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355A -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355A
KR20190108355A KR1020180029772A KR20180029772A KR20190108355A KR 20190108355 A KR20190108355 A KR 20190108355A KR 1020180029772 A KR1020180029772 A KR 1020180029772A KR 20180029772 A KR20180029772 A KR 20180029772A KR 20190108355 A KR20190108355 A KR 20190108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pet
housing
brake booster
sealing
popp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008B1 (ko
Inventor
부상필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0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B60T13/57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using resilient discs o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casing or by its strengthening or mou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부스터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측면에 디스크부가 형성되는 작동 로드부; 디스크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작동 로드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동 로드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디스크부에 밀착됨에 따라 디스크부와 하우징 사이로 공기유동을 차단하고,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외측면 둘레를 따라 실링부가 돌출되는 포펫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BRAKE BOOS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브레이크 부스터가 설치된다. 브레이크 부스터는 진공압과 대기압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증폭시킨다.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증폭된 압력은 마스터실린더에 전달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브레이크 부스터의 하우징에는 브레이크 페달 측의 외부 공기가 마스터 실린더 측으로 유입되는 차단할 수 있도록 실링포펫과 포펫 리테이너가 설치된다. 실링포펫은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실링포펫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스틸와셔(steel washer)가 부착된다. 포펫 리테이터는 실링포펫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실링포펫을 지지하고,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에는 실링포펫과 포펫 리테이너가 별도로 제작된 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부품수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실링포펫에 스틸와셔가 부착되므로, 접착제 도포공정과 스틸와셔의 발청공정이 필요함에 따라 조립공정 및 조립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59664호(2014. 05. 16 공개, 발명의 명칭: 브레이크 부스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측면에 디스크부가 형성되는 작동 로드부; 상기 디스크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로드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작동 로드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디스크부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로 공기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외측면 둘레를 따라 실링부가 돌출되는 포펫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펫부는 상기 작동 로드부가 통과하도록 통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가 형성되는 포펫 바디부; 및 상기 포펫 바디부에 인서트 사출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인서트 와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포펫 바디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실링리브 일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포펫 바디부의 외측면에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펫 바디부에는 상기 디스크부에 밀착되도록 환형의 밀착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환형의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펫 바디부는 상기 걸림턱부에 걸려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안착리브에 지지되고, 상기 작동 로드부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작동 로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1 스프링과 상기 포펫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펫부를 상기 디스크부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포펫부에 탄성력 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펫부와 하우징의 내측면이 실링부에 의해 실링되므로, 외부 공기가 포펫부와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펫부의 양측 공간이 실링부에 의해 실링되므로, 대기압과 진공압의 압력차에 의해 실링부가 하우징의 내측면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실링부와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가 보다 긴밀하게 실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부가 하우징의 내측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실링부가 하우징의 내측면 측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서트 와셔부가 포펫 바디부에 인서트 사출되므로, 인서트 와셔부를 포펫 바디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 도포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인서트 와셔부가 합성수지로 형성되므로, 인서트 와셔부의 부식 방지를 위해 발청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가 케이싱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로드부, 탄성부재 및 포펫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의 실링부가 진공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브레이크 부스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가 케이싱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로드부, 탄성부재 및 포펫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의 실링부가 진공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는 하우징(110), 작동 로드부(120), 탄성부재(130) 및 포펫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케이싱(10)에 연결된다. 케이싱(10)의 일측에는 변압실(11)이 배치되고, 변압실(11)의 일측에는 정압실(13)이 배치된다. 변압실(11)과 정압실(13)은 다이어프램(15)에 의해 구획된다. 변압실(11)에는 작동 로드부(120)에 의해 개폐되도록 통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이 가압되지 않을 경우, 작동 로드부(120)의 플런저 밸브(125)가 통공부를 폐쇄시키므로, 변압실(11)과 정압실(13)은 모두 진공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되면, 작동 로드부(120)가 케이싱(1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 로드부(120)의 플런저 밸브(125)가 통공부를 개방시킨다. 이때, 하우징(110) 내부의 외부 공기가 통공부를 통해 변압실(11)에 유입되므로, 변압실(11)은 대기압으로 변경되고, 정압실(13)은 진공 상태를 유지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작동 로드부(1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중공부(111)가 형성된다. 중공부(111)는 제1 공간부(111a)와 제2 공간부(111b)를 포함한다. 제1 공간부(111a)는 포펫부(140)와 디스크부(121)를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브레이크 패달측 공간으로 정의되고, 제2 공간부(111b)는 하우징부(110)의 케이싱(10) 측 공간으로 정의된다.
하우징(110)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내측면에는 안착리브(113)가 형성된다. 안착리브(113)는 하우징(1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작동 로드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측면에 디스크부(121)가 형성된다. 작동 로드부(120)의 일측은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되고, 작동 로드부(120)의 타측은 케이싱(10)의 변압실(11)에 연결된다. 디스크부(12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디스크부(121)의 브레이크 페달 측 일면에는 경사면부(121a)가 형성된다.
작동 로드부(120)에는 탄성부재(130)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서포트 리브(123)가 형성된다. 서포트 리브(123)는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작동 로드부(120)에는 디스크부(121)와 이격되도록 코킹부(124)가 형성된다. 코킹부(124)는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작동 로드부(120)의 케이싱(10) 측 단부에는 플런저 밸브(125)가 형성된다. 플런저 밸브(125)는 변압실(11)의 통공부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된다.
플런저 밸브(125)와 코킹부(124) 사이에는 플런저 밸브(125)와 코킹부(124)가 걸리도록 이동제한키(115)가 설치된다. 이동제한키(115)는 하우징(1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동제한키(115)는 작동 로드부(120)가 플런저 밸브(125)와 코킹부(124) 사이의 간격만큼 이동되도록 허용한다.
탄성부재(130)는 디스크부(121)의 일측(도 2의 우측)에 배치되고, 작동 로드부(12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 로드부(120)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작동 로드부(120)가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 측으로 복귀된다.
포펫부(140)는 디스크부(121)에 밀착됨에 따라 디스크부(121)와 하우징(110) 사이로 공기유동을 차단하고,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외측면 둘레를 따라 실링부(142)가 돌출된다. 포펫부(140)의 중심부에는 작동 로드부(120)가 통과하도록 통과홀부(141a)가 형성된다. 포펫부(140)는 전체적으로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포펫부(140)는 탄성이 있는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되면, 작동 로드부(120)가 케이싱(10) 측(도 2의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디스크부(121)와 포펫부(140)가 이격된다. 이때, 외부 공기가 디스크부(121)와 포펫부(140) 사이의 간격을 통해 변압실(11) 측으로 유동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작동 로드부(120)가 브레이크 페달 측(도 2의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디스크부(121)와 포펫부(140)가 긴밀하게 밀착되고, 포펫부(140)의 실링부(142)가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포펫부(140)의 중심부와 둘레부는 디스크부(121)와 실링부(142)에 의해 실링되므로, 외부 공기가 포펫부(140)와 디스크부(121)에 의해 차단되어 케이싱(10) 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케이싱(10) 측 제2 공간부(111b)에는 진공 상태가 유지되고, 하우징(110)의 브레이크 페달 측 제1 공간부(111a)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므로, 포펫부(140)의 실링부(142)가 제1 공간부(111a)와 제2 공간부(111b)의 압력차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면 측으로 가압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실링부(142)와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가 보다 긴밀하게 실링될 수 있다.
포펫부(140)는 포펫 바디부(141)와 인서트 와셔부(145)를 포함한다.
포펫 바디부(141)에는 작동 로드부(120)가 통과하도록 통과홀부(141a)가 형성되고, 실링부(142)가 형성된다. 통과홀부(141a)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실링부(142)는 포펫 바디부(141)의 브레이크 페달 측 단부에서 연장된다. 포펫 바디부(141)의 폭은 탄성부재(130)의 제2 스프링(132)의 직경에 수직한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포펫 바디부(141)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실링부(142)는 포펫 바디부(141)에서 하우징(110)의 내측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실링리브(142a)일 수 있다. 실링리브(142a)는 디스크부(121)의 반대측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실링리브(142a)는 전체적으로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실링부(142)가 하우징(110)의 내측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실링부(142)가 하우징(110)의 내측면 측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포펫 바디부(141)에는 디스크부(121)에 밀착되도록 환형의 밀착리브(143)가 형성된다. 밀착리브(143)는 디스크부(121)의 경사면부(121a)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밀착리브(143)의 단부는 디스크부(121)를 향하여 뾰족하게 형성된다.
인서트 와셔부(145)는 포펫 바디부(141)에 인서트 사출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탄성부재(130)를 지지한다. 인서트 와셔부(145)는 포펫 바디부(141)의 둘레를 따라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인서트 와셔부(145)가 포펫 바디부(141)에 인서트 사출되므로, 인서트 와셔부(145)를 포펫 바디부(141)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 도포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고,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와셔부(145)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므로, 인서트 와셔부(145)의 부식 방지를 위해 발청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인서트 와셔부(145)가 탄성부재(130)를 지지하므로, 탄성부재(13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포펫 바디부(14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인서트 와셔부(145)의 브레이크 페달 측에는 탄성부재(130)의 제2 스프링(132)의 중심을 맞출 수 있도록 센터 조절부(145a)가 형성된다. 센터 조절부(145a)는 인서트 와셔부(145)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스프링(132)의 중심이 포펫 바디부(141)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므로, 제2 스프링(132)의 탄성력이 포펫 바디부(141)의 둘레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측면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환형의 걸림턱부(112)가 형성되고, 포펫 바디부(141)는 걸림턱부(112)에 걸려 케이싱(10) 측으로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시, 작동 로드부(120)가 케이싱(10) 측으로 이동될 때에 포펫 바디부(141)가 걸림턱부(112)에 걸려 케이싱(10) 측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 해제시, 작동 로드부(120)가 브레이크 페달 측으로 이동될 때에 포펫 바디부(141)가 디스크부(121)에 의해 가압되어 대략 1.7mm 정도 브레이크 페달 측으로 이동된다.
걸림턱부(112)는 포펫 바디부(141)와 밀착되도록 걸림턱부(112)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걸림턱부(112)는 포펫 바디부(141) 측을 향하여 뾰족하게 형성된다. 걸림턱부(112)가 포펫 바디부(141)와 밀착됨에 따라 걸림턱부(112)와 포펫 바디부(141)의 실링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제1 스프링(131) 및 제2 스프링(132)을 포함한다.
제1 스프링(131)은 하우징(110)의 안착리브(113)에 지지되고, 작동 로드부(120)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작동 로드부(120)를 탄성 지지한다. 제1 스프링(131)은 포펫부(14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원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스프링(131)의 케이싱(10) 측은 안착리브(113)에 지지되고, 제1 스프링(131)의 브레이트 페달 측은 서포트 리브(123)에 지지된다. 제1 스프링(131)이 하우징(110)의 안착리브(113)에 지지되고, 포펫부(140)에는 지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포펫부(140)의 강성 보강을 위해 포펫부(140)에 포펫 리테이너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포펫 리테이너가 포펫부(140)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고무재질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포펫부(140)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스프링(132)은 제1 스프링(131)과 포펫부(140) 사이에 배치되고, 포펫부(140)를 디스크부(121)에 밀착시키도록 포펫부(140)에 탄성력 가한다. 제2 스프링(132)의 케이싱(10) 측은 포펫부(140)의 인서트 와셔부(145)에 지지되고, 제2 스프링(132)의 브레이크 페달 측은 작동 로드부(120)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스프링(132)은 포펫부(14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원추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스프링(132)의 최대 직경은 제1 스프링(131)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스프링(132)가 포펫부(140)를 디스크부(121)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디스크부(121)와 포펫부(140)가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포펫 바디부(141)와 디스크부(121) 사이로 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에 비해 실링부의 형태를 제외하고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포펫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포펫부(140)는 포펫 바디부(141)와 인서트 와셔부(145)를 포함한다.
포펫 바디부(141)에는 작동 로드부(120)가 통과하도록 통과홀부(141a)가 형성되고, 실링부(142)가 형성된다. 실링부(142)는 포펫부(140)의 외측면(141)에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링부(142b)를 포함한다. 주름링부(142b)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주름링부(142b)의 폭방향 단면은 삼각형, 반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주름링부(142b)가 포펫 바디부(141)의 외측면에 복수 형성되므로, 포펫 바디부(141)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가 복수번에 걸쳐 실링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실링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펫부(140)와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실링부(142)에 의해 실링되므로, 외부 공기가 포펫부(140)와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펫부(140)의 양측 공간이 실링부(142)에 의해 실링되므로, 대기압과 진공압의 압력차에 의해 실링부(142)가 하우징(110)의 내측면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실링부(142)와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가 보다 긴밀하게 실링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142)가 하우징(110)의 내측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실링부(142)가 하우징(110)의 내측면 측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와셔부(145)가 포펫 바디부(141)에 인서트 사출되므로, 인서트 와셔부(145)를 포펫 바디부(141)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 도포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인서트 와셔부(145)가 합성수지로 형성되므로, 인서트 와셔부(145)의 부식 방지를 위해 발청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싱 11: 변압실
13: 정압실 110: 하우징
111a: 제1 공간부 111b: 제2 공간부
112: 걸림턱부 112a: 돌기부
113: 안착리브 115: 이동제한키
120: 작동 로드부 121: 디스크부
121a: 경사면부 123: 서포트 리브
124: 코킹부 125: 플런저 밸브
130: 탄성부재 131: 제1 스프링
132: 제2 스프링 140: 포펫부
141: 포펫 바디부 142: 실링부
142a: 실링리브 142b: 주름링부
143: 밀착리브 145: 인서트 와셔부
145a: 센터 조절부

Claims (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측면에 디스크부가 형성되는 작동 로드부;
    상기 디스크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로드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작동 로드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디스크부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디스크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로 공기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외측면 둘레를 따라 실링부가 돌출되는 포펫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펫부는,
    상기 작동 로드부가 통과하도록 통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가 형성되는 포펫 바디부; 및
    상기 포펫 바디부에 인서트 사출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인서트 와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포펫 바디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실링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포펫 바디부의 외측면에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펫 바디부에는 상기 디스크부에 밀착되도록 환형의 밀착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환형의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펫 바디부는 상기 걸림턱부에 걸려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안착리브에 지지되고, 상기 작동 로드부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작동 로드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1 스프링과 상기 포펫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펫부를 상기 디스크부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포펫부에 탄성력 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20180029772A 2018-03-14 2018-03-14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KR102440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772A KR102440008B1 (ko) 2018-03-14 2018-03-14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772A KR102440008B1 (ko) 2018-03-14 2018-03-14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355A true KR20190108355A (ko) 2019-09-24
KR102440008B1 KR102440008B1 (ko) 2022-09-05

Family

ID=6806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772A KR102440008B1 (ko) 2018-03-14 2018-03-14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0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664A (ko) * 2012-11-08 2014-05-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9664A (ko) * 2012-11-08 2014-05-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브레이크 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008B1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145B1 (ko) 자동차용 진공 제동력 부스터
JP4991716B2 (ja) 空気ブレーキブースタの為のダイヤフラム
KR20110109520A (ko) 브레이크 부스터의 파워 실린더
JPH06313453A (ja) 実用車両に用いられる圧力空気作動式のシフトサドル型ディスクブレーキ
US2687015A (en) Boot for master cylinders
KR20190108355A (ko) 차량용 브레이크 부스터
EP1746003B1 (en) Actuator for a brake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 brake actuator
US4200029A (en) Diaphragm brake booster
US2544541A (en) Protective seal
JP6634323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WO2018066238A1 (ja) マスタシリンダ
US6988442B2 (en) Air brake diaphragms which resist pull-out
US2864632A (en) Power operated master cylinder
KR10237239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US2776864A (en) Piston assembly
WO2018181210A1 (ja) 密封装置
JP2014100947A (ja) シリンダ装置
KR20070095347A (ko) 디스크 브레이크
US4258614A (en) Cylinder device
CN112888872B (zh) 用于汽车制动缸的改进的柔性防尘罩
JP2006509681A (ja) 液圧式制動システム用ピストン及びこれを備えたマスターシリンダ
JP2001090841A (ja) 密封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マスタシリンダ
WO2019044115A1 (ja) マスタシリンダ
KR100288608B1 (ko) 배력장치
US2728592A (en) Brake chamber push rod s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