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897A -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897A
KR20190107897A KR1020180029206A KR20180029206A KR20190107897A KR 20190107897 A KR20190107897 A KR 20190107897A KR 1020180029206 A KR1020180029206 A KR 1020180029206A KR 20180029206 A KR20180029206 A KR 20180029206A KR 20190107897 A KR20190107897 A KR 20190107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output image
reference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924B1 (ko
Inventor
권석근
김창주
문지환
예정열
이민희
최수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92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bandwidth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촬상부, 사용자로부터 화면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크롭하여 표시부에 출력할 출력영상을 생성하고, 입력받은 화면 이동 명령에 따라 출력영상의 크롭 위치를 이동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처리부가 생성한 출력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처리부는 상기 화면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크롭 위치를 단위 시간당 소정의 픽셀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사람의 시야가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처럼 실시간으로 화면을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이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패닝 및 틸팅시 정확한 위치에 화면을 설정할 수 있고, 직관적으로 화면의 이동 범위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Camera Monitor System}
본 발명은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지대의 영상이 포함되도록 출력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석에서 전방의 감시는 용이한 반면 측방이나 후방의 감시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각 지대가 발생하게 되며,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대부분의 인명 사고나 구조물 파손 등의 사고는 이러한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게 된다.
운전자는 차량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미러를 통해 주변, 특히 사각 지대를 감시하며 차량을 운행하게 되나, 이러한 미러에 의한 감시는 운전자의 지속적인 주의가 요구되므로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차량 자체에 의한 시야 방해로 인해 안전 운행을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차량의 운전석 내에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이른바 CMS(Camera Monitor System) 또는 VMS(Vision Monitor System)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CMS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운전자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석 부근에 차량용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존의 사이드 미러만 설치된 경우보다 사각 지대가 감소하여 안전성을 도모하고, 운전자 시야 확보 및 피로도 경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시 카메라가 촬영한 전체 영상이 아닌 일부 영역을 크롭(crop)하여 제공하는데, 차체에 가깝게 화면을 조정하는 경우,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을 운전자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3199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각지대의 영상이 포함되도록 출력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은,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가 생성한 출력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 반대측 소정 영역의 영상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출력영상의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은 비구면(aspheric) 형태로 왜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영상의 압축이 필요한 경우, 영상을 압축할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들어간 영역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영상의 크기를 벗어난 차량 반대측 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2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영상에 상기 제 2 기준 라인까지 영역이 포함되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고, 상기 출력영상 중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에서 차량 반대측으로 갈수록 압축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패닝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 반대측 소정의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영상의 압축없이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준라인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에서의 차체의 끝단과 접하는 라인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생성하고자 하는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 반대측 소정 영역의 영상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출력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영상을 압축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해당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들어간 영역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영상의 크기를 벗어난 차량 반대측 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압축할 수 있고,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2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영상에 상기 제 2 기준 라인까지 영역이 포함되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고, 상기 출력영상 중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에서 차량 반대측으로 갈수록 압축 비율이 높아지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패닝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고자 하는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영상의 압축없이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스페릭으로 좁아지는 영역을 추가로 확보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선호에 의하여 패닝을 하더라도 운전자의 시야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사각지대가 포함하도록 출력 영상을 압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0)은 촬상부(110), 처리부(120), 및 표시부(130)로 구성되며, 입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은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의 후방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다르게,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210)을 도 2와 같이, 소정의 영역으로 크롭(crop)하여 출력영상(220)을 제공한다. 사이드 미러를 이용하는 경우, 사이드 미러에 비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제어하는데,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은 입력부(230)를 통해 출력영상의 위치를 제어한다.
촬상부(11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후방을 촬영한다. 후방뿐만 아니라 전방 또는 측방등 차량의 사방을 촬영할 수 있다. 촬상부(110)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출력영상을 생성한다. 처리부(120)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전체 영상인 로우(Raw) 영상을 그대로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처리하지 않고, 법규에 맞춰 전체 영상을 일정한 크기의 영상으로 크롭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크롭(crop)은 원하는 크기에 맞도록 그 사이즈를 조절하여 잘라내는 것을 의미한다. 영상을 크롭하여 출력영상을 표시부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촬상부(110)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일부 영역을 추출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데, 일부 영역을 추출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기 때문에, 출력영상이 차량측에 가깝게 생성되는 경우, 출력영상을 벗어난 차량 반대측에 운전자가 차량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사각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사각지대를 형성되는 경우, 주행차선 변경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바, 처리부(120)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 반대측 소정 영역의 영상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한다. 사각지대가 형성되는지 여부를 제 1 기준 라인으로 판단하고, 사각지대가 형성되는 경우, 사각지대가 포함되도록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차량 반대측 소정 영역의 영상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 1 기준라인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에서의 차체의 끝단과 접하는 라인일 수 있다.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에서 차체가 위치하는 영역은 영상의 변화가 없는 위치이기 때문에, 차체 이외의 영역을 최대한 포함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준라인을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에서의 차체의 끝단과 접하는 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1 기준라인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기준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제 1 기준 라인에 해당하는 ‘Y’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a’의 경우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바깥쪽으로 사각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제 1 기준 라인 ‘Y’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a’ 에 위치하는 경우, 도 3(B)와 같이, 차량 반대측 영역의 영상을 압축하여 사각지대 ‘c’ 영역이 포함되도록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c’ 영역만큼 더 포함되도록 출력 영상이 형성되는바, 해당 영역보다 더 넓은 영역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출력영상의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은 압축을 통해 비구면(aspheric) 형태로 왜곡이 구현될 수 있다. 비구면은 구면에 비해 왜곡이 발생하나 더 넓은 범위가 포함될 수 있는 형태로 에스페릭 렌즈로 구현될 수 있는 영상을 렌즈가 아닌 영상의 왜곡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왜곡을 통해 동일한 크기의 출력영상에서 더 넓은 영역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영상의 압축이 필요한 경우, 영상을 압축할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부 영역만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영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영역 전체를 압축하여 왜곡하는 경우, 사용자가에게 부자연스러운 영상이 제공될 수 있는바, 사각지대를 포함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영역만큼만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을 압축할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만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들어간 영역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영상의 크기를 벗어난 차량 반대측 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제 1 기준라인은 사각지대가 형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들어간 영역의 크기만큼 압축이 없는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으로 사각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영역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영상의 크기를 벗어난 차량 반대측 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압축함으로써 사각지대를 포함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영역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출력영상에 압축에 따른 왜곡이 형성되는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커질 수 있는바, 압축을 수행시 포함하는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영역은 미리 설정된 최대치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영상을 압축함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2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영상에 상기 제 2 기준 라인까지 영역이 포함되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차량측 기준라인이 아닌 사각지대의 직접적인 기준이 되는 제 2 기준라인을 설정하고,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2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영상에 상기 제 2 기준 라인까지 영역이 포함되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제 2 기준 라인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최외곽 영역의 라인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생성하고자 하는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라인이 제 2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영상을 압축하는 영역에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라인부터 제 2 기준라인까지의 영역이 포함되도록 압축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의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출력영상 중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은 차량 반대측으로 갈수록 압축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영상이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상기 출력영상 중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은 차량 반대측으로 갈수록 압축 비율이 높고, 차량측으로 갈수록 압축 비율이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의 압축 비율이 동일한 경우, 영상이 압축되지 않는 영역과 차이가 커지게 되는바, 영상이 압축되지 않는 영역측에서 차량 반대측으로 갈수록 압축 비율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출력영상을 보다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패닝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40)는 버튼 형식 또는 조이스틱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입력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화면 이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화면 이동 명령은 좌우로 이동하는 패닝(Panning)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 틸팅(Tilt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패닝과 틸팅을 함께 입력받아 대각선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출력영상의 크롭 위치로의 화면 이동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화면 또는 후진시 차량의 후방 중 하방을 보여주는 크롭 위치 등 기 설정된 출력영상의 크롭 위치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20)는 입력부(140)가 입력받은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 반대측 소정의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영상의 압축없이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각지대는 출력영상의 화면상 좌우이동에 영향을 받는바, 입력부(140)가 입력받은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사각지대 형성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영상 압축을 통해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A)와 같이, 패닝을 통해 ‘a’이 이동하는 경우, 도 3(B)와 같이, 차량 반대측 소정의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고, 패닝을 통해 ‘b’로 이동하는 경우, 영상의 압축없이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처리부(120)가 생성한 출력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출력영상을 확인하면서 화면 이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영상 이외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의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의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되는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S11 단계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판단한다.
S1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S12 단계에서 차량 반대측 소정 영역의 영상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한다.
S12 단계의 출력 영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S21 단계에서 먼저 영상을 압축할 영역을 결정하고, S22 단계에서 해당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S12 단계의 출력 영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들어간 영역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영상의 크기를 벗어난 차량 반대측 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준라인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에서의 차체의 끝단과 접하는 라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2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영상에 상기 제 2 기준 라인까지 영역이 포함되도록 영상을 압축할 수 있고, 상기 출력영상 중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에서 차량 반대측으로 갈수록 압축 비율이 높아지도록 영상을 압축하여 자연스러운 출력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S12 단계에서 생성된 출력영상은 S13 단계에서 표시부에 출력한다.
S31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패닝 이동 명령이 입력받는 경우, S32 단계에서 상기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한다.
S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S33 단계에서 차량 반대측 소정의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고, S34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출력영상을 출력한다.
S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S41 단계에서 영상의 압축없이 출력영상을 생성하고, S34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출력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 및 롬 (ROM), 램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110: 촬상부
120: 처리부
130: 표시부
140: 입력부
210: 로우 영상
220: 출력 영상

Claims (15)

  1.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가 생성한 출력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 반대측 소정 영역의 영상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의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은 비구면(aspheric) 형태로 왜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영상의 압축이 필요한 경우, 영상을 압축할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들어간 영역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영상의 크기를 벗어난 차량 반대측 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2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영상에 상기 제 2 기준 라인까지 영역이 포함되도록 영상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 중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은,
    차량 반대측으로 갈수록 압축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패닝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 반대측 소정의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영상의 압축없이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라인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에서의 차체의 끝단과 접하는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9.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성하고자 하는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 반대측 소정 영역의 영상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출력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영상을 압축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해당 영역을 압축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들어간 영역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영상의 크기를 벗어난 차량 반대측 영역을 포함하여 영상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영상의 차량 반대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2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영상에 상기 제 2 기준 라인까지 영역이 포함되도록 영상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영상 중 영상이 압축되는 영역에서 차량 반대측으로 갈수록 압축 비율이 높아지도록 영상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라인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에서의 차체의 끝단과 접하는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패닝 이동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고자 하는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의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에 위치하는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패닝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출력영상의 차량측 끝단 라인이 상기 제 1 기준 라인보다 차량측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029206A 2018-03-13 2018-03-13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KR10244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06A KR102441924B1 (ko) 2018-03-13 2018-03-13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206A KR102441924B1 (ko) 2018-03-13 2018-03-13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97A true KR20190107897A (ko) 2019-09-23
KR102441924B1 KR102441924B1 (ko) 2022-09-08

Family

ID=6806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206A KR102441924B1 (ko) 2018-03-13 2018-03-13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9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2581A (zh) * 2020-04-22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路录像的取景方法、图形用户界面及电子设备
KR20210147186A (ko) * 2020-05-28 2021-12-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사각지대경고장치를 결합한 사각지대 감시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998A (ko) 2007-09-26 2009-03-3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주변 감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JP2016048839A (ja) * 2014-08-27 2016-04-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電子制御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映像システム
JP2017073733A (ja) * 2015-10-09 2017-04-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及び車両用視認制御プログラム
JP2017212482A (ja) * 2016-05-23 2017-11-30 マツダ株式会社 電子ミラ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998A (ko) 2007-09-26 2009-03-3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주변 감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JP2016048839A (ja) * 2014-08-27 2016-04-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電子制御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映像システム
JP2017073733A (ja) * 2015-10-09 2017-04-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及び車両用視認制御プログラム
JP2017212482A (ja) * 2016-05-23 2017-11-30 マツダ株式会社 電子ミラ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2581A (zh) * 2020-04-22 2021-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路录像的取景方法、图形用户界面及电子设备
US11832022B2 (en) 2020-04-22 2023-11-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Framing method for multi-channel video recor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KR20210147186A (ko) * 2020-05-28 2021-12-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사각지대경고장치를 결합한 사각지대 감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924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3809B2 (en) Camera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switching between wide angle and full resolution views of a subject
US8144033B2 (en)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method
US8780200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which combine a first image with a second image having a wider view
US8760502B2 (en) Method for improving 3 dimensional effect and reducing visual fatigue and apparatus enabling the same
JP5093611B2 (ja) 車両周辺確認装置
JP4970716B2 (ja) 電子カメラ
JP2007124609A (ja) 車両周囲映像提供装置
TW200845733A (en) Camera apparatus, recording medium in which camera apparatus control program is record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apparatus
KR20130053042A (ko) 줌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658212B1 (ko) 카메라에 대한 최적의 시야각 위치를 선택하는 방법
WO2018221209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1924B1 (ko)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KR101504335B1 (ko) 어라운드뷰 제공 장치, 방법 및 차량
JP6700935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409835B1 (ko)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JP2014146979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TWI622297B (zh) 能於車輛轉彎時同步顯示後方全景與轉彎畫面的顯示方法
JPWO2019065820A1 (ja) 撮影装置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80123956A1 (en) Active environment scanning method and device
CN111355880B (zh) 半导体器件、图像处理系统和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398237B2 (ja) 電子ミラー用表示装置
KR101628931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화각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8084767A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724754B1 (ko)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US2023011661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