION REDUCTION}
본 발명은 특히, 미립자를 바인딩(binding)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염물질로 인한 건강위험을 가능한 한 최소화하기 위해, 미립자 또는 질소산화물과 같은 이미시온에 의한 공기 오염의 저감은 큰 관심사이다. 대도시에 살고있는 사람들과 애완동물과 같은 동물들은 오염된 공기를 피하는 것이 어려운 점에서, 특히, 도시지역(대도시 권역)의 외부공기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저감도 요구될 수 있다.
공기오염물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직적 그린시스템(vertical greening systems), 다른 말로 녹색벽(green walls), 식물벽(plant walls) 또는 선태벽(moss walls)을 구현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독일문헌 DE 20-2017-104038 U1에는, 벽과 같은 정적인 지지부재 상에 고정하기 위한 선태를 포함하고, 수직방향으로 향하는 선태매트가 공급되며,벽과 같은 선태로 덮힌 수직부재가 형성되는 그린시스템이 개시된다.
독일문헌 DE-10-2013-107786 B4에는, 하나 이상의 선태판(moss plate)이 지지판의 커버로 사용되는 수직 지지판을 가진 수직적 그린시스템이 기술된다.
독일문헌 DE 10-2014-114307 A1에는, 도시지역에서의 미립자 바인딩을 위한 식물벽이 기술되는데, 여기서 식물 항아리(pot)는 식물항아리 지지면 상에 결합된다. 식물벽은, 공기 갭(gaps)에 의해 어느 정도 형성되고, 식물 항아리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통풍구를 가진다.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로는, 특히 대도시 지역에서의 다량의 공기에 대한 공기질의 효과적인 개선에 요구되는 용량의 제공은 제한된 범위에서만 가능하고, 또한 비교적 복잡하고 비싸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대도시지역 및 메가시티에서 친환경시스템(ecosystem) 서비스로서 가능한 최소한의 지출 및 허용 가능한 비용으로 효과적인 이미시온 저감을 가능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립자를 바인딩하되, 복수의 판형 서포트가 배치되는 수직의 홀딩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판형 서포트 각각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판형 서포트는 선태층이 배치되는 상측 서포트면과, 상기 상측 서포트면의 반대면인 하측면을 가지고, 상기 상측 서포트면은,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최대 45°가 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판형 서포트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판형 서포트의 상기 선태층과 상기 판형 서포트의 상기 하측면 사이에 클리어갭을 유지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쉽고 비교적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도시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다량의 공기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큰 선태형 표면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공기 중 미립자 농도를 줄이는데 특히 적합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 예의 단순화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단순화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단순화된 공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 예의 서포트를 통한 간략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 예의 단순화 된 정면도(A) 및 측면도(B)를 도시한다.
선태(moss)는 공기로부터 미립자를 흡수하여 이를 대사하고,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는 동안 산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태는 공기 중의 질소산화물(NOx)과 같은 다른 오염물질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광합성 중에 방출되는 산소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독립형 또는 벽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장치는 모듈 방식으로 결합되어 더 큰 유닛을 형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선태형성면이 오염된 공기 및 빛에 특히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식물 항아리 등을 요구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수평 또는 경사 서포트 상에 노출된 방식으로 선태층을 배치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측면에서 개방되어, 서포트는 정화될 공기가 통과할 수 있고, 그 결과 예를 들어 유동하는 공기 중의 미립자는 선태층에 침착, 흡수 또는 축적될 수 있으므로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정화될 공기를 선태층에 보다 잘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선태층에 빛을 만족스럽게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선태는 비교적 가난한 조명조건에서도 번성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러운 빛의 조사는 또한 선태에 필수적이다.
여기서, "이미시온 저감"은 예를 들어 미립자 또는 NOx(NO2, NO, N2O)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오염물질의 공기 중 농도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판형 서포트"는 실질적으로 2차원으로 연장되고 제3차원에서 비교적 작은 서포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판형 서포트는 바람직하게는 단단하고 견고하고, 선태층이 배열될 수 있는 표면을 형성한다. 이는 지지체 또는 그 표면이 불균일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곡선형 또는 아치형을 가질 수 있다.
상측 서포트면이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표현은 서포트가 종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지고, 상측 선태형성면이 오염원 방향 또는 오염된 공기의 예상 유동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로 이웃하는 서포트는 수직방향으로 서포트의 선태층과 서포트의 하측면 사이에 클리어갭을 유지하도록 서로 이격되는"이라는 표현은, 서로 이웃하는 서포트 즉, 서로 상하로 바로놓인 서포트는, 프리갭(free gap) 즉, 선태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갭이 하나의 서포트의 선태층과 그 위에 놓인 서포트의 하면 사이에 남아있도록,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갭을 통해 공기가 선태층 상으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고, 빛이 충분히 선태층에 도달할 수 있다. 서포트를 기준으로 한 "서로 위에 놓인"이라는 용어는 서로에 대한 서포트의 수평, 예를 들어 계단형, 오프셋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서포트가 실질적으로 수평 오프셋없이 서로 위에 놓여지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홀딩 디바이스 및/또는 서포트가 동시에 물 공급 및 물 분배 장치, 예를 들어 라인 및 스프레이 헤드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예를 들어 계절적으로 공기의 습도, 비 등에 의한 자연적으로 이용 가능한 물의 양이 선태에 충분한 물을 공급하기에 불충분 한 지역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물 부족이 있는 상황에서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저수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은, 예를 들어 서포트가 적어도 어느 정도는 그 위에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선태층은 수분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그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 IoT)를 통해 서포트 구조체에 배열된 관개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상황에 맞춘 선태층의 가습(moistening)이 가능하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상술한 관개 시스템의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심지어는 대응하는 태양광 모듈 등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마찬가지로 선태의 가습을 위해 빗물을 모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트리쿰(Polytrichum)과 같은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선태 종(Moss species)이 선태층으로 고려된다. 이들 선태종은 이미 각 환경조건에 가장 잘 적응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토착의 선태종(예를 들어, 동아시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판형 서포트는 단면이 아치 형태로, 예를 들어 sigmoidal형 형성된다. 여기서 "Sigmoidal형"은 대체로 완만한 S 자 형상을 의미하며, 서포트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섹션이 오염공기 공급원 또는 주 유동 방향과 마주하는 골(trough)을 형성하고, 한편, 후방 섹션은 위로 볼록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압력 및 흡입효과에 의해 클리어갭을 통해 서포트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유동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축적되도록 서포트는 유리하게 설계된다. 그러나 서포트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서포트는 그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하나에 상승된 벽을 가지고, 따라서 서포트는 바람직한 실시 예인 골 또는 접시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는 선태형성면이 더욱 오염원쪽으로 향하도록 최대 45°로 기울어져, 즉,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최대 45°가 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경사는 바람직하게는 40°이하, 30°이하, 20°이하, 15°이하 또는 10°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설계에서, 클리어갭은 수직 방향으로 15-50cm, 바람직하게는 20-45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cm, 특히 바람직하게는 25-35cm의 평균 클리어높이 H를 갖는다.
갭의 높이는 정화될 공기가 방해받지 않고 가능한 한 최적으로 선태층에 접근할 수 있고, 인공조명을 요구하지 않고 선태층에 자연광을 만족스럽게 공급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판형 서포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지만, 예를 들어 고급 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또는 쉽게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으로 간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태층은 상측 서포트면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합한, 예를 들어 다공성인, 지지물질의 경우에, 선태층은 상측 서포트면 상에 직접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상측 서포트면과 선태층 사이에 다른 기판층 및 부직포층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층은 바람직하게는 상측 서포트면 상에 직접 배열되는 반면, 부직포층은 기판층 상에 그리고 선태층 아래에 직접 배치된다. 부직포층은 바람직하게는 선태의 세포 사(rhizoids, 헛뿌리)가 동일하게 돌출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기판층이 가능한 최대의 물 보유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층은 가능한 한 오래 지속되지만 생체 적합성 있는, 생체 플라스틱(biogenic plastic) 또는 유기물질(예를 들어, 코코넛), 무기물질(예를 들어, 클레이 과립)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 선태에 부가하여 유관속 식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선태층 내의 유관속 식물의 추가 배열은 생략된다.
판형 서포트는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홀딩 디바이스에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베이어닛 클로저(bayonet closure) 등의 유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태층이 위치하는 개별 서포트는 필요할 경우 쉽게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설계에 있어서, 홀딩 디바이스는 판형 서포트의 상호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서포트가 홀딩 디바이스 상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장치가 특정 그리드 치수로 홀딩 디바이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서포트의 수 및 서포트 간격에 관해서, 변경적용(adaptation)이 각각의 사용위치 또는 각각의 사용상황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설치 후에도 변경적용은 결과적으로 여전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장치를 포함하며, 모듈식으로 결합되어 예를 들어 거리(street) 및/또는 오염된 구역을 위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친환경시스템 서비스로서 감소된 오염물질 함량을 갖는 공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시온 저감,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및/또는 질소 산화물의 공기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는 이러한 목적으로 예를 들어, 도로에 단독 또는 벽에 배치되거나, 언덕 등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서포트 상에 위치한 선태층으로 주위공기가 유동할 수 있고, 또한 도로교통에 의한 압력 및 흡입효과에 의해 공기유동은 적절하게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오염물질은 선태층에 의해 최적으로 바인딩되고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예시를 위해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실시 예의 단순화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수직의 홀딩 디바이스(2)에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6개의 판형 서포트(3)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서포트는 여기에서 단면이 완만한 S자형이고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된다. 판형 서포트(3)는 길다란 방식으로 구성되며 종이(paper)면에 수직 인 평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선태층(5)은 서포트의 상측 서포트면(4) 상에 배치되고, 선태층(5)과 상측 서포트면(4) 사이에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부직포층(8) 및 기판층(9)이 배치된다(도 4 참조). 서포트(3)의 좌측에 배치된 전방측(10)은 오염공기원 방향 또는 정제될 공기의 주 유동방향(화살표 참조)으로 배향된다. 서포트(3)의 단면에서의 완만한 S자형 형상으로 인해, 서포트(3)의 전방측(10) 또는 후방측(11)과 마주하는 일 유형의 함몰부 또는 골(12) 및 상승부(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서포트(3)의 후방부는 서포트(3)의 전방부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방측(10)으로부터 후방측(11)으로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선태층(5)에 공기오염물질, 특히 미립자의 증착이 향상된다. 전방측(10) 및 후방측(11) 상에서 벽이 상승되어서, 서포트(3)는 일반적으로 U자형 단면으로 구성된다. 서포트(3)는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높이 H를 갖는 클리어갭(7)이 형성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있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천공된 파이프를 가지고, 서포트(3)의 후방 섹션에 장착되는 가습장치(14)를 가진다. 상기 파이프는 홀딩 디바이스(2)에 체결된다. 따라서, 가습장치(14)는 여기서 서포트(3)를 장착하기 위해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 사용된다. 수분센서(15)는 선태층(5) 또는 그 주변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선태층(5)에 물을 공급하는 제어 시스템의 일부이다.
도 2는 지지체(3)가 수직방향으로 기울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다른 실시 예의 단순화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단면이 완만한 S자형이고 아치형인 서포트(3)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체(3)는 수평축에 대해 각도 α만큼 수직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져서, 서포트(3)의 전방측(10)은 지지부(3)의 후방측(11)보다 상당히 깊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실시 예의 단순화 된 공간도를 도시한다. 보다 양호한 오버뷰(overview)를 위해, 전방 홀딩 디바이스(2)의 일부가 제거된다. 여기서, 거의 사각형인 서포트 3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서포트(3)가 길이방향, 즉 전방측(10) 및 후방측(11)에 평행한 방향으로 더 긴 범위를 갖고 더 큰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개략적이고 간략화된 방식으로 도시된 홀딩 디바이스(2)는 보다 복잡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포트(3)의 체결장치 이외에, 선태층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가습장치(14)를 체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도 4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서포트(3)를 통한 단면 및 단부 영역의 확대 된 도면을 도시한다. 서포트(3)는 단면이 완만한 S 자형인 플라스틱 판으로 이루어지며, 전방측(10) 및 후방측(11)에 벽이 생긴다. 여기에 기판층(9)은, 예를 들면 코코넛으로 이루어지며, 상측 서포트면(4) 상에 배열된다. 부직포층(8)은 기판층(9) 상에 차례로 배치되고, 서포트(3)처럼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부직포층(8)은 선태층(5)의 보다 양호한 고정을 위해 사용된다. 서포트(3)는 그 후방부에 상기 서포트(3) 하부 및 선태층(5) 아래에 놓이는 가습장치(14)를 갖는다. 가습 장치(14)에 체결된 수분센서(15)는 서포트(3), 기판층(9) 및 부직포층(8)을 관통하여 선태층(15)까지 돌출되고, 거기에 퍼져있는 수분을 측정한다. 수분센서(15)에서 측정된 값은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되지 않은 펌프에 의해 선태층(5)의 관개(irrigation) 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 제어장치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에 의해 또는 무선으로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인지먼트(100)의 실시 예의 정면도(A) 및 측면도(B)를 단순화 된 방식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장치(1)(왼쪽)의 완만한 S자형 서포트(3)는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어, 전방측(10) 및 상기 상승부(13)를 갖는 서포트(3)의 후방부를 볼 수 있다. 다른 장치(1)가 제1 장치(1)의 바로 옆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다. 도 5B의 측면도는 서포트(3) 상으로의 시야를 덮는 홀딩 디바이스(2) 제공되기 때문에, 홀딩 디바이스(2)만을 도시한다.
1: 이미시온 저감장치
2: 홀딩 디바이스
3: 서포트
4: 상측 서포트면
5: 선태층
6: 하측면
7: 클리어갭
8: 부직포층
9: 기판층
10: 전방측
11: 후방측
12: 골
13: 상승부
14: 가습장치
15: 수분센서
100: 어레인지먼트

Claims (10)

  1. 미립자를 바인딩(binding)하되, 복수의 판형 서포트(3)가 배치되는 수직의 홀딩 디바이스(2)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판형 서포트(3) 각각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판형 서포트(3)는 선태층(moss layer)(5)이 배치되는 상측 서포트면(4)과, 상기 상측 서포트면(4)의 반대면인 하측면(6)을 가지고,
    상기 상측 서포트면(4)은,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최대 45°가 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판형 서포트(3)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판형 서포트(3)의 상기 선태층(5)과 상기 판형 서포트(3)의 상기 하측면 사이에 클리어갭(7)을 유지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이미시온(immission)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서포트(3)는 단면이 완만한 S자(sigmoidal)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갭(7)은,
    수직방향으로 평균 클리어높이 H를 가지고,
    상기 평균 클리어높이는,
    15-50cm, 20-45cm, 20-40cm 또는 25-35cm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서포트(3)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태층(5)과 상기 상측 서포트면(4) 사이에 기판층(9) 및 부직포층(8)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디바이스(2) 및/또는 상기 판형 서포트(3)에 배치되고, 상기 선태층(5)을 가습하는 가습장치(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태층(5)에는 유관속(vascular) 식물이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서포트(3)는,
    상기 홀딩 디바이스(2)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디바이스(2)는,
    복수의 상기 판형 서포트(3)의 상호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시온 저감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미시온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어레인지먼트.
  10. 미립자 및/또는 질소산화물의 공기 중 농도를 저감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미시온 저감장치.
KR1020180052119A 2018-03-14 2018-05-04 이미시온 저감장치 KR102137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1418.8 2018-03-14
DE102018105849.7A DE102018105849B3 (de) 2018-03-14 2018-03-14 Vorrichtung zur Immissionsreduktion
DE202018101418.8U DE202018101418U1 (de) 2018-03-14 2018-03-14 Vorrichtung zur Immissionsreduktion
DE102018105849.7 201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454A true KR20190108454A (ko) 2019-09-24
KR102137420B1 KR102137420B1 (ko) 2020-07-24

Family

ID=6795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119A KR102137420B1 (ko) 2018-03-14 2018-05-04 이미시온 저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7420B1 (ko)
CN (1) CN1102689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9199A (zh) * 2019-11-25 2020-02-11 彭从文 自清洁型空调换热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330A (ja) * 2001-05-29 2002-12-03 Takenaka Komuten Co Ltd 複層パネル型緑化ブラインド、及び緑化ブラインド
JP4656970B2 (ja) * 2005-03-09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植栽ルーバー、緑化装置および建造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104884U1 (de) * 2012-12-14 2013-02-13 Stefan Brandhorst Vertikalbegrünungssystem
DE102014114307B3 (de) * 2014-10-01 2015-12-24 Green City Solutions Gmbh & Co. Kg Pflanzenwand zur Feinstaubbindung in urbanen Bereichen
CN206776175U (zh) * 2017-05-09 2017-12-22 李幸雨 一种生物种植用种植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330A (ja) * 2001-05-29 2002-12-03 Takenaka Komuten Co Ltd 複層パネル型緑化ブラインド、及び緑化ブラインド
JP4656970B2 (ja) * 2005-03-09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植栽ルーバー、緑化装置および建造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9199A (zh) * 2019-11-25 2020-02-11 彭从文 自清洁型空调换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420B1 (ko) 2020-07-24
CN110268969A (zh)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011684U (zh) 用于改善室内空气质量的装置及布置结构
CN101849483B (zh) 绿化装置
KR102137420B1 (ko) 이미시온 저감장치
KR102370818B1 (ko)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CN205953664U (zh) 一种高效的人工湿地脱氮除磷装置
CN1774168B (zh) 绿化装置
CN203261868U (zh) 一种房屋生态绿化系统以及室内生态绿化系统
JP2000262150A (ja) 緑化用コンテナ
GB2406861A (en) Sustainable surface water disposal system
KR20150055813A (ko) 급수형 가로수 보호구
CN100352537C (zh) 一种废气净化装置和应用
KR101488108B1 (ko) 바이오필터화분 수분공급장치
JP5116709B2 (ja) 駐車場緑化システム
CN210945018U (zh) 一种强化蒸腾作用的湿地处理系统
KR20220033265A (ko) 미세먼지가 저감되는 실외용 사계절 이끼식재 천연공기정화시스템
CN202738585U (zh) 养猪场地暖育肥舍
KR102577141B1 (ko) 이끼생육을 통한 스마트 공기질개선장치
JP3937089B2 (ja) 壁面への緑化工法および緑化資材
KR20100055039A (ko) 녹화 장치
AT520961B1 (de) Vorrichtung zur Immissionsreduktion
CN216722232U (zh) 一种移动式模块化生态屋顶
CN110386669B (zh) 一种强化蒸腾作用的湿地处理系统
KR102419685B1 (ko) 미세먼지 저감형 녹화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입체 스마트 플랜터 장치
KR102418649B1 (ko)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식물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모듈형 수직 녹화 장치
WO2015022550A1 (en) A water attentuating system and method of attenuating rainwater 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6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01

Effective date: 202003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