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070A - 연결 단자 - Google Patents

연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070A
KR20190108070A KR1020190028196A KR20190028196A KR20190108070A KR 20190108070 A KR20190108070 A KR 20190108070A KR 1020190028196 A KR1020190028196 A KR 1020190028196A KR 20190028196 A KR20190028196 A KR 20190028196A KR 20190108070 A KR20190108070 A KR 20190108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wire
crimping portion
rear end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판
파이 라젠드라
통바오 딩
후이강 구오
싱 통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0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med by a metallic element crimped around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연결 단자는,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Y)의 일 단부에 위치되고 플러그와 정합되도록 적합화된 리셉터클 부분(100);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Y)의 타 단부에 위치되고 전선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전선 크림핑 부분(200); 및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와 전선 크림핑 부분(200) 사이에 연결된 연결 부분(300)을 포함한다. 전선 크림핑 부분(200)은 전선의 도체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도체 크림핑 부분(220), 및 전선의 외부 클래딩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23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100)은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고 삽입된 플러그 상에 래치결합되도록 적합화된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300)은 제1 연결 부분(310) 및 제2 연결 부분(320)을 포함하고, 도체 크림핑 부분(220) 및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는 제1 연결 부분(310)과 제2 연결 부분(320)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여 있다. 제1 연결 부분(310) 및 제2 연결 부분(320)은 높이방향(Z)으로 돌출하는 제1 절곡 부분(310a) 및 제2 절곡 부분(320a)을 포함한다. 따라서, 래치결합 탄성 시트와 도체 크림핑 부분이 이들의 형성 동안에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연결 단자 {CONNECTION TERMINAL}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3월 13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CN201820339835.3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개시는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연결 단자(connection terminal)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연결 단자는 전형적으로,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의 일 단부에 위치된 리셉터클 부분(receptacle portion),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의 타 단부에 위치된 전선 크림핑 부분(wire crimping portion), 및 리셉터클 부분과 전선 크림핑 부분 사이에 연결된 연결 부분(connection portion)을 포함한다. 연결 단자의 리셉터클 부분은 플러그(plug)와 정합되어(mated)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합화되어 있다. 연결 단자의 전선 크림핑 부분은 전선(wire) 상에 크림핑(crimping)되어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합화되어 있다. 연결 단자의 전선 크림핑 부분은 전형적으로, 전선의 도체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도체 크림핑 부분, 및 전선의 외부 클래딩(outer cladding)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을 포함한다. 연결 단자의 리셉터클 부분은 전형적으로 삽입된 플러그 상에 래치결합되도록(latched) 적합화된 래치결합 탄성 시트(latching elastic sheet)를 포함하고, 래치결합 탄성 시트는 리셉터클 부분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전선 크림핑 부분의 도체 크림핑 부분은 통상적으로 리셉터클 부분의 래치결합 탄성 시트로부터 오프셋(offset)되도록 리셉터클 부분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체 크림핑 부분은 래치결합 탄성 시트와 간섭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연결 단자의 측방향 크기를 증가시킬 것이며, 이는 연결 단자의 소형화에 불리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양태를 극복하거나 완화시키도록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연결 단자가 제공되고, 이 연결 단자는,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의 일 단부에 위치되고 플러그와 정합되도록 적합화된 리셉터클 부분;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의 타 단부에 위치되고 전선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전선 크림핑 부분; 및 리셉터클 부분의 후방 단부와 전선 크림핑 부분 사이에 연결된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전선 크림핑 부분은 전선의 도체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도체 크림핑 부분, 및 전선의 외부 클래딩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은 리셉터클 부분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고 삽입된 플러그 상에 래치결합되도록 적합화된 래치결합 탄성 시트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은 제1 연결 부분 및 제2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도체 크림핑 부분 및 래치결합 탄성 시트는 제1 연결 부분과 제2 연결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있다. 제1 연결 부분 및 제2 연결 부분은 길이방향 및 측방향에 수직인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절곡 부분(bent portion) 및 제2 절곡 부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부분은 도체 크림핑 부분의 일 측부에 연결된 후방 단부, 및 리셉터클 부분의 후방 단부의 일 측부에 연결된 전방 단부를 갖는다. 제2 연결 부분은 도체 크림핑 부분의 타 측부에 연결된 후방 단부, 및 리셉터클 부분의 후방 단부의 타 측부에 연결된 전방 단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연결 부분은 도체 크림핑 부분과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 크림핑 부분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체 크림핑 부분과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을 연결하도록 적합화된 베이스(base)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체 크림핑 부분은 베이스의 양 측부 상에 한 쌍의 도체 크림핑 날개들(wings)을 포함하고,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은 베이스의 양 측부 상에 한 쌍의 외부 클래딩 크림핑 날개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 부분은 바닥벽 부분, 및 삽입된 플러그와 탄성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합화된 한 쌍의 탄성 접촉 부분들을 포함하고, 바닥벽 부분과 탄성 접촉 부분들 사이에는 플러그의 삽입을 위한 삽입 공동(insertion cavity)이 규정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벽 부분은 측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좌측부 및 우측부와,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갖는다. 한 쌍의 탄성 접촉 부분들은 바닥벽 부분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래치결합 탄성 시트는 바닥벽 부분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삽입 공동은 바닥벽 부분의 전방 단부에 전방 개구를 갖고, 플러그는 길이방향으로 전방 개구로부터 삽입 공동 내로 삽입되도록 적합화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접촉 부분은 원호 형상으로 말려진(rolled) 탄성 접촉 시트(elastic contact sheet)를 포함한다. 탄성 접촉 시트는 삽입된 플러그의 상부면과 탄성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합화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결합 탄성 시트에는, 삽입 공동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탄성 래치(elastic latch)가 형성된다. 탄성 래치는 삽입된 플러그의 전방 단부면의 노치(notch) 내에 래치결합되도록 적합화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부분의 전방 단부는 바닥벽 부분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 한쪽에 연결되고, 제2 연결 부분의 전방 단부는 바닥벽 부분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 다른쪽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는 단일 부재의 금속 시트(metal sheet)로 제조된 일체 성형 부재이다.
본 개시에 따른 상기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전선 크림핑 부분의 도체 크림핑 부분 및 리셉터클 부분의 래치결합 탄성 시트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있다. 연결 부분의 길이방향 길이는 래치결합 탄성 시트와 도체 크림핑 부분이 이들의 형성 동안에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교적 크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래치결합 탄성 시트 및 도체 크림핑 부분이 형성된 후에, 연결 부분이 절곡되고, 이에 의해 연결 부분의 길이방향 크기가 짧아진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 및 측방향 치수들이 증가되고, 이는 연결 단자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질 때의 본 개시의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본 개시의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개시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단자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인 해결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하기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하기에서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일반적인 발명 개념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본 개시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을 위해, 개시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특정 상세사항들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또한 이들 특정 상세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물들 및 장치들은 도면을 단순화시키기 위해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반적인 기술적 개념에 따르면, 연결 단자가 제공되며, 이 연결 단자는,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의 일 단부에 위치되고 플러그와 정합되도록 적합화된 리셉터클 부분;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의 타 단부에 위치되고 전선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전선 크림핑 부분; 및 리셉터클 부분의 후방 단부와 전선 크림핑 부분 사이에 연결된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전선 크림핑 부분은 전선의 도체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도체 크림핑 부분, 및 전선의 외부 클래딩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은 삽입된 플러그 상에 래치결합되도록 적합화된 래치결합 탄성 시트를 포함하고, 래치결합 탄성 시트는 리셉터클 부분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다. 연결 부분은 제1 연결 부분 및 제2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도체 크림핑 부분 및 래치결합 탄성 시트는 제1 연결 부분과 제2 연결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있다. 제1 연결 부분 및 제2 연결 부분은 길이방향 및 측방향에 수직인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절곡 부분 및 제2 절곡 부분을 각각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단자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단자는 주로 리셉터클 부분(100), 전선 크림핑 부분(200) 및 연결 부분(30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100)은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Y)의 일 단부에 위치되고, 리셉터클 부분(100) 내로 삽입된 플러그(도시되지 않음)와 정합되도록 적합화된다. 전선 크림핑 부분(200)은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Y)의 타 단부에 위치되고, 전선(도시되지 않음)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다. 연결 부분(300)은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와 전선 크림핑 부분(200)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선 크림핑 부분(200)은 전선의 도체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도체 크림핑 부분(220), 및 전선의 외부 클래딩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23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100)은 삽입된 플러그 상에 래치결합되도록 적합화된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를 포함한다.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는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300)은 제1 연결 부분(310) 및 제2 연결 부분(320)을 포함한다. 도체 크림핑 부분(220) 및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는 제1 연결 부분(310)과 제2 연결 부분(320)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여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분(310) 및 제2 연결 부분(320)은 길이방향(Y) 및 측방향(X)에 수직인 높이방향(Z)으로 돌출하는 제1 절곡 부분(310a) 및 제2 절곡 부분(320a)을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연결 부분(310) 및 제2 연결 부분(320)의 길이방향(Y)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분(310)은 도체 크림핑 부분(220)의 일 측부에 연결된 후방 단부, 및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의 일 측부에 연결된 전방 단부를 갖는다. 제2 연결 부분(320)은 도체 크림핑 부분(220)의 타 측부에 연결된 후방 단부, 및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의 타 측부에 연결된 전방 단부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부분(320)은 도체 크림핑 부분(220)과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230)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선 크림핑 부분(200)은 측방향(X)으로 연장되고 도체 크림핑 부분(220)과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230)을 연결하도록 적합화된 베이스(210)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체 크림핑 부분(220)은 베이스(210)의 양 측부 상에 한 쌍의 도체 크림핑 날개들을 포함하고,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230)은 베이스(210)의 양 측부 상에 한 쌍의 외부 클래딩 크림핑 날개들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부분(100)은 바닥벽 부분(110), 및 삽입된 플러그와 탄성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합화된 한 쌍의 탄성 접촉 부분들(120)을 포함한다. 바닥벽 부분(110)과 탄성 접촉 부분들(120) 사이에는 플러그의 삽입을 위한 삽입 공동(100a)이 규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닥벽 부분(110)은 측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좌측부 및 우측부와, 길이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갖는다. 한 쌍의 탄성 접촉 부분들(120)은 바닥벽 부분(1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는 바닥벽 부분(11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삽입 공동(100a)은 바닥벽 부분(110)의 전방 단부에 전방 개구를 갖고, 플러그는 길이방향(Y)으로 전방 개구를 통해 삽입 공동(100a) 내로 삽입되도록 적합화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접촉 부분들(120)은 바닥벽 부분(110)의 좌측부 및 우측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말려진 탄성 접촉 시트로서 형성된다. 탄성 접촉 시트는 삽입된 플러그의 상부면과 탄성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합화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에는 삽입 공동(100a)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탄성 래치(14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래치(140)는 삽입된 플러그의 전방 단부면에 형성된 노치 내에 맞물림되도록 적합화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분(310)의 전방 단부는 바닥벽 부분(110)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 한쪽에 연결되고, 제2 연결 부분(320)의 전방 단부는 바닥벽 부분(110)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 다른쪽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단자는 단일 부재의 금속 시트로 제조된 일체형 부재이다.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들이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당업자에 의해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많은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다양한 구조들이 구성 또는 원리에서 상충되지 않고 서로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도면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로서 예시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본 개시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몇몇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원리들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 또는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규정된다.
"포함하다"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형 표현은 하나 초과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청구범위에서의 임의의 참조 번호들은 본 개시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1)

  1. 연결 단자(connection terminal)로서,
    상기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Y)의 일 단부에 위치되고 플러그(plug)와 정합되도록(mated) 적합화된 리셉터클 부분(receptacle portion)(100);
    상기 연결 단자의 길이방향(Y)의 타 단부에 위치되고 전선(wire) 상에 크림핑(crimping)되도록 적합화된 전선 크림핑 부분(wire crimping portion)(200); 및
    상기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와 상기 전선 크림핑 부분(200) 사이에 연결된 연결 부분(300)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 크림핑 부분(200)은 상기 전선의 도체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도체 크림핑 부분(220), 및 상기 전선의 외부 클래딩(outer cladding) 상에 크림핑되도록 적합화된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230)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부분(100)은 상기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고 삽입된 플러그 상에 래치결합되도록(latched) 적합화된 래치결합 탄성 시트(latching elastic sheet)(1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분(300)은 제1 연결 부분(310) 및 제2 연결 부분(320)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 크림핑 부분(220) 및 상기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는 상기 제1 연결 부분(310)과 상기 제2 연결 부분(3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여 있으며;
    상기 제1 연결 부분(310) 및 상기 제2 연결 부분(320)은 상기 길이방향(Y) 및 측방향(X)에 수직인 높이방향(Z)으로 돌출하는 제1 절곡 부분(bent portion)(310a) 및 제2 절곡 부분(32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분(310)은 상기 도체 크림핑 부분(220)의 일 측부에 연결된 후방 단부, 및 상기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의 일 측부에 연결된 전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연결 부분(320)은 상기 도체 크림핑 부분(220)의 타 측부에 연결된 후방 단부, 및 상기 리셉터클 부분(100)의 후방 단부의 타 측부에 연결된 전방 단부를 갖는,
    연결 단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분(320)은 상기 도체 크림핑 부분(220)과 상기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23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단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크림핑 부분(200)은 상기 측방향(X)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체 크림핑 부분(220)과 상기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230)을 연결하도록 적합화된 베이스(base)(210)를 더 포함하는,
    연결 단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크림핑 부분(220)은 상기 베이스(210)의 양 측부 상에 한 쌍의 도체 크림핑 날개들(wings)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클래딩 크림핑 부분(230)은 상기 베이스(210)의 양 측부 상에 한 쌍의 외부 클래딩 크림핑 날개들을 포함하는,
    연결 단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부분(100)은 바닥벽 부분(110), 및 상기 삽입된 플러그와 탄성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합화된 한 쌍의 탄성 접촉 부분들(12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 부분(110)과 탄성 접촉 부분들(120) 사이에는 플러그의 삽입을 위한 삽입 공동(insertion cavity)(100a)이 규정되는,
    연결 단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 부분(110)은 상기 측방향(X)으로 서로 대향하는 좌측부 및 우측부와, 상기 길이방향(Y)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가지며;
    한 쌍의 탄성 접촉 부분들(120)은 상기 바닥벽 부분(1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는 상기 바닥벽 부분(11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 공동(100a)은 상기 바닥벽 부분(110)의 전방 단부에 전방 개구를 갖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길이방향(Y)으로 상기 전방 개구를 통해 상기 삽입 공동(100a) 내로 삽입되도록 적합화되는,
    연결 단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부분(120)은 원호 형상으로 말려진(rolled) 탄성 접촉 시트(elastic contact sheet)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접촉 시트는 상기 삽입된 플러그의 상부면과 탄성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적합화되는,
    연결 단자.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결합 탄성 시트(130)에는, 상기 삽입 공동(100a)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고 상기 삽입된 플러그의 전방 단부면에 있는 노치(notch) 내에 결합되도록 적합화된 탄성 래치(elastic latch)(140)가 형성되는,
    연결 단자.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분(310)의 전방 단부는 상기 바닥벽 부분(110)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 한쪽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부분(320)의 전방 단부는 상기 바닥벽 부분(110)의 좌측부 및 우측부 중 다른쪽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단일 부재의 금속 시트(metal sheet)로 제조된 일체형 부재인,
    연결 단자.
KR1020190028196A 2018-03-13 2019-03-12 연결 단자 KR20190108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339835.3U CN208209061U (zh) 2018-03-13 2018-03-13 连接端子
CN201820339835.3 2018-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070A true KR20190108070A (ko) 2019-09-23

Family

ID=6452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196A KR20190108070A (ko) 2018-03-13 2019-03-12 연결 단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11803B2 (ko)
EP (1) EP3540854B1 (ko)
KR (1) KR20190108070A (ko)
CN (1) CN20820906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111733U (zh) * 2018-03-13 2018-11-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
US11264735B1 (en) * 2020-08-28 2022-03-01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 wide size range of magnet wir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61728A (ko) * 1954-05-24
US3123431A (en) * 1961-07-18 1964-03-03 Electrical connector
US3577119A (en) * 1969-06-04 1971-05-04 Amp Inc Electrical connectors on a carrier strip
US3771111A (en) * 1972-06-12 1973-11-06 Amp Inc Flag type electrical terminal
GB1531033A (en) * 1976-05-07 1978-11-01 Lucas Industries Ltd Electrical terminals
US4298243A (en) * 1978-06-12 1981-11-03 Amp Incorporated Pre-insulated flag-type terminal
US4679887A (en) * 1982-03-24 1987-07-14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US4421375A (en) * 1982-03-29 1983-12-20 Amp Incorporated Flag-type terminal having insulation displacement wire connection
JPH0935813A (ja) * 1995-07-18 1997-02-07 Amp Japan Ltd レセプタクル電気端子
FR2751475B1 (fr) * 1996-07-19 1998-10-09 Proner Comatel Sa Connecteur femelle a sertir
DE29716767U1 (de) * 1997-09-18 1997-11-06 Stocko Metallwarenfab Henkels Flachsteckhülse zum elektrischen Verbinden eines eine abisolierte Litze aufweisenden Kabels o.dgl. mit einem Flachstecker
US6997746B2 (en) * 2004-04-20 2006-02-14 Ark-Les Corporation Crimp connector
US20060073743A1 (en) * 2004-10-06 2006-04-06 Tim Ford We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machine to make same
US7198526B1 (en) * 2005-11-21 2007-04-03 Etco, Inc. Low-profile flag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8057261B1 (en) * 2010-11-02 2011-11-15 Etco, Inc. Flag terminal insulator
JP5699942B2 (ja) * 2012-01-12 2015-04-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CN203503844U (zh) * 2013-09-29 2014-03-26 中山信昇电器有限公司 一种防止摆动的插簧端子
CN103746199A (zh) * 2013-12-31 2014-04-23 温州市珠城电气有限公司 直插夹形自锁端子
ES2584166B1 (es) * 2015-03-23 2017-06-21 Especialitats Electriques Escubedo S.A. Terminal hembra de conector eléctrico y conector de material termoplástico y conjunto correspondientes
US10027037B2 (en) * 2016-07-06 2018-07-1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Terminal with reduced normal force
US9692163B1 (en) * 2016-08-30 2017-06-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rush rib housing for postive lock receptacle
US10079440B1 (en) * 2017-05-05 2018-09-18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having a push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0854A1 (en) 2019-09-18
US10811803B2 (en) 2020-10-20
EP3540854B1 (en) 2021-05-19
US20190288428A1 (en) 2019-09-19
CN208209061U (zh)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4832B2 (ja) 端子位置設定手段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6439935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KR101899891B1 (ko) 피메일 단자 및 전기 커넥터
US10601161B2 (en) Connection terminal
US6811450B1 (en) Electrical receptacle-type terminal
US20060258212A1 (en) Power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3842391A (en) Electrical connector tab receptacle
US535421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latching means
KR20190108070A (ko) 연결 단자
CN106716728A (zh) 用于电连接器的端子
US20130196548A1 (en) Slim c5/c6 coupler
KR102425767B1 (ko)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JPH04218274A (ja) 電気コネクターのターミナル
JP7395255B2 (ja) 導電性端子およびコネクタ
CN105048139A (zh) 电线用连接器
US110950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2121186A1 (ja) コネクタ
JP7353922B2 (ja) 接続構造体、ハウジング付接続構造体、及び、端子
WO2023204212A1 (ja) 圧着前端子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TWI656699B (zh) 電連接器
JP2015156387A (ja) コネクタ
KR20100011331A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JPH0597065U (ja) 電気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JPH1055837A (ja) 雌側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