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398A -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398A
KR20190107398A KR1020180028608A KR20180028608A KR20190107398A KR 20190107398 A KR20190107398 A KR 20190107398A KR 1020180028608 A KR1020180028608 A KR 1020180028608A KR 20180028608 A KR20180028608 A KR 20180028608A KR 20190107398 A KR20190107398 A KR 2019010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energy storage
modul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488B1 (ko
Inventor
이승윤
조종현
강경수
김용일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2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488B1/ko
Priority to US16/627,111 priority patent/US11522245B2/en
Priority to CN201980003538.9A priority patent/CN110892549B/zh
Priority to JP2019569886A priority patent/JP7094311B2/ja
Priority to EP19767347.8A priority patent/EP3667767B8/en
Priority to PCT/KR2019/002850 priority patent/WO2019177342A1/ko
Publication of KR2019010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건물 또는 컨테이너 내에 고정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획된 공간을 구비하는 배터리 랙; 및 상기 배터리 랙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 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랙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는 상기 배터리 랙에 볼팅 타입으로 고정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는 상기 배터리 랙에 후크 타입으로 고정된다.

Description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An energy storage device with a hook structure and an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적으로는, 배터리 모듈을 배터리 랙에 설치함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랙 간의 고정력 강화를 위해 배터리 랙의 모듈 가이드에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랙과 배터리 모듈 간을 체결함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는 볼팅을 이용하여 프론트 프레임과 체결이 가능하지만, 후면부는 건물의 내벽면 또는 컨테이너의 내부 벽면 등의 구조물로 인해 볼팅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고정구조가 적용되지 않고, 단순히 모듈 가이드 상에 얹혀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대용량의 에너지 저장을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는, 건물의 내벽면이나 컨테이너의 내벽면 상에 고정되는데, 이로 인해 배터리 랙에 설치되는 배터리 모듈을 고정함에 있어서 건물의 내벽면이나 컨테이너의 내벽면과 마주보는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에는 볼팅 작업 등을 수행하기가 어려워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와는 달리 고정구조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처럼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가 배터리 랙에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얹혀 있는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건물이나 컨테이너에 진동에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의 유동으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진동에 의해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가 움직이게 되면, 배터리 모듈의 하중 및 진동에 의한 충격이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로 집중되어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의 고정부 역시 파손의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한 배터리 모듈의 파손 우려는 더욱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을 배터리 랙에 설치함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랙 간의 결합/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고정력이 강화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건물 또는 컨테이너 내에 고정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획된 공간을 구비하는 배터리 랙; 및 상기 배터리 랙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 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랙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는 상기 배터리 랙에 볼팅 타입으로 고정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는 상기 배터리 랙에 후크 타입으로 고정된다.
상기 배터리 랙은, 상기 건물 또는 컨테이너의 바닥면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기립 배치되되,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론트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기립 배치되되, 상기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어 프레임;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리어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랙의 내부 공간을 커버하는 상부 프레임;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랙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측면의 일부 및 하면의 일부를 지지 하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리어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 랙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모듈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가이드는, 일 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를 고정시키는 후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후면부에 형성되는 후크 삽입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모듈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 되어 상기 배터리 랙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의 단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슬라이딩 삽입 됨에 따라 그 내측면이 상기 후크 삽입 홀의 하측 내벽면과 접촉하여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의 단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후크 삽입 홀의 하측 내벽면에 의해 상방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 대해 하방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건물 및 컨테이너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에너지 저장소; 및 상기 에너지 저장소 내에 고정 설치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을 배터리 랙에 설치함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랙 간의 결합/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랙 간의 고정력이 강화됨으로써, 에너지 저장 장치가 설치된 건물이나 컨테이너 등과 같은 저장소에 진동이 발생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에 진동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랙의 결합 부위가 다원화 됨에 의해 충격이 분산되어 고정부위가 파손되는 등의 불량 발생의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가 에너지 저장소 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가 배터리 랙에 고정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듈과 모듈 가이드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로서, 배터리 모듈이 모듈 가이드에 후크 타입으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듈 가이드에 배터리 모듈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각 후크부가 후크 삽입 홀 내에 삽입되기 이 전, 삽입된 후, 결합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가 에너지 저장소 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가 배터리 랙에 고정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듈과 모듈 가이드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로서, 배터리 모듈이 모듈 가이드에 후크 타입으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 랙(100) 및 배터리 랙(100)의 내부 공간에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장치는, 건물이나 컨테이너 등의 저장소 내에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어 하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랙(100)은, 저장소 내에 고정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획된 공간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10), 프론트 프레임(120), 리어 프레임(130), 상부 프레임(140) 및 모듈 가이드(16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랙(100)은, 구조적 강성 보강을 위해 보강 프레임(150)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저장소의 바닥면(B)에 고정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110)과 바닥면(B) 사이의 고정은 볼팅 등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기립 배치되되, 배터리 모듈(200)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프론트 프레임(120)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프론트 프레임(120) 간의 간격은 배터리 모듈(200)의 전면부의 폭과 대응된다.
상기 리어 프레임(130)은, 프론트 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기립 배치되며 프론트 프레임(12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200)의 후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리어 프레임(130)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리어 프레임(130) 사이의 간격은 배터리 모듈(200)의 후면부의 폭과 대응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2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처럼 배터리 모듈(200)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프론트 프레임(120) 사이의 간격과 이웃하는 리어 프레임(130) 사이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리어 프레임(130)은, 배터리 랙(100)의 유동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저장소의 내부 벽면(W)에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이 리어 프레임(130)이 저장소의 내부 벽면(W)과 결합되더라도, 벽면(W)과 리어 프레임(13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는, 배터리 모듈(200)의 후면부에 형성된 냉각홀(230b)(도 4 참조)을 통해 냉각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배출저장소의 내부 벽면(W)과 에너지 저장 장치의 후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냉각 공기와 가열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140)은, 베이스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프론트 프레임(120) 및 리어 프레임(130)의 상부에 배치되어 배터리 랙(100)의 내부 공간을 커버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140)은, 배터리 랙(100)의 유동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저장소의 내부 벽면(W)에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150)은, 프론트 프레임(120)과 리어 프레임(130)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는 배터리 랙(10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프레임(150)은, 프론트 프레임(120) 및 리어 프레임(130)과 나란한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프론트 프레임(120)과 리어 프레임(130)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듈 가이드(160)는, 배터리 랙(100) 내에 삽입된 배터리 모듈(200)의 측면의 일부 및 하면의 일부와 맞닿아 배터리 모듈(200)을 지지하며, 프론트 프레임(120), 리어 프레임(130) 및 보강 프레임(150)에 결합되어 배터리 랙(10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한다.
즉, 상기 모듈 가이드(160)는, 배터리 랙(100) 내부의 공간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따라 구획함으로써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들이 여러 층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터리 랙(100)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 가이드(160)는, 배터리 모듈(200)의 측면 하부의 일부를 커버하는 측면 커버부(161) 및 하면의 일측 일부를 커버하는 하면 커버부(162)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커버부(16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 홀(161a, 161b, 161c)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중 제1 체결 홀(161a)은 프론트 프레임(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체결 홀(161b)은 보강 프레임(15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체결 홀(161c)은 리어 프레임(1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프레임(150)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측면 커버수(161) 상에 제1 체결 홀(161a)과 제3 체결 홀(161c)만이 형성되고, 제2 체결 홀(161b)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체결 홀(161a, 161b, 161c)들은 모듈 가이드(160)가 프레임(120, 130, 150)과 볼팅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볼팅 체결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모듈 가이드(160)는 배터리 모듈(200)의 폭 방향 양 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배터리 모듈(200)을 폭 방향 양 측에서 지지한다.
한편, 상기 모듈 가이드(160)는 후크부(163)를 구비한다. 상기 후크부(163)는, 하면 커버부(162)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되어 배터리 모듈(200)의 후면부를 고정시킨다.
상기 후크부(163)의 구체적인 형상 및 배터리 모듈(200)과의 구체적인 결합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모듈(200)은, 배터리 랙(100)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저장소의 벽면(W)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랙(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그 전면부는 볼팅 타입의 결합 방식으로, 그 후면부는 후크 타입의 결합 방식으로 배터리 랙(100)에 고정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200)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 가이드(160)에 의해 구획되는 배터리 랙(100)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200)은, 복수의 배터리 셀(미도시),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된 셀 적층체의 일부 면을 커버하는 모듈 커버(210), 셀 적층체의 전면부를 커버하는 전면 커버(220) 및 후면부를 커버하는 후면 커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 커버(210)는 배터리 모듈(200)의 상면부, 하면부 및 양 측면부를 이루며, 전면 커버(220) 및 후면 커버(230)는 각각 배터리 모듈(200)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배터리 모듈(200)이 배터리 랙(10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220)는 배터리 랙(100)의 전면 개방부를 커버하며, 후면 커버(230)는 저장소의 벽면(W)과 대면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커버(220)는 길이 방향 양 측 단부에 볼팅 체결을 위한 전면부 체결 홀(220a)을 구비하며, 전면 커버(220)는 이러한 전면부 체결 홀(220a)을 이용하여 프론트 프레임(120) 상에 볼팅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즉, 각각의 배터리 모듈(200)은, 한 쌍의 모듈 가이드(160) 상에서 슬라이딩 삽입 되어 배터리 랙(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그 후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 타입의 결합 방식으로 모듈 가이드(160)에 고정되고, 그 전면부는 볼팅 체결 방식으로 프론트 프레임(120) 상에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면 커버(230)는 상술한 후크 방식의 결합을 위해, 길이 방향 양 측 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후크 삽입 홀(230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230)는, 다수의 냉각 홀(230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의 배터리 셀들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음은, 앞서 참조하였던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의 후면부가 모듈 가이드(160)에 고정되는 원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듈 가이드에 배터리 모듈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각 후크부가 후크 삽입 홀 내에 삽입되기 이 전, 삽입된 후, 결합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와 함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후크부(163)는 배터리 모듈(200)을 배터리 랙(100)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모듈(200)의 후면부에 형성된 후크 삽입 홀(230a) 내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후크부(163)의 삽입은 배터리 모듈(200)의 후면부로부터 전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후크부(163)의 삽입 초기에는 후크 삽입 홀(230a)의 내측면과 후크부(163)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저항 없이 삽입이 이루어지지만, 삽입의 깊이가 깊어지면서 후크 삽입 홀(230a)의 하측 내벽면과 후크부(163) 내측면 간의 접촉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163)가 후크 삽입 홀(230a) 내에 완전히 삽입되기 위해서는 배터리 모듈(200)에 전면부에서 후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써 후크 삽입 홀(230a) 내에 후크부(163)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억지 끼움 방식의 삽입을 위해서, 삽입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시점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163)의 삽입 시작 지점(163a)은 배터리 모듈(200)의 후크 삽입 홀(230a)의 하측 내벽면과 비교하여 더 높게 위치하고, 삽입 종료 지점(163b)은 배터리 모듈(200)의 후크 삽입 홀(230a)의 하측 내벽면과 비교하여 소정의 높이(h2)만큼 더 낮게 위치하게 된다(도 5 참조).
상기 후크부(163)의 단부는 그 내측면이 삽입 시작 지점(163a)에서 삽입 종료 지점(163b)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후크부(163)가 후크 삽입 홀(230a) 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게 되며, 이로써 후크부(163)의 단부는 배터리 모듈(200)에 대해 하방으로의 압력(F)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후크부(163)의 단부는 배터리 모듈(200)이 배터리 랙(100) 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후크 삽입 홀(230a)의 하측 내벽면에 의해 상방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되어 배터리 모듈(200)에 대해 하방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배터리 모듈(200)이 모듈 가이드(160) 상에 고정되도록 하며, 이로써 저장소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배터리 랙(100) 내에 설치된 배터리 모듈(200)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 저장소의 벽면
B: 저장소의 바닥면
100: 배터리 랙
110: 베이스 프레임
120: 프론트 프레임
130: 리어 프레임
140: 상부 프레임
150: 보강 프레임
160: 모듈 가이드
161: 측면 커버부
161a: 제1 체결 홀
161b: 제2 체결 홀
161c: 제3 체결 홀
162: 하면 커버부
163: 후크부
163a: 삽입 시작 지점
163b: 삽입 종료 지점
200: 배터리 모듈
210: 모듈 커버
220: 전면 커버
220a: 전면부 체결 홀
230: 후면부 커버
230a: 후크 삽입 홀
230b: 냉각 홀

Claims (9)

  1. 건물 또는 컨테이너 내에 고정 설치되며 배터리 모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획된 공간을 구비하는 배터리 랙; 및 상기 배터리 랙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 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배터리 랙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는 상기 배터리 랙에 볼팅 타입으로 고정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는 상기 배터리 랙에 후크 타입으로 고정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랙은,
    상기 건물 또는 컨테이너의 바닥면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기립 배치되되,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론트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기립 배치되되, 상기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어 프레임;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리어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랙의 내부 공간을 커버하는 상부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랙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측면의 일부 및 하면의 일부를 지지 하며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리어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 랙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모듈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가이드는,
    일 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후면부를 고정시키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후면부에 형성되는 후크 삽입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모듈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삽입 되어 상기 배터리 랙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단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슬라이딩 삽입 됨에 따라 그 내측면이 상기 후크 삽입 홀의 하측 내벽면과 접촉하여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단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후크 삽입 홀의 하측 내벽면에 의해 상방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 대해 하방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9. 건물 및 컨테이너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에너지 저장소; 및
    상기 에너지 저장소 내에 고정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
    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180028608A 2018-03-12 2018-03-12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249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08A KR102249488B1 (ko) 2018-03-12 2018-03-12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6/627,111 US11522245B2 (en) 2018-03-12 2019-03-12 Energy storage apparatus using hook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energy storage apparatus
CN201980003538.9A CN110892549B (zh) 2018-03-12 2019-03-12 能量存储装置和包括该能量存储装置的能量存储系统
JP2019569886A JP7094311B2 (ja) 2018-03-12 2019-03-12 フック構造が適用されたエネルギー貯蔵装置及びこれを含む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EP19767347.8A EP3667767B8 (en) 2018-03-12 2019-03-12 Energy storage apparatus using hook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energy storage apparatus
PCT/KR2019/002850 WO2019177342A1 (ko) 2018-03-12 2019-03-12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08A KR102249488B1 (ko) 2018-03-12 2018-03-12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398A true KR20190107398A (ko) 2019-09-20
KR102249488B1 KR102249488B1 (ko) 2021-05-06

Family

ID=6790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608A KR102249488B1 (ko) 2018-03-12 2018-03-12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22245B2 (ko)
EP (1) EP3667767B8 (ko)
JP (1) JP7094311B2 (ko)
KR (1) KR102249488B1 (ko)
CN (1) CN110892549B (ko)
WO (1) WO20191773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3852A (ja) * 2020-01-22 2022-07-26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電力貯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3235B2 (ja) * 2021-03-08 2023-07-04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パック
KR20230047998A (ko) * 2021-09-30 2023-04-10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터리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제조 시스템, 전기 장치
KR20230151173A (ko) *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교체형 배터리 모듈
CN117254196B (zh) * 2023-11-20 2024-02-0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自控储能组合电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100A (ko) * 2015-11-09 201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랙
KR101826932B1 (ko) * 2017-08-14 2018-02-08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터리 응용 전력저장장치에서의 회로 직렬 및 병렬 연결에 대한 플러그 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3997A (ja) * 1991-03-13 1992-10-08 Fujitsu Ltd 電子機器のバッテリ収納ボックス
JP3060291B2 (ja) * 1996-10-09 2000-07-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保持装置
JP2001023698A (ja) * 1999-07-12 2001-01-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充電設備
JP2007005196A (ja) * 2005-06-24 2007-01-11 Hitachi Maxell Ltd アルカリ電池
KR100760334B1 (ko) * 2005-09-16 2007-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널 조립세트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8278625A (ja) 2007-04-27 2008-11-13 Nippon Yusoki Co Ltd バッテリー充電用ラック
FR2946593B1 (fr) 2009-06-16 2013-02-08 Renault Sas Agencement securise d'une batteri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KR101230350B1 (ko) 2010-01-27 2013-0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팩
EP2610944A4 (en) * 2011-01-28 2014-06-18 Sanyo Electric Co POWER STORAGE SYSTEM
KR101278506B1 (ko) * 2011-04-25 2013-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용 배터리 모듈의 랙 시스템
CN202345359U (zh) * 2011-11-02 2012-07-25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
EP2919293A4 (en) 2012-11-06 2016-06-15 Nec Corp BATTERY SURFACE ARRANGEMENT, ENERGY STORAGE SYSTEM AND ASSEMBLY METHOD OF A BATTERY SURFACE ARRANGEMENT
EP2919569A4 (en) 2012-11-06 2016-06-08 Nec Corp BAY STRUCTURE, POWER STORAGE SYSTEM, AND BAY STRUCTURE ASSEMBLY METHOD
US20140205864A1 (en) 2013-01-22 2014-07-2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KR102094554B1 (ko) 2013-07-12 2020-03-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셀 모듈 어셈블리의 모듈 하우징
KR102222888B1 (ko) 2014-04-09 2021-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KR102284484B1 (ko) 2014-08-25 2021-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KR101808310B1 (ko) 2014-12-24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Bms 통합형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KR102074321B1 (ko) 2015-08-11 2020-0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용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2004475B1 (ko) * 2015-11-10 2019-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70049382A (ko) 2016-08-31 2017-05-10 (주)에이스엔지니어링 배터리 랙
KR102431498B1 (ko) 2016-09-09 2022-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변형 엔진마운트
KR101799537B1 (ko) 2017-01-23 2017-11-20 (주)알씨디에이치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100A (ko) * 2015-11-09 201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랙
KR101826932B1 (ko) * 2017-08-14 2018-02-08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터리 응용 전력저장장치에서의 회로 직렬 및 병렬 연결에 대한 플러그 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3852A (ja) * 2020-01-22 2022-07-26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電力貯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94311B2 (ja) 2022-07-01
US20200161612A1 (en) 2020-05-21
WO2019177342A1 (ko) 2019-09-19
CN110892549A (zh) 2020-03-17
KR102249488B1 (ko) 2021-05-06
US11522245B2 (en) 2022-12-06
EP3667767A1 (en) 2020-06-17
EP3667767B8 (en) 2022-02-09
JP2020524369A (ja) 2020-08-13
CN110892549B (zh) 2022-09-06
EP3667767A4 (en) 2020-12-02
EP3667767B1 (en)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7398A (ko)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EP2884202B1 (en)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KR101799542B1 (ko)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장치용 랙 프레임
KR102065105B1 (ko) 서랍형 배터리 팩
KR101799537B1 (ko)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KR20100082727A (ko) 핵 연료봉 저장용 저장 래크 장치
CN105261720A (zh) 用于布置多个蓄电池单池的装置
KR101661563B1 (ko) 배터리 랙
US11223085B2 (en) Battery pack fixing apparatus
BRPI0408825B1 (pt) conjunto para montar e método de instalar módulos eletrônicos de energia em um gabinete para equipamento
KR102664969B1 (ko) 배터리팩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KR20170049382A (ko) 배터리 랙
CN111924268A (zh) 法兰流转托盘
GB2586735A (en) Wall with pre-bent tubing
CN106247472B (zh) 一种一体式结构制冷机
CN216637328U (zh) 一种真空机运输用防护结构
CN215909257U (zh) 电控盒和空调器
CN216563388U (zh) 一种便捷安装电池的座桶
CN219349454U (zh) 一种硬盘分隔件、硬盘盒以及服务器
CN218704948U (zh) 一种汽车零件物流输送用防护装置
CN210441502U (zh) 冷柜
KR20230160094A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30160167A (ko) 배터리 팩
KR20240062674A (ko) 방열기능을 갖는 배터리팩
KR200473559Y1 (ko) 통신기기용 랙의 가이드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